#차단 정격전압
정격 전압[kV] = 공칭 전압 x 1.21.1
계통의 공칭전압[kV] | 차단 정격전압[kV] | 정격차단시간(Cycles) (60Hz 기준) |
22.9 | 25.8 | 5 |
66 | 72.5 | 5 |
154 | 170 | 3 |
345 | 362 | 3 |
765 | 800 |
#정격전류
#부하전류
#과부하전류
#단락전류
전로의 선간이 임피던스가 작은 상태로 되어 그 부분을 통해서 흐르는 큰 전류
#단락전류의 종류
1) 대칭 단락전류
2) 비대칭 단락전류
#차단기의 차단 용량
기준용량 = √3x공칭전압x정격전류
단락(고장) 용량 [MVA] =√3×공칭 전압[kV]×단락(고장) 전류[kA]
차단 용량 [MVA] =√3 ×정격 전압[kV]×정격 차단 전류(단락전류)[kA]
차단용량 ≧ 단락용량
#BIL(Basic Impulse Insulation Level) : 기준 충격 절연 강도
#단락 용량 계산 방법
1) 단위법 (PU법)
2) 옴법
3) 백분율법(%법)
필기 | 실기 | |
%법 | 2016-1 2015-1 |
유형 2020-2, 2018-2, 2011-3, 2007-1, 2005-1,2003-1 유형 2012-2, 2007-2,2002-2, 2001-2 유형 2202-2, 2020-2, 2018-1, 2014-1, 2011-2 유형 2019-2, 2015-3, 2001-1 유형 2018-3, (2014-3) 유형 2021-2 (2004-3) 유형 2021-3, 2012-3 유형 2015-2, 2001-1 유형 2017-2 유형 2016-3 유형 2008-3 유형 2006-1 유형 2022-2 유형 2014-3 |
옴법 | 전력공학 2017-3 | 2015-2 2009-2 (2004-1) |
단위법(PU법) | 전기기기 2016-2 | 2007-3 2001-3 (1989-6) |
기타 | 단락용량 경감 대책 2013-1 (2005-2) 과전류 종류 2011-2 단락전류 계산 이유 2006-1 정격전압 2019-3 |
|
BIL | 2019-3, 2008-1 |
> 시가지내에 시설하는 154[kV] 가공 전선로에 지락 또는 단락이 생겼을 때 몇 초안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정답 : 1
필기 2016-3
발전기 500[MVA] %임피던스 30[%], 변압기 용량 600[MVA] %임피던스 20[%] 발전기 출력 66[kV], 변압기 출력이 345[kV]일 때
변압기 2차측 3상 단락 사고 시 단락 전류를 구하시오.
계산 : 기준용량을 500[MVA]로 하면, 변압기의 %Z는 500 : X = 600 : 20 에서 500600×20=16.666[%]
합성임피던스는 30+16.67=46.67[%]
Is=100%Z×In=10046.67×500×103√3×345 = 1792.885
답 : 1792.885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4-3
단락 전류를 계산하는 것은 주로 어떤 요소에 적용하고자하는 가?
1) 차단기의 차단용량 선정
2) 보호협조기기 용량 선정
3) 기계기구의 과전류 및 기계 강도선정
4)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의 추정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6-1 단락전류 적용 요소
단락용량의 경감대책
1) 고 임피던스 기기를 채택한다.
2) 모선계통을 분리 운용한다.
3) 한류 리액터를 설치한다.
> 차단기의 트립 방식을 4가지 쓰고 각 방식을 간단히 서술하시오.
(1) 직류 전압 트립 방식 : 직류 전원(축전지 등)의 전압을 트립 코일에 인가하여 트립하는 방식
(2) 콘덴서 트립 방식: PT 1차 측에 정류기를 부설하여 콘덴서를 충전하고 이를 트립코일을 통해 방전하여 차단기를 트립하는 방식
(3) 전류 (CT) 트립 방식: CT 2차 전류가 정해진 값보다 초과되었을 때 트립하는 방식
(4) 부족 전압 트립 방식: PT 2차 전압을 항상 트립 코일에 인가해 두고 1차측 전압이 정해진 값 이하로 떨어졌을 때 트립하는 방식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5-2 차단기 트립방식, 단락용량 경감대책
'전기기사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수변전(수전) 설비 결선도 문제 [실기] (0) | 2020.07.24 |
---|---|
[전기기사] 등가 선간 거리 기출 문제 (0) | 2020.07.18 |
[수변전설비] 피뢰기 문제 [실기] (0) | 2020.07.15 |
[전기기사][수변전설비]계기용 변성기 (PT, CT, MOF, ZCT, GPT) 문제 (0) | 2020.07.08 |
[전기기사][전력공학] 단거리 송전, 전압강하, 전압변동률, 전력손실 문제 [실기] (0)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