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의 항복점 ① 한국산업표준(KS)에 규정되어 있는 강재의 항복점 또는 내력의 규격 최솟값 ② PS강선 및 PS강연선에서는 0.2 % 영구옵셋 (offset)에 대한 하중의 최솟값
검토등급 Ⅰ 사용하중에 대하여는 인장응력이 허용되지 않으며, 시 공 중에만 인장응력을 허용하는 콘크리트 단면의 등급
검토등급 Ⅱ 평상시의 사용하중에 대하여는 인장응력이 허용되지 않으며, 시공 중과 흔하지 않은 사용하중 조합에만 인장응 력을 허용하는 콘크리트 단면의 등급
검토등급 Ⅲ 총 단면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흔하지 않은 사용하중 조합에만 인장응력을 허용하며, 콘크리트 피복두께 단면 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평상시의 사용하중에 대하여 인장 응력을 허용하나 반영구적 하중조합에 대하여는 인장응력 을 허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단면의 등급
격벽 ① 단면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거더에 배치하는 횡방향 보강재, 다이아프램, 또는 단일 박스 또는 다중 박스거더의 받침점부나 경간 내에 비틀림 등에 저항하 기 위하여 설치하는 칸막이 벽 ② 풀형식 어도에서 풀을 나누는 칸막이로 물이 넘는 월류벽과 넘지 않는 비월류벽을 포함
계수하중 사용하중에 설계법에서 요구하는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공칭강도 하중에 대한 구조체나 구조부재 또는 단면 의 저항능력을 말하며 강도감소계수 또는 저항계수를 적 용하지 않은 강도
국소구역 정착장치 주위 및 바로 앞 콘크리트 부분으로 높은 국 부지압응력을 받는 부분
긴장력 긴장재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장치에 의해 발휘되는 임 시적인 힘
긴장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데 사용되는 강 선, 강연선, 강봉
단부 스트럿 거더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받침부로 전달시키는 통로 로서 특별한 전단보강 철근이 필요한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