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하중 ① 하중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하중 ② 사용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하중 ③ 작용하중이라고도 하며, 고정하중 및 표준열차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것 ④ 작용하중이라고도 하며, 고정하중 및 활하중과 같 이 이 기준에서 규정하는 각종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하중
사인장철근 철근 콘크리트 보에 하중 작용으로 인해 사인장 균열 이 발생하며 균열은 휨균열과 달리 주로 전단응력에 지배 되어 갑작스런 파괴를 유발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보강)철근을 배근해야 하며, 이때 보에 배치하는 복 부철근 또는 사인장철근
설계강도 단면 또는 부재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 수 또는 저항계수를 곱한 강도
설계단면력 ① 하중작용에 의해 부재단면에 생기는 휨모멘트, 전 단력, 축방향력 및 비틀림모멘트 ② 강도설계법에서는 계수하중작용에 의해 생기는 부 재의 단면력이므로 소요강도라고도 함
설계하중 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적용가능한 모든 하중과 힘; 허용응력설계법에서는 사용하중, 강도설 계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에서는 계수하중을 지칭
소요강도 하중조합에 따른 계수하중을 저항하는데 필요 한 부재나 단면의 강도
쉬스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서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쓰이는 관
압출용 받침 압출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으로 가 설할 때 설치하는 마찰이 작은 임시가설용 받침
압출코 교량을 압출하는 동안 상부구조의 휨모멘트를 감소시 키기 위하여 압출되는 상부구조의 선단에 부착한 가설용 강재부재(temporary steel assembly
옵셋 굽힘철근 기둥연결부에서 단면치수가 변하는 경우에 배치되 는 구부린 주철근
유효 프리스 트레스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콘크리트 내 응력 중 자중과 외 력에 의한 영향을 제외하고 계산된 모든 응력 손실량을 뺀 나머지 응력, 또는 자중과 외력의 영향을 제외하고 모든 손실이 발생한 후에 프리스트레스트 긴장재 내에 남아있 는 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