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깊이 콘크리트 압축연단부터 모든 인장철근군의 도 심까지 거리
유효폭 ① 불균등 응력분포를 가진 판이나 슬래브가 균등 응 력분포를 가진다고 가정하며 구조적 거동이 같은 효과 를 갖도록 감소시킨 판이나 슬래브의 폭 ② T형보의 플랜지 등에서 유효하게 작용한다고 보는 플랜지 등의 폭 ③ 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내부 고무의 짧은 변 길 이를 의미
일반구역 집중된 프리캐스트레스 힘이 부재 단면상에 선형에 가 까운 응력분포로 확산되는 구역, 또는 거더의 단부로부터 거더 높이(h)만큼 떨어진 일반단면 사이의 정착부 앞 구역 을 의미하고, 부재의 단부가 아닌 보의 중간위치에 정착부 가 있는 경우에는 정착장치 전방으로 거더 높이만큼 떨어 진 구역
일반단면 프리스트레스 힘이 콘크리트부재에 충분히 전달되어 단면내의 응력분포가 선형연속분포가 되는 단면
전달길이 프리텐션 부재에서 부착에 의해 콘크리트에 프리스트 레스 힘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길이
접속구 또는 커플러 PS강재와 PS강재 또는 정착장치와 정착장치를 접속하 여 프리스트레스 힘이 전달되도록 하는 장치
정모멘트 바닥판 및 부재 하측에 인장응력을 생기게 하는 휨모 멘트
정착 단면 정착부가 있는 거더의 끝단부의 단면
정착구역 부재에서 집중된 프리스트레스 힘이 정착장치로부터 콘크리트로 도입되고(국소구역), 부재 내로 넓게 분포되는 (일반구역) 부분
정착길이 위험단면에서 철근 또는 긴장재의 설계기준항복강 도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최소 묻힘 길이
정착돌출부 한 개 이상의 PS강재 정착부에서 면적 확보를 위하여 복부, 플랜지, 복부와 플랜지의 접합부에 돌출시킨 부분
정착장치 긴장재를 콘크리트에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부 재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
정착장치의 슬립량 PS강재를 정착장치에 정착시킬 때에 PS강재가 정착장 치 내에 딸려 들어가는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