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트레스 힘의 전달 정착단면으로부터 일반단면으로 프리스트레스 힘이 전달되면서 단면 내에서의 응력분포곡선은 비연속 분포로 부터 점차적으로 선형 연속 분포로 바뀌게 되는데 이 과정 에서 단면 내에 수직응력(f)과 전단응력(τ)이 발생하는 4 차원적인 현상
프리스트레싱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
프리텐션 방식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거푸집내의 소정의 위치에 PS 강재를 긴장시켜 놓고, 그 주위에 콘크리트를 치며, 콘크 리트가 굳은 다음에 긴장력을 풀어주어 PS강재와 콘크리 트의 부착력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식
피복두께 ① 철근 콘크리트 또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단 면에서 최외측의 철근, 긴장재, 강재표면과 콘크리트부 재 표면까지의 최단거리 ② 용접하려는 모재표면과 피복 아크용접봉의 선단과 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열에 의해 모재의 일부를 용 융함과 동시에 용접봉에서 녹은 용융금속에 의해 결합 하는 용접 방법
하단 코너부 받침 안쪽에서 시작하여 거더의 끝부분을 분리시키려 는 힘에 저항하도록 설계해야 하는 곳
횡방향철근 기둥부재의 띠철근이나 보 부재의 스터럽 등 부재 축에 직각방향으로 배근하는 철근
계수하중 사용하중에 설계법에서 요구하는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긴장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데 사용되는 강 선, 강연선, 강봉
깊은 보 순경간이 부재 깊이의 4배 이하이거나 하중이 받 침부로부터 부재 깊이의 2배 거리 이내에 작용하는 보
덕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긴장재를 배치하기 위해 미리 콘크리트 속에 설치하는 관
등가 박벽관 비틀림 설계할 때 단면의 속이 빈 것으로 가정한 가상 의 관
비부착 외부 강선 콘크리트 구체 외부에 설치하여 긴장한 강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