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
1. 구조총론
2. 기초구조
3. 조적식 구조
4. 철골구조
5. 철근콘크리트 구조
6. 지붕공사
7. 방수 및 방습공사
8. 미장 및 타일공사
9. 수장 공사
10. 창호 및 유리공사
11. 도장공사
12. 적산
3. 조적식 구조
3.1.벽돌구조
3.2.블록구조
2024년
고열에 견디는 목적으로 불에 직접 면하는 벽난로 등에 사용하는 벽돌은?
① 시멘트벽돌
② 내화벽돌
③ 오지벽돌
④ 아치벽돌
⑤ 경량벽돌
정답: ②
2023년 26회
> 콘크리트(시멘트) 벽돌을 사용하는 조적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하루의 쌓기 높이는 1.2 m(18켜 정도)를 표준으로 하고, 최대 1.5 m(22켜 정도) 이하로 한다.
② 표준형 벽돌 크기는 210 mm × 100 mm × 60 mm이다.
③ 내력 조적벽은 통줄눈으로 시공한다.
④ 치장줄눈 파기는 줄눈 모르타르가 경화한 후 실시한다.
⑤ 줄눈의 표준 너비는 15 mm로 한다.
해설:
② 표준형 벽돌 크기 : 190x90x57 -> 기억법->19금
③ 막힌줄눈
![](https://blog.kakaocdn.net/dn/bk7CfH/btsJ80gLFO7/kyRQowefw9t8prknYrxRK0/img.png)
⑤ 15 mm → 10 mm -> 기억법-> 십장생
> 벽돌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벽량이란 내력벽 길이의 합을 그 층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150 mm/㎡ 미만이어야 한다.
② 공간쌓기에서 주 벽체는 정한 바가 없을 경우 안벽으로 한다.
③ 점토 및 콘크리트 벽돌은 압축강도, 흡수율, 소성도의 품질기준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④ 거친 아치쌓기란 벽돌을 쐐기 모양으로 다듬어 만든 아치로 줄눈은 아치의 중심에 모이게 하여야 한다.
❺ 미식쌓기는 다섯 켜 길이쌓기 후 그 위 한 켜 마구리쌓기를 하는 방식이다.
해설:
① 미만 → 이상
② 안벽 → 바깥벽
③ 소성도 (x)
④ 가공하지 않은
⑤
![](https://blog.kakaocdn.net/dn/bmyLO4/btsK7bpk0fy/LAkntCjECjQF3hmoGsKLB1/img.png)
> 치장을 목적으로 벽면에 구멍을 규칙적으로 만들어 쌓는 벽돌 쌓기 방법은?
정답: 영롱 쌓기
2022년 25회
> 벽돌구조의 쌓기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엇모쌓기는 벽돌을 45 ° 각도로 모서리가 면에 나오도록 쌓는 방식이다.
② 영롱쌓기는 벽돌벽에 구멍을 내어 쌓는 방식이다.
③ 공간쌓기는 벽돌벽의 중간에 공간을 두어 쌓는 방식이다.
④ 내쌓기는 장선 및 마루 등을 받치기 위해 벽돌을 벽면에서 내밀어 쌓는 방식이다.
❺ 아치쌓기는 상부하중을 아치의 축선을 따라 인장력으로 하부에 전달되게 쌓는 방식이다.
해설 : 인장력-> 압축력
> 벽돌 담장의 크기를 길이 8 m, 높이 2.5 m, 두께 2.0 B(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5 B+ 붉은 벽돌 0.5 B)로 할 때, 콘크리트(시멘트)벽돌과 붉은 벽돌의 정미량은? (단, 사용 벽돌은 모두 표준형 190 × 90 × 57 mm로 하고, 줄눈은 10 mm로 하며, 소수점 이하는 무조건 올림한다.)
정답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4,480매, 붉은 벽돌: 1,500매
해설: (8x2.5) x224 = 4480
(8x2.5)x75 = 1500
0.5B 쌓기 | 1.0B 쌓기 | 1.5B | 2.0B |
75 | 149 | 75+149= 224 암기법: 구구단 22는4 |
75+224 = 299 |
2021년 24회
> 조적공사에서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립률이 큰 모래를 사용
❷ 분말도가 작은 시멘트를 사용
③ 물시멘트(W/C)비를 감소시킴
④ 벽면에 차양, 돌림띠 등을 설치
⑤ 흡수율이 작고 소성이 잘된 벽돌을 사용
해설: 작은 → 큰
2020년 23회
1. 조적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창대벽돌의 위끝은 창대 밑에 15mm 정도 들어가 물리게 한다.
② 창문틀 사이는 모르타르로 빈틈없이 채우고 방수 모르타르, 코킹 등으로 방수처리를 한다.
③ 창대벽돌의 윗면은 15° 정도의 경사로 옆세워 쌓는다.
❹ 인방보는 좌우측 기둥이나 벽체에 50mm 이상 서로 물리도록 설치한다.
⑤ 인방보는 좌우의 벽체가 공간쌓기일 때에는 콘크리트가 그 공간에 떨어지지 않도록 벽돌 또는 철판 등으로 막고 설치한다.
해설: 200
2019년 22회
조적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치장줄눈의 깊이는 1cm를 표준으로 한다.
② 공간쌓기의 목적은 방습, 방음, 단열, 방한, 방서이며 공간폭은 1.0B 이내로 한다.
③ 벽돌의 하루 쌓기높이는 최대 1.8m까지 한다.
④ 아치쌓기는 조적조에서 문꼴 너비가 1.5m 이하일 때는 평아치로 해도 좋다.
❺ 조적조의 2층 건물에서 2층 내력벽의 높이는 4m 이하이다.
해설
① 6mm
② 0.5B
③ 표준 1.2m, 최대 1.5m
④ 1.0m
2018년 21회
1. 조적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벽돌의 하루 쌓기높이는 1.2m(18켜 정도)를 표준으로 하고 최대 1.8m(27켜 정도) 이내로 한다.
② 벽돌의 치장줄눈 깊이는 6mm로 한다.
③ 블록쌓기 줄눈너비는 가로 및 세로 각각 10mm를 표준으로 한다.
④ ALC블록의 하루 쌓기높이는 1.8m를 표준으로 하고 최대 2.4m 이내로 한다.
⑤ 블록은 살두께가 큰 편이 위로 가게 쌓는다.
해설: 1.5m(22켜)
2017년 20회
조적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공간쌓기는 벽돌 벽의 중간에 공간을 두어 쌓는 것으로 별도 지정이 없을 시 안쪽을 주벽체로 한다.
② 조적조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를 넘을 수 없다.
③ 조적조 내력벽의 길이는 10 m 이하로 한다.
④ 콘크리트 블록의 하루 쌓는 높이는 1.5 m 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⑤ 내화벽돌의 줄눈너비는 별도 지정이 없을 시 가로, 세로 6 mm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 바깥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보][구조총론] 하중과 변형 기출 문제 (0) | 2024.02.04 |
---|---|
[주택관리사보][건축구조] 유리, 창호공사 기출 문제 (0) | 2024.01.22 |
[주택관리사보] [구조] 철근 콘크리트 기출 문제 (0) | 2024.01.22 |
[주택관리사보] [건축구조] 방수, 방습 공사 문제 (0) | 2024.01.20 |
[주택관리사보] [건축구조] 미장 및 타일 공사 문제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