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
1. 구조총론
2. 기초구조
3. 조적식 구조
4. 철골구조
5. 철근콘크리트 구조
6. 지붕공사
7. 방수 및 방습공사
8. 미장 및 타일공사
9. 수장 공사
10. 창호 및 유리공사
11. 도장공사
12. 적산
1. 구조총론
1.1.건축구조의 분류
1.2.하중과 응력
2024년
건물 구조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식구조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 일체식구조, 목구조 등이 있다.
② 막구조는 주로 막이 갖는 인장력으로 저항하는 구조이다.
③ 현수구조는 케이블의 인장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④ 벽식구조는 벽체와 슬래브에 의해 하중이 전달되는 구조이다.
⑤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는 보와 지판이 없는 구조이다.
정답 ①
해설: 건식구조-목구조, 철골구조
건축물 주요실의 기본등분포활하중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① 공동주택의 공용실
② 주거용 건축물의 거실
③ 판매장의 상점
④ 도서관의 서고
⑤ 기계실의 공조실
정답 ②
2023년 26회
> 하중과 변형에 관한 용어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고정하중은 기계설비 하중을 포함하지 않는다.
❷ 외력이 작용하는 구조부재 단면에 발생하는 단위면적당 힘의 크기를 응력도라 한다.
③ 외력을 받아 변형한 물체가 그 외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소성이라고 한다.
④ 등분포 활하중은 저감해서 사용하면 안된다.
⑤ 지진하중 계산을 위해 사용하는 밑면전단력은 구조물유효무게에 반비례한다.
해설:
② 응력,응력도 단위 N/㎟
③ 소성->탄성
소성(plasticity, 塑性) 혹은 가소성-> 고체가 외부에서 탄성 한계 이상의 힘을 받아 형태가 바뀐 뒤 그 힘이 없어져도 본래의 모양으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 연성과 전성이 있다.
④ 하중의 종류 -> 활하중
⑤ 지진하중 -> 관성을 연상하라 = 밑면전단력 x 구조물 유효 무게
> 구조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적조는 벽돌 등의 재료를 쌓는 구조로 벽식에 적합한 습식구조이다.
② 철근콘크리트 라멘구조는 일체식 구조로 습식구조이다.
❸ 트러스는 부재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건식구조이다.
④ 플랫슬래브는 보가 없는 바닥판 구조이며 습식구조이다.
⑤ 현수구조는 케이블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건식구조이다.
해설: ③ 전단력이 생기지 않고 축(방향)력만 생긴다. 전단력은 부재의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2022년 25회
> 기초구조 및 터파기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서로 다른 종류의 지정을 사용하면 부동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② 지중보는 부동침하 억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③ 2개의 기둥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1개의 기초판으로 지지하는 방식의 기초를 연속기초라고 한다.
④ 웰포인트 공법은 점토질 지반의 대표적인 연약 지반 개량공법이다.
❺ 중앙부를 먼저 굴토하고 구조체를 설치한 후, 외주부를 굴토하는 공법을 아일랜드 컷공법이라 한다.
해설:
① ② 부동침하 원인, 방지대책 검색,
지정 : 건축물을 안전하게 지탱하기 위해 기초를 보강하거나 지반의 내력을 보강하는 지반다지기,잡석다지지,말뚝다지기,버림콘크리트 등을 말함.
지중보: 땅 밑에 있는 보
③ 연속기초 → 복합기초
④ 연약 지반 개량공법 → 배수공법
⑤ vs 트렌치 공법
> 지진하중 산정에 관련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정답: ㄱ : 반응수정계수 ㄷ: 중요도계수, ㅁ: 밑면전단력
> 구조용강재의 재질표시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
②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M
③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 SMA
❹ 건축구조용 압연강재: SSC
⑤ 건축구조용 열간압연 H형강: SHN
해설: SSC → SN: Steel New
SS: Steel Structure
SM: Steel Marine
SMA: Steel Marine Atmosphere
FR: Fire Resistance
> H형강보의 웨브를 지그재그로 절단한 후, 위 아래를 어긋나게 용접하여 육각형의 구멍이 뚫린 보는?
정답: 허니콤 보 (Honeycomb Beam)
해설
2021년 24회
> 지반내력(허용지내력)의 크기가 큰 것부터 옳게 나열한 것은?
정답: 화성암 – 수성암 – 자갈 – 자갈과 모래의 혼합물 – 모래 섞인 점토 – 모래
> 강관 비계의 설치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5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5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5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① 비계기둥의 간격은 장선방향으로 1.5m 이하로 설치한다.
②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방향으로 1.5m 이상, 1.8m 이하로 설치한다.
③ 벽 이음재의 배치간격은 수직방향 5.0m 이하, 수평방향 5.0m 이하로 설치한다.
④ 대각으로 설치하는 가새는 수평면에 대해 40° ~ 60° 방향으로 설치한다.
❺ 지상으로부터 첫 번째 띠장은 통행을 위해 강관의 좌굴이 발생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2.0m 이상으로 설치한다.
해설: ⑤ 2.0m 이내로 설치한다.
> 건축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고정하중과 활하중은 단기하중이다.
② 엘리베이터의 자중은 활하중에 포함된다.
❸ 기본지상적설하중은 재현기간 100년에 대한 수직 최심적설깊이를 기준으로 한다.
④ 풍하중은 건축물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⑤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산정된 지진하중의 크기도 커진다.
해설 : ① 단기 → 장기
② 활하중 → 고정하중
활하중 (Live Load) : 움직이는 물건, 사람
④ 받지 않는다. → 받는다
⑤ 커진다 → 작아진다
> 건물 구조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이중골조 구조 : 수평력의 25% 미만을 부담하는 가새골조가 전단벽이나 연성모멘트 골조와 조합되어 있는 구조
② 전단벽 구조 : 전단벽이 캔틸레버 형태로 나와 외고가부의 기둥을 스트럿(strut)이나 타이(tie)처럼 거동하게 함으로써 응력 및 하중을 재분배시키는 구조
③ 골조-전단벽 구조 : 수평력을 전단벽과 골조가 각각 독립적으로 저항하는 구조
❹ 절판 구조 : 판을 주름지게 하여 휨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키는 구조
⑤ 플랫 슬래브 구조 : 슬래브의 상부하중을 보와 슬래브로 지지하는 구조
해설 :
① 이중골조 구조 : 지진력의 25% 이상을 부담하는 연성모멘트골조가 전단벽이나 가새골조와 조합되어 있는 구조
② 전단벽 구조-> 아웃리거구조
③ 각각 독립적으로 -> 동시에 저항하는 구조
⑤ 상부하중을 보없이 슬래브로 지지하는 구조
무량판 구조 분류: Flat Slab, Flat Plate Slab
> 재료의 일반적인 추정 단위 중량(kg/㎥)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근콘크리트 : 2,400
❷ 보통 콘크리트 : 2,200
③ 시멘트 모르타르 : 2,100
④ 시멘트(자연상태) : 1,500
⑤ 물 : 1,000
해설: 2200 → 2300
2020년 23회
> 건축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풍하중과 지진하중은 수평하중이다.
ㄴ. 고정하중과 활하중은 단기하중이다.
ㄷ. 사무실 용도의 건물에서 가동성 경량 칸막이벽은 고정하중이다.
ㄹ. 지진하중 산정 시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지진하중은 감소한다.
정답: ㄱ,ㄹ
해설 ㄴ.단기하중-> 장기하중
ㄷ. 고정하중-> 적재하중
건축구조의 시공과정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습식구조 ❷ 라멘구조 ③ 조립구조 ④ 현장구조 ⑤ 건식구조
해설: 라멘구조-> 상부의 하중을 기둥과 보가 받아서 기초판으로 전달하는 구조형식,상가,빌딩 적용
2019년 22회
1.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커튼월은 공장생산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구성하는 비내력 외벽이다.
❷ 조적구조는 벽돌, 석재, 블록, ALC 등과 같은 조적재를 결합재 없이 쌓아 올려 만든 구조이다.
③ 강구조란 각종 형강과 강판을 볼트, 리벳, 고력볼트, 용접 등의 접합방법으로 조립한 구조이다.
④ 기초란 건축물의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시키는 구조 부분이다.
⑤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일체로 결합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 철근은 인장력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구조이다.
해설: 결합재 이용하여
2. 건축물의 구조설계에 적용하는 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기본지상적설하중은 재현기간 100년에 대한 수직 최심적설깊이를 기준으로 한다.
②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면적이 30 ㎡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③ 고정하중은 점유ㆍ사용에 의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하중으로, 용도별 최소값을 적용한다.
④ 풍하중에서 설계속도압은 공기밀도에 반비례하고 설계풍속에 비례한다.
⑤ 지진하중 산정 시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지진하중은 증가한다.
해설:
② 36㎡
③ 활하중
④ 반비례->비례, 비례->제곱에 비례
⑤ 감소한다.
2018년 21회
건축구조의 분류로 옳은 것은?
① 조적식구조 - 목구조
② 습식구조 - 철골구조
❸ 일체식구조 -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④ 가구식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⑤ 건식구조 - 벽돌구조
해설
구성양식 | 사용재료 | 특징 | 시공과정 |
가구식 | 목구조 | 건식구조 | |
철골구조 | |||
조적식 조적: 집이나 기타의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벽돌이나 돌 따위를 일정한 형태로 쌓는 일. 순화어는 `벽돌쌓기'. |
벽돌구조 블록구조 돌구조 |
습식구조 | |
일체식 |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
습식구조 |
건축물의 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진하중은 지반종류의 영향을 받는다.
② 풍하중은 지형의 영향을 받는다.
③ 고정하중은 구조체의 자중을 포함한다.
④ 적설하중은 지붕형상의 영향을 받는다.
❺ 가동성 경량칸막이벽은 고정하중에 포함된다.
해설: 적재하중
2017년 20회
건축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마감재의 자중은 고정하중에 포함하지 않는다.
② 풍하중은 설계풍압에 유효수압면적을 합하여 산정한다.
③ 하중을 장기하중과 단기하중으로 구분하는 경우 지진하중은 장기하중에 포함된다.
❹ 조적조 칸막이벽은 고정하중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⑤ 기본지상적설하중은 재현기간 10년에 대한 수직 최심적설깊이를 기준으로 하며 지역에 따라 다르다.
해설:
② 합하여-> 곱하여
⑤ 10년->100년
건축 구조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라멘 구조는 기둥과 보가 강접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❷ 트러스 구조는 가늘고 긴 부재를 강접합해서 삼각형의 형상으로 만든 구조이다.
③ 플랫슬래브 구조는 보가 없는 구조이다.
④ 아치 구조는 주로 압축력을 전달하게 하는 구조이다.
⑤ 내력벽식 구조는 내력벽과 바닥판에 의해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이다.
해설: 강접합-> 핀접합
기초 및 지하층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은 대구경 말뚝공법의 일종으로 깊은 심도까지 시공할 수 있다.
② 샌드 드레인(sand drain) 공법은 연약 점토질 지반을 압밀하여 물을 제거하는 지반개량공법이다.
③ 오픈 컷(open cut) 공법은 흙막이를 설치하지 않고 흙의 안식각을 고려하여 기초파기하는 공법이다.
④ 슬러리 월(slurry wall)은 터파기 공사의 흙막이벽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구조벽체로 활용할 수 있다.
⑤ 탑 다운(top down) 공법은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도심지 공사에 적절하지 않은 공법이다.
해설: ⑤ 필요하므로-> 필요 없는, 적절하지 않은-> 적절한
기초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독립기초에 배근하는 주철근은 부철근보다 위쪽에 설치되어야 한다.
② 말뚝의 개수를 결정하는 경우 사용하중(service load)을 적용한다.
③ 기초판의 크기를 결정하는 경우 사용하중을 적용한다.
④ 먼저 타설하는 기초와 나중 타설하는 기둥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철근은 장부철근(dowel bar)이다.
⑤ 2방향으로 배근된 기초판의 경우 장변 방향의 철근은 단면 폭 전체에 균등하게 배근한다.
해설: 아래쪽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보] [공동주택시설개론] [건축구조] 적산 기출 문제 (0) | 2024.02.04 |
---|---|
[주택관리사보][건축구조] 도장 공사 기출 문제 (0) | 2024.02.04 |
[주택관리사보][건축구조] 유리, 창호공사 기출 문제 (0) | 2024.01.22 |
[주택관리사보] [구조] 철근 콘크리트 기출 문제 (0) | 2024.01.22 |
[주택관리사보] [건축구조] 방수, 방습 공사 문제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