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도장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바니시는 입체무늬 등의 도막이 생기도록 만든 에나멜이다.
② 롤러도장은 붓도장보다 도장 속도가 느리지만 일정한 도막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③ 도료의 견본품 제출 시 목재 바탕일 경우 100mm x 200mm 크기로 제출한다.
④ 수지는 물이나 용체에 녹지 않는 무채 또는 유채의 분말이다.
⑤ 철재면 바탕 만들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장소에서 바탕재 조립 후에 한다.
정답 ③
해설
① 바니시는 니스
④ 수지 vs 아노다이징 vs 분체 vs 열전사 및 필름
2021년
> 도장공사의 하자가 아닌 것은?
① 은폐불량 ② 백화 ③ 기포 ④ 핀홀 ❺ 피트
2020년 23회
> 도장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녹 막이 도장의 첫 번째 녹막이칠은 공장에서 조립 후에 도장함을 원칙으로 한다.
② 뿜칠 공사에서 건(spray gun)은 도장면에서 300mm 정도 거리를 두어서 시공하고, 도장면과 평행 이동하여 뿜칠한다.
③ 롤러칠은 평활하고 큰 면을 칠할 때 사용한다.
④ 뿜칠은 압력이 낮으면 거칠고, 높으면 칠의 유실이 많다.
⑤ 솔질은 일반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칠한다.
해설: 전
2019년 22회
도장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유성페인트는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용 도료로 널리 사용된다.
❷ 철재면 바탕만들기는 일반적으로 가공장소에서 바탕재 조립 전에 한다.
③ 기온이 10℃ 미만이거나 상대습도가 80%를 초과할 때는 도장작업을 피한다.
④ 뿜칠 시공 시 약 40c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뿜칠넓이의 1/4 정도가 겹치도록 한다.
⑤ 롤러도장은 붓도장보다 도장속도가 빠르며 일정한 도막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해설
① 사용할 수 없다.
수성페인트 | 유성페인트 |
1)실내에서 보관해야 하는 것들에 주요 사용 콘크리트나 시멘트벽, 베란다, 벽지와 같은 곳에 사용 2)건물 내부용과 외부용이 구분되어 있어서, 외벽을 바를 때는 꼭 외부용을 사용해야함 3)페인트를 바르는 롤러를 이용하여 바르면 빨리 마른다. 4)내구성과 내수성이 약해서 합성수지 에멀션으로 많이 대체되고 있음 5) 일반적으로는 흰색으로 유통되고 있고, 원하는 색이 있을 경우 수성 조색제나 아크릴 물감을 이용해 조색하여 사용 |
1)실외에 두어도 되는 것들, 쉽게 말해 건축물이나 철파렛트와 같이 밖에 꺼내놔도 무방한 것들 2) 유성페인트는 수성 페인트에 비해 늦게 마른다. 3) 휘발성 용제(신나)를 희석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냄새가 남 4) 인화성도 크기 때문에 화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5)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 벽면에 칠하는 수성페인트와 달리 목재는 물론 철제까지 다양한 곳에 페인트칠이 가능해서 많이 사용 |
③ 5 ℃, 85%
④ 30cm, 1/3 암기: 방기 뿜을 때 그림으로 표현
⑤ 없다
2018년 21회
도장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불투명한 도장일 때 하도, 중도, 상도의 색깔은 가능한 달리한다.
② 스프레이건은 뿜칠면에 직각으로 평행운행하며 뿜칠너비의 1/3 정도 겹치도록 시공한다.
③ 롤러칠은 붓칠보다 속도가 빠르나 일정한 도막두께를 유지하기 어렵다.
❹ 징크로메이트 도료는 철재 녹막이용으로 철재의 내구연한을 증대시킨다.
⑤ 처음 1회 방청도장은 가공장소에서 조립 전 도장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 알루미늄
2017년 20회
크롬산아연과 알키드수지로 구성된 도료로서 알루미늄판의 초벌용으로 적당한 것은?
① 광명단 ② 연시안아미드 도료 ❸ 징크로메이트 도료 ④ 그래파이트 도료 ⑤ 이온교환수지 도료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보] [건축설비] 지능형 홈네트워크 기출 문제 (0) | 2024.02.11 |
---|---|
[주택관리사보] [공동주택시설개론] [건축구조] 적산 기출 문제 (0) | 2024.02.04 |
[주택관리사보][구조총론] 하중과 변형 기출 문제 (0) | 2024.02.04 |
[주택관리사보][건축구조] 유리, 창호공사 기출 문제 (0) | 2024.01.22 |
[주택관리사보] [구조] 철근 콘크리트 기출 문제 (0) | 202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