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공사
콘크리트 공사
2024년
철근콘크리트 독립기초의 기초판 크기(면적)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① 허용휨내력
② 허용전단내력
③ 허용인장내력
④ 허용부착내력
⑤ 허용지내력
정답: ⑤
철근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2방향 슬래브의 경우 단변과 장변의 양 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된다.
② 복근직사각형보의 경우 보 단면의 인장 및 압축 양측에 철근이 배근된다.
③ T형보는 보와 슬래브가 일체화되어 슬래브의 일부분이 보의 플랜지를 형성한다.
④ 내력벽은 자중과 더블어 상부층의 연직하중을 지지하는 벽체이다.
⑤ 내력벽의 철근배근 간격은 벽두께의 5배이하, 500mm 이하로 한다.
정답 ⑤
해설: 3배, 450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철근배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부재의 경우 휨모멘트에 의해 주근을 배근하고, 전단력에 의해 스터럽을 배근한다.
② 기둥부재의 경우 띠철근과 나선철근은 콘크리트의 횡방향 벌어짐을 구속하는 효과가 있다.
③ 주철근에 갈고리를 둘 경우 인장철근보다는 압축철근의 정착길이 확보에 더 큰 효과가 있다.
④ 독립기초판의 주근은 주로 휨인장응력을 받는 하단에 배근된다.
⑤ 보 주근의 2단 배근에서 상하 철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으로 한다.
정답: ③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처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보단부의 사인장균열은 압축력과 휨응력의 조합에 의한 응력으로 발생한다.
② 보단부의 사인장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수평철근으로 보강한다.
③ 연직하중을 받는 단순보의 중앙부 상단에서 휨인장력에 의한 수직방향의 균열이 발생한다.
④ 압축철근비가 클수록 장기처짐은 증가한다.
⑤ 1방향 슬래브의 장변방향으로는 건조수축 및 온도변화에 따른 균열방지용 철근을 배근한다.
정답 ⑤
해설
① 응력 -> 인장력
② 수평철근 -> 늑근
③
④ 증가 -> 감소
⑤
2023년 26회
>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 및 배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늑근은 단부보다 중앙부에 많이 배근한다.
② 전단 균열은 사인장 균열 형태로 나타난다.
③ 양단 고정단 보의 단부 주근은 상부에 배근한다.
④ 주근은 휨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배근한다.
⑤ 휨균열은 보 중앙부에서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발생한다.
해설: ① 늑근(스터럽)-> 뚫어싼 철근
③ 주근 : 주요한 힘을 받는 철근
> 철근 및 철근 배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단철근이 배근된 보의 피복두께는 보 표면에서 주근 표면까지의 거리이다.
② SD400 철근은 항복강도 400 N/㎟인 원형철근이다.
③ 나선기둥의 주근은 최소 4개로 한다.
④ 1방향 슬래브의 배력철근은 단변방향으로 배근한다.
❺ 슬래브 주근은 배력철근보다 바깥쪽에 배근한다.
해설: ① 스터럽의 바깥쪽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거리
② SR : Steel Round 원형철근→ SD : Steel Deformed 이형철근
③ 4개 → 6개
④ 1방향 → 2방향, 온도철근 vs 배력철근
>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철근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ㄴ. 철근의 피복 두께
ㄷ. 철근 표면의 상태
2022년 25회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인장시험에 의해 결정된다.
② SD400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 N/mm이다.
❸ 스터럽은 보의 사인장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한다.
④ 나선철근은 기둥의 휨내력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한다.
⑤ 1방향 슬래브의 경우 단변방향보다 장변방향으로 하중이 더 많이 전달된다.
해설: ①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고 철근은 인장에 강하다. 서로 보완 관계이다.
② N/mm -> MPa, N/㎟
③ 늑근(스터럽)은 일반적으로 휨부재의 횡보강철근을 말하며 압축부재에서는 띠철근이라 부릅니다.
④ 휨내력 성능-> 위치 고정
⑤ 단변방향보다 장변방향 -> 단변방향
> 철근의 정착 및 이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D35 철근은 인장 겹침 이음을 할 수 없다.
② 기둥의 주근은 큰 보에 정착한다.
❸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④ 보의 주근은 슬래브에 정착한다.
⑤ 갈고리로 가공하는 것은 인장과 압축 저항에 효과적이다.
해설: ① 인장 겹침 이음 -> 겹침 이음
② 큰 보-> 기초 정착=매립
④ 큰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 작은 보의 주근은 큰 보에 정착
⑤ 인장과 압축 저항 => 인장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의 양에 따른 반죽의 질기를 컨시스턴시(consistency)라고 한다.
②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워커빌리티(workability)는 증가한다.
③ 골재의 입도 및 입형은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
④ 물시멘트비가 커질수록 블리딩(bleeding)의 양은 증가한다.
❺ 콘크리트의 온도는 공기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해설:
컨시스턴스:단위수량(물)의 다소에 의한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나타내는것으로 반죽질기라고도 합니다.
유동성이 크다 (묽다), 유동성이 적다 (되다)
컨시스턴스가 높다는것은 유동성이 크다.
*워커빌리티(시공연도):작업의 난이(어렵냐,쉽냐) 정도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반죽질기가 크면 (묽으면),시공하기좋아 워커빌리티가 좋아지나,너무 묽으면
재료분리가 생겨서 워커빌리티가 나쁘다고하며, 적당한 묽기가 필요합니다.
즉,컨시스턴시가 좋다고 반드시 워커빌리티가 좋은것은 아니다.
2021년 24회
> 철근콘크리트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간격재는 거푸집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② 철근 조립시 철근의 간격은 철근 지름의 1.25배 이상,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1.5배 이상, 25mm 이상의 세 가지 값 중 최대값을 사용한다.
③ 기둥의 철근 피복두께는 띠철근(hoop) 외면이 아닌 주철근 외면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④ 거푸집의 존치기간을 콘크리트 압축강도 기준으로 결정할 경우에는 기둥, 보, 벽 등의 측면은 최소 14MPa 이상으로 한다.
❺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0MPa 인 경우에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최소 피복두께는 40mm 이다.
해설
① 간격재-> 격리재 seperator, 간격재spacer: 철근과 거푸집, 철근과 철근의 간격 유지
② 1.25 -> 1.5
③ 피복의 정의는 콘크리트 표면에서 가장 인접한(가까운) 철근 표면까지의 최단거리. 그러므로 주철근, 늑근, 띠철근이라는 표현은 다 틀린것이고 무엇이든 가장 바깥쪽으로 배치된철근이면 피복의 규정 적용대상.
④ 14 -> 5
>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① 모르타르의 점성이 적은 경우
② 부어넣는 높이가 높은 경우
❸ 입경이 작고 표면이 거친 구형의 골재를 사용한 경우
④ 단위 수량이 너무 많은 경우
⑤ 운반이나 다짐 시 심한 진동을 가한 경우
> 콘크리트의 균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침하균열은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물의 증발속도가 블리딩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 발생한다.
② 소성수축균열은 굵은 철근 아래의 공극으로 콘크리트가 침하하여 철근 위에 발생한다.
③ 하중에 의한 균열은 설계하중을 초과하거나 부동침하 등의 원인으로 생기며 주로 망상균열이 불규칙하게 발생한다.
❹ 온도균열은 콘크리트의 내·외부 온도차가 클수록, 단면치수가 클수록 발생하기 쉽다.
⑤ 건조수축균열은 콘크리트 경화 전 수분의 증발에 의한 체적 증가로 발생한다.
해설
① 침하균열은 골재의 입자가 크고 단위수량이 큰 경우, 블리딩 때문에 발생
블리딩: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에서 물이 분리, 상승하는 현상.
② 수화반응 이후 체적감소로 인한 수축으로 발생한다, 수화반응 :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는 과정
③ 망상균열은 표면층 수축에 의한 균열로 깊이가 얕아 구조적 본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망상균열이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표면층의 수축에 의하여 발생되는 그물 모양의 미세한 불규칙 균열이 생성되는 것
⑤ 건조수축균열은 내부 수분의 증발로 체적 감소로 발생
2020년 23회
콘크리트 줄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축줄눈은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 등에 따른 균열 발생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줄눈이다.
② 조절줄눈은 균열을 일정한 곳에서만 일어나도록 유도하기 위해 균열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줄눈이다.
③ 지연줄눈은 일정 부위를 남겨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초기 수축 균열을 진행시킨 다음 최종 타설할 때 발생하는 줄눈이다.
④ 슬라이등 조인트는 슬래브나 보가 단순지지되어 있을 때, 수평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하는 줄눈이다.
❺ 콜드 조인트는 기온이 낮을 때 동결융해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줄눈이다.
해설:
① 줄눈 = joint = 이음
⑤ 콜드 조인트는 시공 중 이어치기(이어붓기) 시간을 오래 끌었기 때문에 발생한 불연속 부분으로 시공불량 이음부를 말한다.
철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띠철근은 기둥 주근의 좌굴방지의 전단보강 역할을 한다.
② 갈고리(hook)는 집중하중을 분산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설치한다.
③ 원형철근은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표면에 마디와 리브를 가공한 철근이다.
④ 스터럽(stirrup)은 보의 인장보강 및 주근 위치고정을 목적으로 배치한다.
⑤ SD400에서 400은 인장강도가 400MPa 이상을 의미한다.
해설
②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철근의 말단에 설치한다.
③ 이형철근
④ 스터럽(늑근)은 보의 사인장 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배치한다.
⑤ 항복강도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❶ 시공연도 ② 크리프 ③ 중성화 ④ 내구성 ⑤ 수밀성
철근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기간 동안의 일평균 기온이 4℃ 이하인 경우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한다.
② 거푸집이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고, 거푸집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간격재(spacer)를 배치한다.
❸ 보에서의 이어붓기는 스팬 중앙에서 수직으로 한다.
④ 보의 철근이음 시 하부주근은 중앙부에서 이음한다.
⑤ 콘크리트의 소요강도는 배합강도보다 충분히 커야한다.
해설:
① 한중
② 격리재 separator
④ 양단부
⑤ 작아야 한다, 소요강도 = 설계기준강도vs 배합강도 vs 호칭강도(주문강도)
2019년 22회
철근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와 철근은 온도에 의한 선팽창계수가 비슷하여 일체화로 거동한다.
② 알칼리성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철근의 부식을 방지한다.
③ 이형철근이 원형철근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가 크다.
❹ 철근량이 같을 경우, 굵은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는 철근을 사용하는 것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에 유리하다.
⑤ 건조수축 또는 온도변화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을 수축ㆍ온도철근이라 한다.
해설 굵은-> 가는
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 및 기둥의 측면 거푸집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5MPa 이상일 때 해체할 수 있다.
②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은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한다.
③ 콘크리트 혼합부터 부어넣기까지의 시간한도는 외기온이 25℃ 미만에서 120분, 25℃ 이상에서는 90분으로 한다.
④ VH(Vertical Horizontal) 분리타설은 수직부재를 먼저 타설하고 수평부재를 나중에 타설하는 공법이다.
❺ 거푸집의 콘크리트 측압은 슬럼프가 클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부배합일수록 크다.
해설
③ 암기법 25 : 이오공감
④ 타설: 붙기, 채우기
⑤ 높을수록-> 낮을수록
측압 : 거푸집 측면에 가해지는 압력
콘크리트의 슬럼프: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이것을 Consistency라 한다)를 나타내는 값으로 높이 30cm의 콘에 일정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넣고, 콘을 조용히 위로 뽑아내면, 콘크리트는 부드러움의 정도에 맞게 자중으로 정점이 내려갑니다. 이 정점의 하락이 슬럼프입니다.
부배합(Rich Mix), 빈배합(Poo Mix)
- 빈 배합이란 콘크리트의 배합시 단위 시멘트량이 비교적 적은 150~250 kg/m3 정도의 배합을 가리키며, 부배합이란 단위 시멘트량이 300 kg/m3 이상의 배합을 말한다.
- 콘크리트 배합시 부배합일수록 경화하는 과정에서 수화열의 발생이 많게 되어 균열이 가기 쉽고 또 빈 배합일수록 점성(Viscosity)이 떨어지므로, 최적의 배합이 중요하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수화반응으로 생긴 수산화칼슘
② 기상작용으로 인한 동결융해
③ 부식성 화학물질과의 반응으로 인한 화학적 침식
④ 알칼리 골재반응
⑤ 철근의 부식
2018년 21회
철근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압축력은 콘크리트, 인장력은 철근이 부담한다.
❷ 압축강도 50MPa 이상의 콘크리트는 내구성과 내화성이 매우 우수하다.
③ 콘크리트의 강한 알칼리성은 철근 부식 방지에 효과적이다.
④ 철근과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는 거의 같다.
⑤ 철근량이 동일한 경우 굵은 철근보다 가는 철근을 배근하는 것이 균열제어에 유리하다.
해설: 내화성은 우수하지 않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균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의 전단균열은 부재축에 경사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이다.
② 침하균열은 배근된 철근 직경이 클수록 증가한다.
③ 건조수축균열은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❹ 소성수축균열은 풍속이 약할수록 증가한다.
⑤ 온도균열은 콘크리트 내ㆍ외부의 온도차와 부재단면이 클수록 증가한다.
해설: 강할수록, 소성수축: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수분손실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축변형을 말한다.
철근콘크리트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를 이어 칠 경우 콘크리트 표면에 나타난 레이턴스는 제거한 후 작업한다.
② 거푸집은 콘크리트 중량, 작업하중, 측압 등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❸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긴결재를 사용한다.
④ 슬럼프시험은 워커빌리티 검사방법의 일종이다.
⑤ 동결융해작용을 받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잔골재는 내구성(안정성)시험을 하지 않을 수 있다.
해결: 고임재 및 간격재. 긴결재 : form tie, 거푸집이 벌어지거나 수축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2017년 21회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변형 및 균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크리프(creep) 변형은 지속하중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장기 변형이다.
②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블리딩과 건조수축이 증가한다.
❸ AE제는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킨다.
④ 보의 중앙부 하부에 발생한 균열은 휨모멘트가 원인이다.
⑤ 침하균열은 콘크리트 타설 후 자중에 의한 압밀로 철근 배근을 따라 수평부재 상부면에 발생하는 균열이다.
해설:
① 크리프(Creep)변형: 하중의 증가는 없는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형이 계속되는 상태
②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이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상태 조건에서 콘크리트 1 ㎥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
③ 혼화제의 종류인 AE 제는 공기량을 향상시켜 시공연도를 개선하며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고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철근력과 부착력이 감소되며 공기량 1% 증가시 콘크리트강도는 3~5% 정도 감소된다.
철근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항복강도 300 MPa인 이형철근은 SR300으로 표시하며 양단면 색깔은 황색이다.
② 철근과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는 차이가 크므로 서로 다른 값으로 간주한다.
❸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에서 시험에 의해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10 MPa 이상이면 기둥 거푸집을 해체할 수 있다.
④ 이형철근으로 제작한 늑근(stirrup)의 갈고리는 생략할 수 있다.
⑤ 지름이 다른 철근을 이음하는 경우 이음길이는 굵은 철근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해설: 기초, 보의 측면, 기둥, 벽의 거푸집 널은 시험에 의해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5 MPa 이상이면 해체할 수 있으며(표 2.1.1),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에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10 MPa 이상일 때 거푸집 널을 해체할 수 있다
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통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골재의 강도는 시멘트 페이스트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❷ 콘크리트 제조 시 혼화제(混和劑)의 양은 콘크리트 용적 계산에 포함된다.
③ 센트럴 믹스트(central-mixed) 콘크리트는 믹싱 플랜트에서 비빈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사용하는 콘크리트이다.
④ 콘크리트 배합 시 골재의 함수 상태는 표면건조 내부 포수상태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콘크리트 배합 시 단위 수량은 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될 수 있는 한 적게 되도록 시험을 통해 정하여야 한다.
해설:
① 시멘트 페이스트는 시멘트에 물을 혼합한 것이고,
시멘트 몰탈은 시멘트에 물과 모래를 혼합한 것이며,
콘크리트는 시멘트에 물과 모래와 자갈을 혼합한 것을 말한다.
③ 혼화제는 그 자체의 용적이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혼합시 용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며, 혼화재는 그 용적에 포함되는 것으로 각각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그 사용량이 시멘트량의 1% 이하로서 약품적으로 소량 사용되는 것은 혼화제, 5 % 정도 이상의 것에 대해서는 혼화재로서 용어가 분류되고 있다.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보][구조총론] 하중과 변형 기출 문제 (0) | 2024.02.04 |
---|---|
[주택관리사보][건축구조] 유리, 창호공사 기출 문제 (0) | 2024.01.22 |
[주택관리사보] [건축구조] 방수, 방습 공사 문제 (0) | 2024.01.20 |
[주택관리사보] [건축구조] 미장 및 타일 공사 문제 (0) | 2024.01.20 |
[주택관리사보][조적식구조] 벽돌구조, 블록구조 기출 문제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