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공사

콘크리트 공사


2023년

>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 및 배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은 것은?

     늑근단부보다 중앙부에 많이 배근한다.
    전단 균열사인장 균열 형태로 나타난다.
    양단 고정단 보단부 주근은 상부에 배근한다.
    주근휨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배근한다.
    휨균열은 보 중앙부에서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발생한다.

더보기

해설: ① 늑근(스터럽)-> 뚫어싼 철근

> 철근 및 철근 배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전단철근이 배근된 보의 피복두께는 보 표면에서 주근 표면까지의 거리이다.
    SD400 철근은 항복강도 400 N/㎟원형철근이다.
    나선기둥의 주근은 최소 4개로 한다.
    1방향 슬래브의 배력철근은 단변방향으로 배근한다.
    슬래브 주근은 배력철근보다 바깥쪽에 배근한다.

더보기

해설: ① 스터럽의 바깥쪽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거리
         ② 원형철근→ 이형철근
         ③ 4개 → 6개
         ④ 1방향 → 2방향

>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철근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ㄴ. 철근의 피복 두께
ㄷ. 철근 표면의 상태


2022년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인장시험에 의해 결정된다.
    ② SD400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 N/mm이다.
    ❸ 스터럽은 보의 사인장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한다.
    ④ 나선철근은 기둥의 휨내력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한다.
    ⑤ 1방향 슬래브의 경우 단변방향보다 장변방향으로 하중이 더 많이 전달된다.

더보기

해설: ①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고 철근은 인장에 강하다. 서로 보완 관계이다.
          ② N/mm -> MPa, N/㎟
          ④ 휨내력 성능-> 위치 고정
          ⑤ 단변방향보다 장변방향 -> 단변방향

> 철근의 정착 및 이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D35 철근은 인장 겹침 이음을 할 수 없다.
    ② 기둥의 주근은 큰 보에 정착한다.
    ❸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④ 보의 주근은 슬래브에 정착한다.
    ⑤ 갈고리로 가공하는 것은 인장과 압축 저항에 효과적이다.

더보기

해설: ① 인장 겹침 이음 ->  겹침 이음
         ② 큰 보-> 기초 정착=매립
          ④  큰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 작은 보의 주근은 큰 보에 정착 
          ⑤ 인장과 압축 저항 => 인장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의 양에 따른 반죽의 질기를 컨시스턴시(consistency)라고 한다.
    ②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워커빌리티(workability)는 증가한다.
    ③ 골재의 입도 및 입형은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
    ④ 물시멘트비가 커질수록 블리딩(bleeding)의 양은 증가한다.
    ❺ 콘크리트의 온도는 공기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더보기

해설:
컨시스턴스:단위수량(물)의 다소에 의한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나타내는것으로 반죽질기라고도 합니다.
유동성이 크다 (묽다), 유동성이 적다 (되다)
컨시스턴스가 높다는것은 유동성이 크다.

*워커빌리티(시공연도):작업의 난이(어렵냐,쉽냐) 정도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반죽질기가 크면 (묽으면),시공하기좋아 워커빌리티가 좋아지나,너무 묽으면 
재료분리가 생겨서 워커빌리티가 나쁘다고하며, 적당한 묽기가 필요합니다.

즉,컨시스턴시가 좋다고 반드시 워커빌리티가 좋은것은 아니다.

 


2021년 24회

> 철근콘크리트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간격재는 거푸집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철근 조립시 철근의 간격은 철근 지름의 1.25 이상,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1.5배 이상, 25mm 이상의 세 가지 값 중 최대값을 사용한다.
    기둥의 철근 피복두께띠철근(hoop) 외면이 아닌 주철근 외면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거푸집의 존치기간을 콘크리트 압축강도 기준으로 결정할 경우에는 기둥, , 벽 등의 측면은 최소 14MPa 이상으로 한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0MPa 인 경우에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최소 피복두께는 40mm 이다.

해설
① 격리재
② 1.25 -> 1.5
피복의 정의는 콘크리트 표면에서 가장 인접한(가까운) 철근 표면까지의 최단거리. 그러므로 주철근, 늑근, 띠철근이라는 표현은 다 틀린것이고 무엇이든 가장 바깥쪽으로 배치된철근이면 피복의 규정 적용대상.
④ 14 -> 5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① 모르타르의 점성이 적은 경우
    ② 부어넣는 높이가 높은 경우
    ❸ 입경이 작고 표면이 거친 구형의 골재를 사용한 경우
    ④ 단위 수량이 너무 많은 경우
    ⑤ 운반이나 다짐 시 심한 진동을 가한 경우

콘크리트의 균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침하균열은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물의 증발속도가 블리딩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 발생한다.
    ② 소성수축균열은 굵은 철근 아래의 공극으로 콘크리트가 침하하여 철근 위에 발생한다.
    ③ 하중에 의한 균열은 설계하중을 초과하거나 부동침하 등의 원인으로 생기며 주로 망상균열이 불규칙하게 발생한다.
    ❹ 온도균열은 콘크리트의 내·외부 온도차가 클수록, 단면치수가 클수록 발생하기 쉽다.
    ⑤ 건조수축균열은 콘크리트 경화 전 수분의 증발에 의한 체적 증가로 발생한다.


2020년 23회

콘크리트 줄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축줄눈은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 등에 따른 균열 발생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줄눈이다.
    조절줄눈은 균열을 일정한 곳에서만 일어나도록 유도하기 위해 균열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줄눈이다.
    지연줄눈은 일정 부위를 남겨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초기 수축 균열을 진행시킨 다음 최종 타설할 때 발생하는 줄눈이다.
    슬라이등 조인트는 슬래브나 보가 단순지지되어 있을 때, 수평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하는 줄눈이다.
    콜드 조인트는 기온이 낮을 때 동결융해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줄눈이다.

더보기

해설: 콜드 조인트는 시공 중 이어치기(이어붓기) 시간을 오래 끌었기 때문에 발생한 불연속 부분으로 시공불량 이음부를 말한다.

철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띠철근은 기둥 주근의 좌굴방지의 전단보강 역할을 한다.
    갈고리(hook)는 집중하중을 분산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설치한다.
    원형철근은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표면에 마디와 리브를 가공한 철근이다.
   ④ 스터럽(stirrup)보의 인장보강 및 주근 위치고정을 목적으로 배치한다.
    SD400에서 400인장강도400MPa 이상을 의미한다.

더보기

해설
②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철근의 말단에 설치한다.
③ 이형철근
④ 스터럽은 보의 사인장 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배치한다.
⑤ 항복강도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시공연도 크리프     중성화 내구성     수밀성

철근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기간 동안의 일평균 기온이 4이하인 경우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한다.
    거푸집이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고, 거푸집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간격재(spacer)를 배치한다.
     보에서의 이어붓기는 스팬 중앙에서 수직으로 한다.
    보의 철근이음 시 하부주근은 중앙부에서 이음한다.
    콘크리트의 소요강도는 배합강도보다 충분히 커야한다.

더보기

해설:
① 한중
② 격리재
④ 양단부
⑤ 작아야 한다


2019년 22회

철근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와 철근은 온도에 의한 선팽창계수가 비슷하여 일체화로 거동한다.
    알칼리성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철근의 부식을 방지한다.
    이형철근이 원형철근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가 크다.
    철근량이 같을 경우, 굵은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는 철근을 사용하는 것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에 유리하다.
    건조수축 또는 온도변화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을 수축온도철근이라 한다.

더보기

해설 굵은-> 가는

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 및 기둥의 측면 거푸집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5MPa 이상일 때 해체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은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한다.
    콘크리트 혼합부터 부어넣기까지의 시간한도는 외기온이 25미만에서 120, 25이상에서는 90분으로 한다.
   ④ VH(Vertical Horizontal) 분리타설은 수직부재를 먼저 타설하고 수평부재를 나중에 타설하는 공법이다.
    거푸집의 콘크리트 측압은 슬럼프가 클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부배합일수록 크다.

더보기

해설 낮을수록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화반응으로 생긴 수산화칼슘
    기상작용으로 인한 동결융해
    부식성 화학물질과의 반응으로 인한 화학적 침식
    알칼리 골재반응
    철근의 부식


2018년 21회

철근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압축력은 콘크리트, 인장력은 철근이 부담한다.
    압축강도 50MPa 이상의 콘크리트는 내구성과 내화성이 매우 우수하다.
    콘크리트의 강한 알칼리성은 철근 부식 방지에 효과적이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는 거의 같다.
    철근량이 동일한 경우 굵은 철근보다 가는 철근을 배근하는 것이 균열제어에 유리하다.

더보기

해설: 내화성은 우수하지 않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균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의 전단균열은 부재축에 경사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이다.
    침하균열은 배근된 철근 직경이 클수록 증가한다.
    건조수축균열은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소성수축균열은 풍속이 약할수록 증가한다.
    온도균열은 콘크리트 내외부의 온도차와 부재단면이 클수록 증가한다.

더보기

해설: 강할수록

철근콘크리트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를 이어 칠 경우 콘크리트 표면에 나타난 레이턴스는 제거한 후 작업한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중량, 작업하중, 측압 등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긴결재를 사용한다.
    슬럼프시험워커빌리티 검사방법의 일종이다.
    동결융해작용을 받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잔골재는 내구성(안정성)시험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더보기

해결: 고임재 및 간격재


2017년 21회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변형 및 균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크리프(creep) 변형은 지속하중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장기 변형이다.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블리딩과 건조수축이 증가한다.
    AE제는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킨다.
   ④ 보의 중앙부 하부에 발생한 균열은 휨모멘트가 원인이다.
    침하균열은 콘크리트 타설 후 자중에 의한 압밀로 철근 배근을 따라 수평부재 상부면에 발생하는 균열이다.

철근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항복강도 300 MPa인 이형철근은 SR300으로 표시하며 양단면 색깔은 황색이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는 차이가 크므로 서로 다른 값으로 간주한다.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에서 시험에 의해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10 MPa 이상이면 기둥 거푸집을 해체할 수 있다.
    이형철근으로 제작한 늑근(stirrup)의 갈고리는 생략할 수 있다.
    지름이 다른 철근을 이음하는 경우 이음길이는 굵은 철근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통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골재의 강도는 시멘트 페이스트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콘크리트 제조 시 혼화제(混和劑)의 양은 콘크리트 용적 계산에 포함된다.
    센트럴 믹스트(central-mixed) 콘크리트는 믹싱 플랜트에서 비빈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사용하는 콘크리트이다.
    콘크리트 배합 시 골재의 함수 상태는 표면건조 내부 포수상태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배합 시 단위 수량은 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될 수 있는 한 적게 되도록 시험을 통해 정하여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