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종교인은 50%이다.
개신교회가 미장원보다 많아졌다.
거기에 초대형 교회가 많다.
종교 단체는 생산적인 단체보다는 소비적인 단체라고 생각한다.
헌금을 내거나 시간을 투자하면(모임참여) 정신적으로 위로해주는 곳이다.
자신의 지갑으로 돈이 들어오게 만드는 단체가 아니다.
경제 불황이 심화되면 초대형 교회들은 이 거대한 건물,조직을 어떻게 유지 할 수 있을까?
개신교 교회의 헌금 내역을 보면 십일조가 70% 차지한다.
교인들이 실업자가 늘어 나면 개신교회도 점차 쇠퇴할 것이다.
'심리 > 신념 이념 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에 희망을 갖는 것을 포기 했다. (0) | 2011.12.27 |
---|---|
독재 종교 지도자들은 인터넷 집단 지성을 싫어한다. (0) | 2011.11.04 |
종교 생활의 차이 (0) | 2011.08.18 |
종교 지도자는 배부르고 교인은 배고프게 된다면 (0) | 2011.07.20 |
종교생활에 회의가 드는 이유는? (0) | 2011.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