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원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도 도시화 포화 상태에서 탈도시화가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사람들이 수도권과 대구 부산을 떠난다는 것이다.
현재는 충청권과 강원도가 인구가 늘고 있다고 한다.
충청권은 젊은 세대들의 유입이 늘고 있고 강원도는 50대이상의 귀농인구가 늘고 있다고 한다.
부동산 가격은 인구에 의해서 수요와 공급이 법칙이 적용 되는 점이 높다.
부동산 투자에 관심 잇는 분들은 이점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2018-8-27
서울의 집값이 상승하고 있다.
저출산 시대가 와도 서울은 집값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내가 2012년 기사를 읽고 그냥 믿은 것 같다.
앞으로 더 많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생각해야 한다.
그래야 판단의 실수를 줄일 수 있다.
2019-6-3
"도시의 승리"라는 책이 있다.
사람들은 도시를 좋아한다. 젊은 층은 더 좋아한다.
2022-12-23
한국은 도시화율이 높다. 도시화율이 90%정도가 정점이다. 한국은 도시화율이 이것보다 더 높다. 도시화율은 부동산 가격이 비싸진다. 도시화율의 정점에 도달하라면 하락이 시작된다. 하락이 시작되면 부동산 가격은 추락한다.
2023-7-2
2022-12-23 추정이 틀린것 같다.
서울은 인구가 줄기 시작했다. 부동산 가격이 비싸서이다. 요즘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는 경제가 안좋기 때문이다.
급여가 오르지 않고 물가는 오르기 때문이다. 부동산을 사 줄 젊은층이 없다. 출생률이 감소하고 있다.
'공간 및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역 모텔 검색어로 내 블로그에 사람들이 접속한다. (0) | 2012.12.28 |
---|---|
(책)건축,우리의 자화상 임석재 (0) | 2012.11.05 |
각 지방자치 단체가 산업 단지를 무분별하게 만들고 있다. (0) | 2012.10.08 |
수안보를 다시 부흥 시키려면? (0) | 2012.08.05 |
집을 생각한다. (0) | 201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