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심도리 기둥 위에 놓인 도리

중도리 주도리와 종도리 사이에 있는 도리로서, 처마도리와 평행으로 배치하여 서까래 또는 지붕널 등을 받는 가로재

중방(中枋) 수장재 중 기둥허리에 걸리게 되는 부재

창방 기둥머리 사개에 짜맞추고 보머리와 함께 짜이며 수 장재보다 굵은 목재부재

처마(軒, 畩) 지붕이 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처마안허리 추녀 끝이 많이 튀어나오고 서까래가 짧아서 생기는 곡선

초매기 서까래에 걸린 평고대

추녀(榮, 斜棟, 四阿, 春舌) 모혀까래 또는 모혀라고도 하며, 귀에 거는 굵은 목재 부재

충량(衝樑) 옆에 선 기둥머리에서 들보를 향해 건 보

퇴량(退樑 툇간에 얹은 보

팔작지붕 네 귀에 추녀가 걸린 집에서 합각을 두면서 구성한 지붕

평고대 평교자라고도 하며 서까래 및 부연 등의 끝 부분 위쪽 에 걸리는 네모지고 긴 목재부재

평방(平枋) 창방 위에 놓여 다포계의 공포들을 떠받치는 역할을 수행하는 넓고 두꺼운 목재부재

평주(平柱) 갓기둥, 퇴주 또는 툇기둥이라고도 하며 고주보다 짧 은 기둥

하방(下枋) 기둥뿌리에 결구되는 수장재

합각(合閣) 팔작지붕의 박공머리에 생긴 삼각형의 공간

홑처마 부연을 설치하지 않고 서까래만으로 구성된 처마

대단면 목조 건축물 부재의 짧은 변의 치수가 150mm 이상인 대단면의 구조용 목재 또는 구조용 집성재로 시공하는 목조건축물

보수 열화된 부재·구조물의 내구성과 방수성 등 내하력 이외의 성능을 복원·회복시키거나 손상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행하는 행위

유지관리 구조물의 성능과 기능을 적정한 상태로 유지 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제반 활동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27  (1) 2023.11.16
건축용어 226  (0) 2023.11.16
건축 용어 224  (1) 2023.11.15
건축용어 223  (0) 2023.11.15
건축용어222  (1) 2023.11.14

서까래개판 골개판이라고도 하며 서까래 사이를 덮은 널빤지

서까래늘이개 서까래 뒷목을 누르는 큰 통나무들

선자연(扇子椽) 추녀 좌우의 부챗살같이 퍼진 서까래들

ʻ十ʼ자맞춤 수장재를 서로 교차시켜서 엎을장 및 받을장으로 만 든 이음

쌍장부 쌍갈을 끼우기 위해 파낸 홈

앙곡(昻曲) 통서까래보다 번쩍 들리는 곡률에 따라 구성된 추녀머리

엇이음 두 나무의 끝을 각각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맞추는 이음

연귀 수평과 수직으로 만나는 두 목재부재에서 접합면이 45°로 만나는 이음방법

연등천장 서까래와 벽체가 그대로 드러나 보이도록 하고 다듬 어 간추린 천장

오금 기둥머리를 집 안쪽으로 기울도록 세우는 법식

용마루 ① 지붕면의 최상단에 설치한 지붕마루 ② 몸체의 지붕마루로 제일 높고 큰 마루

우미량 짧은 툇보를 배훌치기 해서 반쪽 홍예처럼 만든 것

원주(圓柱) 둥구리기둥이라고도 하며 방주(方柱)의 상대말

이음 ①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서 길이를 연장하는 것 ② 실링재를 마감한 후, 어느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 고 계속하여 실링재를 시공하는 것, 또는 이렇게 시공 되는 접속 부분 ③두 개의 구조 요소를 하나의 긴 요소로 만들기 위 해 개개의 끝을 연결시키는 접합형식 ④ 두 부재사이의 구조적 불연속점 ⑤ 두 부재를 접합하여 단일의 긴 부재를 형성하도록 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접합

인방(引枋) 수장재 중에서 기둥머리 부분에 결구되는 부재

장귀틀 우물반자를 구성하는 데 쓰이는 긴 각목

장부촉 수장재의 이음 부분을 촉으로 깎아 만든 것

장여 도리를 받치는 폭이 좁고 운두가 높은 각재

적심 서까래의 뒷목을 보강하거나 하중의 분산을 위하여 속샅을 채우는 것

종도리 제일 높은 자리에 있는 도리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26  (0) 2023.11.16
건축 용어 225  (1) 2023.11.15
건축용어 223  (0) 2023.11.15
건축용어222  (1) 2023.11.14
건축용어 221  (1) 2023.11.14

마룻대 ① 용마루의 동기와 및 용마름에 넣는 빳빳한 장대나 대나무 ② 박공지붕에서 양면으로 경사진 서까래가 위에서 만나는 지붕 꼭대기 부분에 설치되는 구조부재

말굽서까래 (馬足椽, 馬蹄椽) 엇선자의 한 가지

맞배지붕 맛배지붕이라고도 하며 경사진 지붕이 앞뒤로 맞놓게 된 지붕

맞춤 2개 이상의 부재가 직각 또는 경사각을 이루며 만나 는 부위에서 결구시키는 것

문설주 문얼굴의 벽선. 하방 위에 좌우로 벌려 서서 문인방을 받는 것

물매 지붕의 낙수면(落水面)이 이루는 비탈진 경사도

민도리 납도리라고도 하며 모지게 다듬은 도리

바심질 수장재 등을 깎고 다듬는 일

박공(朴工, 憘風, 憘噶) 박공널의 준말로서 합각 부분에 삼각형으로 설치되는 널빤지

반자 방이나 내루(內樓) 등의 천장을 평평하게 만들어 놓은 시설

배흘림 원주의 배를 블록하게 다듬은 기둥

변탕질 기둥이나 벽선의 가장자리를 모죽임하는 일

보아지 양봉(樑奉)이라고도 하며 들보를 받치는 첨자처럼 생 긴 나무

부연(浮椽, 婦椽, 付椽, 師椽, 飛畯) 서까래 끝에 네모진 짧은 서까래를 건 것

부연개판 (浮椽蓋板) 골개판이라고도 하며 부연 사이를 덮는 널빤지

뺄목 빼도리: 창방, 평방의 끝머리

사개맞춤 기둥머리에 장여나 인방 또는 보나 도리를 ‘十’ 자로 짜는 일

사래 겹처마에서 추녀 끝에 덧걸린 짧은 추녀 모양의 나무

상인방(上引枋) 문인방 위에 따로 있는 인방

서까래(椽) 둥근 나무를 깎아 도리 사이를 건너지르게 한 나무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용어 225  (1) 2023.11.15
건축 용어 224  (1) 2023.11.15
건축용어222  (1) 2023.11.14
건축용어 221  (1) 2023.11.14
건축용어 220  (1) 2023.11.14

팽윤 목재가 수분을 흡습함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는 현상

함수율 목재의 무게에 대한 목재 내에 함유된 수분 무게의 백 분율(%)로서 함유수분의 양을 목재의 무게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구하며, 기준이 되는 목재의 무게를 구하는 시 점에서의 함수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구분함 ① 건량 기준 함수율(%): 함유 수분의 무게를 목재의 전 건무게로 나누어서 구하며 일반적인 목재에 적용되는 함수율 ② 습량 기준 함수율(%): 함유 수분의 무게를 건조 전 목 재의 무게로 나누어서 구하며 펄프용 칩에 적용되는 함수율

합판의 방충 제 처리방법 합판의 방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충제를 처리하 며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구분함 ① 단판처리법: 합판 접착 전에 각각의 단판에 대하여 방 충약제를 처리하고 방충처리된 단판들을 접착하여 합 판을 제조하는 방법 ② 접착제 혼입법: 방충약제를 혼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단판들을 접착함으로써 합판을 제조하는 방법

겹처마 서까래와 부연을 한꺼번에 구성한 처마

고주(高柱) 외진(外陣)과 내진(內陣) 사이에 세운 평주(平柱)보다 높은 기둥

곡연(曲椽) 선자서까래

귀굴도리 도리가 둥근 나무로 만들어진 것으로 민도리의 대칭

귀기둥 집의 네 귀 모퉁이에 서 있는 기둥

기둥 지붕, 바닥 등의 상부 하중을 받아서 토대 및 기초 에 전달하고 벽체의 골격을 이루는 수직 구조체/주로 축 력에 저항하는 구조부재

대들보(大樑) 기둥 사이에 건너지르는 여러 개의 보 중에서 가장 기 본이 되는 큰 보

도구 도구는 측정도구(곡자, 직각자, 장척, 줄자, 수평기, 정추), 매김도구(먹칼, 먹통, 그므개, 그레자), 치목도구 (수공구, 전동공구)로 구분

도구 도구는 측정도구(곡자, 직각자, 장척, 줄자, 수평기, 정추), 매김도구(먹칼, 먹통, 그므개, 그레자), 치목도구 (수공구, 전동공구)로 구분

두리기둥 둥글게 다듬어 마련한 기둥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용어 224  (1) 2023.11.15
건축용어 223  (0) 2023.11.15
건축용어 221  (1) 2023.11.14
건축용어 220  (1) 2023.11.14
건축 용어 219  (1) 2023.11.13

수 또는 수심 목재 횡단면의 중심으로서 나무가 어릴 때 형성된 조 직인 유령목으로 구성되는 부분

심재 나무의 횡단면에서 중앙부에 위치하여 변재보다 짙은 색깔을 가지며 나무의 무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죽어 있는 목재 부분

오에스비 얇고 가늘고 긴 목재 스트랜드를 각 층별로 동일한 방 향으로 배열하되 인접한 층의 섬유방향이 서로 직각이 되 도록 하여 홀수의 층으로 구성한 배향성 스트랜드 보드 (oriented strand board)의 영문 명칭 약자

원목 나무를 벌채하여 가지를 친 후 수피를 제거하고 제재 를 하지 않은 상태의 원형 단면을 가진 통나무 및 조각재

제재목 ① 원목을 제재하여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 을 갖도록 가공한 목재 ② 벌채된 원목으로부터 제재된 각재와 판재 등의 제 품 각재:제재목의 일종으로서 두께가 75mm 미만이고 너비가 두께의 4배 미만인 것 또는 두께와 너비가 75mm 이상인 것 정각재:단면이 정사각형인 각재 평각재:단면이 직사각형인 각재 작은 각재:두께가 75mm 미만인 각재로서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작은 정각재와 너비가 두께의 4배 미만 이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작은 평각재로 구분 큰 각재:두께가 75mm 이상인 각재로서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큰 정각재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큰 평 각재로 구분 판재:제재목의 일종으로서 두께가 75mm 미만이고 너비가 두께의 4배 이상인 것

조각재 최소 횡단면에 있어서 빠진 변을 보완한 네모꼴의 4 변의 합계에 대한 빠진 변의 합계가 100분의 80 이상인 둥근 형태의 목재

통나무의 지름 통나무의 지름은 말구지름을 뜻하며, 통나무의 말구 지름이란 수피를 제외한 말구(통나무의 지름이 작은 쪽 끝면)의 최소지름을 의미하며 최소지름이 300mm를 넘 는 경우에는 최소지름과 최소지름에 대한 직각방향 지름 을 동시에 측정하여 그 차이 30mm(400mm 이상인 통 나무는 40mm)마다 최소지름에 10mm씩 가산시킨 값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23  (0) 2023.11.15
건축용어222  (1) 2023.11.14
건축용어 220  (1) 2023.11.14
건축 용어 219  (1) 2023.11.13
건축 용어 218  (1) 2023.11.13

공학목재 목재 또는 기타 목질요소(목섬유, 칩, 스트랜드, 스트 립, 플레이크, 단판 또는 이들이 혼합된 것)를 구조용 목 적에 맞도록 접합 및 성형하여 제조되는 패널, 구조용 목 질재료 또는 목질 복합체

구조용 목재 구조용 재료로 사용되는 목재로 재종과 치수는 KS F 3020에 따름

구조용 집성재 특별한 강도 등급에 기준하여 선정된 제재 또는 목재 층재를 섬유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집성ㆍ접착하여 공학 적으로 특정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생산된 제품

구조용 집성재 구분 구조용 집성재는 층재 구성 및 접착층의 방향에 따라 구분

구조용 판재 구조물의 지붕, 벽 및 바닥 골조 위에 덮어서 하중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판재의 용도 및 등 급이 기계적 및/또는 물리적 성질들에 따라 구분되는 목 질판상재료

나삿니못 목재와 목재 또는 목재와 판재 사이의 못접합에서 목 재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윤으로 인하여 시간 이 지남에 따라서 못이 자연스럽게 뽑혀 나오는 현상을 방지 또는 완화시키기 위해서 목재와 못의 표면 사이의 마찰저항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매끈한 못대를 꼬아서 못대가 꽈배기 형태로 만들어진 못

마구리 부재의 절단면

방수/투습막 목조주택에서 벽의 구조체 내부로 침투한 수분은 외 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강수 등으로 인한 물은 구조체 내 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목조주택의 외벽 덮 개재료 외측면에 설치하는 재료로서 실외쪽 표면은 방수 성능을 지니고 실내쪽 표면은 투습 성능을 지닌 막

변재 나무의 횡단면에서 수피에 인접한 바깥 부분으로서 나무 가 생장할 때에 수분의 상하 방향 통로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

볼트 접합부에서 볼트의 배치 ① 볼트 열: 볼트 접합부에 2개 이상의 볼트가 사용된 경우에 하중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볼트의 열 ② 끝면거리: 목재 부재의 끝면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볼트의 중심까지 거리 ③ 연단거리: 목재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볼트의 중심까지 거리로서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는 부하연단거리, 그리고 작용하중의 반대방향으로는 비부하연단거리라고 함 ④ 볼트 열 사이의 거리: 하중 작용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인접한 볼트 열 사이의 거리 ⑤ 볼트 간격: 1열 내에서 인접한 볼트 사이의 거리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222  (1) 2023.11.14
건축용어 221  (1) 2023.11.14
건축 용어 219  (1) 2023.11.13
건축 용어 218  (1) 2023.11.13
건축 용어 217  (1) 2023.11.13

환경 라벨, 환경(성) 선언 제품 또는 서비스의 환경측면 (환경성) 을 나타내거나 주장하는 것

환경 영향 조직의 환경측면에 의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환 경에 좋은 영향을 미치거나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 든 환경 변화

회수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운반차, 플랜트의 믹 서, 호퍼 등에 부착된 콘크리트 및 현장에서 되돌아오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세척하여 잔골재, 굵은 골재를 분 리한 세척 배수(콘크리트의 세척 배수) 로서 슬러지수 및 상징수의 총칭

휘발성 유기화합물 탄화수소류 중 석유화학제품, 유기용제, 그 밖의 물질 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것

간이 콘크리트 ① 목조건축물의 기초 및 경미한 구조물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② 소규모의 문, 담장 등 거주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 는 경미한 구조물 및 경미한 기계받침 등으로 사용하 는 콘크리트

고내구성 콘크리트 특히 높은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철근콘크리트조 건 축물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동결융해 작용을 받는 콘크리트 동결융해작용에 의해 동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부분의 콘크리트

무근콘크리트 철근이 배치되지 않았거나 이 구조기준에서 규정 하고 있는 최소 철근비 미만으로 배근된 구조용 콘크리트

발주자 대리인 건축물의 건축대수선용도변경, 건축설비의 설치 또는 공작물의 축조에 관한 공사에서 발주자의 권한을 위임받 은 자로서 그 권한의 범위를 서면으로 위임받은 자

원자력발전소 콘크리트 원자력 발전소 부지 내에 건설되는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 및 관련 시설물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동결융해 작용 물질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반복적인 동결과 융해 로 인해 토양이나 암석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효과

갈라짐 나무가 생장과정에서 응력을 받거나 건조과정에서 방 향에 따른 수축률의 차이로 인하여 목재조직 사이가 벌어 진 결함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21  (1) 2023.11.14
건축용어 220  (1) 2023.11.14
건축 용어 218  (1) 2023.11.13
건축 용어 217  (1) 2023.11.13
건축 용어 216  (1) 2023.11.12

제3유형 환경 성 선언 사전에 정해진 매개변수를 사용한 정량적 환경 데이 터 및 관련된 추가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성 선언

조정 시공 또는 감리업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수급 인, 감리원, 발주자가 사전에 충분한 검토와 협의를 통해 관련자 모두가 동의하는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중간 처리업 건설폐기물을 분리, 선별, 파쇄하는 영업

지시 ① 공사감독자(혹은 발주자)(건축공사 의 경우에는 발주자 또는 발주자의 발의에 의해 담당 원 또는 감리원)가 수급인에게 권한의 범위 내에서 필 요한 사항을 지시하고 실시하도록 하는 것 ② 발주자 측에서 발의하여 공사감독자(또는감리원) 가계약자에대하여공사감독의소관업무에관한방침,기 준,계획등을통보하고실시하게하는것을말한다

지정 폐기물 사업장폐기물 중 폐유ㆍ폐산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 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

친환경 자재 제품 전과정에 걸쳐 상대적으로 적은 자원ㆍ에너지를 사용하며, 인체ㆍ생태계에 유해영향을 최소화하며 폐기 물 배출이 적은 자재

탄소 성적 표 지 제도 제품의 생산, 수송, 사용, 폐기 등의 모든 과정에서 발 생되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CO2 배출량으로 환산하여, 라벨 형태로 제품에 부착하는 것

투수 콘크리 트 내부에 공극이 존재하여 특별한 저하 없이 물이 통과 될 수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

특별 관리 산 업폐기물 산업폐기물 중에서 폭발 위험성, 독성, 감염성 그 외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과 관련된 피해유발 우려가 있 는 것으로, 이에 관한 처리방법을 별도로 정한 것

현장대리인 공사계약일반조건 제17조의 공사현장 대리인으로서, 현장에서 전반적인 공사 업무와 관리를 책 임 있게 시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건설기술인

혼합 폐기물 2종류 이상의 건설폐기물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것

확인 수급인이 공사를 공사계약문서 대로 실시하고 있는지의 여부 또는 지시·조정·승인·검사 이후 실행한 결과에 대하여 발주자 또는 공사감독자(건축공사 의 경우에는 담당원)가 원래의 의도와 규정대로 시행되었 는지를 확인하는 것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20  (1) 2023.11.14
건축 용어 219  (1) 2023.11.13
건축 용어 217  (1) 2023.11.13
건축 용어 216  (1) 2023.11.12
건축 용어 215  (1) 2023.11.12

안전관리자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 규정에 의한 안전관리자로서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관리책임자(현장소 장 등)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조언·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자

안전보건관리 책임자 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 규정에 의한 현장의 안전보 건 관리체제를 총괄관리하는 자

안전인증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 및 방호장치·보호 구 등이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한 성능, 기술능력, 생산 체계 등에 대한 기준에 적합하다고 평가된 경우를 의미

오존층 파괴 오염과 관련된 환경문제. 오존층 파괴는 오존층 파괴 의 원인이 되는 등가의 CFC-11 의 양 (kg) 으로 정의

온실가스 지구의 표면, 대기 및 구름에 의해 복사되는 적외선 스펙트럼 중 특정 파장에서 복사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대기 중의 자연적인 또는 인위적인 가스성분

우수재활용제 품 인증마크 (GR 마크)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 조에 의한 재활용제품으로서 국내에서 발생한 재활용 가 능자원을 활용하여 개발·실용화된 재활용제품 중에서 제 품심사 (품질, 환경성) 와 공장심사 등을 통과한 우수한 재활용 제품에 대하여 정부가 부여하는 인증마크

유해 폐기물 폐기물관리법에서 규정한 지정폐기물

유해위험 산업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경우를 의미

이해 관계자 환경성적표지의 개발과 사용에 관심이 있거나 이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개인 또는 단체

입회 ① 담당원 또는 그가 지정한 대리인이 현장에 임석하 여 시공 상황을 확인하는 것 ② 공사감독자(또는 감리원) 또는 그가 지정하는 대리 인이 현장에 참석하여 시공상황을 확인하는 것

재해예방전문 지도기관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의2의 규정에 의한 기관으로 서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은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 관리비의 사용, 재해예방 조치 등의 지도를 하는 기관

전 과정 평가 제품 시스템의 전 과정에 걸쳐 투입물과 산출물을 작 성하고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종합 평가하 는 기법

제1유형 환경 성 표시 전과정적 사고를 기초로 특정 제품군 내에서 전반적 인 환경적 우월성을 나타내는 제품에 환경성표시를 인정 하는 인증서를 수여하는 자발적이고 복수의 기준에 기초 한 제3자 프로그램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용어 219  (1) 2023.11.13
건축 용어 218  (1) 2023.11.13
건축 용어 216  (1) 2023.11.12
건축 용어 215  (1) 2023.11.12
건축 용어 214  (1) 2023.11.12

부영양화 오염과 관련된 환경문제. 방출되는 물질로 인해 부영 양화의 원인이 되는 PO43 (kg)의 양으로 정의

분리 배출 건설폐기물을 종류별, 성상별, 처리방법별로 분리하 여 배출하는 것

분리 선별 해체과정에서 발생된 건설폐기물을 인력 또는 장비를 사용하여 성상별 종류별로 분리해 내는 작업

분별 해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고려하여 구조체의 해체 이전 에 내·외장재, 창호, 문틀, 각종 설비 등을 성상별, 종류 별로 나누어 해체하는 작업

비산먼지 공사장 등에서 일정한 배출구를 거치지 않고 대기 중 에 직접 배출되는 먼지

산성화 오염에 관련한 환경문제. 산성화는 방출물질과 비교 하여 산성화를 일으키는 SO2(kg)의 양

석면 폐기물 중량비로 석면이 1% 이상 함유된 모든 건축자재를 말함

설계도서 ① 공사계약일반조건(기획재정부계약예규) 제2조 정 의 6.를 따름 ②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40 조제1항, 「건축물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주택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에 의하여 발주자 또는 설계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 술용역업자가 작성한 설계도면, 설계예산서, 공사시방 서, 설계보고서, 구조계산서, 건축설비계산 관계서류, 토질 및 지질 관계서류, 발주자가 특히 필요하다고 인 정하여 요구한 부대도면과 그 밖의 관련 서류

순환골재 건설폐기물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과정 등을 통하여 순환골재 품질기준에 적합하게 만든 골재

승인 발주자 또는 공사감독자가 관계법령 및 이 공사계약문서에 나타난 승인사항에 대해 공사감독자 또는 수급인의 요구에 따라 그 내용을 서면으로 동의하는 것

시공자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2조제2호의 계약상대자

시멘트 대체 자재 콘크리트의 결합반응에 사용되는 자재로서, 기존 콘 크리트의 결합재인 시멘트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자재

안전검사기관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 규정에 의한 유해하거나 위 험한 기계·기구·설비 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고용노동 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검사기준에 맞는지에 대하여 실시하는 검사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기관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용어 218  (1) 2023.11.13
건축 용어 217  (1) 2023.11.13
건축 용어 215  (1) 2023.11.12
건축 용어 214  (1) 2023.11.12
건축 조경 용어 213  (0) 2023.11.11

공사계약문서 계약서, 설계도서, 공사입찰유의서, 공사계약 일반조 건, 공사계약 특수조건 및 산출내역서로 구성

공인시험기관 건설기술진흥법 제60조에 의하여 건설공사의 품 질관리를 위한 시험ㆍ검사 등을 대행하는 국립ㆍ공립시 험기관 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관계전문 기술자 (책임기술자) 건축법 제2조에 따라 건축물의 구조, 설비 등 건축물 과 관련된 전문기술자격을 보유하고 설계와 공사감리에 참여하여 설계자 및 공사감리자와 협력하는 자

관리감독자 산업안전보건법 제14조 규정에 의한 관리감독자로서 현장조직에서 공사와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 접 지휘ㆍ감독하는 부서의 장 또는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

국지 환경 소음, 진동, 분진 등 구조물의 실내환경 및 실외환경

내재 에너지 제품의 생산을 위한 원료 채취, 가공, 운반 등의 전과 정을 고려하여 제품의 단위부피 혹은 단위질량 생산 시 소요되는 에너지의 양

내재 이산화 탄소량 제품의 생산을 위한 원료 채취, 가공, 운반 등의 전 과 정을 고려하여 제품의 단위부피 혹은 단위질량 생산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양

담당원 ① 발주자가 지정한 감독자 및 감독보조원 ② 건축법과 주택법상의 감리원과 건설기술진흥법상 의 건설사업관리기술자

대기 오염 물질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 중 대기환경보전법 제7조에 따른 심사ㆍ평가 결과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인정된 가스 ㆍ입자상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

대체 연료 천연연료를 대신할 수 있는 산업부산물을 사용한 연료

대체 원료 천연자원을 대신할 수 있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자재

발주자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제10 호의 발주자

방호조치 작업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근로자를 방어하고 보호하 기 위하여 위험기계ㆍ기구에 실시하는 조치

보건관리자 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 규정에 의한 보건관리자로서 보건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관리책임자(현장소 장 등)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조언·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자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용어 217  (1) 2023.11.13
건축 용어 216  (1) 2023.11.12
건축 용어 214  (1) 2023.11.12
건축 조경 용어 213  (0) 2023.11.11
건축 조경 용어 212  (0) 2023.11.11

감독보조원 감독자의 대리 또는 감독자의 위임을 받아 감독업무 를 보조하는 자

감독자 감독 책임기술자로서 당해 공사의 공사관리 및 기술 관리 등을 감독하는 자

감리원 ① 건축법규, 건축사법규, 주택법규의 규정에 의 한 감리원 또는 공사감리자 ② 소방시설공사업법규, 정보통신공사업법규, 전 력기술관리법규의 규정에 의한 감리원

건설 및 해체 폐기물 건설 구조물의 시공 및 해체공사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건설 부산물 해체공사에 따라 부차적으로 얻을 수 있는 물품

건설 폐기물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 제4호에 해당하는 건설공사로 인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5톤 이상의 폐기물 (공사 를 착공할 때부터 완료할 때까지 발생하는 것만 해당) 로 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건설 폐재류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폐벽돌, 폐블록, 폐기와, 건설폐토석 등을 총칭

건설기술인 건설기술진흥법 제2조 제8호의 규정에 의하여 국 가기술자격법 등 관계 법률에 따른 건설공사 또는 건설기 술용역에 관한 자격, 학력 또는 경력을 가진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검사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 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제2조제24호에 의한 검사

검토 수급인이 수행하는 중요 사항과 당해 건설공사와 관 련한 발주자의 요구사항에 대해 수급인 제출서류, 현장실 정 등 그 내용을 담당원이 숙지하고, 담당원의 경험과 기 술을 바탕으로 하여 타당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

검토 및 확인 공사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기술적인 검토뿐만 아 니라 그 실행결과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용어 216  (1) 2023.11.12
건축 용어 215  (1) 2023.11.12
건축 조경 용어 213  (0) 2023.11.11
건축 조경 용어 212  (0) 2023.11.11
건축 조경 용어 211  (0) 2023.11.11

환경친화적 단지 거시적으로는 지구환경을 보전하는 관점에서 에너지, 자원, 폐기물과 같은 한정된 지구자원을 고려하고, 중시적 으로는 단지주변의 자연환경과 친화하고 조화를 이루게 하며, 미시적으로는 거주자가 생활 속에서 자연과 동화되 어 건강하고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단지환경을 의미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다양한 생물이 안정된 주거환경 속에서 건전한 물질대 사를 통하여 자급자족하며 자연과 인간이 건강하게 공존 할 수 있도록 조성된 단지를 의미

도시농업 도시지역에 있는 토지, 건축물 또는 다양한 생활공간 을 활용하여 농작물 또는 화초를 재배하거나 가축 또는 곤 충을 사육하는 행위

밀원식물 곤충이 각종 꽃에서 생산되는 화밀과 화분을 수집하는 식물

뗏밥주기 토양표면에 쌓여 있는 죽은 잔디의 잎이나 줄기를 조 속히 분해해 수분과 양분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토양이나 모래(가는 마사토 또는 보명사)를 잔디표면에 골 고루 뿌려 일정두께로 덮는 작업

생육환경 개선작업 식재 후 수목생육을 저해하는 복토, 심식, 과습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수목의 원활한 생장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하는 작업

전정 수목의 관상, 개화결실, 생육상태 조절 등의 수목관리 및 이식수목의 초기 활착을 도모하기 위해 가지나 줄기 일 부를 잘라내는 정리작업

제초 잡초류를 제거하는 것

통기작업 집중적인 이용으로 단단해진 잔디토양에 구멍이나 틈 을 내어 허술하게 해줌으로써 수분과 양분의 침투 및 뿌리 의 생육을 원활하게 해주는 작업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용어 215  (1) 2023.11.12
건축 용어 214  (1) 2023.11.12
건축 조경 용어 212  (0) 2023.11.11
건축 조경 용어 211  (0) 2023.11.11
건물 조경 용어 210  (1) 2023.11.10

부착형식물 자립 등반이 가능한 식물

에스페리어 입체적인 수목의 가지를 조절하여 구조물 입면에 평면 적으로 성장을 유도하는 녹화방법

입면 건축물의 벽면·구조물의 수직면·옹벽·가로녹화시설의 부착면 등

하수형 식재기반으로부터 식물을 늘어뜨려 덮는 방법으로 덩 굴식물이나 목본식물을 이용

개척화공법 폐도로 노면을 제거한 후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 식물의 이입에 의한 식생복원을 도모하려는 방법

교란종 환경부에서 정하는 다른 동식물에 위해성이 우려되는 생태계 교란위험이 큰 종

복구 완벽한 복원이 아니라 원래의 자연 생태계와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하는 것

복원 이전의 상태나 위치로 되돌리는 것 혹은 훼손되지 않 거나 완전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

식혈공법 부지의 노면에 구멍을 뚫어서 부분적으로 식물을 심는 방법

재래목본류 어느 지방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다른 품종과 교배되 지 않고 자생하거나 길러오던 목본

재래초본류 어느 지방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다른 품종과 교배되 지 않고 자생하거나 길러 오던 초종

폐도 자체 활용계획이 없고, 지방자치단체에 이관하더라도 도로로 존치할 필요가 없는 구간

포장면 분쇄 공법 폐도로 부지의 노면을 전체적으로 제거하지 않고, 포 장면을 부분적으로 파쇄하여 식생이 부분적으로 침입하도 록 하는 방법

녹도 도시공원, 하천, 수림대와 같은 녹지를 유기적으로 연 결하여 녹지망을 형성하며, 보행자의 안전과 쾌적성을 확 보하고 도시민에게 여가ㆍ휴식을 위한 산책공간을 제공하 는 선형의 녹지

보전적지 단지 내 토지가 지닌 환경적 가치와 잠재력을 과학적 기준에 의해 평가하며 보전적지의 보전가치 구분은 절대 보전과 상대보전의 두 가지로 분류

저류시설 빗물을 일시적으로 모아두었다가 바깥수위가 낮아 진 후에 방류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로서, 유입시설· 저류지·방류시설을 포함하는 일체의 시설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용어 214  (1) 2023.11.12
건축 조경 용어 213  (0) 2023.11.11
건축 조경 용어 211  (0) 2023.11.11
건물 조경 용어 210  (1) 2023.11.10
건축 조경 용어 209  (0) 2023.11.10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 종자, 비료, 토양 및 유기질 자재를 혼합한 녹화기반재 와 침식방지제 및 다양한 기능의 고분자제를 혼합한 식생 기반재를 비탈에 일정 두께로 붙여 식물생육의 기반을 마 련해 주는 공법

식생피복율 방형구 내에 출현하는 수종 및 초종의 점유비율

외래종 침입 비탈면 녹화에 따른 지표교란이나 외래종이 혼입된 자 재의 사용 및 비탈면 유지관리 등에 의하여 외래종의 정착 과 확산이 촉진되는 것

토양경도 식물의 착근 및 생육가능성의 판단척도로서 외력에 대 한 토양의 저항력

도시생태숲 생태숲의 확장된 개념으로 산지형 수림대 중 인위적인 영향으로 훼손된 숲을 복원하거나 숲이 건강한 생태적 역 할을 위해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곳에서, 숲의 자연성을 높이고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조성·관리되는 곳이며 시민들에게 환경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숲

생태숲 자생식물의 현지 내 보전기능을 강화하고, 특산식물의 자원화 촉진과 숲 복원기법 개발과 같은 산림생태계에 대 한 연구를 위하여 생태적으로 안정된 숲

생태통로 도로ㆍ댐ㆍ수중보(水中洑)ㆍ하굿둑 등으로 인하여 야생 동ㆍ식물의 서식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동ㆍ식물의 이동 등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 구조물ㆍ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

감기형식물 지지물을 이용해야 등반이 가능한 식물

기대기형식물 흡착기관이나 감을 수 있는 기관을 갖지 않아 다른 물 체에 의지하여 생육하는 식물

기반조성형 (유니트형, 벽면 장치형) 식재기반을 패널, 시트, 플랜터와 같은 보조재로 보호 유지하며, 관수와 같은 식재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법

녹화용 보조 자재 부착이나 감기의 효율 향상과 덩굴식물의 생육촉진에 의한 녹화 기간 단축을 위해 보조로 사용되는 자재

등반형 입면 하부의 지면이나 인공지반, 플랜터와 같은 식생 기반에 덩굴식물을 심어 생장과 더불어 식물을 입면에 직 접 부착 혹은 보조자재에 부착시키거나 감아 올라가게 하 는 녹화방법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조경 용어 213  (0) 2023.11.11
건축 조경 용어 212  (0) 2023.11.11
건물 조경 용어 210  (1) 2023.11.10
건축 조경 용어 209  (0) 2023.11.10
건축 조경 용어 208  (0) 2023.11.09

빗물체인 빗물을 순환시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연계 시스템

빗물침투 빗물과 지표수를 땅속으로 침투시켜 지표면의 유출량 을 감소시키고 지하수를 함양하는 것

대체습지 훼손된 자연 습지와 유사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조성된 습지

생태못 야생동물서식처 제공 및 수질 정화와 같은 것을 목적 으로 조성되었거나 기존 못이 위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못 으로서, 생태적 형성과정에 의한 입지, 구조, 기능을 전제 로 보전, 복원 또는 조성된 못

습지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그 표 면을 덮고 있는 지역을 말한다. 육지 또는 섬 안에있는 호 소와 하구 등에 있는 내륙습지와 만조 때 물에잠겼다가 간 조 때 들어나는 지역인 연안습지로 구분

인공습지 인공적으로 조성한 습지

저습지 저지대에 위치하는 습지

표준습지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습지이며, 습지복원, 대체습 지 조성, 기능평가, 성능평가 등을 위한 기준이 되는 습지 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 훼손이 적고 습지의 기능이 우 수하게 발휘되는 습지

산림 및 토지 훼손 광업 활동으로 훼손 및 황폐해진 산림이나 토지를 토 공 작업과 구조물과 같은 공사로 사면을 안정화시키고, 생 태적, 시각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를 통칭

산림조사 훼손지의 지형여건, 물리적 특성 및 지역 자생수종, 지 리적·기후적 식생여건을 파악하고 생태림 조성방법을 선 정하기 위한 조사

폐광산 광업법에따라 광물을 채굴할 수 없는 광산

발생기대본수 단위면적당 파종식물의 발생본수로서 파종 후 1년간 발생된 총수를 지칭

비탈면 거리 비탈면의 경사면 위에서 경사면 아래까지의 비스듬한 거리

비탈면 녹화 인위적으로 깍기, 쌓기 된 비탈면과 자연침식으로 이 루어진 비탈면을 생태적, 시각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일련 의 행위를 통칭

순량율 협잡물과 같은 물질을 제거한 순정 종자 중량의 전체 중량에 대한 백분율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조경 용어 212  (0) 2023.11.11
건축 조경 용어 211  (0) 2023.11.11
건축 조경 용어 209  (0) 2023.11.10
건축 조경 용어 208  (0) 2023.11.09
건축 조경 용어 207  (0) 2023.11.08

어도 하천에 어류의 이동을 곤란 또는 불가능하 게 하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만들 어진 수로 또는 시설

어류피난처 홍수나 수질오염으로 어류의 생존이 위협받을 때 일시적으 로 피할 수 있도록 저수로 변에 설치한 수중동물의 피난시설

여울 ① 하도 내 일정 구간에 형성된 자갈층으로, 용존산소 량을 증가 및 서식처를 제공하는 시설 ② 폭기(曝氣) 작용을 통하여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 고, 유속을 빠르게 하여 부착 조류 등으로 특정 수생식 물의 먹이를 제공하며, 하상안정에도 기여하는 시설

자연친화적 하천조경 하천이나 그 인접 공간에 나무, 풀, 돌, 흙과 같은 자연 재료를 사용하여 하천을 자연에 가깝게 조성함으로써, 생 태적으로 건강한 하천환경 속에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도록 조성되는 것

자연친화적 하천환경 정보도 하천환경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하기 위 하여 하천환경 조사에서 수집 정리된 정보를 도면상에 체 계적으로 정리하여 가시화한 정보지도

자연형 하천 (생태하천) 생태적으로 건전하여 동물, 식물, 미생물 등의 생물이 다양하게 서식할 수 있는 하천 공간

저습지 저지대에 위치하는 습지

표준하천 하천의 생태적 자연성이 우수하여 하천생태의 구조와 기능이 자연하천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하천

하중도 통상 평수위 위에 노출되는 하도(河道) 내 침식과 퇴 적작용에 의해 형성되어 조류 등 생물의 서식기능을 돕는 섬

호안 ① 제방과 하안(河岸)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탈 면에 설치하는 시설 ② 유수(流水)가 하안(河岸)의 침식, 붕괴를 일으키는 장소에 횡방향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안에 따라 유수 방향으로 설치된 시설

환경기능 동식물 서식처 기능, 수질의 자정기능, 경관 및 친 수기능 등 하천의 건전한 자연적 기능

레인가든 식물이나 토양의 화학적, 생물학적, 물리학적 특성을 활용하여 주위 환경의 수질과 수량 모두를 조절하는 자연 지반을 기본으로 하며, 오염된 유출수를 흡수하고 이 물을 토양으로 투수시키기 위해 식재를 활용하는 생물학적 저 류지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조경 용어 211  (0) 2023.11.11
건물 조경 용어 210  (1) 2023.11.10
건축 조경 용어 208  (0) 2023.11.09
건축 조경 용어 207  (0) 2023.11.08
건축 조경 용어 206  (0) 2023.11.08

관수용수 관수를 위해 공급되는 용수

심토층 배수 지하배수라고도 하며 지하수위를 낮추기 위해 지하수 를 배수하는 것

지표면 배수 빗물을 지표의 경사면을 따라 인위적 우수계통 또는 하천으로 유출시키는 것

간이포장 비교적 교통량이 적은 도로의 도로면을 보호ㆍ강화하 기 위한 도로포장

강성포장 시멘트콘크리트포장

고무블록 충격흡수보조재에 내구성 표면재를 접착시키거나 균 일재료를 이중으로 조밀하게 하고, 표면을 내구적으로 처 리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성형ㆍ제작한 것

보도용 포장 보도, 보차혼용도로, 자전거도, 자전거보행자도, 공원 내 도로 및 광장 등 주로 보행자에게 제공되는 도로 및 광 장의 포장

연성포장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 투수콘크리트포장 등을 말함

인조잔디 폴리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기타 섬유로 만든 직물 에 일정 길이의 솔기를 단 기성제품

직시공용 고무바닥재 EPDM(에틸렌ㆍ프로필렌ㆍ디엔계 합성고무) 입자를 폴리우레탄 바인더로 접착시켜 과산화수소나 유황으로 경 화한 것

충격흡수 보조재 합성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계 합성고무)을 고형 폴리우레탄 바인더로 접착하여 탄성과 침투성을 갖도록 한 것

차도용 포장 관리용 차량이나 한정된 일반 차량의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로서 최대 적재량 5톤 이하의 차량이 이용하는 도로 의 포장

수변구역 하천의 수질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녹지대를 조성하여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수변 완충지대

수제 물의 흐름방향과 유속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호안 또는 하안 전면부에 설치하는 구조물

수제만곡부 저수로 만곡부 내측 또는 사수역이나 수제와 같은 형 태의 구조물 뒤편에 형성되는 수심이 얕고 뭍으로 깊게 들 어간 장소

수충부 단면의 축소부 또는 만곡부의 바깥 제방과 같이 물 의 흐름에 의해 충격을 받는 곳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 조경 용어 210  (1) 2023.11.10
건축 조경 용어 209  (0) 2023.11.10
건축 조경 용어 207  (0) 2023.11.08
건축 조경 용어 206  (0) 2023.11.08
건축 조경 용어 205  (0) 2023.11.08

네온조명 별도의 등기구 없이 네온관으로 된 광원으로 환경조형 물과 같은 구조물 또는 시설물의 윤곽을 보여주기 위하여 설치하는 경관조명

 

벽부등/부착 등/문주등 등기구가 환경조형물·원두막·문주·안내시설과 같은 구조물·시설물 속에 묻히거나 옆·위·아래에 부착된 형태 로서 별도의 등주가 없는 경관조명시설

 

보행등 밤에 이용하는 보행인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설치하 는 조명

 

수목등 ① 주택단지·공원 등의 수목을 비추어 야간에 매력적 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설치하는 조명설비 ② 조경공간 내 수목을 비추어 밤의 매력적인 분위기 를 연출하기 위해 설치하는 경관조명

 

수중등 폭포·연못·개울·분수와 같은 수경시설의 환상적인 분 위기 연출을 목적으로 물속에 설치하는 경관조명

 

잔디등 ① 주택단지·공원 등의 잔디밭에 설치하여 야간에 잔 디밭의 매력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설치한 조명 설비 ② 조경 공간 내 잔디밭에 설치하여 잔디밭의 밤의 매 력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설치하는 경관조명

 

정원등 ① 주택단지·공공건물· 사적지· 명승지·호텔 등의 정 원의 아름다움을 야간에 선명하게 보여줌으로써 매력 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조명설비 ② 정원의 아름다움을 밤에 선명하게 보여줌으로써 매 력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경관조명시설

 

투광등 ① 수목·건물·장식벽·환경조형물 등 주요 점경물의 환 상적인 야경 분위기 연출을 목적으로 한쪽 방향을 비 추도록 설치하는 조명설비 ② 수목ㆍ건물ㆍ장식벽ㆍ환경 조형물과 같은 주요 점 경물의 환상적인 야경 분위기 연출을 목적으로 아랫방 향에서 비추도록 설치하는 경관조명시설

 

튜브조명 별도의 등기구 없이 투명한 플라스틱 튜브로 된 광원 으로 환경조형물ㆍ다리ㆍ계단과 같은 구조물ㆍ시설물의 윤곽을 보여주기 위해 설치하는 경관조명시설

 

가압시설 관수를 위해 필요한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관수시설 조경 식재공간에 관리를 목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조경 용어 209  (0) 2023.11.10
건축 조경 용어 208  (0) 2023.11.09
건축 조경 용어 206  (0) 2023.11.08
건축 조경 용어 205  (0) 2023.11.08
건축 조경 용어 204  (0) 2023.11.07

과속방지시설 (과속방지턱) 일정지역에서 과속주행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

 

교통약자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 이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

 

노상시설 보도, 자전거도로, 중앙분리대, 길 어깨 또는 환경시설 대와 같은 곳에 설치하는 표지판, 방호울타리, 가로등, 가 로수와 같은 도로의 부속물(공동구 제외

 

보도 차량의 통행과 분리하여 보행자(소아차와 신체장애인 용 의자차 포함)의 통행에 사용하기 위해 연석·울타리·노 면표시, 기타 이와 유사한 공작물로 구별하여 설치하는 도 로의 부분

 

보도의 유효 폭 보도폭에서 노상시설이 차지하는 폭을 제외한 보행자 의 통행에만 이용되는 폭

 

보행로 이용자들의 보행에 이용되는 길로서 차도와는 공간적 으로 분리된 길

 

자전거도로 자전거의 통행에 사용하기 위하여 연석·울타리·노면 표시, 기타 이와 유사한 공작물로 구별하여 설치되는 도로 의 부분

 

차도 차량의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의 부분

 

관리시설 ① 설계대상공간의 기능을 원활히 유지하기 위한 관리 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시설 ② (농)원활한 용수의 배분 및 제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한 시설

 

LED조명 LED소자의 발광원리를 이용한 경관조명시설

 

경관조명시설 전원이나 도시적 환경의 옥외공간에 설치되는 조 명시설. 환경성ㆍ안정성ㆍ쾌적성, 그리고 부드러운 분위 기 연출 등의 목적과 옥외공간의 경관 구성요소로서 연출 되는 조명시설

 

공원등 도시공원이나 자연공원 이용자에게 야간의 매력적 인 분위기 제공과 이용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하는 경관조명

 

광섬유조명 굴절률이 높은 core와 굴절률이 낮은 clad의 이중구 조로 되어 있는 광섬유의 끝 단면이나 옆면을 이용하여 환 경조형물·계단과 같은 시설의 윤곽을 보여주거나 조형물· 바닥포장의 몸체나 표면에 무늬·방향표지를 표시하기 위 해서 설치하는 경관조명시설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조경 용어 208  (0) 2023.11.09
건축 조경 용어 207  (0) 2023.11.08
건축 조경 용어 205  (0) 2023.11.08
건축 조경 용어 204  (0) 2023.11.07
건축 조경 용어 203  (0) 2023.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