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기하학에 미적분 분야가 있다.
해석기하학이나 미적분은 주로 물리학, 제조분야에서 사용한다.
제조분야에서 미적분을 활용하는 방법은
제품을 만들기 전에 수학식을 활용하여 계산을 한다.
이것으로 돈, 힘, 시간 등을 예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비용을 아낄 수 있고 안전에 대비할 수 있다.
실제로 해볼 수 없는 것도 예상할 수 있다.
2015-5-13 추가
[미적분 사용 예제]
1. 속도와 가속도이다.
미사일을 우주로 발사할 때 방향, 도착 시간, 에너지 비용등을 계산할 때 매우 많이 필요하다. 영화 "히든피겨스"를 보면 수학(해석기하학) 계산하는 장면들이 나온다.
2. 용수철 운동
3. 인구증가
수학 참고
물리학 참고
http://hyperphysics.phy-astr.gsu.edu/hbase/hframe.html
확률 통계는 의사결정 할 때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기업이 의사결정을 할 때도 통계를 활용한다.
그러나 사람의 심리, 자연재해 등은 아직도 수학으로 예측하기는 힘든 것 같다.
출처:
https://www.ted.com/talks/arthur_benjamin_s_formula_for_changing_math_education?language=ko
'지혜 >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천그림책) Small bunny's Blue Blanket (0) | 2017.05.15 |
---|---|
(스크랩) 글, 그림 차이, 그림책 장점 (0) | 2017.02.10 |
(스크랩)수학과 글쓰기 (0) | 2017.02.02 |
글쓰기 교육 책 (0) | 2017.01.21 |
(학습) 수학을 가르칠 때 컴퓨터를 활용하면 도움 된다. (0) | 2017.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