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에서 가장 긍정적인 나라
출처
http://www.huffingtonpost.kr/2014/05/23/story_n_5377436.html
> 한국인이 부정적 성향이 강하다.
한국인은 부정적인 언어를 많이 사용한다.
한국어 감정 단어 불쾌한 단어가 72%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60216001007
낙천적인 표현: 이번에는 연습할 시간이 별로 없었어. 다음에 연주할 때에는 충분히 연습할 거야 .
비관적인 표현: 나는 기타를 칠 줄 몰라 .나는 음치인가 봐. 난 너무 멍청해
-출처: 책-
한국 학생 자신감 낮은 것은 칭찬에 인색한 탓
http://news.joins.com/article/10141564
한국인은 칭찬에 인색하고 상대방 단점은 잘 지적한다.
멕시코인들은 만원 지하철 안에서도 잘 웃는다.
한국인은 심각한 상황에서 웃는 것을 나쁘게 생각한다.
> 한국 언론은 부정적 성향이 강하다.
서양인들은 자신의 장점을 많이 쓴다.
동양인들은 자신의 장점을 적게 쓴다.
나는 이제 한국에 들어온 지 정확히 일년이 됐다.
장시간 한국 축구 팬들의 생각과 문화를 접할수 있는 기회는 이번이 처음이였다.
유럽과 가장 눈에 띄는 차이는 바로 선수를 바라보는 시각인것 같다.
유럽은 선수의 장점을 크게 보는 것 같다 .
반대로 우리는 선수의 단점이 더 크게 보이는 성향이 있는 것 같다.
아버지는 그동안 우리 축구 문화는 잘못한 점을 찾아내고 지적하는 것이 전문가의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배운 탓에 온전하게 즐기는 행복을 못누리는게 아쉽다고 하셨다.
독일은 선수를 평가할 때 70점 정도에 놓고 시작하는 것 같다.
즉, 분데스리가에서 뛸 정도면 70점은 이미 된다는 것이다.
그러니 나름대로 우수한 선수인 것은 얘기할 필요가 없다는 것.
그러고 난 뒤에 시간이 흐르면서 차츰 차츰 발전 해나가는 선수에게 점수를 더 준다.
반대로 우리는 100에서 시작한다.즉 완벽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완벽하지 못한 선수의 실수, 단점을 찾아서 점수를 깎기 시작한다.
http://v.sports.media.daum.net/v/20140305133706961
인생에서 만나는 사람은 모두 교사이자 선물
다정한 사람은 나의 마음을 치유해 주었고
엄격한 사람은 새로운 나를 만나게 해 주었고
미워한 사람은 인내와 관용을 가르쳐 주었다
그렇게 생각하면 모든 것이 운명의 만남
- 출처: 애쓰지 않아도 괜찮다 시미즈 다이키-
나는 실패한 게 아니다. 나는 잘 되지 않는 방법 1만 가지를 발견한 것이다. – 토마스 에디슨
https://www.huffingtonpost.kr/2015/07/08/story_n_7759114.html
> 장애인의 장점 "네가 만약 어떤 사람을 만났을 때,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사람은 누구일까?
어떤 무리에 네가 섞여 있더라도, 사람들은 다시 널 봤을 때 확실하게 널 기억할 수 있어.
그게 바로 네가 가진 장애의 장점이란다.
그 점을 잊지 말거라. 너의 장애를 너의 개성으로 승화시켜야 해."
> 긍정 훈련법
http://www.koreatimes.com/article/1050264
> 긍정적인 사람이 되는 법: 하루 3가지 감사할 일을 적어본다.
출처:
> 하루 한가지 행복일기를 쓴다. 마지막 문장에는 "오늘도 행복한 하루" 쓴다. - 출처 - (책) 긍정적인 사람의 힘
칭찬에 인색vs 칭찬 과용
긍정의 역설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002206
(책) 긍정의 배신
http://ch.yes24.com/Article/View/21243
23-1-19
장점 | 단점(약점) | |
긍정 사고 방식 | ||
부정 사고 방식 |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신감, 자존감을 가지는 방법 (0) | 2018.05.06 |
---|---|
행복해지려면 버킷 리스트를 만들라 (0) | 2018.04.25 |
유머가 필요하다. (0) | 2017.12.13 |
행복하려면 (0) | 2016.02.11 |
살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1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