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 | |
자산 | 부채 |
유동자산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단기대여금 -미수금 -미수수익 -선급금 -선급비용 비유동자산 -투자자산 -장기대여금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자산 -장기매출채권 |
유동부채 - 매입채무 - 미지급비용 - 단기차입금 - 유동성장기차입부채 - 미지급금 - 선수금 비유동부채 |
자본 | |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
2023년
> (주)한국은 20×1년 초 사무용 건물(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 ₩0, 정액법 상각)을 ₩800,000에 취득하였다. 건물에 대해 재평가모형을 적용하고 매년 말 재평가한다. 20×1년 말 공정가치가 ₩750,000일 때, 건물과 관련하여 20×1년 말 인식할 재평가잉여금은?
정답: 30,000
해설: 1) 정액법 상각 : (₩800,000-0)x$\frac{1}{10}$ = ₩80,000
2) 취득가 - 감가상각액 = ₩800,000 - ₩80,000 = ₩720,000
3) 재평가잉여금 ₩750,000 - ₩720,000 = ₩30,000
재평가잉여금은 재평가모형 선택 시 유형자산의 재평가를 할 때, 공정가치 변동을 반영해 주는 계정이다.
> 유형자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새로운 시설을 개설하는 데 소요되는 원가는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② 기업의 영업 전부를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지 않는다.
③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액은 다른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될 수 있다.
❹ 사용중인 유형자산의 정기적인 종합검사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모두 당기비용으로 처리한다.
⑤ 유형자산에 내재된 미래경제적효익의 예상 소비형태가 유의적으로 달라졌다면 감가상각방법을 변경한다.
> 해운업을 영위하는 (주)한국은 20×1년 초 내용연수 4년, 잔존가치 ₩200,000의 해양구조물을 ₩1,400,000에 취득하였다. (주)한국은 해양구조물의 사용이 종료된 후 해체 및 원상복구를 해야 하는 의무를 부담하는데, 4년 후 복구비용으로 지출할 금액은 ₩200,000으로 추정된다. 미래 지출액의 현재가치 계산시 사용할 할인율은 연 5%이다. 감가상각방법으로 정액법을 사용할 경우 20×2년도의 감가상각비 금액은? (단, 할인율 연 5%, 4기간 단일금액 ₩1의 현재가치는 0.8227이다.)
정답 : ₩341,135
해설:
취득원가 = 구입가격+부대비용+설치원가+ 복구원가(현재가치)= ₩1,400,000 + 0 + ( ₩200,000x0.8227) = 1,564,540
감가상각비 -> 정액법 = (취득원가-잔존가치)/내용연수 = (₩1,564,540 - ₩200,000)/4년 = ₩341,135
*복구원가란 유형자산의 경제적 사용이 종료된 후에 원상회복을 위하여 그 자산을 제거, 해체하거나 또는 부지를 복원하는 데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비용
> (주)한국은 20×1년 7월 1일 공장 내 기계장치를 ₩2,000,000에 취득하였다. 동 기계장치의 감가상각 및 처분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형자산 처분손익은? (단, 기계장치는 원가모형을 적용하고, 감가상각비는 월할 계산한다.)
- 감가상각: 내용연수 4년, 잔존가치 ₩200,000
연수합계법 적용
- 처분일: 20x2년 12월 31일
- 처분금액: ₩1,000,000
정답: ₩10,000 손실
해설: 1.감각상각방법-> 연수합계법 -> (취득원가 - 잔존가치)x $\frac{잔존 내용연수}{내용연수 합계}$
1.1 취득원가-잔존가치 = ₩2,000,000 - ₩200,000 = ₩1,800,000
연수합계법 20x1, 20x2, 20x3, 20x4 => 4 1년+2년+3년+4년 = 10 2001년 7월,8월,9월,10월,11월,12월 -> 6개월 |
1,800,000 x (4÷10) x (6÷12) = 360,000 |
20x1, 20x2, 20x3, 20x4 => 4 1년+2년+3년+4년 = 10 2002년 1월,2월,3월,4월,5월,6월 -> 6개월 |
1,800,000 x (4÷10) x (6÷12) = 360,000 |
20x2, 20x3, 20x4 => 3년 1년+2년+3년+4년 = 10 2002년 7월,8월,9월,10월,11월,12월 -> 6개월 |
1,800,000 x (3÷10) x (6÷12) = 270,000 |
감가상각 누계액 | 990,000 |
1.2 ₩2,000,000 - ₩990,000 = ₩1,010,000
2 ₩1,010,000 - ₩1,000,000 = ₩10,000
2021년 24회
(주)한국은 20×1년 4월 초 기계장치(잔존가치 ₩ 0, 내요연수 5년, 연수합계법 상각)를 ₩ 12,000에 구입함과 동시에 사용하였다. (주)한국은 20×3년 초 동 기계장치에 대하여 ₩ 1,000을 지출하였는데, 이 중 ₩ 600은 현재의 성능을 유지하는 수선유지비에 해당하고, ₩ 400은 생산능력을 증가시키는 지출로 자산의 인식조건을 충족한다. 동 지출에 대한 회계처리 반영 후, 20×3년 초 기계장치 장부금액은? (단, 원가모형을 적용하며, 감가상각은 월할계산한다.)
정답: ₩ 6,000
해설:
20x1년 4, 5, 6, 7, 8, 9, 10, 11, 12 -> 9
20x1년말 감가상각비 (12,000-0)x$\frac{5}{5+4+3+2+1}$x$\frac{9}{12}$ = 3000
20x2년말 감가상각비 (12,000-0)x$\frac{5}{5+4+3+2+1}$x$\frac{12}{12}$ = 4000
12,000 - 3000 - 4000 + 400 = 6,000
(주)한국은 20×1년 초 취득하여 사용하던 기계장치(내용연수 6년, 잔존가치 ₩ 0, 정액법 상각)를 20×3년 초 처분하면서 현금 ₩ 5,500을 수취하고 유형자산처분손실 ₩ 500을 인식하였다. 기계장치의 취득원가는? (단, 원가모형을 적용하며, 손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정답: ₩ 9,000
해설:
잔고가 = 5,500+500 = 6000
취득원가 - 취득원가 x $\frac{1}{6}$x$\frac{24}{12}$ = 6000
취득원가 = 9,000
20×3년 초 처분 : 24는 20×1년 , 20×2년 개월수 이다.
기계장치 취득 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기계장치의 취득원가는?
정답: ₩ 1,330
해설:
1100+150+100-20 = 1330
화재보험료 제외
2020년 23회
> (주)한국은 20×1년 초 내용연수 종료 후 원상복구 의무가 있는 구축물을 ₩ 500,000에 취득하였다. 내용연수 종료시점의 복구비용은 ₩ 100,000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며, 복구비용의 현재가치 계산에 적용될 할인율은 연 10% 이다. 구축물에 대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1년도 감가상각비와 복구충당부채전입액은? (단, 이자율 10%, 5기간에 대한 단일금액 ₩ 1의 현재가치는 0.6209이다.)
- 내용연수 : 5년
- 잔존가치 : 50,000
- 감가상각법: 정액법
정답: ④ 102,418 6,209
해설: 1) 복구비용의 현재가치 100,000x 0.6209 = 62,090
2) 구축물 취득원가 =구입가격+부대비용+설치원가+복구원가 = 500,000 + 62,090 = 562,090
3) 감각상각비 정액법
(562,090 - 50,000) / 5 = 102,418
4) 복구 충당부채 전입액(이자비용) 62,090x0.1 = 6,209
> (주)한국은 20×1년 초에 상환의무가 없는 정부보조금 ₩ 100,000을 수령하여 기계장치를 ₩ 200,000에 취득하였으며, 기계장치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정부보조금을 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차감하는 방법으로 회계처리 할 때, 20×1년 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될 기계장치의 장부금액은?
정답: ₩ 80,000
해설: 정액법
감가상각비 = (200,000-0)/5 = 40,000
정부보조금을 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차감하는 방법 (200,000 - 100,000 - 0) x 4/5 = 80,000
200,000 - 80,000 - 40,000 = 80,000
> 20×1년 7월 초 (주)한국은 토지와 건물을 ₩ 2,400,000에 일괄 취득하였다. 취득 당시 토지의 공정가치는 ₩ 2,160,000이고, 건물의 공정가치는 ₩ 720,000이었으며, (주)한국은 건물을 본사 사옥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건물에 대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1년도에 인식할 감가상각비는? (단, 건물에 대해 원가모형을 적용하며, 월할상각한다.)
정답: 90,000
해설: 건물의 취득원가 = 2,400,000 x $\frac{720,000}{ 2,160,000 + 720,000}$ = 600,000
감가상각비 = (600,000 - 60,000) x 5/15 x 6/12 = 90,000
참고 1+2+3+4+5 = 15,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6
> 유형자산의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기업이 판매를 위해 1년 이상 보유하며, 물리적 실체가 있는 것은 유형자산으로 분류된다.
② 유형자산과 관련된 산출물에 대한 수요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초기 가동손실은 취득원가에 포함한다.
③ 유형자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총매각금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한다.
④ 기업은 유형자산 전체에 대해 원가모형이나 재평가모형 중 하나를 회계정책으로 선택하여 동일하게 적용한다.
❺ 유형자산의 감각상각방법과 잔존가치, 그리고 내용연수는 적어도 매 회계연도 말에 재검토한다.
해설: ① 판매 -> 영업활동
③ 총매각금액 -> 순매각금액
④ 전체에 -> 분류별로
2019년 22회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관세 및 환급 불가능한 취득 관련 세금
② 유형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 데 소요될 것으로 최초에 추정되는 원가
❸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데 소요되는 원가
④ 설치원가 및 조립원가
⑤ 유형자산의 매입 또는 건설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발생한 종업원 급여
해설: 당기비용으로 처리
(주)한국은 본사 신축을 위해 기존 건물이 있는 토지를 ₩500,000에 구입하였으며, 기타 발생한 원가는 다음과 같다. (주)한국의 토지와 건물의 취득원가는? (순서대로 토지, 건물)
정답 ₩513,000, ₩1,050,000
해설
토지 : 500,000 + 4,000 (중개수수료) + 5,000 (철거비용) - 1,000 (폐자재) + 2,000 (측량비) + 3,000 (정지비용) = 513,000
건물 : 50,000 (설계비) + 1,000,000 (공사비) = 1,050,000
(주)한국은 보유하고 있던 기계장치 A(장부금액 ₩40,000, 공정가치 ₩30,000)를 (주)대한의 기계장치 B(장부금액 ₩60,000, 공정가치 ₩50,000)와 교환하였다. 동 교환거래가 (가) 상업적 실질이 결여된 경우와 (나) 상업적 실질이 있는 경우에 (주)한국이 교환으로 취득한 기계장치 B의 취득원가는? (단, 기계장치 B의 공정가치가 기계장치 A의 공정가치보다 더 명백하다.) (순서대로 (가), (나))
정답 ₩40,000, ₩50,000
해설
(가) 장부금액법 : 제공자산의 장부금액 = ₩40,000
(나) 공정가치법 : 제공자산의 공정가치(예외:자산의 공정가치) = ₩50,000
다음은 (주)한국의 기계장치 관련 내용이다. 유형자산 처분손익은? (단, 기계장치는 원가모형을 적용하고, 감가상각비는 월할계산한다.)
정답 ₩100,000 손실
해설
1) 처분직전의 감가상각누계액 = (2,000,000-400,000)x2.5/5 = 800,000
정액법 20x1, 20x2, 20x3년의 1,2,3,4,5,6월 => 1+1+0.5 = 2.5
5 -> 내용연수
2) 처분손익 : 순처분금액 - 처분직전 장부금액 = 1,100,000 - (2,000,000 - 800,000) = -100,000
'주택관리사보 > 회계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보][회계원리] [자본회계] 주식 기출 문제 (0) | 2024.02.09 |
---|---|
[주택관리사보][회계원리] 부채 사채 기출 문제 (0) | 2024.02.09 |
[주택관리사보] [회계원리][재고자산] 상품재고 기출 문제 (0) | 2024.01.20 |
[주택관리사보][회계원리][재고자산] 매출원가, 총매출액 기출 문제 (0) | 2024.01.20 |
[주택관리사보] [회계원리] 계정 분개 전기 결산정리 기출 문제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