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국가의 교육 목표는 "낙오자" 없는 교육인 것 같다.
낙오자라는 것은 한사람이라도 교육 내용을 이해를 못 하는 사람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한국 초등 1학년 수학 교과서를 읽어보니
일찍 뇌가 발달한 아이는 이해하지만
아직 뇌가 발달하지 못한 아이는 이해하려면 더 시간이 필요한 내용이 있다.
예를 들면 "+", "-" 개념이다.
아이가 눈으로 기호는 구분하는데 의미는 모른다.
아이마다 이해력이 차이가 있다.
그래서 아이가 쉽게 이해하기 위해
가르치는 사람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쉽게 가르치든지
기다려야 한다.
기다려야 하는 이유는
나도 초등 2학년 때 구구단이 어려웠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구구단이 쉽게 이해 되었기 때문이다.
이해 못 한다고 다그치거나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그냥 외우라는 식의 교육은 좋지 않다.
'지혜 >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책) 왜 나는 중국을 공부하는가? (0) | 2017.12.04 |
---|---|
(말하기)(책) 1분의 의사전달 (0) | 2017.11.27 |
(추천그림책) Small bunny's Blue Blanket (0) | 2017.05.15 |
(스크랩) 글, 그림 차이, 그림책 장점 (0) | 2017.02.10 |
(스크랩) 미적분보다 확률 통계가 실생활에서 더 많이 사용한다는 주장 (0) | 2017.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