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창호 및 부속철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풍소란은 마중대와 여밈대가 서로 접한 부분에 방풍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② 레버토리 힌지는 문이 저절로 닫히지만 15cm 정도 열려있도록 하는 철물이다.
③ 주름문은 도난방지 등의 방범목적으로 사용한다.
④ 피봇힌지는 주로 중량문에 사용한다.
⑤ 도어체크는 피스톤장치가 있지만 개폐속도는 조절할 수 없다.
정답: ⑤
유리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 후 서서히 냉각시켜 열처리한 유리이다.
② 로이유리는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인 에너지 절약형 유리이다.
③ 배강도 유리는 절단이 불가능하다.
④ 유리블록은 보온, 채광, 의장 등의 효과가 있다.
⑤ 접합유리는 파손 시 유리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①
해설 서서히 냉각 -> 급냉
2023년
> 창호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피봇 힌지(pivot hinge)는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경첩으로 중량의 자재문에 사용한다.
② 알루미늄 창호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
③ 도어스톱(door stop)은 벽 또는 문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④ 크레센트(crescent)는 미서기창과 오르내리창의 잠금장치이다.
⑤ 도어체크(door check)는 문짝과 문 위틀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문을 닫히게 하는 장치이다.
해설: 플로어힌지
피봇힌지 ->문짝을 상하에서 축으로 지지하는 기구.
> 유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연화점 이상으로 열처리 한 후 급랭한 것이다.
② 복층유리는 단열, 보온, 방음, 결로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③ 로이(Low-E)유리는 열적외선을 반사하는 은소재 도막을 코팅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한 것이다.
④ 접합유리는 유리사이에 접합필름을 삽입하여 파손 시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한다.
❺ 열선반사유리는 소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적외선이 잘 투과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해설: 적외선->가시광선
> 창호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알루미늄 창호는 알칼리에 약하므로 모르타르와의 직접 접촉을 피한다.
ㄷ. 멀리온은 창 면적이 클 때, 스틸바만으로는 부족하여 이를 보강하기 위해 강판을 중공형으로 접어 가로 세로로 대는 것이다.
ㄹ. 레버토리 힌지는 자유정첩(경첩)의 일종으로 저절로 닫히지만 10~15cm 정도 열려 있도록 만든 철물이다.
정답: ㄱ, ㄷ, ㄹ
해설
③피봇 힌지(pivot hinge): 암수 돌쩌귀를 서로 끼워 회전으로 여닫게 해주는 철물, 가장 무거운 문에 사용
④플로어 힌지(floor hinge):중량 자재문에 사용(자재 여닫이문을 저절로 닫혀지게 하는 장치)
⑤레버토리 힌지(lavatory hinge):약간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 공중전화, 화장실 등에 사용
> 유리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방탄유리는 접합유리의 일종이다.
② 가스켓은 유리의 간격을 유지하며 흡습제의 용기가 되는 재료를 말한다.
③ 로이(Low-E)유리는 특수금속 코팅막을 실외측 유리의 외부면에 두어 단열효과를 극대화한 것이다.
④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연화점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후 급랭시켜 유리 표면에 강한 압축응력 층을 만든 것이다.
⑤ 배강도유리는 판유리를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후 서냉하여 유리 표면에 압축응력 층을 만든 것으로 내풍압이 우수하다.
해설
② 스페이서(spacer)
③ 로이유리(low-e glass) : 열적외선(infrared)을 반사하는 은소재 도막으로 코팅하여 방사율과 열관류율을 낮추고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인 유리
④ 연화점 이하->연화점 이상
⑤ 배강도유리:일반유리를 연화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찬 공기를 약하게 불어주어 냉각하여 만든 유리
강화유리(출입문) vs 배강도 유리 (고층창문)
2022년
> 문틀을 짜고 문틀 양면에 합판을 붙여서 평평하게 제작한 문은?
정답: 플러시 문
> ( )에 들어갈 유리명칭으로 옳은 것은?
- (ㄱ)유리는 판유리에 소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제작한 유리로서, 적외선이 잘 투과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 (ㄴ)유리는 판유리 표면에 금속산화물의 얇은 막을 코팅하여 입힌 유리로서, 경면효과가 발생하는 성질을 갖는다.
- (ㄷ)유리는 판유리의 한쪽 면에 세라믹질 도료를 코팅하여 불투명하게 제작한 유리이다.
정답: ㄱ: 열선흡수, ㄴ: 열선반사, ㄷ: 스팬드럴
> 창호철물에서 경첩(hin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첩은 문짝을 문틀에 달 때, 여닫는 축이 되는 역할을 한다.
❷ 경첩의 축이 되는 것은 핀(pin)이고, 핀을 보호하기 위해 둘러감은 것이 행거(hanger)이다.
③ 자유경첩(spring hinge)은 경첩에 스프링을 장치하여 안팎으로 자유롭게 여닫게 해주는 철물이다.
④ 플로어힌지(floor hinge)는 바닥에 설치하여 한쪽에서 열고나면 저절로 닫혀지는 철물로 중량이 큰 자재문에 사용된다.
⑤ 피봇힌지(pivot hinge)는 암수 돌쩌귀를 서로 끼워 회전으로 여닫게 해주는 철물이다.
해설 : 핀->부싱, 행거->샤프트
2020년 23회
> 외부에서는 열쇠로, 내부에서는 작은 손잡이를 돌려서 열 수 있는 창호철물은?
정답: 나이트래치
> 반사유리나 컬러유리의 한쪽 면을 은으로 코팅한 것으로 열의 이동을 최소화시켜 주는 에너지 절약형 유리는?
정답: 로이유리
2019년 22회
문 위틀과 문짝에 설치하여 문을 열면 자동적으로 조용히 닫히게 하는 장치로 피스톤 장치가 있어 개폐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창호 철물은?
정답: 도어체크
일반유리를 연화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찬 공기를 약하게 불어주어 냉각하여 만든 유리로 내풍압 강도가 우수하여 건축물의 외벽, 개구부 등에 사용되는 유리는 무엇인가?
정답: 배강도 유리
2018년 21회
저절로 문은 닫히지만 15cm 정도는 열려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호철물은?
정답 ❶ 레버토리 힌지(lavatory hinge)
유리공사와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조 개스킷: 클로로프렌 고무 등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유리의 보호 및 지지기능과 수밀기능을 지닌 개스킷
② 그레이징 개스킷: 염화비닐 등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유리끼움용 개스킷
③ 로이유리(low-e glass): 은소재 도막으로 코팅하여 방사율과 열관류율을 낮추고,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인 유리
❹ 핀홀(pin hole): 유리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유리와 프레임에 설치하는 작은 구멍
⑤ 클린 컷: 유리의 절단면에 구멍 흠집, 단면결손, 경사단면 등이 없도록 절단된 상태
해설: 핀홀: 도막방수 작업 시 불량으로 발생하는 기포 현상이다.
2017년 20회
창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알루미늄 창호는 강재에 비해 비중이 낮고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다.
② 갑종 방화문은 강제틀에 두께 0.3 mm 이상의 강판을 한쪽 면에 붙인 것이다.
③ 여밈대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문짝이 서로 맞닿는 선대를 말한다.
④ 나이트 래치는 미닫이창호의 선대에 달아 잠그는데 사용되는 철물이다.
⑤ 오르내리 꽂이쇠는 여닫이창호에 상하 고정용으로 달아서 개폐상태를 유지하는데 사용한다.
해설
① 알미늄 창호는 알칼리에 약하다.
③ 옆으로 밀어 여닫는 창호에서 문짝이 운행하는 문홈이 두줄이상이면 미서기 문이다. 이문을 닫았을때 두 문짝이 겹쳐지는 선대가 여밈대이다.
④ 나이트래치는 외부에서는 열쇠로 내부에서는 손잡이로 여닫는 손잡이.
※건축법시행령 제29조(방화문의 구조)
"갑종방화문"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구조의 문을 말한다.
1. 골구를 철재로 하고 그 양면에 각각 두께 0.5밀리미터이상의 철판을 붙인 것.
2. 철재로서 철판의 두께가 1.5밀리미터이상인 것.
3. 기타 건설부장관이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국립건설시험소장이 그 성능을 인정하여 지정한 것.
유리가 파괴되어도 중간막(합성수지)에 의해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 안전유리는?
① 강화유리 ② 배강도유리 ③ 복층유리 ❹ 접합유리 ⑤ 망입유리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보][건축구조] 도장 공사 기출 문제 (0) | 2024.02.04 |
---|---|
[주택관리사보][구조총론] 하중과 변형 기출 문제 (0) | 2024.02.04 |
[주택관리사보] [구조] 철근 콘크리트 기출 문제 (0) | 2024.01.22 |
[주택관리사보] [건축구조] 방수, 방습 공사 문제 (0) | 2024.01.20 |
[주택관리사보] [건축구조] 미장 및 타일 공사 문제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