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착 붙임 붙임 모르타르를 바탕면에 도포하여 모르타르가 부드 러운 경우에 타일 붙임용 진동공구를 이용하여 타일에 진 동을 주어 매입에 의해 벽타일을 붙이는 공법

살두께 실제 부재의 두께

소지 타일의 주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시유 타일의 경우에 는 표면의 유약을 제거한 부분

수실 수직 또는 수평을 잡기 위한 실

수직 실 수직을 맞추기 위해 위아래로 띄운 실

수평 실 수평을 맞추기 위해 좌우로 띄운 실

시유약 소지 표면에 칠한 유리질 부분

시중품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제품

신축 줄눈 압출성형 시멘트판이나 ALC 패널 상호 간의 줄눈

신축조정 줄눈 온도변화나 수분변화 또는 외력 등에 의하여 건물이 나 건물 부위에 발생되는 변형이 타일에 영향을 적게 미 치게 하기 위한 바탕면 및 바름층에 설치하는 줄눈

앵커 핀 돌을 긴결하기 위한 철물

완부 흠이 없어 완전한 상태

이형 사물의 성질, 모양, 형식 따위가 다름

자막대 길이 300mm 정도의 반듯하고 딱딱한 막대기를 말함

접착 철물 접착제로 붙임해야 하는 철물

접착제 붙임 유기질 접착제를 바탕면에 도포하고, 이것에 타일을 세차게 밀어 넣어 바닥면에 누름하여 붙이는 공법

정부 바른 것과 그른 것

종벽 로킹 방법 벽체를 상하간 요철 맞물림에 의해 붙이는 방법

종벽 슬라이 드 방법 벽체를 상하 중에서 한쪽 부분이 끼워 들어가게 하는 방법

주문품 건축주가 특별히 주문하여 만든 제품

줄 붙임 일렬로 배열하여 붙이는 방법

천단 타일 붙임할 경우 위아래 마지막 부분

철물 타일 철물을 붙이는 부분의 타일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6  (2) 2023.11.22
건축용어 245  (1) 2023.11.22
건축용어 243  (0) 2023.11.21
건축용어 242  (0) 2023.11.21
건축용어 241  (2) 2023.11.21

하도 (프라이머) 물체의 바탕에 직접 칠하는 것. 바탕의 빠른 흡수나 녹의 발생을 방지하고, 바탕에 대한 도막 층의 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도료

희석제 도료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휘발성 의 액체

MCR 공법 거푸집에 전용 시트를 붙이고, 콘크리트 표면에 요철 을 부여하여 모르타르가 파고 들어가는 것에 의해 박리를 방지하는 공법

개량압착 붙임 먼저 시공된 모르타르 바탕면에 붙임 모르타르를 도 포하고, 모르타르가 부드러운 경우에 타일 속면에도 같은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벽 또는 바닥 타일을 붙이는 공법

균열유발 줄눈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발생하는 건조수축균열을 계획 적으로 발생되도록 콘크리트 구조체에 설치하는 줄눈

기성배합 모르타르 시멘트, 골재, 혼화재료를 공장에서 계량ㆍ혼합하여 포장ㆍ반입한 제품

깔개 모르타르 바탕면에 된비빔 모르타르를 깔고 나무흙손 등으로 바닥면을 마감한 후 반듯한 나무흙손으로 미장한 바탕

깔개 붙임 바닥에 타일을 펴서 붙이는 것을 말함

대지 타일 유닛을 일체로 붙여놓은 큰 종이 또는 비닐판

두드림 검사 타일 표면을 타진용 테스트 해머로 두드릴 경우 음질 에 의해 탈락을 검지하는 검사법

뒷굽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와의 접착이 잘 되게 하 기 위하여 혹은 제조 과정에서 타일의 뒷면에 만들어진 발굽 또는 오목ㆍ볼록하게 튀어나온 것

마스크 붙임 유닛화된 50mm 각 이상의 타일 표면에 모르타르 도 포용 마스크를 덧대어 붙임 모르타르를 바르고 마스크를 바깥에서부터 바탕면에 타일을 바닥면에 누름하여 붙이 는 공법

맞댐자리 홈턱 타일간 서로 맞대어 놓은 곳의 오목하게 갈라진 부위

먼저 붙임 철물 타일시공 전에 철물을 미리 붙여 놓음

모자이크 타일 붙임 붙임 모르타르를 바탕면에 도포하여 직접 표면 붙임 의 유닛화된 모자이크 타일을 시멘트 바닥면에 누름하여 벽 또는 바닥에 붙이는 공법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5  (1) 2023.11.22
건축용어 244  (1) 2023.11.22
건축용어 242  (0) 2023.11.21
건축용어 241  (2) 2023.11.21
건축용어 240  (1) 2023.11.20

바탕처리 ① 요철 또는 변형이 심한 개소를 고르게 손질바름하 여 마감 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조정하고 균열 등을 보수하는 것 ② 바탕면이 지나치게 평활할 때에는 거칠게 처리하 고, 바탕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미장바름의 부착이 양호하도록 표면을 처리하는 것 ③ 바탕에 대해서 도장에 적절하도록 행하는 처리. 즉 하도를 칠하기 전 바탕에 묻어 있는 기름, 녹, 흠을 제 거하는 처리 작업 ④  바탕제와 방수·방식제와의 부착력을 강화시키고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수층 시공전에 표면의 들뜸 부분, 요철 부분 등을 평탄하게 하고, 레이턴스, 먼지, 돌가루, 기름 또는 거푸집 박리제 등의 이물질 이 부착되어 있지 않도록 청소(샌드블라스팅 고압수 세척방법)하며, 취약부, 누수부위 등에 대해서 보수· 보강하는 방수·방식공사 직전에 완성되어야 할 바탕 청소·정리·조정작업

배합비율 도장재료를 도장작업에 적합한 점도로 희석하는 희석 제나 물 등의 도장재료에 대한 질량비

상도 마무리로서 도장하는 작업 또는 그 작업에 의해 생긴 도장면

연마 도막 또는 도막층을 연마재로 연마해서 정해진 상태 까지 깎아 내는 작업

연마 마무리 래커 도장 등의 최종 공정에서 도막을 연마하는 것

연마지 도막 등을 갈기 위한 연마재료

조색 몇 가지 색의 도료를 혼합해서 얻어지는 도막의 색이 희망하는 색이 되도록 하는 작업

중도 하도 도막과 상도 도막 사이의 부착성의 증강, 조합 도막층 두께의 증가, 평면 또는 입체성의 개선 등을 위해 서 하도와 상도의 중간층에 별도의 도료를 칠하는 것

착색 바탕면을 각종 착색제로 착색하는 작업

착색력 어떤 색의 도료 또는 안료에 있어서 섞어서 색을 바꾸 기 위한 도료 또는 안료의 성질. 주로 안료

침투방지 바탕재에 도료의 침투을 줄이기 위한 작업

퍼티 바탕의 파임ㆍ균열ㆍ구멍 등의 결함을 메워 바탕의 평편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살붙임용의 도료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4  (1) 2023.11.22
건축용어 243  (0) 2023.11.21
건축용어 241  (2) 2023.11.21
건축용어 240  (1) 2023.11.20
건축용어 239  (1) 2023.11.20

열관류 고체 벽을 사이에 둔 양측 유체 온도가 다를 때 고온 측에서 저온측으로 열이 통과하는 현상

열관류율 열관류에 의한 관류열량의 계수로서 고체벽 양쪽 유체가 단위온도차일 때 단위표면적을 통해 단위시간당 전달되는 열량

외엮음 흙을 발라 벽을 만들기 위하여 벽 속에 가는 나뭇가지 등을 종·횡으로 엮어대어 외(椳)벽의 바탕이 되게 하는 것

이어 바르기 동일 바름층을 2회의 공정으로 나누어 바를 경우 먼 저 바름공정의 물걷기를 보아 적절한 시간 간격을 두고 겹쳐 바르는 것

초벌, 재벌, 정벌바름 바름벽은 여러 층으로 나뉘어 바름이 이루어지는데, 이 바름층을 바탕에 가까운 것부터 초벌바름, 재벌바름, 정벌바름이라 함

혼화재 시멘트 대체 재료로서 비교적 다량으로 사용되는 플 라이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 메타카올린 등의 혼화재료

혼화재료 주재료 이외의 재료로서 반죽할 때 필요에 따라 미장 재료의 성분으로서 첨가하는 재료

회사벽 석회죽에 모래, 회백토 등을 섞어 반죽한 것을 외바탕 등 흙벽의 마감 바름이나, 회반죽 마무리 바름 이전 고름 질이나 재벌 바름으로 사용하기 위해 바르는 벽

흡수조정제 바름 바탕의 흡수 조정이나 기포발생 방지 등의 목적으로 합성수지 에멀션 희석액 등을 바탕에 바르는 것

가사시간 다액형 이상의 도료에서 사용하기 위해 혼합했을 때 겔화, 경화 등이 일어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한 시간

눈먹임 ① 인조석 갈기 또는 테라조 현장갈기의 갈아내기 공 정에 있어서 작업면의 종석이 빠져나간 구멍 부분 및 기포를 메우기 위해 그 배합에서 종석을 제외하고 반 죽한 것을 작업면에 발라 밀어 넣어 채우는 것 ② 목부 바탕재의 도관 등을 메우는 작업

도막 칠한 도료가 건조해서 생긴 고체 피막

도막두께 건조 경화한 후의 도막의 두께

도포량 피도장면에 대한 단위면적당 도장재료(희석하기 전) 의 부착질량

바탕(피도물) 목재, 콘크리트, 강재 등 도장할 재료의 표면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3  (0) 2023.11.21
건축용어 242  (0) 2023.11.21
건축용어 240  (1) 2023.11.20
건축용어 239  (1) 2023.11.20
건축용어 238  (2) 2023.11.20

게임 방법이 콘솔게임, PC게임, 모바일 게임이 있다. 콘솔게임을 진입장벽이 높다. 모바일 게임이 진입장벽이 낮다. 그래서 경쟁자가 많다. 게임시장은 블록버스터 영화와 같다. 출시한 게임이 응행하지 못하면 돈을 못번다. 

어떤 사람은 게임주가 저평가되어있다고 주장한다. 게임주는 코인시장, 교육시장, 도박시장에 연결될 수 있다. 지금은 게임시장은 침체되어 있다.

위메이드 차트

위메이드는 증권 분석 보고서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를 했다. 문제는 실적이 언제 나오느냐였다. 이 실적기간을 잘못판단하면 주가는 계속 빠질수 있다. 여기에 위메이드가 검찰수사를 받는 다는 뉴스가 나오자 주가는 하락했다. 내가 매입한 후 주가는 하락했다. 수익률이 -30%가 된 것이다. 다행이 공매도 금지 발표후 주가가 급등해 원금을 회복하고 10%이익을 먹고 나왔다. 전고점 64,000원을 뚫지 못하고 있다. 언제 64000원을 뚫을지 맞추는 사람은 돈을 번다.

이상기체의 상태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변수는 모두 4개이다.

압력 P, 부피 V, 온도 T, 엔트로피 S 입니다.

각각 2개의 변수들로 일과 열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일:W,열량:Q, 내부에너지: U

dW = P dV , dQ = TdS    

일정한 값 dQ dW dU 열역학 1법칙으로 알수 있는 것
등적 V n Cv dT 0 n Cv dT dQ=dU
등압 P n Cp dT PdV= nRdT n Cv dT Cp = Cv+ R
등온 T 1) nRT dV/V 1) nRT dV/V
PV = 일정
0 dQ=dW
단열 S 0 2) -n Cv dT
$PV^r$ = 일정
n Cv dT dW=-dU

2019년 3월

> 다음 중 기체상수(gas constant, R[kJ/(kg·K)])값이 가장 큰 기체는?

   산소(O2)  수소(H2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정답:


2018년4월

> 이상기체에 대한 관계식 중 옳은 것은? (,Cp, Cv는 정압 및 정적 비열, k는 비열비이고, R은 기체 상수이다.)

정답: $C_p=\frac{k}{k-1}R$

> 온도 150, 압력 0.5MPa의 공기 0.2kg이 압력이 일정한 과정에서 원래 체적의 2배로 늘어난다. 이 과정에서의 일은 약 몇 kJ인가? (, 공기는 기체상수가 0.287kJ/(kgK)인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정답: 24.3
해설:W = $P(V_2-V_1)$=$P(\frac{V_2}{V_1}-1)V_1$=$P(2-1)V_1$=$PV_1$=$P\times\frac{mRT_1}{P_1}$=$mRT_1$=0.2x0.287x(150+273) = 24.28kJ

        참고 $P_1V_1 = mRT_1$에서 $V_1 = \frac{mRT_1}{P_1}$

> 피스톤-실린더 장치 내에 있는 공기가 0.3m3에서 0.1m3으로 압축되었다. 압축되는 동안 압력(P)과 체적(V) 사이에 P=aV-2의 관계가 성립하며, 계수 A = 6kPam6이다. 이 과정 동안 공기가 한 일은 약 얼마인가?

정답: -40kJ
해설: W = $\int_0^1 P \,dV= \int_0^1 aV^{-2} \,dV$


2017년3월

> 분자량이 M이고 질량이 2V 인 이상기체 A가 압력 p , 온도 T(절대온도)일 때 부피가 V 이다. 동일한 질량의 다른 이상기체 B가 압력 2p, 온도 2T(절대온도)일 때 부피가 2V이면 이 기체의 분자량은 얼마인가?

정답: 0.5M


2016년8월

> 체적이 150 인 방 안에 질량이 200kg이고 온도가 20인 공기(이상기체상수 = 0.287kJ/kgK)가 들어 있을 때 이 공기의 압력은 약 몇 kPa인가?

정답:  112
풀이: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PV=mRT
          압력 P=$\frac{mRT}{V}$ = $\frac{200\times0.287\times(20+273)}{150}$=112.1kPa

> 온도 200, 압력 500kPa, 비체적 0.6m3/kg의 산소가 정압 하에서 비체적이 0.4m3/kg으로 되었다면, 변화 후의 온도는 얼마인가?

정답: 42.3
해석 : $\frac{v_1}{T_1}=\frac{v_2}{T_2}$

> 시스템 내의 임의의 이상기체 1kg이 채워져 있다. 이 기체의 정압비열은 1.0kJ/kgK이고, 초기 온도가 50인 상태에서 323kJ의 열량을 가하여 팽창시킬 때 변경 후 체적은 변경 전 체적이 약 몇 배가 되는가? (, 정압과정으로 팽창한다.)

정답: 2
해석: 사용공식 1) $\frac{V_1}{T_1}=\frac{V_2}{T_2}$
                        2) δQ=mC_pdT

> 이상기체의 압력(P), 체적(V)의 관계식 $PV^n$= 일정에서 가역단열과정을 나타내는 n의 값은? (, $C_p$ 는 정압비열, $C_v$ 는 정적비열이다.)

정답: 정적비열에 대한 정압비열의 비($C_p/C-v$)


2015년 3월

이상기체의 상태를 정하는  압력(P), 부피(V), 온도(T), 엔트로피(S) 에서 P,V,T 는 모두 우리 감각을 통해서 느낄 수 있는 것들이지만, S 는 우리 감각으로 느끼지 못한다. 우리의 피부를 통해 압력, 온도를 느끼고, 눈으로 부피가 변하는 것도 볼 수 있는데, 이 엔트로피는 느낄 수 있는 감각이 없습니다. 압력, 온도, 부피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열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장치(열량계)란 것이 있는데, 엔트로피를 측정하는 장치는 없습니다.

엔트로피 변화량 계산 유형

온도 T가 일정한 경우
Δs=$\frac{\ Δq}{T}$

온도 T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 단순히 열량이 온도에만 의존하는 경우
• 열량이 여러 변수에 의존하는 경우

이상 기체에서 엔트로피 변화량
가역 일때
비가역 일때


2019년 4월

> 어떤 시스템에서 공기가 초기에 290K에서 330K로 변화하였고, 이 때 압력은 200kPa에서 600kPa로 변화하였다. 이 때 단위 질량당 엔트로피 변화는 약 몇 kJ/(kg·K)인가? (, 공기는 정압비열이 1.006 kJ/(kg·K)이고, 기체상수가 0.287 kJ/(kg·K)인 이상기체로 간주한다.)

정답: -0.185
해설: ΔS = $C_vln\frac{T_2}{T_1}-Rln\frac{P_2}{P_1}$
               =1.006$ln\frac{330}{290}-0.287ln\frac{600}{200}$


2019년 3월

> 계의 엔트로피 변화에 대한 열역학적 관계식 중 옳은 것은? (, T는 온도, S는 엔트로피, U는 내부에너지, V는 체적, P는 압력, H는 엔탈피를 나타낸다.)

     정답:  TdS = dH VdP


2018년 3월

> 600 kPa, 300 K 상태의 이상기체 1 kmol이 엔탈피가 등온과정을 거쳐 압력이 200 kPa로 변했다. 이 과정동안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약 몇 kJ/K 인가? (, 일반기체상수(R)8.31451 kJ/(kmol·K) 이다.)

2018년4월

> 온도가 T1인 고열원으로부터 온도가 T2인 저열원으로 열전도, 대류, 복사 등에 의해 Q 만큼 열전달이 이루어졌을 때 전체 엔트로피 변화량을 나타내는 식은?

정답 : $\frac{Q(T1-T2)}{T1 \times {T2}}$ = $\frac{Q}{T2}-\frac{Q}{T1}$

> 마찰이 없는 실린더 내에 온도 500K, 비엔트로피 3kJ/(kgK)인 이상기체가 2kg 들어있다. 이 기체의 비엔트로피가 10kJ/(kgK)이 될 때까지 등온과정으로 가열한다면 가열량은 약 몇 kJ인가?

정답: 7000
해설: ΔS = $\frac{ΔQ}{T}$
         Q2-Q1 = T(S2-S1) = T(s2-s1)m = 500x(10-3)x2 = 7000kJ

> 1kg의 공기가 100를 유지하면서 가역등온 팽창하여 외부에 500kJ의 일을 하였다. 이때 엔트로피의 변화량은 약 몇 kJ/K인가?

정답: 1.340


2018년3월

> 단위질량의 이상기체가 정적과정 하에서 온도가 T1에서 T2로 변하였고, 압력도 P1에서 P2로 변하였다면, 엔트로피 변화량 S? (, CvCp는 각각 정적비열과 정압비열이다.)

정답: △S =$C_vln\frac{T_2}{T_1}$ = $C_vln\frac{P_2}{P_1}$

> 다음 4가지 경우에서 ( ) 안의 물질이 보유한 엔트로피가 증가한 경우는?

정답: 컵에 있는 (물)이 증발하였다.

해설: 어떤 물질이 열을 받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하고 빼앗기면 엔트로피가 감소하며 단열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일정하다.


 

2017년3월

> 4kg의 공기가 들어 있는 체적 0.4 의 용기(A)와 체적이 0.2 인 진공의 용기(B)를 밸브로 연결하였다. 두 용기의 온도가 같을 때 밸브를 열어 용기 AB의 압력이 평형에 도달했을 경우, 이 계의 엔트로피 증가량은 약 몇 J/K인가? (, 공기의 기체상수는 0.287kJ/(kgK)이다.)

정답: 465.5
풀이: 등온과정 엔트로피식 = mRln$\frac{V_2}{V_1}$ = 4x0.287x$10^3$ x ln$\frac{0.4+0.2}{0.4}$

> 1kg이 포화온도 120에서 증발할 때, 증발 잠열은 2203kJ이다. 증발하는 동안 물의 엔트로피 증가량은 약 몇 kJ/K인가?

정답: 5.6
풀이: $\frac{2203}{120+273}$=5.6kJ/K

> 이상적인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에서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과정은?

정답: 응축과정

> 1kg의 공기가 100를 유지하면서 등온팽창하여 외부에 100kJ의 일을 하였다. 이때 엔트로피의 변화량은 약 몇 kJ/(kgK)인가?

정답: 0.268
풀이 : $\frac{100}{100+273}$=0.268kJ/kgK


2016년8월

> 2MPa 압력에서 작동하는 가역 보일러에 포화수가 들어가 포화증기가 되어서 나온다. 보일러의 물 1kg당 가한 열량은 약 몇 kJ인가? (, 2MPa 압력에서 포화온도는 212.4이고 이 온도는 일정하다. 그리고 포화수 비엔트로피는 2.4473kJ/kgK, 포화증기 비엔트로피는 6.3408kJ/kgK이다.)

정답: 1890
풀이: 온도는 일정하기에 엔트로피 Δs=$\frac{\ Δq}{T}$에서 Δq=TΔs = (212.4+273)x(6.3408-2.4473)=1889.9kJ/kg

         비엔트로피 : 단위 질량 또는 단위 몰(mole)당 엔트로피.

> 다음 온도-엔트로피 선도(T-S 선도)에서 과정 1-2가 가역일 때 빗금 친 부분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정답: 열량

> 일정한 정적비열 Cv 와 정압비열 Cp를 가진 이상기체 1kg의 절대온도와 체적이 각각 2배로 되었을 때 엔트로피의 변화량으로 옳은 것은?

정답: Cpln2


2016년 5월

> 그림과 같이 중간에 격벽이 설치된 계에서 A에는 이상기체가 충만되어 있고, B는 진공이며, AB의 체적은 같다. AB사이의 격벽을 제거하면 A의 기체는 단열비가역 자유팽창을 하여 어느 시간 후에 평형에 도달하였다. 이 경우의 엔트로피 변화 s? (, Cv는 정적비열, Cp는 정압비열, R은 기체상수이다.)

물비빔 건비빔된 미장재료에 물을 부어 바를 수 있도록 반죽 된 상태

물축이기 모르타르, 플라스터 등의 응결경화에 필요한 비빔시 의 물이 바탕면으로 과도하게 흡수되지 않도록 바탕면에 미리 물을 뿌리는 것

미장두께 각 미장층별 발라 붙인 면적의 평균 바름두께

미장용 경량 발포골재 합성수지계, 탄산칼슘 등 유무기질계 재료를 발포시 켜 미장용 잔골재로 입도 등을 조정한 것

바탕 모르타르, 플라스터, 회반죽 등 미장재료를 바르기 위 한 구조체 표면 또는 미장바름을 위하여 라스, 졸대, 기타 의 것 등을 처리한 면

바탕처리 ① 요철 또는 변형이 심한 개소를 고르게 손질바름하 여 마감 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조정하고 균열 등을 보수하는 것 ② 바탕면이 지나치게 평활할 때에는 거칠게 처리하 고, 바탕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미장바름의 부착이 양호하도록 표면을 처리하는 것 ③ 바탕에 대해서 도장에 적절하도록 행하는 처리. 즉 하도를 칠하기 전 바탕에 묻어 있는 기름, 녹, 흠을 제 거하는 처리 작업 ④  바탕제와 방수·방식제와의 부착력을 강화시키고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수층 시공전에 표면의 들뜸 부분, 요철 부분 등을 평탄하게 하고, 레이턴스, 먼지, 돌가루, 기름 또는 거푸집 박리제 등의 이물질 이 부착되어 있지 않도록 청소(샌드블라스팅 고압수 세척방법)하며, 취약부, 누수부위 등에 대해서 보수· 보강하는 방수·방식공사 직전에 완성되어야 할 바탕 청소·정리·조정작업

배합비 반죽된 재료를 구성하는 미장 원재료의 혼합비율

벽쌤홈 심벽의 주위 또는 출입문틀, 문선, 창선 등과 벽의 접 합부에 틈이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재벌바름, 마감바 름을 물려 바를 수 있도록 만든 홈

손질바름 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 바탕에서 초벌바름하기 전 에 마감두께를 균등하게 할 목적으로 모르타르 등으로 미 리 요철을 조정하는 것

실러 바름 바탕의 흡수 조정, 바름재와 바탕과의 접착력 증진 등 을 위하여 합성수지 에멀션 희석액 등을 바탕에 바르는 것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2  (0) 2023.11.21
건축용어 241  (2) 2023.11.21
건축용어 239  (1) 2023.11.20
건축용어 238  (2) 2023.11.20
건축용어 237  (1) 2023.11.19

내화뿜칠 피 복공법 공장 생산된 내화무기재료를 현장에서 물과 혼합한 후 뿜칠기계를 사용하여 철골 기둥 및 보 등에 일정두께 로 뿜칠하여 화재 시 고열이 철골에 전달되지 못하게 하 는 시공방법

건비빔 혼합한 미장재료에 아직 반죽용 물을 섞지 않은 상태

결합재 ① 물과 반응하여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기여하는 물질 을 생성하는 것의 총칭으로 시멘트, 고로 슬래그 미분 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퓸, 팽창재 등을 함유하는 것 ② 시멘트, 플라스터, 소석회, 벽토, 합성수지 등으로 서, 잔골재, 종석, 흙, 섬유 등 다른 재료를 결합하여 경화시키는 재료

경과시간 동일 공정 내, 공정과 공정 또는 최종 공정과 사용 가 능시간 사이의 경과시간

고름질 바름두께 또는 마감두께가 두꺼울 때 혹은 요철이 심 할 때 초벌바름 위에 발라 붙여주는 것 또는 그 바름층

규준대 고르 기 평탄한 바름면을 만들기 위하여 규준대로 밀어 고르 거나 미리 붙여둔 규준대면을 따라 발라서 요철이 없는 바름면을 형성하는 작업

규준바름 미장바름 시 바름면의 규준이 되기도 하고, 규준대 고 르기에 닿는 면이 되기 위해 기준선에 맞춰 미리 둑모양 혹은 덩어리 모양으로 발라 놓은 것 또는 바르는 작업

규준설치 미장바름시 바름면의 규준이 되기도 하고, 규준대 고 르기에 닿는 면이 되기 위해 코너비드 등 각종 비드 또는 규준대를 설치하는 것 또는 설치작업

눈먹임 ① 인조석 갈기 또는 테라조 현장갈기의 갈아내기 공 정에 있어서 작업면의 종석이 빠져나간 구멍 부분 및 기포를 메우기 위해 그 배합에서 종석을 제외하고 반 죽한 것을 작업면에 발라 밀어 넣어 채우는 것 ② 목부 바탕재의 도관 등을 메우는 작업

덧먹임 바르기의 접합부 또는 균열의 틈새, 구멍 등에 반죽된 재료를 밀어 넣어 때워주는 것

라스 먹임 메탈 라스, 와이어 라스 등의 바탕에 모르타르 등을 최초로 발라 붙이는 것

마감두께 바름층 전체의 두께를 말함

물걷힘 정도 발라 붙인 바름층의 수분이 바람, 온도 등 외기 영향 에 의해 증발되거나 바탕에서 흡수하여 상실되는 정도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1  (2) 2023.11.21
건축용어 240  (1) 2023.11.20
건축용어 238  (2) 2023.11.20
건축용어 237  (1) 2023.11.19
건축용어 236  (0) 2023.11.19

반사형 단열재 표면 방사율이 0.1 이하로 반사공기층을 통한 복사열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재

방습재 자재 자체가 필요한 방습성능을 갖는 자재

열교 건축물 구성 부위 중에서 단열이 연속되지 않은 경우 국부 적으로 열관류율이 커져 열의 이동이 심하게 일어나는 부분

외단열공법 구조체의 실외측에 단열층을 설치하는 공법

중단열공법 구조체 중공층 벽체 내에 단열층을 설치하는 공법

표면결로 구조체의 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은 경우 그 표면에 발생하는 수증기의 응결현상

내화 실란트 내화충전시스템에 사용되는 1액형의 방화용 실리콘 으로 된 내화충전자재

내화 코팅 수용성의 탄성 코팅재로 붓으로 칠하거나 분사기로 시공이 가능한 내화충전자재

내화 퍼티 비경화성의 고온팽창자재로 퍼티 타입으로 공구 또는 손으로 틈을 채워주는 내화충전 자재

내화보드 내화충전시스템에 사용되는 발포성 내화보드로 된 내 화충전자재

내화충전 시스템 내화구조의 벽이나 바닥을 각종 설비의 관통부와 건 물의 접합부를 불연자재 등으로 막아 화재 시 일정시간 인접실로의 화염 및 온도의 전달을 막아주도록 하는 내화 공법시스템으로서 한국산업표준 또는 공인시험기관의 성 능 인정된 시스템

내화충전자재 내화성능 확보를 위해 틈을 막아주는 바름재 및 채움 재 등을 말함

실리콘 RTV폼 내화충전구조에 사용되는 주재와 경화재의 2액형 실 리콘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발포 경화되고 실내화재 온도 에 의하여 팽창하여 내화성능을 유지시키는 저밀도 팽창 성 폼의 내화충전 자재

내화도료 도 장공법 발포성 내화도료를 철골보 및 기둥에 붓칠 또는 뿜칠 로 일정 두께를 도장하여 화재 시 도료가 발포되어 고열 이 철골부재에 전달하지 못하게 하는 시공방법

내화보드 붙 임 피복공법 공장 생산된 내화보드를 현장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하 여 철골보 및 기둥에 크립 또는 스크루 못 등으로 고정하여 화재 시 고열이 철골에 전달하지 못하게 하는 시공방법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0  (1) 2023.11.20
건축용어 239  (1) 2023.11.20
건축용어 237  (1) 2023.11.19
건축용어 236  (0) 2023.11.19
건축용어 235  (0) 2023.11.19

폴리머 분산제 ① 물속에 폴리머의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주된 화학조성에 따라서 시멘트 혼화용 고무 라텍스 와 시멘트 혼화용 수지 에멀션으로 분류 ② 시멘트 혼화용 고무 라택스: 합성고무계, 천연고 무계 및 고무 아스팔트계 등의 고무 라텍스에 안정제 및 소포제 등을 가해서 잘 분산시켜 균질하게 한 것 ③ 시멘트 혼화용 수지 에멀 션: 아세트산 비닐계, 아 크릴계 및 합성고무계 등의 수지 에멀션에 안정제 및 소포제 등을 가해서 잘 분산시켜 균질하게 한 것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결합재로 시멘트와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또는 폴 리머 혼화제를 사용한 모르타르

프라이머 방수층과 바탕을 견고하게 접착시키는 에폭시계 혹은 아스팔트계 재료(경질형 프라이머)와 구조체 거동에 방수 층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바탕층과 유연하게 밀착시킬 목 적으로 바탕면에 도포하는 액상(液狀) 혹은 점착(粘着) 유 연형의 재료(연질형 절연형 프라이머)

합장맞춤 각각의 부재를 합장하는 손과 같은 형태로 맞추는 것

화장재(化粧材) 외벽 도막방수층 위에 주로 미관상의 목적으로 사용 하는 재료. 일반적으로 모양내기용 재료는 방수층과 같은 주재(主材)를 사용하고, 그 위에 색조 또는 광택내기용 재 료로 도료(塗料)를 사용

흘려 붙임 용융된 아스팔트를 국자 등을 사용하여 바탕 면에 흘 리면서 루핑류를 눌러 바르는 것

내단열공법 콘크리트조와 같이 열용량이 큰 구조체의 실내측에 단열층을 설치하는 공법

내부결로 구조체 내부에 수증기의 응축이 생겨 수증기압이 낮 아지면 수증기압이 높은 곳에서 부터 수증기가 확산되어 응축이 계속되는 현상

단열 모르타르 바름 건축물의 바닥, 벽, 천장 및 지붕 등의 열손실 방지를 목적으로 외벽, 지붕, 지하층 바닥면의 안 또는 밖에 경량 단열골재를 주자재로 하여 만들어 흙손 바름, 뿜칠 등에 의하여 미장하는 공사

단열보강 단면의 열관류저항이 국부적으로 작은 부분을 결로방 지 등을 목적으로 보강하는 것

단열재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능을 갖는 자재로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설계기준(국토부고시) 단열재 등급표의 성능 (열전도율 0.051W/mK 이하)을 충족하는 자재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39  (1) 2023.11.20
건축용어 238  (2) 2023.11.20
건축용어 236  (0) 2023.11.19
건축용어 235  (0) 2023.11.19
건축용어 234  (0) 2023.11.18

이음 ①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서 길이를 연장하는 것 ② 실링재를 마감한 후, 어느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 고 계속하여 실링재를 시공하는 것, 또는 이렇게 시공 되는 접속 부분 ③ 두 개의 구조 요소를 하나의 긴 요소로 만들기 위 해 개개의 끝을 연결시키는 접합형식 ④ 두 부재사이의 구조적 불연속점 ⑤ 두 부재를 접합하여 단일의 긴 부재를 형성하도록 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접합

자착(自着)형 방수시트 방수층의 표면에 끈적거리는 점착층이 있는 고무아스 팔트 방수시트, 부틸고무계 방수시트, 천연고무계 방수시 트로 방수층 시공 시 별도의 가열기, 접착제 등을 사용하 지 않고, 방수재 자체의 접착력으로 바탕체와 부착이 가 능한 시트재

자착(自着)형 방수시트 방수층의 표면에 끈적거리는 점착층이 있는 고무아스 팔트 방수시트, 부틸고무계 방수시트, 천연고무계 방수시 트로 방수층 시공 시 별도의 가열기, 접착제 등을 사용하 지 않고, 방수재 자체의 접착력으로 바탕체와 부착이 가 능한 시트재

점착유연형 도막재 상온상태에서 영구히 점성과 유연성을 유지하며 가벼 운 압력(자중)에 의해서도 피착면에 쉽게 밀착되는 특성 을 가진 겔타입의 도막형 방수재

점착유연형 도막재 상온상태에서 영구히 점성과 유연성을 유지하며 가벼 운 압력(자중)에 의해서도 피착면에 쉽게 밀착되는 특성 을 가진 겔타입의 도막형 방수재

취약부 국부적으로 시멘트가 빈배합으로 되어 있거나 공극이 존재하는 등 강도 또는 수밀성이 극단적으로 낮은 부분

탈기장치 (脫氣裝置) 바탕면의 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

토치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표면을 용융하기 위해 사 용하는 버너

통기성 수증기나 공기가 고체를 통과할 수 있는 성질

폐쇄장소 피트 등과 같이 개구부가 작은 폐쇄된 공간

폴리머 겔 합성고무를 용제로 용해하여 여과할 때 잔류하는 것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가공된 겔 타입의 친수 성 재료로써 점착형 도막방수재나 지수 및 배면 균열차수 재 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38  (2) 2023.11.20
건축용어 237  (1) 2023.11.19
건축용어 235  (0) 2023.11.19
건축용어 234  (0) 2023.11.18
건축용어 233  (0) 2023.11.18

비고(경)화형 도막재 공기 또는 화학반응형의 소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시 굳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고형분이 높고, 점도가 큰 점착유연성을 갖는 도막형 방수재

비보행용 방수층 사람의 보행을 허용하지 않는 방수층으로서, 내구성 이 강한 방수재료를 사용하여 대기 중에 노출시키는 노출 형과 가볍게 모르타르층 등으로 방수층만을 보호하는 비 노출형으로 구분

성형기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를 골형으로 성형 및 가공하는 기계

성형재 성형기로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의 양 끝을 꺾어 올려 골형으로 성형한 형재

수압측 방수층이 지하수 또는 물과 접하는 면을 말하며, 건물 의 외측 또는 수조의 내부를 가리킴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 스테인리스 박판으로 방수층을 구성하는 주재료

슬라이드 고정철물 바탕에 고정한 부분과 방수층에 고정한 부분 사이에 방수층의 온도신축에 추종할 수 있도록 고안된 철물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재 폴리머 분산제와 수경성 무기분체(시멘트와 규사 및 기타 첨가물)를 혼합하여 폴리머 분산제에 함유된 수분을 시멘트 경화반응에 공급하고, 급속히 응집·고화시켜 피막 을 형성하는 방수재

실링재 건축물의 부재와 부재 접합부 줄눈에 충전하면 경화 후 양 부재에 접착하여 수밀성, 기밀성을 확보하는 재료

심 용접 저항용접의 일종으로 세트로 된 원판형 전극 사이에 용접부를 삽입하여 국부적으로 하는 용접

아스팔트 루핑류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트 형 상의 재료

오목모서리 2개의 면이 만나 생기는 요(凹)형의 연속선

용착제(溶着劑) 염화비닐수지계 루핑에 사용하는 것으로 방수재의 표 면을 녹여 접착시키는 액상(液狀)의 재료

우레탄 포장재(鋪裝材) 우레탄계 도막방수층을 보호하고 운동이나 보행(步 行)이 가능하도록 방수층 위에 도포하는 재료

워킹 조인트 무브먼트가 큰 조인트

응고제(凝固劑) 고무 아스팔트계 지붕용 도막방수재와 함께 스프레이 하여 에멀션의 응고를 촉진시키는 약제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37  (1) 2023.11.19
건축용어 236  (0) 2023.11.19
건축용어 234  (0) 2023.11.18
건축용어 233  (0) 2023.11.18
건축용어 232  (0) 2023.11.18

백업재 실링재의 시공 시에 줄눈깊이 조정이나 줄눈바탕에서 의 부착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

백화현상 시멘트로 경화시킨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및 그 2차 제품의 표면에 생기는 흰 솜 모양의 침출물이나 반점이 생기는 현상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계통의 팽창성 3 층판(Si-Ai-Si)으로 이루어져 팽윤 특성을 지닌 가소성이 매우 높은 점토광물

벤토나이트 매트 직포 또는 부직포 사이에 벤토나이트를 충전하여 건 조 또는 수화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매트 형상을 한 것

벤토나이트 시트 고밀도 합성고분자계 시트와 압밀 벤토나이트를 일체 로 하여 압착 및 성형한 시트형상

벤토나이트 실란트 빙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물과 부동액으로서, 빙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물로 수화시킨 벤토나이트 겔(교화체)

벤토나이트 채움재 벤토나이트 알갱이가 생물 분해성 크라프트지나 수용 성 플라스틱에 담긴 것

벤토나이트 패널 파형의 단열 심관을 가진 골판지 패널

보강포(布) 도막 방수재와 병용하거나 시트 방수재의 심재로 사용하 여 방수층을 보강하는 직포(織布) 혹은 부직포(不織布)의 재료

보행용 방수층 방수층의 관리 및 유지보수, 옥상공간의 활용 등을 위 해 사람의 보행을 허용하는 방수층

보호완충재 지하 외벽의 방수층 표면에 설치하여 토사의 되메우 기 시 충격 및 침하의 영향을 제어하는 재료

보호완충재 지하 외벽의 방수층 표면에 설치하여 토사의 되메우 기 시 충격 및 침하의 영향을 제어하는 재료

복합형 방수층 시트계(금속시트 포함)와 도막계의 방수재를 상호 호 환성을 갖도록 개선하여 2중 복합층으로 구성한 방수층

본드 브레이커 실링재를 접착시키지 않기 위해 줄눈 바닥에 붙이는 테이프형의 재료

볼록모서리 2개의 면이 만나 생기는 철(凸)형의 연속선

봉투 접기 성형재 꺾어 올림부를 심용접한 후, 그 상단을 봉투 접기 기구 또는 손 가공으로 180° 꺾는 것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36  (0) 2023.11.19
건축용어 235  (0) 2023.11.19
건축용어 233  (0) 2023.11.18
건축용어 232  (0) 2023.11.18
건축용어 231  (0) 2023.11.17

바탕정리 바탕재와 방수재와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고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방수층 시공 전에 바탕재 표면의 들뜸 부 분, 요철 부분 등을 평탄하게 하고, 먼지, 돌가루, 기름 또 는 거푸집 박리제 등과 같은 바탕재와의 부착을 저해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

발수성 물을 튀기는 성질 또는 표면에 물이 스며들지 않는 성질

발수제 대상 자재의 내부구조에 변화를 주지 않고, 표면에 발 수성 피막을 만들어 물의 침투를 막는 자재로 표면에 물 이 접촉하였을 경우에 접촉각을 크게 하여 물방울 상태로 고체 표면과 분리되게 하는 화학제품

방근재 식물 뿌리의 성장으로 인한 방수층 및 구조물의 손상 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재료

방수 모르타르 시멘트, 모래와 방수제 및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것

방수 시멘트 페이스트 시멘트와 방수제 및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것

방수ㆍ방근층 구조물 녹화 시스템에 있어 물이 건물 전체로 확산되 는 것을 차단하며, 식물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구조물을 보호하는 것

방수기술자 방수기능사, 방수산업기사 또는 이와 동등 이상 자격 을 소지하고 방수 현장 시공 경험 3년 이상 및 해당 방수 공사 3개소 이상 경험을 가진 자로서 방수공사(설계도서 관리, 시공관리, 자재관리, 품질관리, 시험 및 검사관리, 유지관리 등)를 직접 수행하거나 방수작업자를 지도ㆍ감 독하는 자

방수수급인 발주자가 제공하는 설계도서에 따라 방수공사를 수행 하는 방수수급인(전문방수공사업자, 이하 수급인이라 함.

방수용액 물에 방수제를 넣어 희석 또는 용해한 것

방수작업자 방수기술자의 지도를 받아 방수공사를 직접 수행하는 자

방수제 모르타르의 흡수 및 투수에 대한 저항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혼입하는 혼화제

방수층 재형성 기존에 설치된 손상된 방수층과 콘크리트 바탕면 사 이에 새로운 누수보수재를 주입하여 방수막을 다시 형성 시키는 보수기법

배후 수압측 방수층이 지하수 또는 물과 접하는 면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35  (0) 2023.11.19
건축용어 234  (0) 2023.11.18
건축용어 232  (0) 2023.11.18
건축용어 231  (0) 2023.11.17
건축용어 230  (0) 2023.11.17

2면 접착 줄눈에 충전된 실링재가 구성재의 마주 보는 2면에 접착된 상태

2성분형 실링재 시공 직전에 기제와 경화제를 배합하고, 비벼서 사용 하는 실링재

3면 접착 줄눈에 충전된 실링재가 구성재의 마주 보는 2면과 줄눈 바닥의 3면에 접착된 상태

T 조인트 심 용접부가 T자형이 되는 조인트

개량 아스팔트 합성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첨가하여 성질을 개량한 아스팔트

경사이음 방수층의 이음면을 경사지게 하여 접합하는 방법

경화제(硬化劑) 2성분형 방수재 혹은 실링재 중 기제와 혼합하여 경 화시키는 것

고정철물 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 이음 및 매설 등에 사용되는 철물의 총칭 ② 방수층을 바탕에 고정하는 강재의 철물을 말한다.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표층부)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고압투수(高壓透水)에 대하여 수밀성 을 가지게 하는 재료

기제(基劑) 2성분형 액상 방수재 혹은 실링재 중 방수층을 형성 하는 주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성분

논워킹 조인트 무브먼트가 생기지 않거나 발생해도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조인트

덧붙임 바탕의 모서리 및 귀퉁이, 드레인 주위 등과 같은 특 수한 장소에 방수층의 보강을 위해 별도의 루핑류를 덧붙 여 바르는 것

마스킹 테이프 시공 중 바탕재의 오염 방지와 줄눈의 선을 깨끗하게 마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호 테이프

멤브레인 방수 아스팔트 방수층, 개량 아스팔트 시트 방수층, 합성고 분자계 시트 방수층 및 도막 방수층 등 불투수성 피막을 형성하여 방수하는 공사를 총칭

무브먼트 부재 접합부의 줄눈, 균열 등에 생기는 거동 또는 거동의 양

밀어올려 붙임 루핑류를 벽면의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을 향해 올려붙 이는 것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34  (0) 2023.11.18
건축용어 233  (0) 2023.11.18
건축용어 231  (0) 2023.11.17
건축용어 230  (0) 2023.11.17
건축 용어 229  (0) 2023.11.17

접합철물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제품

제조업자 패널 또는 블록을 생산ㆍ공급하는 자

충전 모르타르 구조내력상 성능이 요구되는 부위의 접합을 위한 충전재

충전재 블록과 블록, 패널부재 상호간 또는 블록 및 패널과 타 부재와의 틈새에 충전용으로 사용되는 재료

가공석 암석을 가공하여 만들어낸 석재

갱쏘 일정한 크기의 석재 판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계

근각볼트 머리에 홈이 없는 트러스 머리 형태의 볼트로 머리 밑 에 사각형 부분이 있는 볼트

꺾쇠 양쪽 끝을 구부려 “ㄷ”자 모양으로 만든 철물

끝고임 석재 석축의 뿌리 끝쪽에 고이는 석재

날매 석재 수(手)가공 시 사용하는 석재용 공구

눈(目)숫자 도드락다듬 공구 35mm×35mm 면의 뿔숫자

데파볼트 건식 시공 시 앵커를 설치하기 위하여 구조체에 주입 하는 STS 304 볼트

발수제 대상 자재의 내부구조에 변화를 주지 않고, 표면에 발 수성 피막을 만들어 물의 침투를 막는 자재로 표면에 물 이 접촉하였을 경우에 접촉각을 크게 하여 물방울 상태로 고체 표면과 분리되게 하는 화학제품

세트앵커 데파볼트+캡+와셔+너트를 조립한 상태

손갈기 사람이 기계를 조작하여 공정마다 물갈기 공구를 교 체하며 광내기하는 것

수가공 석재용 공구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가공하는 것

심페드 석재의 중량에 의하여 하부로 밀려나지 않도록 구조 체와 앵글 사이에 끼우는 끼움판

하드보드지 딱딱하고 두꺼운 종이

할석기 원석을 판석 등으로 가공하는 기계

혹두기 석재를 뫼 쪽으로 쪼개서 혹이 형성된 모양 그대로의 석재

1성분형 실링재 미리 시공 가능한 상태로 배합되어 있어 현장에서 그 대로 사용할 수 있는 실링재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33  (0) 2023.11.18
건축용어 232  (0) 2023.11.18
건축용어 230  (0) 2023.11.17
건축 용어 229  (0) 2023.11.17
건축용어228  (1) 2023.11.16

중량블록 기건비중이 1.9 이상인 속빈 콘크리트 블록

창대블록 창문틀의 밑에 쌓는 블록

축차충전공법 벽돌쌓기 2∼4단마다 줄눈 모르타르가 경화하기 전 에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공동부에 충전하는 공법

충전 콘크리트 (모르타르) 보강벽돌공사에서 공동벽돌 쌓기에 의해 생기는 배근 용 공동부 등에 충전하는 콘크리트(모르타르

층고충전공법 벽돌쌓기를 층고 또는 층고의 1/2까지 행하여 줄눈 모르타르의 경화 후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공 동부에 충전하는 공법

치장줄눈 모르타르 벽돌쌓기 후의 줄눈에 치장 및 내구성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치장용 모르타르

통줄눈쌓기 세로줄눈이 일직선이 되도록 개체를 길이로 쌓는 방법

표준형 벽돌 길이 190mm, 폭 90mm, 두께 57mm이며, KS L 4201 및 KS F 4005에 규정한 조적용 벽돌

한도 견본 사용상 유해하다고 생각되는 결점의 외관 판정 상 규 준을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견본

고름 모르타르 블록의 첫 단 작업 시 수평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모르타르

미장 모르타르 도장마감용 및 표면경도의 강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모르타르

보강철물 ① 블록 및 패널의 교차 부위 또는 모서리 부위, 블록 및 패널과 문틀, 창호의 접합부 위에 보강용으로 사용 되는 철물의 총칭 ② 정착철물과 벽돌쌓기벽을 콘크리트 구체에 연결하 여 면 외의 전도를 방지하고, 철물과 벽돌의 하중을 구체에 분담시키기 위해 벽돌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 치하는 철물 등의 총칭

보수 모르타르 블록 및 패널의 파손 부위의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모 르타르

시공도 블록과 패널의 종류, 수량, 설치위치와 방법 등이 포 함된 블록과 패널 시공에 필요한 도면

쌓기 모르타르 블록과 블록이 맞닿는 면에 쌓기용으로 사용되는 전 용 모르타르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32  (0) 2023.11.18
건축용어 231  (0) 2023.11.17
건축 용어 229  (0) 2023.11.17
건축용어228  (1) 2023.11.16
건축용어 227  (1) 2023.11.16

붙임 모르타르 얇은 벽돌을 붙이기 위해 바탕 모르타르 또는 벽돌 안 쪽 면에 사용하는 접착용 모르타르

선틀 블록 창문틀의 좌우에 붙여 쌓아 창문틀과 잘 물리게 된 특 수 블록

세로보강근 블록의 속빈 부분에 연직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의 총칭

세로줄눈 조적개체가 설치되는 수직 모르타르 줄눈

신축줄눈 벽돌 또는 벽돌이 접합하는 구체의 팽창 및 수축에 대 한 균열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설치하여 탄 력성을 갖게 한 줄눈

쌓기 높이 벽돌을 1일에 쌓아 올리는 높이

아치 쌓기 쐐기형으로 성형된 벽돌을 사용하든지 또는 줄눈두께 를 조정하여 아치형으로 쌓는 것

안채움 모르타르 벽돌쌓기공사에서 쌓기 벽돌과 콘크리트 구체 사이에 충전되는 모르타르

얇은 벽돌 벽 또는 바닥에 붙이는 두께 20mm 전후의 벽돌로 뒷발이 있으며, 한국산업표준 외의 벽돌

연결줄눈 내부 수직단면과 외부 수직단면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하는 모르타르 혹은 그라우팅의 수직줄눈

이형블록 용도에 의해 블록의 형상이 기본블록과 다른 창대블 록, 인방블록, 가로근 배근용 블록 및 기타 특수형으로 된 콘크리트 블록의 총칭

익스팬션 조인트 구조체의 지진 등에 의한 변형, 온냉 및 건습에 따른 변형을 흡수하도록 건축물의 연직방향으로 끊어 설치하 는 신축줄눈

인방블록 창문틀 위에 쌓아 철근과 콘크리트를 다져 넣어 보강 하게 된 U자형 블록

정착 철물 벽돌벽을 콘크리트 구체에 정착시키는 보강철물

줄눈 모르타르 벽돌의 줄눈에 벽돌을 상호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르타르

중간살 속빈 블록 개체의 내부에 속한 살 부분

중공벽돌 벽돌의 실체적이 겉보기 체적의 80% 미만인 벽돌로 각 구멍의 단면적이 300m² 이상, 단변이 10mm 이상인 벽돌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31  (0) 2023.11.17
건축용어 230  (0) 2023.11.17
건축용어228  (1) 2023.11.16
건축용어 227  (1) 2023.11.16
건축용어 226  (0) 2023.11.16

2016년 3월

> 실린더 내부에 기체가 채워져 있고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다. 초기 압력 50 kPa, 초기 체적 0.05 의 기체를 버너로 $PV^{1.4}$ = constant 가 되도록 가열하여 기체 의 체적이 0.2m3이 되었다면, 이 과정동안에 시스템이 한 일은?

정답: 2.66kJ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