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 광선,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여 각종 식물의 재배를 자유롭게 하는 구조물

용화소지질 도자기로 된 위생기구로 소재의 재질로 소지(素地)에 유약을 입힌 것

울타리 목재(생목이나 널 등 포함), 철재, 스테인리스, 알 루미늄 주물, 철망 등으로 경계를 짓거나 출입을 차단하 기 위한 시설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유조 석유, 가솔린 등을 담아두는 통

토목섬유 투수성(透水性)의 자재로 기초, 자연상태의 토양, 바 위, 토질(土質)자재와 함께 사용되며, 토목섬유에는 편물 (編物)ㆍ직물ㆍ부직포(不織布) 등의 4종류가 있음

파고라 뜰이나 편평한 지붕 위에 나무를 가로와 세로로 얹어 놓고 등나무 등의 덩굴성 식물을 올리어 만든 장식 및 차 양의 역할을 하는 정자나 길

폴리에틸렌 에틸렌을 중합하여 만드는 열가소성 수지

핸드홀 (건)지중에 매설하는 전화선 등의 부설ㆍ수리를 위해 매 설 구간 도중에 설치하는 구멍

변조 오수의 저류조와 퍼내기조를 조합한 구조

시유 도관 회유(灰釉)를 칠한 후 고화도소성(高火度燒成)을 한 도관

용화소지질 도자기로 된 위생기구로 소재의 재질로 소지(素地)에 유약을 입힌 것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에틸렌을 중합하여 만드는 열가소성 수지

핸드홀 지중에 매설하는 전화선 등의 부설ㆍ수리를 위해 매 설 구간 도중에 설치하는 구멍

연도 연기가 빠져나가는 통로로 굴뚝에 연결된 통상(筒狀) 부분

온실 광선,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여 각종 식물의 재배를 자유롭게 하는 구조물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62  (0) 2023.12.01
건축용어 261  (1) 2023.11.30
건축용어 259  (1) 2023.11.30
건축용어 258  (1) 2023.11.29
건축용어 257  (3) 2023.11.29

웨더스트립 틈새 바람이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가늘고 긴 자재

유공판 흡음 효과나 디자인 상의 목적에서 다수의 작은 구멍 을 뚫은 판

청정실 공기 부유입자의 농도를 명시된 청정도 수준 한계 이 내로 제어하여 오염 제어가 행해지는 공간으로 필요에 따 라 온도, 습도, 실내압, 조도, 소음 및 진동 등의 환경조성 에 대해서도 제어 및 관리가 행해지는 공간

코킹 ① 불연속을 밀폐(seal) 시키거나 또는 감추기 위해 기계적인 방법으로 용접부나 모재의 표면에 소성변형 을 가하는 작업 ② 점착성이 있는 자재로 작은 틈에 충전재를 넣는 것

탑코팅 마무리를 목적으로 한 최종 칠

패스박스 클린룸의 벽면에 설치되는 소형 물품의 이송용 장치

공동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9호 의 규정에 의한 공동구를 말하며, 지하 매설물(전기·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소방설비 등) 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개선, 도로 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

내화벽돌 내화점토를 구워서 만든 벽돌

담장 부지의 소유경계표시나 외부로부터의 침입 방지, 건물의 둘레나 공간의 구획을 위하여 흙, 벽돌, 블록, 석 재, 철근콘크리트, 기성 콘크리트판 등을 이용하여 설치 하는 구조물

대문 목재, 철재,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주물, 철망 등으로 만든 개폐가 가능한 구조물로 담장이나 울타리로 구획된 영역의 안과 밖을 연결하기 위하여 출입하는 위치에 설치

변조 오수의 저류조와 퍼내기조를 조합한 구조

부대시설 공동구의 기능을 유지하는 시설로서 공동구 관리 사무소, 급ㆍ배수설비, 환기설비, 전원설비, 조명설비, 중 앙통제설비, 방재설비, 상황표지판, 기타설비 등을 말함

시유 도관 회유(灰釉)를 칠한 후 고화도소성(高火度燒成)을 한 도관

연도 연기가 빠져나가는 통로로 굴뚝에 연결된 통상(筒狀) 부분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61  (1) 2023.11.30
건축용어 260  (1) 2023.11.30
건축용어 258  (1) 2023.11.29
건축용어 257  (3) 2023.11.29
건축용어 256  (1) 2023.11.29

브라인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피냉각물에 냉동효과를 전달하 는 부동액

서징포인트 풍압곡선 상에서의 최고 압력점

압축기 기체를 압축하여 그 압력을 높이는 기계

액분리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서 냉매액과 냉매가스를 분리 하는 장치

액셜팬 축방향으로 기체를 유동시키는 팬

오일포밍 오일과 냉매가 급격히 분리되어 윤활유에 거품이 일 어나는 현상

유닛쿨러 냉각관과 송풍기로 구성된 냉방 장치

유분리기 토출 가스 내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

응축기 증기를 냉각해 열을 빼앗아서 응축시키는 장치

증발기 냉동기를 구성하는 기기의 한가지로서 팽창밸브 에 의하여 팽창한 액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증발 열을 빼앗아 공기, 물, 브라인 등의 다른 유체를 냉각하는 일종의 열교환기

콘덴싱유닛 응축기와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싱 내에 갖춘 것

펌프다운 냉동기의 수리나 장기간 휴지 때에 냉매를 응축기에 회수하는 것

필터드라이어 냉동작용을 저해하는 수분을 흡수함과 동시에 필터 역할을 하는 장치

납벽돌 순도 99.9 % 이상의 납을 사용목적에 따라 규격화시킨 것

납유리 X-선 차폐성능을 갖춘 투명 유리

납판 순도 99.9% 이상의 납을 압연 가공한 것

메탈라스 얇은 강판을 그물모양으로 만든 것

연두못 못머리가 X-선 차폐성능을 갖는 못

공기청정도 입자 크기 0.1에서 5㎛의 입자가 1m3 중에 몇 개 포 함되어 있는가에 따라 나타낸 등급

상한농도 대상 입자의 최대 허용 농도를 나타냄

스트링거 가로 거더 위에 놓인 세로 보

액세스플로어 콘크리트 슬래브와 바닥 마감 사이에 배선이나 배관 을 하기 위한 공간을 둔 2중 바닥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60  (1) 2023.11.30
건축용어 259  (1) 2023.11.30
건축용어 257  (3) 2023.11.29
건축용어 256  (1) 2023.11.29
건축용어 255  (2) 2023.11.27

적층 아스팔 트 지붕공사 3겹 또는 4겹의 아스팔트 루핑 및 펠트의 매 겹을 용 융 아스팔트 또는 상온 아스팔트 접착제(아스팔트 시멘 트)를 사용하여 점착한 후, 최상층은 노출형 아스팔트 루 핑 또는 모래붙인 아스팔트 루핑 및 천연 골재층으로 마 감면을 형성하는 지붕방수 공법

가압공간 공기로 가압되는 공기막구조의 내부 공간

막 직포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섬유를 꼰 실을 경사. 위사 로 하여 짠 것으로 이방성을 가지고 있음

비가압공간 외피가 이중막구조(튜브 또는 에어메트 등)로 구성되 어 공기가압이 되지 않는 공기막구조의 내부 공간

시공과정 해석 부재 조립 순서에 따른 전 과정에서 구조의 안정과 응 력 안전을 확인하면서 시공오차의 흡수와 조정을 수행하 여 목표로 하는 완성 형상으로 유도하기 위한 해석

재단도 막구조에서 재단한 천을 봉합하여 설계 곡면을 형성 하기 위해 곡면을 근사적으로 평면 전개한 도면으로 입체 재단도 또는 커팅패턴이라고도 함

볼트 인장재로서 회전구멍이 천공된 특수 볼트

부재 연결체 사이를 이어주는 요소로서 선재와 연결부로 구성

선재 부재의 주자재로서 절점을 연결하는 자재

슬리브 ① 기계적 철근이음에 사용되는 연결재로 배관이나 덕트의 설치를 위해 벽체, 바닥 등을 관통하여 미리 매립하는 관이나 덕트 ② 연결구와 원추 사이에 위치하여 압축재로서 역할 을 하는 육각 너트 ③ 배관이나 덕트의 설치를 위해 벽체, 바닥 등을 관 통하여 미리 설치 매립하는 짧은 관이나 덕트

연결구 트러스를 구성하는 부재의 절점에 사용하는 부품

원추 선재의 양단에 접합되어 볼트와 연결체의 연결 시 응 력이 집중되는 부품

핀 슬리브와 볼트를 연결하여 슬리브의 회전을 통해 볼 트를 연결체와 체결되도록 하는 부품

냉각탑 냉각수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대기와 접촉시켜 물 을 냉각하는 장치

보스 회전체에서 축이 끼이는 부분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9  (1) 2023.11.30
건축용어 258  (1) 2023.11.29
건축용어 256  (1) 2023.11.29
건축용어 255  (2) 2023.11.27
건축용어 254  (2) 2023.11.27

굽도리 철판 지붕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면의 하단부에 비흘림 및 빗물막이를 위하여 설치하는 강판

두겁 겹침 아스팔트 펠트 적층지붕 공사 또는 아스팔트 싱글 지 붕 공사에서 처마 끝단에서부터 3번째 이상인 횡열부터 형성되는 겹침으로 2개단 아래쪽 횡열에 위치한 싱글의 상단부와 중간 횡열을 포함하여 최상단부의 아스팔트 싱 글이 겹치면서 형성되는 삼중 겹침부의 최소 폭

마름 겹침 지붕골이나 지붕마루에서 아스팔트 싱글이 맞닿는 형 태에 맞추어 절단 가공하여 밀실하게 겹침을 형성하는 이 음 방법

무기질 섬유 제품 싱글 ① 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품으로 설계도면이나 공사 시방서에서 별도로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4kg/m² 이상의 무게를 가진 제품 ② 유리섬유 제품의 아스팔트 싱글은 풍압에 대한 고 려가 필요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9.27kg/m² 이상인 제품을 사용하고 풍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경우에는 12.5kg/m² 이상의 제품을 사용

상단 겹침 횡열 간에 서로 인접한 아스팔트 싱글 사이의 겹침 폭

일반 아스팔트 싱글 단위 중량이 10.3kg/m² 이상 12.5kg/m2 미만인 아 스팔트 싱글 제품

중도리 주도리와 종도리 사이에 있는 도리로서, 처마도리와 평행으로 배치하여 서까래 또는 지붕널 등을 받는 가로재

중량 아스팔트 싱글 단위 중량이 12.5kg/m² 이상 14.2kg/m2 미만인 아 스팔트 싱글 제품

처마 거멀띠 지붕의 처마 및 박공처마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ㄷ-자 띠 형태로 덧대는 철판

초중량 아스팔트 싱글 단위 중량이 14.2kg/m² 이상인 아스팔트 싱글 제품

후레싱 지붕면에 돌출된 부위와 지붕면과의 연결 부위, 지붕 끝 부분 및 외벽과 만나는 부분 등에 댈 목적으로 용도나 부위의 형상에 맞도록 제작된 금속판

클릿과 클립 데크 등 바탕 위에 금속판 지붕을 고정하기 위해 잇기 부분에 합체되는 부착기구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8  (1) 2023.11.29
건축용어 257  (3) 2023.11.29
건축용어 255  (2) 2023.11.27
건축용어 254  (2) 2023.11.27
건축용어 253  (2) 2023.11.27

성적계수 : 성능을 나타내는 값

공식

냉동기 $COP_R = \frac{T_L}{T_H-T_L}$
열펌프 $COP_{HP} = \frac{T_H}{T_H-T_L}$
$COP_{HP} = COP_R$ + 1


2018년 4월

>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로 운전하는 냉동기에서 압축기 입구, 응축기 입구, 증발기 입구의 엔탈피가 각각 387.2kJ/kg, 435.1kJ/kg, 241.8kJ/kg일 경우 성능계수는 약 얼마인가?

정답: 3.0


해설: COP = $\frac{q_e}{w}$=$\frac{387.2-241.8}{435.1-387.2}$=3.0


2017년 8월

> 어떤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2kW이고, 이 냉장고의 응축기에서 방열되는 열량이 5kW라면, 냉장고의 성적계수는 얼마인가? (, 이론적인 증기압축 냉동사이클로 운전된다고 가정한다.)

정답: 1.5
해설: COP = $\frac{Q_e}{W} =\frac{Q_c-W}{W} = \frac{5-2}{2}$ 

> 증발온도 -30˚C, 응축온도 45˚C에서 작동되는 이상적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정답: 3.2
해설: COP = $ \frac{T_L}{T_H - T_L} = \frac{-30+273}{(45+273)-(-30+273)}$


2016년8월

> 카르노 열펌프와 카르노 냉동기가 있는데, 카르노 열펌프의 고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고열원 온도가 같고, 카르노 열펌프의 저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저열원 온도와 같다. 이때 카르로 열펌프의 성적계수($COP_{HP}$)와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COP_R$)의 관계로 옳은 것은?

정답: $COP_{HP} = COP_R$ + 1

열량 공식 = 비열 x 질량 x 온도변화

비열용량(比熱容量, Specific heat capacity) 또는 비열은 단위 질량의 물질 온도를 1도 높이는 데 드는 열에너지이다.

비열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수이다.

 

물질 비열 cal/(g·K) 물질 비열 cal/(g·K)
1 얼음 0.5
구리 0.0924 나무 0.41
0.107 유리 0.2
0.056 알코올 0.58
0.0309 수은 0.033
0.0305 알루미늄 0.215
금강석 0.121 0.0309
염화나트륨 0.206 황동 0.091
백금 0.0316 우라늄 0.027

 

단위 변환

1 [cal] = 4.187[J]
1 [W] = 1[J/S]


2019년 8월

> 두께 10mm, 열전도율 15W/m인 금속판 두 면의 온도가 각각 7050일 떄 전열면 1 1분 동안에 전달되는 열량(kJ)은 얼마인가?\

더보기

정답: 1800

해설: q = $\frac{λ}{l}A(t_1 - t_2)$
            = $\frac{15}{10\times10^{-3}}\times1\times(70-50)$
            = 30000 [w] 
            = 30000 [J/S] 
            = $30000\times10^{-3}\times60$ [kJ/min]
            = 1800[kJ/min]

 

> 다음 공기선도 상에서 난방풍량이 25000m3/h인 경우 가열코일의 열량(kW)? (, 1은 외기, 2는 실내 상태점을 나타내며, 공기의 비중량은 1.2kg/m3이다.)


2017년8월

> 2L1kW의 전열기를 사용하여 20˚C로부터 100˚C까지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몇 분(min)인가? (, 전열기 열량의 50%가 물을 가열하는데 유효하게 사용되고, 물은 증발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물의 비열은 4.18kJ/(kgK)이다.)

더보기

정답: 22.3
해설: Q = m$C(T_2-T_1)$ = 2 x 4.18 x (100-20) = 668.8kJ

 

> 체적이 0.1 인 용기 안에 압력 1MPa, 온도 250˚C의 공기가 들어 있다. 정적과정을 거쳐 압력이 0.35Mpa로 될 때 이 용기에서 일어난 열전달 과정으로 옳은 것은? (, 공기의 기체상수는 0.287kJ/(kgK), 정압비열은 1.0035 kJ/(kgK) 정적비열은 0.7165 kJ/(kgK)이다.)

더보기

정답: 162kJ의 열이 용기에서 나간다.
해설: 정적과정 가열량 Q=m$C_v(T_2-T_1)$ = 0.666 x 0.7165 x (183.05-523) = -162.2kJ
       1) m = $\frac{PV}{RT}$=$\frac{(1\times10^3)\times0.1}{0.287\times(250+273)}$ = 0.666kg
       2) $T_2=T_1\times\frac{0.35}{1}$ = 183.05K

 

> 냉각수 입구 온도가 15˚C이며 매분 40L로 순환되는 수냉식 응축기에서 시간당 18000kcal의 열이 제거되고 있을 때 냉각수 출구온도(˚C)?

더보기

정답: 22.5
해설: Q=m$C(T_2-T_1)$에서 $T_2=T_1+\frac{Q}{mC}$=15+$\frac{18000}{60\times40\times1}$


2017년5월

> 압력이 일정할 때 공기 5kg0에서 10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 비열(Cp)은 온도 T()에 관계한 함수로 Cp(kJ/kg)) = 1.01+0.000079×T이다.)

더보기

정답: 507

해설: δq = m ㆍ Cp ㆍ dT
          q = $\int_{T_1}^{T_2} mC_p \,dt$ = $m\int_{T_1}^{T_2} C_p \,dt$
             = 5 x $\int_{0}^{100} (1.01+0.000079T) \,dt$

 


2017년3월

> 10에서 160까지 공기의 평균 정적비열은 0.7315kJ/(kgK)이다. 이 온도 변화에서 공기 1kg의 내부에너지 변화는 약 몇 kJ인가?

더보기

정답: 109.7
해설: du=$C_v$dT=0.7315x(160-10) = 109.73kJ

> 온도 300K, 압력 100kPa 상태의 공기 0.2kg이 완전히 단열된 강체 용기 안에 있다. 패들(paddle)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공기에 5kJ의 일이 행해질 때 최종 온도는 약 몇 kJ인가? (, 공기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각각 1.0035kJ/(kgK), 0.7165kJ/(kgK)이다.)

더보기

정답:335
풀이: δQ=du+ δW에서 단열변화이므로 δQ=0, δW=du
         W = m$C_v(T_2-T_1)$에서 $T_2=T_1+\frac{W}{mC_v}=300+\frac{5}{0.2\times0.7165}$=334.9K


2016년8월

> 온도 150, 압력 0.5kPa의 이상기체 0.287kg정압과정에서 원래 체적의 2배로 늘어난다. 이 과정에서 가해진 열량은 약 얼마인가? (, 공기의 기체 상수는 0.287kJ/kgK이고, 정압비열은 1.004kJ/kgK이다.)

더보기

정답: 121.9kJ
해설: 정압과정  δQ = $mC_pdT$ = 0.287x1.004x(846-423) = 121.9kJ
          $\frac{V_1}{T_1}={V_2}{T_2}$ 에서
          $T_2=T_1\frac{V_2}{V_1}$ = $(150+273)\frac{2V_1}{V_1}$ = 846K

> 압력 200kPa, 체적 0.4m3인 공기가 정압 하에서 체적이 0.6m3로 팽창하였다. 이 팽창 중에 내부에너지가 100kJ만큼 증가하였으면 팽창에 필요한 열량은?

더보기

정답: 140
해석: δQ = dU+ PdV = 100+ 200x(0.6-0.4) = 140 kJ

> 질량 유량이 10kg/s인 터빈에서 수증기의 엔탈피가 800kJ/kg 감소한다면 출력은 몇 kW인가? (, 역학적 손실, 열손실은 모두 무시한다.)

더보기

정답: 8000
해석: W=m Δh = 10x800=8000kW
          1kW= 1kJ/s

> 순수한 물질로 되어 있는 밀폐계가 단열과정 중에 수행한 일의 절대값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변화는 무시한다.)

더보기

정답: 내부 에너지 변화량과 같다
해석: δQ = dU+ δW에서 단열과정은 δQ = 0 이므로 δW= - dU

> 2MPa 압력에서 작동하는 가역 보일러에 포화수가 들어가 포화증기가 되어서 나온다. 보일러의 물 1kg당 가한 열량은 약 몇 kJ인가? (, 2MPa 압력에서 포화온도는 212.4이고 이 온도는 일정하다. 그리고 포화수 비엔트로피는 2.4473kJ/kgK, 포화증기 비엔트로피는 6.3408kJ/kgK이다.)\

더보기

정답: 1890
해설: 열량 = 온도x 엔트로피 = (212.4+273)x(6.3408-2.4473) = 1889.9 kJ/kg

 


2016년5월

> 온도가 150인 공기 3kg이 정압 냉각되어 엔트로피가 1.063kJ/K 만큼 감소되었다. 이때 방출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gK이다.)

> 공기 1kg을 정적과정으로 40에서 120까지 가열하고, 다음에 정압과정으로 120에서 220까지 가열한다면 전체 가열에 필요한 열량으로 적절한 것은? (, 정압비열은 1.00kJ/kgK, 정적비열은 0.71kJ/kgK 이다.)

> 질량 1kg의 공기가 밀폐계에서 압력과 체적이 100kPa, 1m3이었는데 폴리트로픽 과정(PVn = 일정)을 거쳐 체적이 0.5m3이 되었다. 최종 온도(T2)와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U)은 각각 얼마인가? (, 공기의 기체상수는 287J/kgK, 정적비열은 718J/kgK, 정압비열은 1005J/kgK, 폴리트로프 지수는 1.3이다.)

평잇기 금속판 이음 부위가 바탕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이음 방법으로 평잇기는 일반적으로 급경사 지붕 및 외벽에 한 하여 적용

홈통 걸이 홈통을 고정하거나 지지하는 부재

후레싱 지붕면에 돌출된 부위와 지붕면과의 연결 부위, 지붕 끝 부분 및 외벽과 만나는 부분 등에 댈 목적으로 용도나 부위의 형상에 맞도록 제작된 금속판

흐름 방향 (세로 방향) 지붕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방향

강회다짐 누수 방지와 기와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토 위 에 시공하는 혼합재

개판 ① 서까래나 부연 위를 덮는 널 ② 서까래나 부연 사이에 끼는 판재

내림마루 박공, 합각 부분에 설치한 지붕마루

너새 박공이나 합각 부분에서 가로방향으로 이은 기와

막새기와 지붕의 처마 끝에 붙이는 치장용 기와로 암ㆍ수막새 가 있음

보토 지붕 경사를 잡기 위하여 적심목 또는 산자 위에 채워 넣는 혼합재

알매흙 (새우흙) 강회다짐 위에 암키와를 고정시키기 위해 까는 혼합재

와구토 처마 끝 수키와 마구리에 둥글게 바른 혼합재

용마루 ① 지붕면의 최상단에 설치한 지붕마루 ② 몸체의 지붕마루로 제일 높고 큰 마루

적심목 지붕 하중 경감, 하부의 목부재 보호 및 지붕 경사잡 기 등을 위하여 사용

절병통 모임지붕의 마루꼭대기에 모양을 내어 얹어놓은

지붕마루 각기 다른 지붕면이 서로 맞닿은 부분에 기와를 쌓아 올려서 꾸민 부분

추녀마루 (귀마루) 추녀 부분에 설치한 지붕마루

홍두깨흙 수키와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키와 밑에 채워 넣은 혼 합재

회첨 지붕면이 꺾이는 부분에 생기는 골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7  (3) 2023.11.29
건축용어 256  (1) 2023.11.29
건축용어 254  (2) 2023.11.27
건축용어 253  (2) 2023.11.27
건축용어 252  (2) 2023.11.24

레이크 지붕 경사에 수평으로 설치하는 부재 및 박공지붕에 서 벽과 박공지붕 사이에 마감하는 부재

바탕 방수 자재 금속판 지붕공사 등에 수밀성을 제공하거나 수밀성을 보강하기 위한 자재

바탕보드 지붕 마감 자재를 설치하기 위한 합판 등의 바탕 자재

박공벽 (측면 부분) 박공지붕에서 지붕 경사면과 벽과 만나는 삼각형의 부 분

방습지 실내 상대습도가 높은 공간(상대습도 45% 이상)의 지 붕 등에 결로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자재

서까래 처마도리와 중도리 및 마룻대 위에 지붕 경사의 방향 으로 걸쳐대고 산자나 지붕널을 받는 경사 부재

아이스 댐 1월 평균 기온이 -1 ℃ 이하인 지역의 지붕 등의 지 붕재 하부에 방수 및 방로를 위해 설치하는 자재

중도리 주도리와 종도리 사이에 있는 도리로서, 처마도리와 평행으로 배치하여 서까래 또는 지붕널 등을 받는 가로재

지붕마루 (용마루) 지붕 경사면이 교차되는 부분 중 상단 부분

지붕의 경사 (물매) 지붕 구조에서 수평 방향에 대한 높이의 비

착고 지붕의 상단 및 하단에 골 부분을 마무리한 자재

처마 경사 지붕에서 낮은 쪽 단부

처마 거멀띠 지붕의 처마 및 박공처마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ㄷ-자 띠 형태로 덧대는 철판

추녀 마루 지붕 위에 있는 지붕마루로 지붕귀에 있는 추녀의 바 로 위에 꾸민 귀마루

카운터 후레싱 벽 또는 기타 표면에 기본 후레싱 또는 이와 관련된 고정철물(패스너) 등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후레싱

크리켓 또는 새들 굴뚝 등 작은 지붕 관통 부위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바꾸도록 하는 구조물

클립 또는 거멀쪽 금속판 지붕의 금속판을 설치하기 위한 비연속적인 부재

클릿 또는 거 멀띠 금속판, 후레싱, 마감재 등을 설치하기 전에 설치하는 연속적인 부재

패스너 고정용 철물의 총칭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6  (1) 2023.11.29
건축용어 255  (2) 2023.11.27
건축용어 253  (2) 2023.11.27
건축용어 252  (2) 2023.11.24
건축용어 251  (2) 2023.11.24

지지깊이 그림 1.4-1의 c를 지지깊이라 한다.

철물 고정법 거울, 장식유리 등의 상하에 철물을 부착하여 하부의 받침 철물로서 그 중량을 지지하는 고정법

측면 블록 새시 내에서 유리가 일정한 면 클리어런스를 유지토 록 하며, 새시의 양측면에 대해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재료

치솟음 휨가공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유리의 단부가 형틀과 는 다르게 소정의 곡률로 되지 않는 부분

클린 컷 유리를 절단한 후 그 절단면에 구멍 흠집, 단면결손, 경사단면 등의 결함이 없이 깨끗이 절단된 상태

태피스트리 가공 샌드 블라스트 가공을 시행한 것에 화학물질 코팅 가공

폴리 비닐부티랄 (건)필름(PVB: poly vinyl butyral) 재질의 접합 유리용 필름

핀 홀 바탕 유리까지 도달하는 윤곽이 뚜렷한 얇은 막의 구멍

흡습제 작은 기공을 수억 개 갖고 있는 입자로 기체분자를 흡 착하는 성질에 의해 밀폐공간에 건조상태를 유지하는 재료

계단식 이음 물 흐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각재 또는 기타 고 정재로 고정하여 계단식 모양으로 지붕을 만드는 이음 방법

골(계곡) 경사 지붕에서 지붕 면이 교차되는 낮은 부분

굽도리 철판 지붕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면의 하단부에 비흘림 및 빗물막이를 위하여 설치하는 강판

금속제 절판 지붕 금속판을 V자, U자 또는 이에 가까운 모양으로 접어 제작한 지붕판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지붕

금속패널 지붕 공장에서 미리 패널 타입으로 성형하여 현장에서 설 치하는 지붕 금속패널

기와가락 잇기 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각재를 바닥에 고정한 후 규격에 맞춘 금속판으로 마감하여 각재 부위가 돌출되 어 있는 방법

너비 방향 (가로 방향) 지붕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방향과 직각인 방향

데크 일반적으로 바닥판(지붕공사에서는 roof deck)

돌출 잇기 금속판 이음 부위가 바탕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설치 하는 이음 방법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5  (2) 2023.11.27
건축용어 254  (2) 2023.11.27
건축용어 252  (2) 2023.11.24
건축용어 251  (2) 2023.11.24
건축용어 250  (1) 2023.11.24

2017년 5월

> 공기 중의 수분이 벽이나 천장, 바닥 등에 닿았을 때 응축되어 이슬이 맺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수분의 응축 결로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습한 외기를 도입하지 않도록 한다.
    벽체인 경우 단열재를 부착한다.
    유리창인 경우 2중유리를 사용한다.
     공기와 접촉하는 벽면의 온도를 노점온도 이하로 낮춘다.

>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 즉, 공기가 포화상태로 될 때의 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노점온도

2017년 5월

> 다음 공조방식 중 개별식에 속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팬 코일 유닛 방식 단일 덕트 방식     2중 덕트 방식 패키지 유닛 방식

정답 

> 에너지 절약의 효과 및 사무자동화(OA)에 의한 건물에서 내부발생열의 증가와 부하변동에 대한 제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대규모 사무실 건물에 적합한 공기조화 방식은?

    정풍량(CAV) 단일덕트 방식     유인유닛 방식     룸 쿨러 방식     ④  가변풍량(VAV) 단일덕트 방식

정답 ④

> 가변풍량 공조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다른 방식에 비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다.
    ② 실내공기의 청정화를 위하여 대풍량이 요구될 때 적합하다.
    각 실의 실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때 적합하다.
    동시사용률을 고려하여 기기용량을 결정할 수 있어 정풍량 방식에 비하여 기기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정답: ②

> 단일덕트 재열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냉각기에 재열부하가 추가된다.  
   
송풍 공기량이 증가한다.
    실별 제어가 가능하다.
    ④ 현열비가 큰 장소에 적합하다.

정답 ④


2016년8월

> 유인 유닛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각 실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다.
    유닛에는 가동부분이 없어 수명이 길다.
    ③ 덕트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④ 송풍량이 비교적 커 외기냉방 효과가 크다.

정답 ④

> 다음 중 전공기방식이 아닌 것은?

    이중 덕트 방식 단일 덕트 방식     멀티존 유닛 방식 유인 유닛 방식

정답 ④

> 정풍량 단일덕트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실내부하가 감소될 경우에 송풍량을 줄여도 실내공기의 오염이 적다.
    ②  가변풍량방식에 비하여 송풍기 동력이 커져서 에너지 소비가 증대한다.
    각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이 서로 다른 건물에서도 온·습도의 불균형이 생기지 않는다.
    송풍량과 환기량을 크게 계획할 수 없으며, 외기도입이 어려워 외기냉방을 할 수 없다.

정답: ②

스페이서 ① 거푸집 간격유지와 철근, 프리스트레스용 강 재, 쉬스 등에 소정의 철근피복을 가지게 하거나 그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콘크리트 제, 모르타르제, 금속제, 플라스틱제 등의 부품 ② 유리 끼우기 홈의 측면과 유리면 사이의 면 클리어 런스를 주며, 유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블록

에칭 화학약품에 의한 부식현상을 응용한 가공

에틸렌비닐아 세테이트 접합 유리 소재로 사용 함

열깨짐 태양의 복사열 작용에 의해 열을 받는 부분과 받지 않 는 부분(끼우기홈 내)의 팽창성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응 력으로 인하여 유리가 파손되는 현상

열선 반사 유리 판유리의 한쪽 면에 열선반사막을 코팅하여 일사열의 차폐성능을 높인 유리

완충재 충격시 유리 절단면과 새시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 하기 위해서 새시의 좌우 측면에 끼우는 고무블록

유리 단부 판유리를 절단했을 때 절단된 단면의 절단각, 절단면, 절단부위의 총칭

유리 일람표 해당 건물에 사용되는 유리의 전체 사양이 표시된 것 으로 일반적으로는 종류, 두께, 형태, 치수, 가공방법 등 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수량을 기입한 형태

유리펜스 고정법 단의 측판 또는 바닥에 매입된 철물을 사용하여 강화 유리, 접합 유리 등을 세워 난간, 실내 칸막이, 요벽 등을 구성하는 고정법

절단면연마 유리 절단 후에 각진 절단부위를 적절히 연마하는 방 법

절단면연마 유리 절단 후에 각진 절단부위를 적절히 연마하는 방 법

접착, 지지철물 병용 고정법 거울, 장식유리 등의 뒷면을 바탕면에 접착하고 유리 단부를 지지철물로 고정하는 방법

접착, 지지철물 병용 고정법 거울, 장식유리 등의 뒷면을 바탕면에 접착하고 유리 단부를 지지철물로 고정하는 방법

조면 연마 가장 기초적인 절단면 처리로서 연마재는 #120~#200 정도를 사용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4  (2) 2023.11.27
건축용어 253  (2) 2023.11.27
건축용어 251  (2) 2023.11.24
건축용어 250  (1) 2023.11.24
건축용어 249  (0) 2023.11.23

끼우기 홈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창틀에 설치하는 홈

나사고정법 거울, 장식유리 등의 모서리에 구멍을 뚫어 장식나사 로 고정하는 방법

단면결손 절단면에 집중적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 유리면이 움푹 패이는 현상

단부 클리어 런스 KCS 41 55 09 그림 1.4-1에 표기된 치수 b

단열간봉 복층 유리의 간격을 유지하며 열 전달을 차단하는 재 료로, 기존의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간봉의 취약한 단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warm-edge technology를 적용한 간봉

대형 판유리 고정법 그레이징 시스템 공법(금속 클램프를 이용하여 보나 슬래브에 매다는 고정법), 리브 보강그레이징 시스템 공 법(금속 멀리언 대신에 리브유리를 측부 보강재료로 사용 하는 시공법), 그리고 이들을 복합한 판유리 고정 방법

레진접합 두 장의 유리사이에 레진을 부어 넣은 후 굳혀 접합하 는 방법

로이유리 열 적외선을 반사하는 은소재 도막으로 코팅하여 방 사율과 열관류율을 낮추고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인 유리 로서 일반적으로 다층 유리로 제조하여 사용

면 클리어런스 유리를 프레임에 고정할 때 유리와 프레임 사이에 여 유를 주는 것

배강도 유리 플로트판유리를 연화점부근(약 700 ℃)까지 가열 후 양 표면에 냉각공기를 흡착시켜 유리의 표면에 20 이상 60 이하(N/mm²)의 압축응력층을 갖도록 한 가공유리

백업재 실링재의 시공 시에 줄눈깊이 조정이나 줄눈바탕에서 의 부착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

부정형 실링재 고정법 부정형 실링재 고정법에는 탄성 실링재 고정법이 있 으며 탄성실링재 고정법은 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의 U 형 홈 또는 누름고정용 홈에 유리를 끼우는 경우에 탄성 실링재를 사용하는 고정법임

샌드 블라스트 가공 유리면에 기계적으로 모래를 뿌려 미세한 흠집을 만 들어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목적의 가공

세팅 블록 새시 하단부의 유리끼움용 부재료로서 유리의 자중을 지지하는 고임재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3  (2) 2023.11.27
건축용어 252  (2) 2023.11.24
건축용어 250  (1) 2023.11.24
건축용어 249  (0) 2023.11.23
건축용어 248  (1) 2023.11.23

클로셔 패널과 용마루 후레싱과의 연결 부분을 마감하는 재료

클리어런스 유리판이나 패널의 평면 내에 있어서 모서리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된 값

타이플레이트 공법 패널의 양단부를 타이플레이트와 못을 이용하여 구조 체에 고정시키는 수직 또는 수평벽 패널의 설치방법

탈형 시 강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탈형 시 콘크리트 압축강도

패널 샌드위치 형태로 결합된 조립식 복합자재

현장대리인 공사계약일반조건 제18조의 공사현장 대리인으로서, 현장에서 전반적인 공사 업무와 관리를 책 임 있게 시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건설기술인

후레싱 지붕면에 돌출된 부위와 지붕면과의 연결 부위, 지붕 끝 부분 및 외벽과 만나는 부분 등에 댈 목적으로 용도나 부위의 형상에 맞도록 제작된 금속판

강화 유리문 고정법 강화 유리문을 플로어 힌지 등의 철물을 사용하여 고 정하는 방법

경사단면 유리절단시 발생하는 결함

구멍흠집 유리면에 경도가 높은 재질이 국부적으로 접촉할 때 생기는 흠집

구조 개스킷 클로로프렌 고무 등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유리의 보호 및 지지기능과 수밀기능을 지닌 개스킷

구조 개스킷 고정법 구조 개스킷 고정법에는 Y형 개스킷 고정법, H형 개 스킷 고정법이 있음. Y형 개스킷 고정법은 콘크리트, 돌 등의 U형 홈에 Y형 구조 개스킷을 설치하여 유리를 끼우 는 고정법이며. H형 개스킷 고정법은 금속프레임 등에 H 형 개스킷을 사용해서 유리를 설치하는 방법

그레이징 개 스킷 염화비닐 등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유리끼움용 부재료

그레이징 개 스킷 고정법 그레이징 개스킷 고정법에는 그레이징 채널 고정법과 그레이징 비드 고정법이 있음

그레이징 비드 고정법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누름고정용 홈에 유리를 끼우 는 경우에 J형 그레이징 비드를 사용하는 고정법

그레이징 채 널 고정법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U형 홈에 유리를 끼우는 경우 에 U형 그레이징 채널을 사용하는 고정법

끼우기 유리를 새시 등의 끼우기 홈에 규정대로 끼우는 것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2  (2) 2023.11.24
건축용어 251  (2) 2023.11.24
건축용어 249  (0) 2023.11.23
건축용어 248  (1) 2023.11.23
건축용어 247  (2) 2023.11.23

오 볼트(이하 O-bolt라 함) 공법 패널의 장변 방향 또는 단변 방향으로 강봉을 삽입하 여 이를 관통하는 O-bolt를 제트플레이트(Z-plate)에 긴 결하여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수직 또는 수평벽 패널 설치 방법

유닛 시스템 커튼월 구성부재를 공장에서 완전히 유닛화하여 현장 에 반입 취부하는 방법

유효단면 유효하다고 간주하는 구조계산에 적용되는 단면

장변 패널 주근에 평행인 방향의 변 또는 측면

접착 모르타르 패널과 패널의 맞닿는 면의 접합을 위해 사용하는 모 르타르

접촉부식 금속이 우수나 다른 원인에 의해 생기는 부식성 용액 에 접하거나 침식된 상태에서 일으키는 화학적 부식 또는 부식이 일어날 때 접하는 2종의 금속 중에서 전위가 낮은 쪽의 금속에서 생기는 전기화학적 부식

접합철물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제품

제조업자 패널 또는 블록을 생산ㆍ공급하는 자

조정용 철물 커튼월의 부착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착 위치 조정용의 철물

조합방식 시스템 유닛월방식과 스틱월방식의 조합방식

직결볼트 패널을 목구조체나 철골 구조체에 부착하는 볼트

처마캡 물홈통이 없는 처마 부분을 마감하는 금속판 가공재 료

충전 모르타르 구조내력상 성능이 요구되는 부위의 접합을 위한 충전재

충전재 블록과 블록, 패널부재 상호간 또는 블록 및 패널과 타 부재와의 틈새에 충전용으로 사용되는 재료

층간변위 건물구조체에서 풍력 또는 지진력 등에 의해 발생하 는 서로 인접하는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의 상대수평변위

캡 직결볼트 체결 후 침수를 방지하고 볼트의 방청을 위 하여 설치하는 부품

커버플레이트 공법 패널의 양단부를 커버플레이트와 볼트를 이용하여 설 치하는 수평벽 패널 설치방법

커튼월 공장생산 부재로 구성되는 건물의 비내력 외벽의 총칭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1  (2) 2023.11.24
건축용어 250  (1) 2023.11.24
건축용어 248  (1) 2023.11.23
건축용어 247  (2) 2023.11.23
건축용어 246  (2) 2023.11.22

비드 ① 유리나 패널을 새시나 형틀에 고정하기 위해 이 주 위전체에 사용하는 금속이나 목재의 세재, 또는 가는 형상의 탄성성형 실링재 ② 1회의 패스에 의해 만들어진 용접금속

비전 부분 외부를 전망할 수 있는 부분

상대변위 어떤 부재를 기준으로서 측정한 다른 부재의 변위

선부착 재료 새시, 곤돌라용 가이드 레일, 타일, 마감재 등 커튼월 주부재에 미리 부착하여 반입, 설치하는 부재

설계기준강도 구조설계에서 기준으로 하는 콘크리트의 강도

수직벽 패널의 장변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벽

수직철근 공법 패널간의 접합부에 접합철물을 통해 수직보강 철근을 배근하고 틈새는 모르타르를 충전함으로써 패널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시키는 수직벽 패널 설치방법

수평벽 패널의 장변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벽

스토퍼 해빙기나 적설기에 지붕의 얼음이나 눈이 일시에 낙 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턱

스틱월, 녹다운 (분해조립 공법) 시스템 구성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창틀을 만드는 공법

스팬드럴 부분 외벽의 상단 비전 부분과 하단 비전 부분과의 사이 부분

슬라이드 공법 패널간의 수직줄눈 공동부 중 패널 하부는 보강철근 을 배근한 후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고정시키며, 상부는 접합철물을 설치하여 패널 상단면 내 수평방향으로 슬라 이드되도록 하는 수직벽 패널 설치방법

시공도 블록과 패널의 종류, 수량, 설치위치와 방법 등이 포 함된 블록과 패널 시공에 필요한 도면

실링재 건축물의 부재와 부재 접합부 줄눈에 충전하면 경화 후 양 부재에 접착하여 수밀성, 기밀성을 확보하는 재료

쌓기 모르타르 블록과 블록이 맞닿는 면에 쌓기용으로 사용되는 전 용 모르타르

연결용 철물 커튼월 부재에 부착한 철물과 구체에 부착한 철물과 의 연결에 사용되는 철물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50  (1) 2023.11.24
건축용어 249  (0) 2023.11.23
건축용어 247  (2) 2023.11.23
건축용어 246  (2) 2023.11.22
건축용어 245  (1) 2023.11.22

면 구성재 커튼월면을 구성하는 각 부재

면(面) 클리어 런스 유리와 같은 판상재의 내ㆍ외면과 이것을 고정하는 틀이나 충전재 내측과의 사이거리로서, 부재의 표면에서 수직으로 측정하는 값

모서리 유리판이나 패널 단부와 그것을 끼운 프레임과의 사 이거리

미장 모르타르 도장마감용 및 표면경도의 강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모르타르

바탕철물 패널 설치를 위하여 골조에 매입 또는 용접하여 바탕 을 만드는 철물

백업재 실링재의 시공 시에 줄눈깊이 조정이나 줄눈바탕에서 의 부착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

베이스 채널 바닥과 외벽 연결부위에 설치하는 재료

보강철근 패널과 패널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조인트 부위에 삽입하는 철근

보강철물 ① 블록 및 패널의 교차 부위 또는 모서리 부위, 블록 및 패널과 문틀, 창호의 접합부 위에 보강용으로 사용 되는 철물의 총칭 ② 정착철물과 벽돌쌓기벽을 콘크리트 구체에 연결하 여 면 외의 전도를 방지하고, 철물과 벽돌의 하중을 구체에 분담시키기 위해 벽돌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 치하는 철물 등의 총칭

보수 모르타 르 블록 및 패널의 파손 부위의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모 르타르

복합 커튼월 금속을 사용한 부재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사용 한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커튼월

볼트조임 공 법 패널 장변 방향의 양단에 구멍을 뚫고, 이를 관통하는 볼트로 고정시키는 수직 또는 수평벽 패널 및 지붕패널 설치방법

부대공사 부 재 커튼박스, 라이프 볼트, 난간, 간판, 항공표식 등(燈) 등 주로 현장부착 후의 커튼월 부재에 부착되는 부속적인 재료 또는 부품

부재부착철물 커튼월 부재에 미리 부착해 두는 부착용 철물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9  (0) 2023.11.23
건축용어 248  (1) 2023.11.23
건축용어 246  (2) 2023.11.22
건축용어 245  (1) 2023.11.22
건축용어 244  (1) 2023.11.22

고래 연기가 흐르는 통로

구들 연기에 의해 가열되는 바닥구조체 시스템

구들장 구들의 고래 상부를 덮는 수평석재

방고래 구들의 일부로 방바닥 하부 연기이동 통로

불목 아궁이에서 연기가 유동하는 통로중에서 협소한 부분

불아궁 재료가 연소되는 화로 부분

허튼고래 고래가 분산되어 구성된 형태

온돌패널 방열관 또는 전열선을 포함하는 패널유닛을 조립하여 방바닥을 구성하는 온돌

조립식 온돌 의 바닥패널 방열관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판재와 차음·단열성능을 향 상시키기 위하여 단열 완충재를 사용한 하부판재로 구성 되는 조립식 바닥판

1차 실링재 건물 외측에 시공하는 실링재

2차 실링재 1차 실링재의 보조로서 커튼월 구성부재의 건물 내측 에 시공하는 실링재

감압공간 커튼월 부재간의 접합부에 기압의 차에 의해 빗물이 건물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공간

개스킷 커튼월 부재의 지지 접합부의 실링재로 사용하는 고 무탄성을 가진 성형 재료

경량기포 콘크리트 패널 고온 고압에서 증기양생을 한 경량 기포콘크리트로서 규석, 시멘트, 생석회를 주원료로 하여 생산된 패널

고름 모르타르 블록의 첫 단 작업 시 수평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모르타르

내화줄눈재 내화성능 확보를 위해 패널 사이의 틈새에 충전하는 재료

단변 패널 주근에 직각인 방향의 변 또는 측면

담당원 ① 발주자가 지정한 감독자 및 감독보조원 ② 건축법과 주택법상의 감리원과 건설기술진흥법상 의 건설사업관리기술자

마감도재 패널 표면에 칠하거나 도포하는 마감재의 총칭

매입 재료 새시, 곤돌라용 가이드 레일, 타일, 마감재 등 프리캐 스트 콘크리트 타설 전에 콘크리트에 매입하는 재료

매입 철물 인서트, 볼트, 플레이트 등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의 콘크리트 타설 시 미리 매설하여 두고, 콘크리트에 매 입하여 고정하는 부재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8  (1) 2023.11.23
건축용어 247  (2) 2023.11.23
건축용어 245  (1) 2023.11.22
건축용어 244  (1) 2023.11.22
건축용어 243  (0) 2023.11.21

치장줄눈 벽돌이나 시멘트 블록의 벽면을 치장으로 할 때 줄눈 을 곱게 발라 마무리한 줄눈

타일 속면 모르타르가 붙는 타일의 안쪽면(뒷면)

타일 유닛 일정한 줄눈간격을 설치하여 바닥에 나열한 소정 매 수의 타일 표면에 플라스틱 필름 또는 그라우트 사포 등 을 부착하여 유닛화한 것.

통로 줄눈 타일의 줄눈이 잘 맞추어지도록 의도적으로 수직ㆍ수 평으로 설치한 줄눈

흡수 조정재 모르타르의 수분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바탕 면에 도포하는 합성수지 에멀션 재료

논슬립 계단 디딤판 끝에 금속재 판을 대어 계단을 오르내릴 때 미끄러지는 것을 저감시키기위해 설치하는 철물

드라이브 핀 타정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핀

레지스터 공기환기구에 사용되는 기성제 통풍 금속물

롤 플러그 벽에 못을 박을 때 사용하는 플라스틱 못집

맨홀 하수관 내의 점검이나 청소 등을 위한 출입구에 사용 되는 기성제 철물

앵커 스크루 콘크리트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거기에 꽂아서 앵커 로 사용하는 철물

앵커볼트 ① 구조물의 기둥, 벽체, 교각, 토대 등을 기초에 고정 하기 위해 이용하는 매입식 볼트 ② 닻과 같이 생긴 것으로, 기계류를 콘크리트 바닥이 나 그 밖의 기초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볼트로 서 기초 볼트의 일종

익스펜션 볼 트 콘크리트용 볼트 등에 사용하는 타입(打入) 볼트로, 끝이 쪼개져서 벌어지게 되어 있는 볼트

조이너 팽창 줄눈 보호물 공사에 사용하는 기성제 철물

줄눈대 테라조 등의 현장갈기에 사용하거나, 바닥용, 천장 및 벽에 사용하는 철물

코너비드 기둥과 벽 등의 모서리에 설치하여 미장면을 보호하 기 위해 설치하는 보호철물

펀칭메탈 얇은 금속판에 다양한 모양으로 도려낸 장식철물

개자리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위한 굴뚝 하부의 공간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 247  (2) 2023.11.23
건축용어 246  (2) 2023.11.22
건축용어 244  (1) 2023.11.22
건축용어 243  (0) 2023.11.21
건축용어 242  (0) 2023.11.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