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실 공기 부유입자의 농도를 명시된 청정도 수준 한계 이 내로 제어하여 오염 제어가 행해지는 공간으로 필요에 따 라 온도, 습도, 실내압, 조도, 소음 및 진동 등의 환경조성 에 대해서도 제어 및 관리가 행해지는 공간
코킹 ① 불연속을 밀폐(seal) 시키거나 또는 감추기 위해 기계적인 방법으로 용접부나 모재의 표면에 소성변형 을 가하는 작업 ② 점착성이 있는 자재로 작은 틈에 충전재를 넣는 것
탑코팅 마무리를 목적으로 한 최종 칠
패스박스 클린룸의 벽면에 설치되는 소형 물품의 이송용 장치
공동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9호 의 규정에 의한 공동구를 말하며, 지하 매설물(전기·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소방설비 등) 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개선, 도로 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
내화벽돌 내화점토를 구워서 만든 벽돌
담장 부지의 소유경계표시나 외부로부터의 침입 방지, 건물의 둘레나 공간의 구획을 위하여 흙, 벽돌, 블록, 석 재, 철근콘크리트, 기성 콘크리트판 등을 이용하여 설치 하는 구조물
대문 목재, 철재,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주물, 철망 등으로 만든 개폐가 가능한 구조물로 담장이나 울타리로 구획된 영역의 안과 밖을 연결하기 위하여 출입하는 위치에 설치
변조 오수의 저류조와 퍼내기조를 조합한 구조
부대시설 공동구의 기능을 유지하는 시설로서 공동구 관리 사무소, 급ㆍ배수설비, 환기설비, 전원설비, 조명설비, 중 앙통제설비, 방재설비, 상황표지판, 기타설비 등을 말함
적층 아스팔 트 지붕공사 3겹 또는 4겹의 아스팔트 루핑 및 펠트의 매 겹을 용 융 아스팔트 또는 상온 아스팔트 접착제(아스팔트 시멘 트)를 사용하여 점착한 후, 최상층은 노출형 아스팔트 루 핑 또는 모래붙인 아스팔트 루핑 및 천연 골재층으로 마 감면을 형성하는 지붕방수 공법
가압공간 공기로 가압되는 공기막구조의 내부 공간
막 직포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섬유를 꼰 실을 경사. 위사 로 하여 짠 것으로 이방성을 가지고 있음
비가압공간 외피가 이중막구조(튜브 또는 에어메트 등)로 구성되 어 공기가압이 되지 않는 공기막구조의 내부 공간
시공과정 해석 부재 조립 순서에 따른 전 과정에서 구조의 안정과 응 력 안전을 확인하면서 시공오차의 흡수와 조정을 수행하 여 목표로 하는 완성 형상으로 유도하기 위한 해석
재단도 막구조에서 재단한 천을 봉합하여 설계 곡면을 형성 하기 위해 곡면을 근사적으로 평면 전개한 도면으로 입체 재단도 또는 커팅패턴이라고도 함
볼트 인장재로서 회전구멍이 천공된 특수 볼트
부재 연결체 사이를 이어주는 요소로서 선재와 연결부로 구성
선재 부재의 주자재로서 절점을 연결하는 자재
슬리브 ① 기계적 철근이음에 사용되는 연결재로 배관이나 덕트의 설치를 위해 벽체, 바닥 등을 관통하여 미리 매립하는 관이나 덕트 ② 연결구와 원추 사이에 위치하여 압축재로서 역할 을 하는 육각 너트 ③ 배관이나 덕트의 설치를 위해 벽체, 바닥 등을 관 통하여 미리 설치 매립하는 짧은 관이나 덕트
굽도리 철판 지붕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면의 하단부에 비흘림 및 빗물막이를 위하여 설치하는 강판
두겁 겹침 아스팔트 펠트 적층지붕 공사 또는 아스팔트 싱글 지 붕 공사에서 처마 끝단에서부터 3번째 이상인 횡열부터 형성되는 겹침으로 2개단 아래쪽 횡열에 위치한 싱글의 상단부와 중간 횡열을 포함하여 최상단부의 아스팔트 싱 글이 겹치면서 형성되는 삼중 겹침부의 최소 폭
마름 겹침 지붕골이나 지붕마루에서 아스팔트 싱글이 맞닿는 형 태에 맞추어 절단 가공하여 밀실하게 겹침을 형성하는 이 음 방법
무기질 섬유 제품 싱글 ① 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품으로 설계도면이나 공사 시방서에서 별도로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4kg/m² 이상의 무게를 가진 제품 ② 유리섬유 제품의 아스팔트 싱글은 풍압에 대한 고 려가 필요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9.27kg/m² 이상인 제품을 사용하고 풍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경우에는 12.5kg/m² 이상의 제품을 사용
상단 겹침 횡열 간에 서로 인접한 아스팔트 싱글 사이의 겹침 폭
일반 아스팔트 싱글 단위 중량이 10.3kg/m² 이상 12.5kg/m2 미만인 아 스팔트 싱글 제품
중도리 주도리와 종도리 사이에 있는 도리로서, 처마도리와 평행으로 배치하여 서까래 또는 지붕널 등을 받는 가로재
중량 아스팔트 싱글 단위 중량이 12.5kg/m² 이상 14.2kg/m2 미만인 아 스팔트 싱글 제품
처마 거멀띠 지붕의 처마 및 박공처마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ㄷ-자 띠 형태로 덧대는 철판
초중량 아스팔트 싱글 단위 중량이 14.2kg/m² 이상인 아스팔트 싱글 제품
후레싱 지붕면에 돌출된 부위와 지붕면과의 연결 부위, 지붕 끝 부분 및 외벽과 만나는 부분 등에 댈 목적으로 용도나 부위의 형상에 맞도록 제작된 금속판
클릿과 클립 데크 등 바탕 위에 금속판 지붕을 고정하기 위해 잇기 부분에 합체되는 부착기구
> 카르노 열펌프와 카르노 냉동기가 있는데, 카르노 열펌프의 고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고열원 온도가 같고, 카르노 열펌프의 저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저열원 온도와 같다. 이때 카르로 열펌프의 성적계수($COP_{HP}$)와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COP_R$)의 관계로 옳은 것은?
정답: 22.3 해설: Q = m$C(T_2-T_1)$ = 2 x 4.18 x (100-20) = 668.8kJ
> 체적이 0.1 ㎥인 용기 안에 압력 1MPa, 온도 250˚C의 공기가 들어 있다. 정적과정을 거쳐 압력이 0.35Mpa로 될 때 이 용기에서 일어난 열전달 과정으로 옳은 것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0.287kJ/(kgㆍK), 정압비열은 1.0035 kJ/(kgㆍK) 정적비열은 0.7165 kJ/(kgㆍK)이다.)
> 온도 300K, 압력 100kPa 상태의 공기 0.2kg이 완전히 단열된 강체 용기 안에 있다. 패들(paddle)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공기에 5kJ의 일이 행해질 때 최종 온도는 약 몇 kJ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각각 1.0035kJ/(kgㆍK), 0.7165kJ/(kgㆍK)이다.)
정답: 내부 에너지 변화량과 같다 해석: δQ = dU+ δW에서 단열과정은 δQ = 0 이므로 δW= - dU
> 2MPa 압력에서 작동하는 가역 보일러에 포화수가 들어가 포화증기가 되어서 나온다. 보일러의 물 1kg당 가한 열량은 약 몇 kJ인가? (단, 2MPa 압력에서 포화온도는 212.4℃ 이고 이 온도는 일정하다. 그리고 포화수 비엔트로피는 2.4473kJ/kgㆍK, 포화증기 비엔트로피는 6.3408kJ/kgㆍK이다.)\
> 온도가 150℃인 공기 3kg이 정압 냉각되어 엔트로피가 1.063kJ/K 만큼 감소되었다. 이때 방출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gㆍK이다.)
> 공기 1kg을 정적과정으로 40℃에서 120℃까지 가열하고, 다음에 정압과정으로 120℃에서 220℃까지 가열한다면 전체 가열에 필요한 열량으로 적절한 것은? (단, 정압비열은 1.00kJ/kgㆍK, 정적비열은 0.71kJ/kgㆍK 이다.)
> 질량 1kg의 공기가 밀폐계에서 압력과 체적이 100kPa, 1m3이었는데 폴리트로픽 과정(PVn = 일정)을 거쳐 체적이 0.5m3이 되었다. 최종 온도(T2)와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U)은 각각 얼마인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287J/kgㆍK, 정적비열은 718J/kgㆍK, 정압비열은 1005J/kgㆍK, 폴리트로프 지수는 1.3이다.)
> 에너지 절약의 효과 및 사무자동화(OA)에 의한 건물에서 내부발생열의 증가와 부하변동에 대한 제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대규모 사무실 건물에 적합한 공기조화 방식은?
① 정풍량(CAV) 단일덕트 방식 ② 유인유닛 방식 ③ 룸 쿨러 방식 ④ 가변풍량(VAV) 단일덕트 방식
정답 ④
> 가변풍량 공조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다른 방식에 비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다. ② 실내공기의 청정화를 위하여 대풍량이 요구될 때 적합하다. ③ 각 실의 실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때 적합하다. ④ 동시사용률을 고려하여 기기용량을 결정할 수 있어 정풍량 방식에 비하여 기기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정답: ②
> 단일덕트 재열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냉각기에 재열부하가 추가된다. ② 송풍 공기량이 증가한다. ③ 실별 제어가 가능하다. ④ 현열비가 큰 장소에 적합하다.
정답 ④
2016년8월
> 유인 유닛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각 실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다. ② 유닛에는 가동부분이 없어 수명이 길다. ③ 덕트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④ 송풍량이 비교적 커 외기냉방 효과가 크다.
정답 ④
> 다음 중 전공기방식이 아닌 것은?
① 이중 덕트 방식② 단일 덕트 방식 ③ 멀티존 유닛 방식 ④ 유인 유닛 방식
정답 ④
> 정풍량 단일덕트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실내부하가 감소될 경우에 송풍량을 줄여도 실내공기의 오염이 적다. ② 가변풍량방식에 비하여 송풍기 동력이 커져서 에너지 소비가 증대한다. ③ 각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이 서로 다른 건물에서도 온·습도의 불균형이 생기지 않는다. ④ 송풍량과 환기량을 크게 계획할 수 없으며, 외기도입이 어려워 외기냉방을 할 수 없다.
스페이서 ① 거푸집 간격유지와 철근, 프리스트레스용 강 재, 쉬스 등에 소정의 철근피복을 가지게 하거나 그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콘크리트 제, 모르타르제, 금속제, 플라스틱제 등의 부품 ② 유리 끼우기 홈의 측면과 유리면 사이의 면 클리어 런스를 주며, 유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블록
에칭 화학약품에 의한 부식현상을 응용한 가공
에틸렌비닐아 세테이트 접합 유리 소재로 사용 함
열깨짐 태양의 복사열 작용에 의해 열을 받는 부분과 받지 않 는 부분(끼우기홈 내)의 팽창성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응 력으로 인하여 유리가 파손되는 현상
열선 반사 유리 판유리의 한쪽 면에 열선반사막을 코팅하여 일사열의 차폐성능을 높인 유리
완충재 충격시 유리 절단면과 새시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 하기 위해서 새시의 좌우 측면에 끼우는 고무블록
유리 단부 판유리를 절단했을 때 절단된 단면의 절단각, 절단면, 절단부위의 총칭
유리 일람표 해당 건물에 사용되는 유리의 전체 사양이 표시된 것 으로 일반적으로는 종류, 두께, 형태, 치수, 가공방법 등 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수량을 기입한 형태
유리펜스 고정법 단의 측판 또는 바닥에 매입된 철물을 사용하여 강화 유리, 접합 유리 등을 세워 난간, 실내 칸막이, 요벽 등을 구성하는 고정법
절단면연마 유리 절단 후에 각진 절단부위를 적절히 연마하는 방 법
절단면연마 유리 절단 후에 각진 절단부위를 적절히 연마하는 방 법
접착, 지지철물 병용 고정법 거울, 장식유리 등의 뒷면을 바탕면에 접착하고 유리 단부를 지지철물로 고정하는 방법
접착, 지지철물 병용 고정법 거울, 장식유리 등의 뒷면을 바탕면에 접착하고 유리 단부를 지지철물로 고정하는 방법
타이플레이트 공법 패널의 양단부를 타이플레이트와 못을 이용하여 구조 체에 고정시키는 수직 또는 수평벽 패널의 설치방법
탈형 시 강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탈형 시 콘크리트 압축강도
패널 샌드위치 형태로 결합된 조립식 복합자재
현장대리인 공사계약일반조건 제18조의 공사현장 대리인으로서, 현장에서 전반적인 공사 업무와 관리를 책 임 있게 시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건설기술인
후레싱 지붕면에 돌출된 부위와 지붕면과의 연결 부위, 지붕 끝 부분 및 외벽과 만나는 부분 등에 댈 목적으로 용도나 부위의 형상에 맞도록 제작된 금속판
강화 유리문 고정법 강화 유리문을 플로어 힌지 등의 철물을 사용하여 고 정하는 방법
경사단면 유리절단시 발생하는 결함
구멍흠집 유리면에 경도가 높은 재질이 국부적으로 접촉할 때 생기는 흠집
구조 개스킷 클로로프렌 고무 등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유리의 보호 및 지지기능과 수밀기능을 지닌 개스킷
구조 개스킷 고정법 구조 개스킷 고정법에는 Y형 개스킷 고정법, H형 개 스킷 고정법이 있음. Y형 개스킷 고정법은 콘크리트, 돌 등의 U형 홈에 Y형 구조 개스킷을 설치하여 유리를 끼우 는 고정법이며. H형 개스킷 고정법은 금속프레임 등에 H 형 개스킷을 사용해서 유리를 설치하는 방법
그레이징 개 스킷 염화비닐 등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유리끼움용 부재료
그레이징 개 스킷 고정법 그레이징 개스킷 고정법에는 그레이징 채널 고정법과 그레이징 비드 고정법이 있음
그레이징 비드 고정법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누름고정용 홈에 유리를 끼우 는 경우에 J형 그레이징 비드를 사용하는 고정법
그레이징 채 널 고정법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U형 홈에 유리를 끼우는 경우 에 U형 그레이징 채널을 사용하는 고정법
면(面) 클리어 런스 유리와 같은 판상재의 내ㆍ외면과 이것을 고정하는 틀이나 충전재 내측과의 사이거리로서, 부재의 표면에서 수직으로 측정하는 값
모서리 유리판이나 패널 단부와 그것을 끼운 프레임과의 사 이거리
미장 모르타르 도장마감용 및 표면경도의 강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모르타르
바탕철물 패널 설치를 위하여 골조에 매입 또는 용접하여 바탕 을 만드는 철물
백업재 실링재의 시공 시에 줄눈깊이 조정이나 줄눈바탕에서 의 부착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
베이스 채널 바닥과 외벽 연결부위에 설치하는 재료
보강철근 패널과 패널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조인트 부위에 삽입하는 철근
보강철물 ① 블록 및 패널의 교차 부위 또는 모서리 부위, 블록 및 패널과 문틀, 창호의 접합부 위에 보강용으로 사용 되는 철물의 총칭 ② 정착철물과 벽돌쌓기벽을 콘크리트 구체에 연결하 여 면 외의 전도를 방지하고, 철물과 벽돌의 하중을 구체에 분담시키기 위해 벽돌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 치하는 철물 등의 총칭
보수 모르타 르 블록 및 패널의 파손 부위의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모 르타르
복합 커튼월 금속을 사용한 부재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사용 한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커튼월
볼트조임 공 법 패널 장변 방향의 양단에 구멍을 뚫고, 이를 관통하는 볼트로 고정시키는 수직 또는 수평벽 패널 및 지붕패널 설치방법
부대공사 부 재 커튼박스, 라이프 볼트, 난간, 간판, 항공표식 등(燈) 등 주로 현장부착 후의 커튼월 부재에 부착되는 부속적인 재료 또는 부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