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착작업에 있어서 지반의 붕괴 또는 토석의 낙하에 의하여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 굴착면이 붕괴되지 않도록 흙막이공사를 하게 되며, 흙막이공사는 직접 흙에 접한 부분의 흙막이벽과 굴착한 공간의 내부에서 지탱하는 흙막이지보공으로 나눌 수 있다. 때로는 전자의 흙막이벽까지를 포함해서 흙막이지보공이라고 하기도 한다. 흙막이 지보공은 가설구조물이기 때문에 설계나 시공을 안이하게 취급하는 경향이 있는데 작용하는 토압이 불명확하거나 시공의 정밀도에 의해서 강도가 좌우되므로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흙막이지보공을 설치한 때에는 정기적으로 다음 사항을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보수하도록 하고 있다. ① 부재의 손상·변형·부식·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②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③ 부재의 접속부·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④ 침하의 정도
또한 흙막이지보공을 조립하는 때에는 임의로 시공하여서는 안 되며, 미리 조립도를 작성하여 당해 조립도에 의하여 조립하도록 하여야 한다. 흙막이지보공의 조립도에는 흙막이판·말뚝·버팀대 및 띠장 등 부재의 배치·치수·재질 및 설치방법과 순서가 명시되어야 한다.

출처: 산업 안전 보건 공단 - 3604

흉막염은 늑막염이라고도 한다. 원인은 대부분 결핵균에 의하며, 그밖에 폐렴, 폐종양, 폐괴저 에서 속발되는 것을 비롯하여 류머티즘열이 원인으로 생기는 것, 외상이나 수술 후에 생기는 것 등이 있다. 발병하면 발열과 동시에 측흉부에 통증이 생기며 기침이나 가벼운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수도 있고, 피부가 창백해지며 식욕이 없어진다. 증세가 진행되면 호흡곤란이 심해지고 치아노제(청색증)를 나타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오줌량이 감소되고 오줌이 농축된다. 진단은 X선 사진으로 늑막강에 삼출액이 괸 것이 확인되면 확실한 늑막염이다. 필요에 따라 늑막천자를 하여 괸 물을 뽑아내며, 액체의 성상, 세균, 세포를 검사함으로써 늑막염의 원인을 찾아낸다. 치료는 일반요법으로 안정을 취하고, 식사는 영양이 많은 것을 섭취하며, 삼출액이 대량으로 늑막강 내에 괴어 호흡곤란이나 치아노제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늑막천자를 하여 삼출액을 뽑는다. 약제는 결핵성 늑막염에는 항결핵제를 투여하고, 필요에 따라 부신피질호르몬을 병용한다. 폐의 화농성 질환에서 속발된 것은 원인균에 대하여 적절한 항생물질 요법을 쓴다. 류머티즘열에 의한 것은 그에 대한 치료를 한다. 폐종양이나 늑막종양에 의한 것은 항종양제를 투여하거나 늑막강 내에 동위원소나 항종양제의 국소 투여를 한다.

출처: 산업 안전 보건 공단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에서는 흉곽성분진을 기도나 하기도에 침착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평균입경이 10 ㎛인 입자로 정의하고 있다. 

출처: 산업 안전 보건 공단

전체 환기라고도 한다. 작업자의 건강유해성이나 작업환경의 오염을 억제하기 위하여 작업장이나 건조물 및 대기실의 오염공기를 청정공기로 희석하면서 환기시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희석환기는 국소배기 만큼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환경의 오염을 제거하지 못한다. 그러나 작업의 형태나 공정이 국소배기의 의한 환기를 할 수 없을 때 에는 희석환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희석환기법의 실제적 적용에 있어서는 다음의 4가지 제한요인을 참작하여야 한다. 
① 유해물질의 발생량이 적어야 한다. 만일 발생량이 많으면 희석공기량이 지나치게 증가되어 경제적으로 실효성이 없다. 
② 작업자들이 유해물질의 발생원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어야 하고 작업자들이 허용농도 설정치 이상으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작업환경내의 유해물질의 농도가 낮아야 한다. 
③ 유해물질의 독성이 적어야 한다. 
④ 유해물질의 발산이 비교적 균일하여야 한다. 

희석환기 법은 흄이나 분진에 대해서는 적당하지 않다. 이유는
① 대부분의 흄이나 분진의 독성은 상당히 강하기 때문에 희석공기의 양이 과다하게 소요되게 된다.
② 흄이나 분진의 발산속도와 발산율이 통상적으로 너무 높다는 것이다.
③ 흄이나 분진의 발생량에 대한 데이터를 제대로 확보하기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럼으로 희석환기법의 적용이 비교적 적절하다고 할 수 있는 경우는 저독성의 유기용제로부터 발생하는 증기의 억제관리라고 할 수 있다.

출처: 산업 안전 보건 공단

화학물질을 이송하는 배관을 보온하는 방법으로서 보온재 대신 스팀튜브 또는 전기열선을 배관에 감아 스팀/전기의 열을 이용하여 배관내 유체의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이다.

출처: 산업 안전 보건 공단

미국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에서는 호흡성분진을 호흡기 어느 부위에 침착하더라도 독성을 유발하는 분진으로 정의하였으며 입경 범위는 0~100 ㎛이다.

출처: 산업 안전 보건 공단

식료, 사료, 목재 등을 수입할 때 외국의 유해한 동식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거나 곡물을 장기간 저장할 때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선창, 컨테이너, 야적장(시트를 덮음), 창고 등에 약제(일반적으로 가스)를 투입하여 유해한 동식물을 구제하는 것을 말한다. 산업보건기준에관한규칙에서는 농약원재료의 훈증업무를 할 때에는 ① 작업시작 전에 훈증기술과 준수하여야 할 안전조치에 대한 교육의 실시, ② 농약원재료를 혼합하는 경우에는 화학반응 등 위험성 여부의 확인, ③ 해당 작업장에서는 담배를 피우거나 음식물을 먹지 않도록 할 것, ④ 방제기구의 막힌 분사구를 뚫기 위하여 입으로 불어내지 않도록 할 것, ⑤ 훈증 시 유해가스가 새지 않도록 할 것 등 근로자 건강장해예방을 위한 조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0조>>

출처: 산업 안전 보건 공단

흑구온도는 복사온도를 의미한다. 복사열은 물체에서 방출하는 전자기파를 물체가 흡수하여 열로 변했을 때의 에너지를 의미하며 복사온도는 이를 측정한 온도이다. 복사온도는 두께 0.5 ㎜의 동판을 사용한 직경 6인치(약 15 ㎝) 또는 3인치(7.5 ㎝)의 속이 빈 공모양의 구체에 표면을 검게 칠하고 광택을 없앤 흑구 표면에 조사되는 열 복사량을 측정한 것이다.

출처: 산업 안전 보건 공단

유해물질의 인체노출경로는 크게 세 가지로 호흡기, 피부 및 소화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독성물질의 유해성은 노출경로와 유해물질의 물리적 성상(입자크기, 용해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작업장 내 공기 중 유해물질의 노출경로는 호흡기를 통한 흡수가 가장 많으며 유해성도 높다. 독성실험에서도 소화기관을 통하여 흡수되는 경구독성, 피부접촉 시 나타나는 경피독성, 그리고 호흡기를 통하여 흡수되는 흡입독성이 있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급성독성 연구에서는 경구독성과 경피독성은 LD50(시험유기체의 50%를 죽게 하는 독성 물질의 양, ㎎/㎏)으로 표현하며 흡입독성은 일반적으로 LC50(시험유기체의 50%를 죽게 하는 독성물질의 농도, ppm)으로 표현한다. 산업보건분야에서는 흡입독성자료가 경구 및 경피독성 자료보다 활용도가 높다.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흡음율이 높은 재료를 말하며, 소음방지용으로 쓰이고 있다. 그 종류는 많지만, 다공질 재료, 판(또는 막)상 재료의 공명형구조재로 대별된다. 다공질 재료에는 유리섬유, 암면, 광섬유, 석면 등을 상으로 중합시킨 mat(멍석)상으로 한 것, 이들의 재료에 시멘트, 플라스터(석회, 모래,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천정, 벽을 바르는 도료), 도료 등을 접착제로 하여 혼합시킨 것을 붙여서 흡음면으로 한 것 등이 있고, 판상 재료는 합판, 하드보드, 슬레이트, 금속판, 비닐시트, canvas(범포·주포) 등을 강벽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만들어서 흡음면으로 한 것이며, 공명형구조재는 판상재료에 구멍이나 작은 간격을 열어 둔 것으로서 구멍 1개가 공명기가 되어 흡음을 한다. 이상의 흡음재를 적당하게 조합시킨 것을 사용하면 흡음효과는 한층 높아지게 된다.

출처: 산업안전보건공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