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화도 (ignition temperature r a nge (i de nt ifi cat io n number)) 폭발성 가스를 발화온도별로 분류한 것. T1―T6로 분류한다.

발화성 (ignitability) 발화하기 쉬운 정도.

발화성 혼합기 (ignitible mixture) 1)정전기에 의해 발화될 수 있는 증기-공기 또는 분진-공기 혼합기. 2)발화될 경우 발화원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화염을 전파시킬 수 있는 혼합기. 주로 인화성 액체의 증기와 공기가 혼합된 기체를 지칭하지만, 장뇌 (camphor)나 나프탈렌 등의 일부 고체 증기와 공기 혼합기도 포함된다.

발화소요시간 (ignition delay) 산화제가 가연물과 접촉한 시점부터 가연물이 발화할 때까지 경과된 시간의 길이.(同/ignition lag)

발화시간, 착화시간 (ignition time) 어떤 물질에 발화원을 제공한 후, 그 물질이 발화하여 스스로 연소를 지속하 기까지 경과된 시간(초 단위로 표시).

발화온도 (ignition temperature) 발화점, 착화점, 착화온도라고도 한다. 가연성 물질 또는 혼합물이 연소를 시 작하는(발화하는)데 필요한 최저의 온도를 말하며 가열온도, 착화점, 자연발 화온도라고도 한다. 가열에 의해 반응 속도가 증가하여 발화점에 도달하면 열의 발생 속도가 열의 소비속도(물질을 가열하던가 계 외로 도망하던가 한 다)보다 크게 되어 자기가열을 일으켜 발화한다. 발화점의 값은 가열시간 공 기 혼합의 방식, 용기의 재질과 형상 등의 조건에 따라 현저하게 변동하며 물질상수는 아니다. 여러가지 측정법이 있으나 측정법이 다른 것의 값을 서 로 비교할 수는 없다. autoignition temperature라고도 한다. 가스-공기 혼합 물이 점화되고 계속 연소될 수 있는 최저온도. 이 온도는 자동 점화온도라고 도 불린다. 인화범위의 가스-공기 혼합물이 공급된 버너가 자동 점화온도를 초과하여 가열되면 플래쉬 백 현상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이 온도는 870°F(46 ℃)~1,300°F(704℃)범위이다. 가스를 독립적으로 점화시키기 위해서 는 훨씬 더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필요온도는 제조가스보다 천연가스가 약 간 더 높으나 안전을 위해 제조가스는 약 1,200°F(649℃)의 온도가 필요하고 천연가스는 약 1,400°F(760℃)의 온도가 필요하다.

발화온도, 발화점, 착화 온도, 착화점 (ignition temperature) 어떤 물질이나 화합물이 외부 열원의 도움 없이 스스로 발화하여 지속적으로 연소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최저온도.(參/kindling temperature)

발화요소 (ignition component) 임야에서나 기타의 가연물에서 연소가 일어나기 쉬운 요건으로 점화원, 가연 물, 공기 등을 말한다.

발화요소 (ignition component)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점화원. 불티, 고온의 물체 등.

발화장치 (equipment of ignition) 장치의 고장에 의해서건, 정상적인 작동에 의해서건 화재발생의 원인이 되는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

방갈로 스테이션 (bungalow station) 소방차 차고와 인접하여 공동숙소가 있고 단층의 주택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 로 되어 있는 소방서.

방독마스크 (mask) 얼굴에 착용하는 여러 가지 호흡필터 가운데 하나. 인체에 해롭거나 독성이 있는 자극물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參/air mask, air line mask)

방범신호 (guard signal) 보안상태를 감시하는 신호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0  (0) 2023.06.13
소방용어79  (0) 2023.06.12
소방용어77  (0) 2023.06.12
소방용어76  (1) 2023.06.12
소방용어75  (1) 2023.06.12

반표면하 포주입방식 (semi-subsurface foam injection system) 표면하 포주입방식의 포방출구에서 포를 방출할 때는 포가 액면까지 떠오르 면서 오염 또는 파괴되거나, 소화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부작 용을 방지하기 위해 호스 컨테이너 등을 설치하여 포가 액면에 보다 효과적 으로 떠오르도록 하는 방식.(參/base injection, subsurface foam injection system)

반회분식 반응기 (semi-batch reactor) 보통 단일의 교반조가 사용되며, 반응물질이 있는 것을 일시에 반응기 안에 상비하고 다른 성분을 서서히 공급해서 반 연속적 조작으로 반응을 진행시키 는 반응기.

받침대 (underpinning) 參/shore.

발신기용 축전지 (box battery) 발신기의 경보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신호가 사용되는 경우 개별 발신기에 전 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발신장치회로 (initiating device circuit) 자동 또는 수동 발신장치에 접속하는 회로. 수신된 신호를 확인하는 기능은 없다.

발연통 (smoke candle) 균일한 색깔의 연기를 일정한 속도로 방출하는 연기발생장치로, 소규모 화재 가 발생했을 때의 실제 상황을 모의 실험하는 장치이다.

발열반응 (Exothermic reaction) 열의 방출을 수반하는 화학반응. 흡열반응의 반대로 상온에서는 화학반응의 대부분이 발열반응이다.

발열성 (exothermic) 연소반응과 같은 열의 방출을 수반하는 화학적 변화.

발열점 (thermal start) ARC(Accelerating Rate Calorimetry) 화학반응으로 발열이 시작되는 온도. ARC 등의 열량계로 측정.

발전기,발생기 (generator) 1)전력을 생산하는 엔진구동장치. 2)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순수한 산소를 생산하는 장치. 발코니 (balcony) 1)건물의 벽면에서 돌출되어 낮은 벽 또는 난간으로 가로막힌 플랫폼. 2)극장의 객석 위로 돌출된 회랑.

발코니 피난방식 (balcony linking) 발코니를 피난경로로 이용하는 피난방식.

발포기 (foam maker) 적정 농도의 안정제(기계포 용액)를 함유한 가압상태의 물이 발포기를 통과 할 때 적당한 양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포 수용액과 혼합되어 포를 발생시키 는 장치. NFPA에서는 저발포(20배 이하), 중발포(20배~200배), 고발포(200 배~1,000배)로 분류하고 있고, 우리 나라에서는 저발포(20배 이하), 중발포(없 음), 고발포(80배~1,000배)로 분류하고 있다.(參/foam making equipment) 발포도 (foaminess) 포 생성능력, vt/V. v는 포의 체적, t는 시간(초), V는 액체를 통과하는 공기 의 체적.

발포시간 (transit time) 포소화약제와 물을 혼합한 시점부터 거품이 형성될 때까지 경과한 시간. 사 용하는 물의 온도 및 경도에 따라 발포시간은 다르게 나타난다.

발포플라스틱 포장재 (expanded plastic packaging material)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포장재. 화재위험이 대단히 크다. 최 근에는 난연처리된 제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발화(유도발화, 자연발 화 )ignition(piloted-ignition , autoignit 어떤 물질이 외부의 도움 없이 스스로 연소를 지속하는 과정. 1)유도발화: 외부의 화염, 스파크, 작은 불씨 등에 의해 발화한 경우. 2)자연발화: 외부 발화원의 도움 없이 스스로 발화한 경우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9  (0) 2023.06.12
소방용어78  (1) 2023.06.12
소방용어76  (1) 2023.06.12
소방용어75  (1) 2023.06.12
소방용어74  (2) 2023.06.12

반송방식 (carrier system) 1)반송파의 진폭, 주파수, 위상 또는 시간을 신호파로 변조하여 신호를 전송 하는 방식. 일반적으로 전송로를 주파수 분할에 따라 다중화 하는 경우의 특수 통신방식. 2)각 채널을 다른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한 후, 원래 형태로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수신점에서 검출함으로써, 여러 채널을 단일 경로로 전달하는 방식.

반송파, 캐리어 (carrier) 1)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파형. 음성 또는 기타의 다른 정보가 담기지 않은 무선신호. 데이터 신호보다 훨씬 높 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2)변조 조작에 있어서 정현파나 주기적인 펄스의 진폭, 주파수, 위상 등에 신 호파에 의한 변화를 주어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시키는데, 이 정보를 운반해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정현파나 펄스.

반응 억제제 (inhibitor)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억제하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

반응 억제제 (suppressant) 초기폭발을 소화하기 위해 폭발진압설비에 사용되는 화학약제.

반응기, 원자로 (reactor) 1)최고의 효율을 얻기 위한 화학반응설비. 화학반응은 반응물질, 농도, 압력, 온도, 체류시간, 촉매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핵분열 물질을 수용하여 핵연쇄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배열한 장치.(同 /nuclear reactor)

반응성 (reactivity) 다른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다른 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는, 물질의 상대적 능력.

반응성 물질 (reactive material) 상온상압에서 또는 그보다 높은 온도 및 압력에서 폭발이나 폭발성 분해, 또 는 폭발성 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물질.

반응성 위험도 (reactivity(instability) factor of a material NR) 에너지의 방출 용이성, 방출률 및 방출량에 따라 5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 는 반응성 위험도.

반응속도 (reaction rate)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속도. 압력과 온도뿐 아니라 반응물의 성질 또한 관계 되는 함수이다.

반응시간(감도)지수 (response time index(RTI)) 속동형 스프링클러헤드를 개발하기 위해 FM에서 고안한 지수. 수치가 작을 수록 작동이 빠르다. 속동형 스프링클러헤드의 RTI는 약 50ft¹/²sec¹/²(28m¹/²sec¹/²)이고,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의 RTI는 225∼ 700ft¹/²sec¹/²(10 ∼400m¹/²sec¹/²)이다.

반응식 소화기 ( s e l f - g e n e r a t i n g extinguisher) 수용하고 있는 약제 사이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한 압력으로 소화약제 방출 에 필요한 압력을 조달할 수 있는 소화기.(參/loaded stream extinguisher, soda-acid extinguisher)

반자동식 스탠드파이프설비 ( s e m i a u t o m a t i c standpipe system) 필요한 압력과 유량을 항상 공급할 수 있는 급수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스탠 드파이프설비. 호스 접결구에 급수하기 위해서는 제어장치를 작동시켜야 한 다.

반장 (straw boss) 화재현장에서 소수의 소방대원들을 지휘하는 자.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8  (1) 2023.06.12
소방용어77  (0) 2023.06.12
소방용어75  (1) 2023.06.12
소방용어74  (2) 2023.06.12
소방용어73  (0) 2023.06.12

바이패스, 우회로, 보조관 (by-pass) 1)하나 이상의 밸브를 사용하여 물의 흐름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방법. 모든 호스가 차단되었을 때에도 펌프가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2)호흡기 조절장치 내에서 정상적인 기계의 작동을 멈추게 하고 산소통으로 부터 고압의 압축공기가 안면부에 직접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參 /churn valve)

바이패스밸브 (by-pass valve) 주관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바이패스 배관상에 설치된 밸브.

박공지붕 (gable roof) 양 끝에서 게이블을 이루는, 양쪽으로 경사진 지붕.

박막폭굉 (film detonation) 분무폭발과 유사한 현상. 고압의 공기 또는 산소배관에 윤활유가 박막상으로 존재할 때, 비록 박막의 온도가 배관에 부착된 윤활유의 인화점보다 낮을지 라도, 배관이 높은 에너지를 갖는 충격파에 노출되면 관벽의 윤활유가 무화 (霧化)하여 폭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박피기 (barker) 나무 껍질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도구. 반경 (radius) 원 또는 구체의 중앙에서 바깥 면까지의 거리 반달형 채광창, 아치형 채광창 (lunette) 출입구 위에 마련된 반달형 창문.

반도전성 호스 (semiconductive hose) 안전수준까지 표류전류(漂流電流)를 제한하는 전기저항성이 있는 호스. 정전 기를 대지로 방출하기 위하여 저항값은 적다.

반동, 반응 (reaction) 1)노즐을 떠나는 물에 가속력을 부여할 때 발생하는 저항력 또는 반동력.(參 /kickback) 2)원소나 화합물이 결합하여 결합되기 이전의 것과는 전혀 다른 성질의 화학 적 결합을 발생시키는 화학적 변화.

반동, 반작용 kickback) 노즐을 갑자기 열고 닫을 때 발생하는 호스라인에서의 격렬한 반동.

반매입형 스프링클러헤드(flush-type sprinkler) 미관상의 이유로 천장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매입하여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參/ceiling-type sprinkler.)

반매입형 스프링클러헤 드(multitype sprinkler) 스프링클러설비를 작동시키면 천장 밑으로 디플렉터가 내려와 방수되는 방식 의 헤드. 천장 아래로 돌출되는 감열부의 면적이 적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에 좋다. 사용 장소는 사무실 등의 경급위험용도로 제한된다.(同/flush-type sprinkler)

반사 테이프(reflective tape) 빛을 반사하는 접착테이프. 의류나 도구, 장비 등에 부착하여 야간에도 식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7  (0) 2023.06.12
소방용어76  (1) 2023.06.12
소방용어74  (2) 2023.06.12
소방용어73  (0) 2023.06.12
소방용어72  (0) 2023.06.12

바 조이스트 구조 (bar joist construction) 매우 가벼운 트러스형 강철 구조재로 구성된 조이스트를 사용한 구조. 불연 성 또는 가연성 지붕과 바 조이스트로 지지되는 플로어 데크도 포함된다. 바나나유 (banana oil) 參/amyl acetate.

바닥 붕괴 (floor collapse) 건물의 바닥 또는 바닥의 지지력이 화재로 인해 취약해져 붕괴되는 것.(同 /tent collapse, 參/lean to collapse, pancake collapse, V-type collapse)

바닥 절단용 톱 (floor saw) 절단되는 표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톱질함으로써 표면을 절단할 수 있는 톱. 손잡이가 휘어져 있다.

바닥 하중 (floor load) 하나의 바닥이 지지할 수 있는 최대하중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면적당 중량 으로 표시한다.(단위:㎏/㎡).

바닥면적 (floor area) 건축물의 각 층이나 층의 일부로서 벽, 기둥, 기타 이와 유사한 구획의 중심 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 투영면적.

바닥면적 (gross floor area) 통로, 계단, 벽장, 내벽, 기둥 등을 제외하지 않고 건물 외벽의 내부 경계선 내의 바닥면적.

바닥붕괴 (tent collapse) 參/floor collapse.

바륨 (Ba)(barium) 은백색의 금속 원소. 연소시 연두색 불꽃을 발하며, 물, 산소, 암모니아, 할로 겐, 기타 대부분의 산과 쉽게 반응한다.

바리케이드, 차폐물 (barricade) 테이프, 원추형 안전구(cone), A형 목재나 금속 구조물과 같은 물리적 장애물 로서 위험지역이라는 것을 경고하고 위험지역에 접근을 제한하는 것. 일반적 으로 임시 설치한다.

바스켓 (basket) 1)금속망 바스켓.(同/stokes basket) 2)공중작업대 소방차에 장착된 승강대.

바이메탈 (bimetal) 열팽창계수가 다른 2개의 금속으로 구성된 디스크 또는 스트립. 팽창력이 서 로 다르기 때문에 열을 가하면 휘어진다.

바이오마린 (상품명)(biomarine) 폐쇄형 자급식 호흡기구의 일종. 바이트 (bite) 주요 연소지역을 확인하고 진화할 목적으로 특정 지점에서 화재를 공격하는 것.

바이트, 밧줄고리 (bight) 호스 또는 로프의 느슨한 U자형 루프(loop).

바이패스 (by-pass) 1)하나 이상의 밸브를 사용하여 물의 흐름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방법.모 든 호스가 차단되었을 때에도 펌프가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2)호흡기 조절장치 내에서 정상적인 기계의 작동을 멈추게 하고 산소통으로 부터 고압의 압축공기가 안면부에 직접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우 회로, 보조관 이라고도 함

바이패스 밸브 (by-pass valve) 주관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바이패스 배관상에 설치된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6  (1) 2023.06.12
소방용어75  (1) 2023.06.12
소방용어73  (0) 2023.06.12
소방용어72  (0) 2023.06.12
소방용어71  (0) 2023.06.12

밀폐식 분말소화약제 회 수설비 (dry chemical closed recovery system) 약제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회수용 컨테이너와 소화 설비 사이에 위치하여 분말약제를 이송하는 설비.

밀폐형 기기 (sealable equipment) 외함을 개방하지 않고 충전부에 접근할 수 없도록 밀폐 또는 잠금장치가 있 는 케이스나 캐비닛에 수납된 기기. 밀폐형 기기는 외함을 개방하지 않고 작 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밀폐형 컨테이너 (closed container) 액체 또는 증기가 상온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뚜껑 또는 기타 장치로 밀 봉된 컨테이너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5  (1) 2023.06.12
소방용어74  (2) 2023.06.12
소방용어72  (0) 2023.06.12
소방용어71  (0) 2023.06.12
소방용어70  (0) 2023.06.12

미분 가연물 (fine fuels) 參/flash fuel. 미분무수 (water mist) 최저작동압력에서 노즐로부터 1m(3.3ft) 거리에서 물방울의 DV0.99 측정값이 1000미크론 이하인 미분무수.

미분무수 노즐 (water mist nozzle) 특수 방호를 목적으로 미분무수를 발생시키는 한 개 이상의 오리피스로 구성 된 장치.

미분무수설비 (water mist system) 급수장치 또는 물과 미분화 매체 공급장치에 연결된 분배설비. 화재의 제어, 진압 또는 소화를 목적으로 미분무수를 공급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노즐이 부착되어 있는 설비.

미분탄 연소장치 (pulverized coal system) 석탄을 분쇄하여 연소성이 좋은 미분(微粉)으로 만든 것. 보일러 등에 사용한 다.

미분화 매체 (atomizing media) 물을 기계적으로 혼합시켜 미분무수를 발생시키는 압축공기나 기타 기체.

미스트 (mist) 가스성 매체 내에 미세한 액체의 작은 물방울이 흩뿌려진 상태.

미팅 레일, 여밈대 (meeting rail)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수평 막대. 오르내림창에서 창틀의 윗부분과 아랫부분 을 구분해 준다.

미헤이든유 (mehaden oil) 자연발열성이 있는 황갈색 건성유.

미확대사건 (undeveloped event) 자료를 이용할 수 없거나 불충분한 결과 때문에 확대되지 않는 기본 사건.

믹스마스터, 약제혼합원 (mixmaster) 소방용 항공기에 적합한 종류의 연소억제제를 적절한 양만큼 공급하여야 할 책임이 있는 자.

민간 소방감독관 (fire ward) 버킷 소방대가 다른 지역의 진화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출동한 곳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그 지역의 민간인들을 조직하여 진화작업을 수행하도록 임명된 자.

민간인 소방서장, 소방 위원회 위원 (fire commissioner) 1)민간인 출신의 소방서장. 2)선출직 또는 임명직 소방위원회 위원. 밀 (mill) 미분쇄장치 및 초미분쇄기의 총칭. 분쇄기라고도 한다.

밀도 (㎏/㎥)(density) 어떤 물질의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것.(參/specific gravity)

밀집적재저장 (solid piled storage) 수직방향으로 틈이 생기지 않도록 적재하는 방법. 상부의 스프링클러헤드에 서 쏟아지는 물이 침투하기 어려우므로 스프링클러설비를 설계할 때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밀폐구조 (closed construction) 은폐된 부분이나 은폐된 제조공정 등이 해체, 손상, 파괴의 과정을 거치지 않 고서는 점검할 수 없도록 만들어진 건물, 건물의 구성요소, 조립품, 또는 시 스템. 밀폐된 (enclosed) 사람이 충전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 함, 울타리, 벽으로 둘러쌓은 것.

밀폐식 (closed cup) 인화점 시험장치.(參/flash point, Pensky-Martens Closed Tester, Setaflash Closed Cup Tester, Tagliabue Closed Teste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4  (2) 2023.06.12
소방용어73  (0) 2023.06.12
소방용어71  (0) 2023.06.12
소방용어70  (0) 2023.06.12
소방용어69  (2) 2023.06.12

미국빌딩코드 (National Building Code(NBC)) {미국보험협회}(American Insurance Association)에서 제정 및 발간하는 건축 기준.

미국재료시험학회 (A.S.T.M.) 略/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자재, 제품, 시스템, 서비스 등의 특성 및 운용관련 기준의 개발과 관련지식의 증진"을 목적으로 1898년 미국에서 설립된 기구.

미국전기코드 (National Electrical Code(NEC)) NFPA에서 제정 및 발간하는 전기시설기준으로, 매 3년마다 해당 기술위원 회를 소집하여 개정한다.

미국표준나사 (National Standard Thread) 소방호스 커플링 나사 기준. 미국의 대다수 소방서에서 채택하고 있다.

미국표준커플링 (standard coupling) 미국 국가표준 소방호스 나사를 갖고 있는 소방호스 커플링.(參/National Standard Thread, Underwriters Thread)

미국표준협회 (American National S t a n d a r d s Institute(ANSI)) 무역 및 기술 관련 단체들, 전문가, 소비자 단체 등이 연합한 국가적 차원의 기준 제정 기구. 기준 제정 작업의 중복성을 피하고 상충되는 기준들을 조정 하여 통일된 단일 기준을 제정한다.

미국표준협회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무역 및 기술 관련 단체들, 전문가 소비자 단체 등이 연합한 국가적 차원의 기준 제정 기구. 기준 제정 작업의 중복성을 피하고 상충되는 기준들을 조정 하여 통일된 단일 기준을 제정한다.

미국표준협회 (ANSI) 略/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화재안전기준 (National Fire Codes(NFC)) NFPA에서 제정한 방화 관련 코드, 기준, 권장사항

미끄럼봉 (sliding pole) 황동으로 만든 금속봉. 소방대원들이 출동할 때 소방서의 윗층에서 아래층으 로 타고 내려오는 봉이다

미늘살창, 잴루지창 (jalousie window) 너비 약 10㎝(4in.), 길이는 창문 너비인 작은 미늘살로 이루어진 창문. 크랭 크를 사용하여 개폐한다.(參/awning window)

미늘살창, 지붕창, 루버 (louver)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빗물은 차단해 주는 여러 개의 경사진 나무조각 또는 금속판으로 살을 댄 창문. 흔히 다락방의 창문으로 사용된다.

미드쉽 펌프 (midship pump) 소방차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소방펌프. 운전석 뒤에 위치한다.(同/midship-mounted pump)

미들창 (projecting window) 參/factory window.

미립자 여과식 호흡기 (particulate filter respirators) 미세한 먼지나 연기입자 등을 제거해 주는 호흡기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3  (0) 2023.06.12
소방용어72  (0) 2023.06.12
소방용어70  (0) 2023.06.12
소방용어69  (2) 2023.06.12
소방용어68  (0) 2023.06.10

물소화기 (water type fire extinguisher) 물, 포, AFFF, FFFP, 강화액 등의 물을 기제로 하는 약제가 저장되어 있는 소화기.

물올림 탱크 (priming tank) 소화설비의 가압송수장치로 펌프를 사용할 경우 펌프보다 수원의 수위가 아 래에 있을 때에만 필요한 것으로 펌프의 임펠러에서 후트 밸브 사이의 공간 에 물을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하여 펌프의 진공상태를 만들어 주게 된다. 따 라서 펌프보다 수원의 수위가 높이 있거나 수직회전축 펌프의 경우 생략된 다.

물용량 (water capacity) 하나의 컨테이너에 담을 수 있는 물의 양을 체적으로 표시한 것. 물웅덩이, 작은 못,

워터홀 (water hole) 농촌지역의 소화용 수조로 사용되는 작은 연못이나 저수지, 물통 등.

물재킷 소방호스 (woven-jacket fire hose 직) 면섬유나 합성섬유를 전통적인 직기로 직조한 싱글재킷 또는 더블재킷 소방 호스.

물질 안전성 데이터 시트 (material safety data sheet(MSDS)) 화학물질에 의한 인명사고나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화학물질의 안전성과 관련된 자료를 수록한 것. 물질의 일반사항, 물리.화학적 특성, 화재폭발 위험 성, 반응성, 독성, 취급 및 폐기방법 등이 그 주요 내용이다

물탱크 펌프차 (tanker pumper) 일반적으로 소방 펌프차에도 물탱크가 탑재되어 있지만 대용량의 물탱크를 탑재하고 그것을 직접 방수할 수 있는 펌프가 부설된 차량을 말한다.

물탱크차 (tanker) 수리가 부족한 화재현장에 대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대형 물탱크를 탑재한 차량

물통 릴레이 진화작업 (bucket brigade) 사람들이 두 줄로 늘어서서 물통을 날라 진화하는 것. 한 줄에서는 물이 담 긴 통을 화재현장 쪽으로 나르며, 다른 한 줄에서는 빈 통을 물이 있는 쪽으 로 나른다.

물품의 위험등급 ( c o m m o d i t y classification) 『미국방화협회』NFPA와 FM에서 분류한 일반 물품의 위험등급. 저장창고에 필요한 스프링클러설비를 설계할 때 이용한다. 1)클래스 I: 목재 팰릿에 적재된 불연성 물질(금속, 유리 등). 2)클래스 II: 골판지상자에 수용되어 목재 팰릿에 적재된 불연성 물질. 3)클래스 III: 목재 팰릿에 적재된 목재, 종이, 섬유 등. 4)클래스 IV: 제품의 부품이나 포장재에 사용된 발포플라스틱이 15% 미만인 것.

묽은 혼합기체 (lean mixture) 폭발에 필요한 가스량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공기를 함유하고 있어 연소하한 계를 벗어난 공기-가스 혼합기체.

미국 폭발물 저장소 이 격거리표 (American Table of Distances) 폭발물 저장소에 관한 이격거리 기준.

미국교통부 (dOT(Department of Transportation)) 미국내 위험물 수송 관련 규정을 담당하는 행정부서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2  (0) 2023.06.12
소방용어71  (0) 2023.06.12
소방용어69  (2) 2023.06.12
소방용어68  (0) 2023.06.10
소방용어67  (0) 2023.06.10

문 (door)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물.(參/automatic fire door, emergency door)

문설주, 선틀 (jamb) 출입구의 수직부분. 문이 닫히는 방향으로, 반턱맞춤 문설주에는 문에 딱 맞 도록 가공된 숄더(shoulder)가 있는 반면, 멈춤턱 선틀(stopped jamb)에는 출 입구 자체에 부착된 스트립이 있다.

문자숫자식 (alphanumeric) 알파벳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진 순서나열방식.

물(H₂O) (water) 무색 무취 무미의 액체. 가장 일반적인 소화수단. 고체로는 얼음, 기체로는 수증기를 동소체로 갖는다. 빙점 0℃(32℉), 비점 100℃(212℉). 보통의 모든 물질 가운데 기화할 때 방출하는 잠열이 가장 큰 물질(539㎉/㎏[970 Btu/lb]) 이어서 냉각제로도 대단히 효과적이다.

물 센서 (water sensor) 물을 감지하는 장치.

물경화성 석회 (hydraulic lime) 생석회의 일종. 가루 형태에서, 부풀거나 열을 방출하지 않은 채 물을 흡수하 여 시멘트를 형성한다.

물기있는 장소 (wet location) 세차 지역이나 외기에 노출되어 방호되지 않는 장소와 같이 물이나 기타 액 체가 침투하기 쉬운 장소.

물리적 위험 (physical, hazard) 생물 또는 무생물의 물리적 특성에서 비롯된 위험.

물리적 폭발 (physical explosion) 가압용 가스용기의 파열.

물매턱 (berm) 구덩이나 트렌치의 측면을 따라 이어진 돌출부.

물분무 (water fog) 물분무 헤드나 분무 관창에 의해서 물이 방사되는 형태로 미세한 물의 입자 에 의한 안개 형태를 말한다. 'spray'라고도 한다.

물분무 소화설비 (spray sprinkler) 물을 분무상태로 살수하는 자동소화설비로서 냉가효과 및 질식소화효과가 우 수하다. 특히 유류화재에 유효하며 이는 에멀젼효과(유류와 물이 혼합하여 유 류의 조면에 일시적으로 백촉상의 부유물이 생성된 것)에 의하여 액면을 피 복하고 유류의 증발을 억제하여 소화한다. 특히 LNG, LPG, 액화가스탱크, 유류탱크, 차고, 주차장 등에 적응성이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설비 이다. 구조원리는 자동 스프링클러 설비와 동일하나 말단의 헤드가 물분무 헤드를 사용하는 것만이 다르다.

물살포 (water drop) 물을 넣은 봉지 등을 투하하는 것.

물살포, 물투하 (water bombing) 항공기를 이용하여, 연소억제제를 함유하고 있는 각종 수용액을 임야화재 상 공에서 투하하는 것.(同/water drop, 參/water bag)

물살포, 물투하 (water bombing) 항공기를 이용하여, 연소억제제를 함유하고 있는 각종 수용액을 임야화재 상 공에서 투하하는 것.(同/water drop, 參/water bag)

물소비량, 물사용량 (water consumption) 1)일정 기간 동안 특정 지역사회가 소비한 물의 양. 인구당 소비량 또는 3,785kl/day(1,000,000gal/일[mgd])로 표시한다. 2)화재사고 1건을 진화하는 데 소비된 물의 양. 방수량과 방수시간을 곱하여 계산한다. 물소화기 (can)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하는 소화기.

물소화기 (water extinguisher)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하는 소화기. 수작동 펌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가압 가 스를 이용하여 물을 분출할 수 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1  (0) 2023.06.12
소방용어70  (0) 2023.06.12
소방용어68  (0) 2023.06.10
소방용어67  (0) 2023.06.10
소방용어66  (0) 2023.06.10

무대앞 커튼 (proscenium curtain) 석면으로 만든 방염커튼. 화재시 객석과 무대를 차단하는 커튼이다. 

무상노즐 (fog nozzle) 미세한 분무나 안개형태로 물을 방출하는 노즐.(同/spray nozzle)

무상분무 (water fog) 분무노즐이 만들어 낸 미세한 물입자.(同/spray)

무선경보용 송신기 (radioalarm transmitter(RAT)) 기동장치 등의 여러 가지 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기동장치 등의 상태변화 신 호를 송신하는 장비.

무선경보용 위성수신기 (radio alarm satellite station receiver(RASSR))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장비. 위성국과 원거리 수신장소에 위치하고 있음.

무선경보용 중앙수신기 (radio alarm central station receiver(RACSR))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감시실에 전송하는 장치의 구성요소.

무선경보장치 (radio alarm system(RAS)) 무선채널을 통해 방호구역 내에 위치된 무선경보용 송신기(RAT)에서 2대 이 상의 무선경보용 위성수신기(RASSR)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중앙감시실에 위치한 무선경보용 중앙수신기(RACSR)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는 장치.

무선망 (radio network) 통합적으로 관리하거나 동일한 무선 채널 또는 채널을 분리하여 상호 통신하 는 주어진 지형적 지역에서 고정 및 이동식의 많은 무선국

무선주파수 (radio frequency) 전자기 방사선이 공간으로 확산되어 나갈 수 있는 대역인 ㎐ 또는 ㎑(과거에 는, 사이클 또는 킬로 사이클로 사용) 단위 주파수.

무선채널 (radio channel) 무선통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폭.

무선화재경보기 (radio box)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파를 사용하여 부호를 송신하는 경보기.

무선회로 (radio circuit) 무선으로 사용되는 경보회로의 일종. 중앙통신본부와 각 소방서 사이에 이루 어지는 통신용 2방향 무선장비. 무수(無水)성 (anhydrous) 1)물의 결핍. 2)물질의 건조상태.

무수암모니아 (anhydrous ammonia) 강한 악취를 발산하는 무색의 기체 또는 액체. 공기보다 가볍고, 물, 알코올, 에테르 등에 매우 잘 녹는다. 발화온도 651℃(1,204℉), 폭발범위 16~23Vol.% 무연탄 (anthracite coal) 자연발화성이 없는 경질 천연 석탄. 흑색 또는 흑회색 광택이 있으며, 연탄, 전극, 카바이드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무연화약 (smokeless powder) 니트로셀룰로스에 다른 물질을 혼합시킨 저폭발성 혼합물.

무염연소 (flameless combustion) 석탄의 연소에서처럼, 빛은 보이지만 화염은 보이지 않으면서 진행되는 신속 한 산화과정.

무음경보 (silent alarm) 귀로 들을 수 있는 신호음이 발해지지 않는 경보. 경보가 발령되면 보통 소 수의 소방대만 출동한다.(同/still alarm)

무인시설 (unattended facility) 주배관라인이나 유조선에서 위험물을 이송 받는 동안 담당자가 현장에 계속 상주하지 않는 시설.

묵시적 동의 (implied consent) 부상을 당했거나 의식불명인 사람은 누구나 응급처치를 원할 것이라는 가정. (參/Good Samaritan Law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70  (0) 2023.06.12
소방용어69  (2) 2023.06.12
소방용어67  (0) 2023.06.10
소방용어66  (0) 2023.06.10
소방용어65  (2) 2023.06.10

모듈러 (modular) 건물 구성부분의 표준과 관련된 것으로, 공장 등에서 제작하여 건축현장에서 그 자체로 조립 완료하거나 또는 다른 것들과 함께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

모르타르 (mortar) 시멘트나 석회를 모래 및 물과 혼합시킨 혼합물로 벽돌이나 돌등을 쌓을 때 사용한다.

모선, 버스 (bus) 여러 개의 전원 또는 공급회로가 접속되는 공통 도체.(參/bus-bar)

모세관 현상 (capillarity) 가느다란 관(모세관)을 액체 속에 세웠을 때, 액체의 부착력에 의해 관 내의 액면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현상. 상승(하강)높이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 다.h=4σ cosΘ /(r-r')d h : 상승(하강)높이, σ : 표면장력, Θ : 접촉각, r, r' : 비중량, d : 모세관직경

모임지붕 (hip roof) 지붕의 끝과 면이 모두 경사지고, 모든 면의 각이 동일한 지붕.

모재(母材), 비금속(卑金屬) (base metal) 1)용접 또는 절단되는 금속. 2)귀금속의 반의어.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과 같이 공기 중에서 쉽게 산 화되는 금속을 말한다.

모터 프라이머 (motor primer) 동력 실린더 좌측 뱅크 다기관에 부착되어 있는 장치. 실린더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소방펌프 및 흡입호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參/primer)

목모화재시험 (wood excelsior fire test) A급 소화기 성능시험. 연소 매개물로 바싹 마른 대팻밥을 사용하는 화재시 험 목분(木粉) (wood flour) 목재를 갈아서 아주 미세한 입자로 만든 것.

목재 지붕널 (wood shingles) 參/shingles.

목재지붕널 연소확대화재 (wood shingle conflagration) 불 붙은 나무 널빤지가 바람에 날려 지붕에서 지붕으로 확산되어 가는 대화 재.

목재패널 화재시험 (wood panel fire test) A급 소화기 성능시험. 4각의 단단한 목재패널 받침벽을 세우고 그 안에 다시 수직 초벽재를 세운 다음, 패널 받침벽에 닿지 않도록 2개의 수평 초벽재를 따로따로 수직 초벽재에 걸쳐놓음으로써 커다란 수직 목재표면을 형성토록 한 뒤 목재 표면을 발화시켜 시험한다.

목조 (wood frame construction) 외벽, 내력벽, 격벽, 바닥, 지붕 및 그 지지물들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목재 및 다른 가연물들로 건축된 것으로서 중목구조나 보통구조로 분류되지 않는 건축구조.

목탄, 숯 (charcoal) 1)동물 또는 식물성 물질의 불완전 연소로 남겨진 탄소 잔해물. 2)불완전하게 소실된 나무. 몰 겸용 바 (mall and bar) 무거운 슬레지 해머(sledge hammer)와 날카로운 크로우 바(crow bar)가 결합 된 도구. 구조작업중 하수구를 부수거나 기타 개구부를 확보해야 할 경우 사 용한다

몰리브덴 (Mo)(molybdenum) 무독성 회색 금속 또는 흑색 분말. 분진이나 분말 형태에서는 인화성이 있다.

무개 관람석 (bleachers) 1)지붕이 없는 계단식 관람석. 2)관람객용으로 개방된 객석. 무극성 솔벤트 (nonpolar solvent) 參/solvent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69  (2) 2023.06.12
소방용어68  (0) 2023.06.10
소방용어66  (0) 2023.06.10
소방용어65  (2) 2023.06.10
소방용어64  (0) 2023.06.10

메이스나이트 (상표명)(Masonite) 증기분해 목재섬유로 만든 합성 방수 섬유판(압착 목질 섬유판).

메탄(CH₄) (methane) 무색무취무미한 질식성 가스. 천연가스의 주성분이며 공기보다 가볍다. 인화 점 -187.8℃(-306℉), 발화온도 540℃(1,004℉), 폭발범위 5~15Vol.%.(同/fire damp, marsh gas)

메탄올 (methanol) 參/methyl alcohol. 메탈가드(상표명) (metalgard) 가연성 금속화재에 사용하는 분말 소화약제.

메트 엘엑스 파우더(상 표명) (Met-L-X Powder) 염화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는 분말 소화약제.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지르코 늄, 우라늄, 티타늄, 분말 알루미늄 등의 화재 진화에 사용한다.

메틸 에틸 케톤 (C₂H5COCH₃) (methyl ethyl ketone(MEK)) 아세톤과 비슷한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 인화점 -6.1℃(21℉), 발화온도 515.6℃(960℉), 폭발범위 1.8~10Vol.%. 세척제로 사용한다.

메틸알코올 (wood alcohol) 參/methyl alcohol. 메틸알코올, 메탄올 (CH₃OH) 무색의 투명한 액체. 인화점 11.1℃(52℉), 발화온도 385℃(725℉), 폭발범위 6.7~36.Vol.%인체 내로 유입될 경우 독성이 있다. (同/methanol, wood alcohol)

면표 (baled cotton) 원면을 수송에 편리하도록 포장하여 묶은 것. 포장재에는 삼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며, 철사, 강철밴드, 합성수지밴드로 묶는다. 포장 없이 묶기만 한 면표도 있다

면화약 (gun cotton) 면을 질산 및 황산으로 처리하여 얻은 고폭발성 물질.

명예소방대원 (exempts) 의무 복무기간을 마친 후, 소방서의 사회적 활동에 전념하고 있는 의용소방 대원을 지칭하는 용어. 미국의 일부 주에서 사용한다.

명예직원 (honorary member)(美) 소방서 복지에 관심을 표하는 사람들에게 부여하는 명예직. 명예직원에게는 몇 가지 특권을 부여하는데, 파이어 라인을 통과하거나 소방서의 제복을 착 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이다.

모넥스 (상표명)(Monnex) 덩어리가 생기지 않는 분말 소화약제. 요소(CO[NH₂[NH₂]₂)와 중탄산알 칼리로 제조한다.

중탄산나트륨(NaHCO₃)이나 중탄산칼륨(KHCO₃)보다 소 화성능이 더 뛰어나다.

모니터 노즐 소화전 (monitor nozzle hydrant) 946lpm (250gpm)을 초과하여 방수할 수 있는 모니터 노즐이 설치된 소화 전.

모니터 노즐, 차량탑재 형 방수총 (monitor nozzle) 다량의 가연성 물질, 항공기, 탱크집합지역 및 다량의 물을 이용하여야 하는 특수위험장소를 방호하고 물이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장치. 대개 구경 38mm(1 ½in.), 45mm(1¾in.) 및 51mm(2in.)의 세 개가 한데 묶인 팁이 설치되어 있다.(參/monitor, battery, master stream)

모니터 장착 차량 (monitor wagon) 대량주수노즐과 대구경 호스를 장착한 차량.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68  (0) 2023.06.10
소방용어67  (0) 2023.06.10
소방용어65  (2) 2023.06.10
소방용어64  (0) 2023.06.10
소방용어63  (0) 2023.06.10

맞불, 역화(逆火) (backfire) 1)화재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화재 진행로에 의도적으로 일으킨 불. 보통, 산불 또는 초원화재를 진압할 때 사용한다. 2)가스 용접에서, 흡관(吸菅)의 화구가 막히거나 과열될 때 불꽃이 화구에서 아세틸렌 호스로 역행하는 현상. 또 로(爐)의 경우, 화염이 버너에서 역행하 는 현상.(同/back burn, control burn, control fire, 參/counterfiring, suppression firing)

맞불지르기 (suppression firing) 산림화재에서 연소화고 있는 맞은 편에서 불을 붙여 양쪽의 화세에 의하여 스스로 화재가 확산되지 못하고 소화되게 하는 산림화재 진화의 한가지 방법 으로 맞불을 지를 것을 말한다.

매듭 (knot) 물체를 묶거나 당길 때, 또는 들어올리거나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하나 이상 의 로프 또는 밧줄을 꼬아 만든 매듭. 매스틱 (mastic) 홍해연안산 옻나무과 식물의 줄기에서 추출하는 고무질 수지. 투명한 황색을 띠는 덩어리 형태이다. 80℃에서 연화되고 100∼120℃에서 용해되며, 일명 유 향수지(乳香樹脂)라고도 한다. 매입 소화전, 지하 소화전 (flush hydrant) 지층 밑에 구덩이를 파고 설치한 소화전. 지상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공항 등 의 지역에서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지면 높이에 소화전 덮개를 설치한다.(同 /ground hydrant)

매입형 스프링클러헤드 (recessed sprinkler head) 미관상 천장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천장면의 오목한 부분에 설치하는 스프 링클러헤드. 사무실 등의 경급위험용도에 사용한다.

매턱 (mattock) 곡괭이의 일종. 한쪽 끝은 곡괭이 모양이고, 다른쪽에는 뾰족한 침이나 절단 용 날이 달려 있는 수공구. 임야화재시 연소저지선을 구축할 때 사용한다.

매트리스 체인 (mattress chain) 길이 약 2.4m(8ft) 정도인 가벼운 체인으로, 고리 또는 자물쇠가 달려 있다. 매트리스를 이동할 때 매트리스가 펼쳐지지 않도록 묶인 상태로 유지해준다.

맥리드 도구 (McLeod tool) 산불 진화작업에서 낙엽 등을 긁어모을 때 사용하는 도구.

맨사드 지붕 (mansard roof) 이중으로 경사진 지붕. 아랫 지붕의 경사도가 윗 지붕의 경사도보다 급하다.

맨틀 (mantle) 벽난로 위의 선반. 맹꽁이자물쇠

분쇄기 (padlock remover) 맹꽁이자물쇠를 부수고 강제로 진입할 때 사용하는 레버형 도구. 머리받이,

격자지주 (headrest) 구난소방차, 회전사다리, 펌프차 등의 앞부분에 설치하여 피난사다리 등의 앞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도록 고안된 지지대.(同/gallows)

머스카린 (C8H19O3N)(muscarine) 독성이 매우 강한 유기 화합물. 몇몇 종류의 버섯에 함유되어 있다.

머스카린 (C8H19O3N)(muscarine) 유압변압기, 석유배관로, 석유탱크, 침지도장탱크 등의 석유화재를 진화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장치.(參/emulsifier)

멈춤쇠 (pawl) 확장사다리의 비행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장치. 사다리를 확장하여 사용할 때 사다리를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同/dog)

메록스 (merox) 용제탈황과 스위트닝을 병용하는 방법으로 가솔린, 제트연료, 등유 등에 함유 되어 있는 메르캅탄을 대부분 추출하여 제거하고, 나머지는 스위트닝하여 악 취와 부식성을 없애며, 납첨가효과를 향상시키는 공정.

메시 (mesh) 분체 또는 분진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이러한 단위에는 미국시험규격 (ASTM), 한국산업규격(KS)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메시는 미국의 TYLER에 의한 체눈의 벌어짐에 대한 호칭으로 1in. 속에 포함된 체눈의 수(공비 = 루 트2)로 표시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67  (0) 2023.06.10
소방용어66  (0) 2023.06.10
소방용어64  (0) 2023.06.10
소방용어63  (0) 2023.06.10
소방용어62  (0) 2023.06.10

마(麻) (hemp) 카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에서 추출하는 로프용 가연성 섬유. 아마섬 유인 린넨보다 거칠지만 더 강하고, 면보다 내구성이 길다.(同/abaca)

마그네슘 (Mg)(magnesium) 약간 단단한 은색의 가연성 금속원소. 건축자재용 금속 가운데 가장 가벼운 것 중 하나. 650℃(1,202℉)에서 발화하며, 화재위험이 큰 물질이다.

마그네슘 분말 (magnesium powder) 칩(chip), 과립(granule), 플레이크(flake) 또는 미세한 분말 형태의 마그네슘. 두 면(가로, 세로, 높이 중 임의의 두 면) 2mm 이하이거나 한 면이 1.3mm 이하(예를 들면, 마그네슘 리본)인 마그네슘은 분말로 간주한다

마닐라 삼 (manila hemp) 필리핀 토산으로 바나나 나무와 비슷한 식물. 줄기에서 뽑은 섬유로 로프나 그물 등을 만든다.

마루대(ridge pole) 지붕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수평목재. 여러 개의 서까래가 맞물리는 곳이 다.(同/ridge plate)

마른 번개 (dry lightning storm) 강우량이 거의 없는 번개폭풍.

마스터 제어반 (master control unit(panel)) 방호구역내 또는 구내 일부에서 지구제어반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다른 화재경보 제어반으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반.

마찰손실(friction loss) 호스 또는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물이 호스나 배관의 내부 벽과 마찰하게 됨 으로써 발생하는 압력손실. 단위 길이당 평방인치에 대한 파운드(psi)로 표시 한다. 마찰손실은 호스 길이에 정비례한다.

마프(상표명)(MAPP) 산업용 절삭유로 사용되는 메틸아세틸렌, 프로파디엔, 탄화수소 가스 등의 정 제가스 또는 액체 혼합물. 막다른 길, 막힌 말단 (dead end) 1)복도, 거리, 좁은 길 등에서 오직 한 방향으로만 나아갈 수 있는 길. 2)막히지 않은 한쪽 방향으로만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급수본관.

말굽형 적재 (horseshoe load) 호스를 말굽 모양으로 감아서 적재하는 방법.(參/accordion load)

말라죽은 나무 (dead fuel) 대단히 건조한 죽은 초목.

망간(Mn)(manganese) 분진 또는 분말 형태에서는 인화성이 있고, 인체 내로 장기간 유입될 경우 중추신경계통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금속원소. 망간수지, 수지산망간 ( M n [ C 2 0 H 2 9 ] ₂ (manganese resinate) 광택제 및 건조제로 사용되는 짙은 적색 분말. 인화성이 매우 강하다.

망입유리 (wired glass) 철망을 삽입하여 방염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창유리.

맞대기 용접 (butt weld) 거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 금속의 두 부분을 접합하는 용접.

맞불 (backfire) 1) 화재의 확산을 저지갛기 위해 화재 진행로에 의도적으로 일으킨 불. 보통, 산불 또는 초원화재를 진압할 떄 사용한다. 2) 가스 용접에서, 흡관(吸菅)의 화구가 막히거나 과열될 때 불꽃이 화구에서 아세틸렌 호스로 역행하는 현상. 또 로(爐)의 경우, 화염이 버너에서 역행하 는 현상.

맞불 진화작업 (suppression firing) 거세게 타오르는 임야화재를 조기에 통제하기 위해 일으키는 맞불의 일종.(參 /backfire)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66  (0) 2023.06.10
소방용어65  (2) 2023.06.10
소방용어63  (0) 2023.06.10
소방용어62  (0) 2023.06.10
소방용어61  (0) 2023.06.10

리터 (litter) 숲 바닥을 이루는 요소들의 최상층부. 죽은 나무토막, 크고 작은 나뭇가지, 그리고 최근에 떨어진 나뭇잎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同/duff)

리턴 시스템 (return system) 환기되어야 할 구역의 공기가 공기순환장치로 역류할 때, 그 통로가 되는 연 결 덕트, 통풍구, 플레넘, 관부속 등. 리튬 (Li) 매우 부드러운 은색의 금속원소. 공기 중에서 그 융점에 이르면 발화하며, 물 이나 질소, 산류, 산화제 등에 노출될 경우 화재 또는 폭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리파이너 (refiner) 칩의 마쇄 또는 펄프의 고해, 정정(精整)등의 작업에 사용하는 기계.

리프트 펌프 (lift pump) 물의 흐름을 한쪽 방향으로만 허용하는 클래퍼(clapper) 밸브가 장착된 중공 실린더가 있는 펌프. 수원의 수위가 펌프의 위치보다 낮을 때 사용한다.

릴리브 (relieve) 1)화재현장에서 소방대를 철수하다. 2)현재 근무조와 신규 근무조의 교대. 3)어떤 이유로 해서 대원을 근무에서 제외시키다.

릴리프 밸브 (relief valve) 펌프차 또는 배관에 설치된 압력조절장치. 과도한 압력이나 온도, 진공상태 등을 완화시킴으로써 안전치 못한 조건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 한 밸브이다. 립-랩 (rip-rap) 1)지반이 약한 곳이나 물 속에 바위를 무작위로 쌓아올려 기초벽을 형성하도 록 한 것. 2)일정한 순서 없이 앞뒤로 느슨하게 겹쳐 놓은 호스.

립랩적재 (riprap finish) 규칙적으로 적재한 주호스 위로 여러 개의 호스더미를 느슨하게 겹쳐 놓아 유사시 신속하게 호스작업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법.(參/rip-rap)

링어 (ringer) 1)소방대원을 사칭하는 자. 2)소방대원 돕기를 좋아하는 소방관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65  (2) 2023.06.10
소방용어64  (0) 2023.06.10
소방용어62  (0) 2023.06.10
소방용어61  (0) 2023.06.10
소방용어60  (0) 2023.06.10

루프 (loop) 1)원형으로 배치된 급수관. 항상 두 방향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급수 관 내의 마찰손실을 감소시켜주는 장치. 2)로프를 가지고 만든 원형과 유사한 고리 모양의 형태를 하고 있다.

루프 스페이스 (roof space) 건물의 최상층과 지붕 사이의 공간.(同/attic, cockloft)

루프식 소화주배관 (looped fire main) 보통, 구경 20~30㎝ (8~12in.)의 배관이 루프상으로 지하에 설치되어 있고 또 한 적절한 간격으로 구역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소화배관. 이 배관이나 분기 관에 옥외소화전, 스프링클러, 옥내소화전 등이 설치된다. 루프의 양 측면에 동일한 능력의 급수장치를 설치하며, 효율적인 물의 흐름보다는 배관의 신뢰 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채택하는 설치방식이다.(參/fire main, ring main, yard main)

루프형 설비 (looped system) 2개 이상의 배관에서 스프링클러헤드에 물을 공급하도록 여러 개의 교차배관 들이 서로 접속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설비. 가지배관은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루핑지 (roofing paper) 화재로 소실된 지붕을 수리하고, 창문이나 문 등을 덮어둘 때 사용하는 타르지. 리그 (rig) 1)로프, 삭구 등의 장비. 2)어떤 것을 설치·장치하다. 3)트랙터-트레일러 소방차.

리더 라인 (leader line) 1)Y형 라인처럼, 그보다 작은 하나 이상의 호스로 물을 공급하는 호스라인. (同/supply line) 2)펌프차에서 노즐로 연결된 호스라인.

리듀서 (reducer) 소형 호스를 그보다 관경이 큰 호스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관부속. 대형 호 스를 연결하는 쪽에는 암나사가, 소형 호스를 연결하는 쪽에는 수나사가 있 다.(參/adaptor)

리드인 배관 (lead in) 소화주배관에서 스프링클러 입상관까지의 인입배관(지하배관). 건물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안전한 곳에 위치한 배관상에 포스트식 개폐표시형밸브를 설치 한다.(同/feed main)

리벳 절단기 (rivet cutter) 리벳 절단용 강제진입도구.

리셉터클 (receptacle) 아웃트렛에서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설치된 접촉장치.

리스-엑스(상표명) (Lith-X) 흑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 소화약제. 금속 및 리튬화재 진화에 탁월하다.

리스크, 위험 (Risk) 리스크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지만, 그 다양한 정의들이 가지고 있는 공 통적인 개념으로는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손해발생의 가능성'(chance of loss)이라는 개념이다. 즉, 보험의 기본개념으로서의 리스크란 손해(또는 사 고) 발생의 가능성 내지 불확실성이라는 추상적 개념인 것이다.

리칭 (leaching) 광석 안에 들어 있는 용해성 무기물질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공정.

리치 (leach)의 경우에는 삼출(渗出)이라고도 한다.

리클레이머 (reclaimer) 원료 저장소에 쌓아올려진 광석, 목재 등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 하는 운반기계.

리타딩 체임버 (retarding chamber) 스프링클러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갑작스러운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오보를 예방해 주는 소형 탱크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64  (0) 2023.06.10
소방용어63  (0) 2023.06.10
소방용어61  (0) 2023.06.10
소방용어60  (0) 2023.06.10
소방용어59  (0) 2023.06.10

렘 (rem) 略/Roentgen Equivalent Man.

렘 (roentgen equivalent man(rem)) 보통의 X선이나 감마선 1회 조사량과 동일한 생물학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 는 이온화 방사능 1회 분량을 나타내는 단위. 로듐(Rh) (rhodium) 백색의 금속원소. 분말 형태에서는 인화성이 있다.

로비 지휘본부 (lobby command post) 고층건물의 1층 로비에 위치한 화재지휘본부

로우리 소화전(상표명) (Lowry Hydrant) 휴대용 소화전 척(chuck)을 사용하는 매입형 소화전.

로저식 호스 고정장치 (Roger's rope hose tool) 호스라인 등을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겹쳐 이은 로프고리와 갈퀴.(同/rope hose tool)

로컬, 지구경보 (local) 1)소규모 화재(낙엽에서 발생한 화재나 자동차 화재 등) 발생지에서 가장 가 까운 소방서의 소방차 (및 사다리) 소방대에만 통보된 경보. 2)화재경보기 발령 이전에 그곳으로의 출동이 지정된 제1소방대의 출동을 알 리는 경보. 그러나 타종(tapper)을 통해 발령되거나 통보되는 경보라는 점에 서 아무런 소리도 나지 않는 무음경보(silent alarm)와는 다르다.

로터리 기어 프라이머 (rotary gear primer) 소방펌프와 흡입호스에 차 있는 공기를 제거할 때 사용하는 소형 로터리 기 어 펌프.(參/primer

로터리 베인 프라이머 (rotary vane primer) 주원심펌프와 흡입호스에 차 있는 공기를 제거할 때 사용하는 소형 용적식 펌프.(參/primer)

로터리 펌프 (rotary pump) 기어나 회전자, 날개 등을 회전시켜 물을 이동시키는 용적식 펌프.(參 /positive displacement pump)

로프 (rope) 인조섬유 또는 자연섬유로 만든 유연한 밧줄. 외가닥 꼬기, 두 가닥 꼬기, 여 러 가닥을 엮어서 만든 것 등이 있다.

로프신호 (rope guide signal) 구명로프를 잡아당기는 행위를 부호화한 것. 잡아당기는 회수에 따라 로프를 풀라거나 잡아당기라거나 또는 구조대를 보내 달라는 등의 의미를 전달한다. (參/guide line, pay out)

롤 코팅 (roll coating) 피도장체를 도료로 덮여진 롤러와 접촉시켜 도료를 바르거나 스며들게 하는 도장 공정.

롤오버 (roll over) 플래시 오버가 발생하기 직전에 작은 불들이 연기 속에서 산재해 있는 상태. 작은 불들은 고열의 연기가 충만한 방의 천장 부근 또는 개구부의 상부에서 뿜어져 나오는 연기에 섞여 나타난다.

뢴트겐(r) 略/Roentgen. 뢴트겐(roentgen(r)) 이온화 방사능의 양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국제질량단위.(參/radiation absorbed)

루비듐(Rb)(rubidium) 공기와 물 속에서 격렬한 반응을 일으키는 은백색의 금속원소. 피부에 닿으 면 피부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루카스 도구(상표명) (Lucas tool) 문 등을 뜯거나 절단하여 차량에 갇힌 부상자들을 구조할 때 사용하는 유압 작동식 도구.

루퍼 (roofer) 서까래에 못질하여 그 위로 지붕널이나 다른 지붕덮개를 얹을 수 있도록 한 판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63  (0) 2023.06.10
소방용어62  (0) 2023.06.10
소방용어60  (0) 2023.06.10
소방용어59  (0) 2023.06.10
소방용어58  (0) 2023.06.10

러닝 기어, 구동장치 (running gear) 차량의 동력전달 계통 및 바퀴.

러닝 롱 (running wrong) 1)출동 목적지가 아닌 다른 곳으로 출동함.(同/going wrong) 2)정당한 이유 없이 사전에 계획된 출동 루트를 지키지 못함. 러비시 (rubbish) 음식물 찌꺼기와 재를 제외한 모든 고체 쓰레기.

런웨이 (runway) 1)건물과 건물을 연결하고 있는 보행통로 가운데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한 것. 2)구조용 덮개를 세로 길이로 접어 만든 비탈진 수로. 불필요한 물을 배수할 때 사용한다. 3)공항 가설활주로.

레그 록 (leg lock) 사다리 가로대 위에 한쪽 무릎을 걸치고 무릎을 걸친 다리의 발목 부분으로 사다리 세로대 바깥쪽으로부터 발아래 가로대를 감싸고 서 있는 방법. 사다 리에 고정시킨 다리의 반대편까지 두 손을 자유로이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 다.(同/ladder lock)

레늄(Re) (rhenium) 백색의 금속원소. 분말 형태에서는 인화성이 있다.

레독스 (redox) 산화환원(reduction-oxidation)의 줄임말. 레독스 중합, 레독스 촉매라고도 한다. 레드 라인 (red line) 고무 코팅된 19.05mm(¾in.) 또는 25.4mm(1in.) 호스.(同/booster line, chemical hose, peanut line)

레이놀드수 (Reynolds number(R)) 관 속으로 흐르는 유체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차원의 수. 관의 구경, 유체의 속도, 밀도, 점도 등에 기초하여 점성력에 대한 관성력의 비로 표시한다.

레이놀드수, 라디칼, 저항 (R) 略/Reynolds number, Radical, Resistance.

레이어링 (layering) 1)연기의 성층화. 2)심각한 화재위험 노출로 인해 중량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부분적으로 분리된 25~50mm(1~2in.) 두께의 콘크리트 층. 레이즈 (raise) 사다리를 세워서 고정시키는 여러 가지의 방법.

레이크 (rake) 1)화재가 발생한 지역에 호스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물을 뿌림으로써 최대의 냉각효과를 거두어 화재를 진화하려는 것.(參/sweep) 2)임야화재 진화용 수도구. 3)꼬챙이가 없는 플래스터 훅. 4)수직 기울기 또는 경사각도.

레일 (rails) 1)트러스사다리의 세로대. 트러스나 가로대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2)옛날에, 말이 끄는 소방차를 소방서 안으로 진입시키기 위해 소방차 바닥에 장치했던 강철레일. 3)철도.

레일사다리 (rail ladder) 측면 레일이 달려 있는 사다리. 건물이나 탱크 등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있다. 레지스터, 통풍조절장치,

기록계(register) 1)화재경보기로부터 수신된 경보를 기록하는 펀치 수신기. 소방서 상황실에 설치한다. 2)공조설비나 환기설비의 환기구.

레킹 바 (wrecking bar) 한쪽 끝에는 끌이 달려 있고, 다른쪽 끝에는 못뽑이가 달려 있는 짧은 강철 지렛대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62  (0) 2023.06.10
소방용어61  (0) 2023.06.10
소방용어59  (0) 2023.06.10
소방용어58  (0) 2023.06.10
소방용어57  (0) 2023.06.10

래더 슈(ladder shoe) 사다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각 세로대 바닥부분에 부착하는 보호판. (同/shoe)

래더 스톱(ladder stop) 확장사다리를 확장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다리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사 용하는 블록. 래더 스퍼(ladder spur) 사다리 세로대 바닥부분에 부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해 주는 장치.

래더 타이(ladder tie) 사다리의 비행부분을 확장할 때 사용하는 로프의 끝부분 묶음법. 래버린스 실링 링, 미로 밀봉링 (labyrinth sealing ring) 링이 임펠러의 구성요소로서 작용하는 원심펌프 틈새 링의 일종. 펌프 하우 징의 홈통과 짝을 이룬다.(參/clearance ring)

래커 (lacquer) 어떤 물질을 보호 또는 장식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화성 도료. 산화 또는 중 합반응을 통해서 건조되기보다는 주로 솔벤트의 증발에 의해 건조된다.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는 도료이다.

래커 신나 (lacquer thinner) 래커용 솔벤트. 고휘발성, 고인화성, 고폭발성 물질이다.

래크 (rack) 물품을 저장할 때, 물품을 받쳐주는 고정 또는 이동식 구조물.

래크식 창고 (rack storage) 래크라는 다단식 구조물 위에 저장하는 방식. 물건은 보통 팰릿 위에 적재된 다. NFPA는 높이 3m(10ft) 이상인 것을 '랙저장'이라 정의하고 있으며, FM은 높이와 관계없이 래크를 사용하는 모든 저장방식을 '래크식 창고'라 정의하고 있다. 래크는 장작더미를 쌓아올린 것과 마찬가지여서 화재시 연소확대위험 이 대단히 크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천장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인랙 스프링클 러헤드를 동시에 설치한다.

래피드 워터 (상표명)(rapid water) 마찰손실을 줄이기 위해 물에 첨가하는 약제.(參/polyox, slippery water)

랙 스프링클러헤드 (baffie sprinkler head) 인랙(in-rack)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헤드. 보통의 스프링클러헤드와 동 일하지만 커다란 집열판(baffle)이 달려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랙 스프링클러헤드 (baffle sprinkler head) 인랙(in-rack)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헤드. 보통의 스프링클러헤드와 동 일하지만 커다란 집열판(baffle)이 달려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同 /intermediate level sprinkler, rack storage sprinkler)

랙 스프링클러헤드 (intermediate level sprinkler head) 인랙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헤드. 일반적인 스프링클러헤드와 동일하지 만, 먼저 작동한 다른 스프링클러헤드(fused sprinkler head)의 살수로 인해 헤드의 작동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열부 위쪽에 디스크가 부착되 어 있다.(同/baffle sprinkler head, rack storage sprinkler head, 參/in-rack sprinkler)

랙열 (row rack) 1열랙, 2열랙 등의 방식이 있고, 방식에 따라 스프링클러설비도 달라진다.

랜턴 채광창 (lantern skylight) 양 측면에 유리가 달린 지붕구조. 평상시 측면 유리는 건물 안으로 빛이 들 어오는 통로 역할을 하며, 화재시에는 환기구 역할을 하기도 한다.

램스혼 (ram's horn) 쌍구형 송수구와 모니터 노즐을 연결하는 연결부. 쌍구형 송수구에서 뻗어 나온 2개의 곡선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고, 이 2개의 파이프는 노즐 플레이파 이프에 장치된 하나의 연결부로 연결된다.

램프, 경사로 (ramp) 높이가 다른 2개의 표면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경사진 표면.

랭킨 (rankine(R)) 절대온도 측정단위. °R=°F+459.6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61  (0) 2023.06.10
소방용어60  (0) 2023.06.10
소방용어58  (0) 2023.06.10
소방용어57  (0) 2023.06.10
소방용어56  (0) 2023.06.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