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립핑 (stripping) 다량의 용매에 용해한 저비점 탄화수소 혼합물에 수증기를 불어넣어 분리하 는 조작. 등유, 경유 유분이나 감압증류의 윤활유 유분은 저비점 유분을 용해 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제거할 때에도 사용한다.

스트링어, 계단옆판 (stringer) 1)종류가 다른 둘 이상의 임야지역 가연물군을 연결하고 있는 가연물의 띠. 2)계단을 지탱하고 있는 지지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 s t y r e n e - b u t a d i e n e rubber(SBR)) 구식의 합성발포 고무. 짙은 연기를 발산하며 신속하게 연소하는 성질이 있 다.

스티머 (steamer) 1)석탄을 연소시켜 얻은 증기력으로 구동되는 소방펌프차로서 말이 끌고 다 녔다. 2)參/steamer connection. 스티칭 (stitching) 용접을 할 때 접합하는 재료를 꿰매듯이 점점이 접합해 나가는 것.

스틸 (steel) 철에다 다량의 탄소와 기타 성분을 첨가하여 강도와 내식성 등을 강화시킨 합금.

스틸 알람 (still alarm) 1)화재현장으로 실제 출동하는 소방대에게만 전달되는 경보. 보통, 출동지정 카드상의 제1출동 소방대에게 전달된다.(同/citizen alarm, 參/silent alarm) 2)화재경보기 대신 전화를 통해 접수된 화재신고.(參/front door still)

스팀 (steam) 물을 끓였을 때 생성되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수증기.

스팀 소화설비 (steam innerting system) 불활성 가스소화설비의 일종. 물 대신 스팀을 사용하는 소화법. 고온상태로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중유 등의 화재는 물을 사용할 경우 수증기 폭발위험이 크기 때문에 수증기를 사용하여 질식소화하는 것이 좋다.

스팀 트랩 (steam trap) 증기배관 내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설비. 증기를 소비하지 않고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한다.

스파크 (spark) 1)나무가 연소할 때 또는 금속을 그라인딩할 때 생성되는 작고 빛을 발하는 입자. 2)전압이 다른 두 지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방전현상으로 열과 빛을 수반한다. 3)화재 및 소방업무에 관심이 많은 사람.(同/buff, firefan, ringer, sparky)

스파크 간격 (spark gap) 두 개의 도체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또는 멀리 이격된 상태에서 전기적 으로 서로 접속된 전기 부분이 서로 근접한 곳의 간격.

스파크 방지기 (spark arrester) 굴뚝이나 연관, 환기파이프 등에서 스파크 및 작은 불똥들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막.(同/spark guard)

스파크 방지형 (sparkproof) 스파크를 생성시킬 수 없는 것.

스파크소화설비 (spark extinguishing system) 스파크나 나화의 복사 에너지를 탐지하고 스파크를 진화하는 설비.

스파크오버 (sparkover) 측정용 캡, 전압제어용 캡, 또는 보호장치의 전극과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파괴방전.(參/disruptive discharge)

스파키 (Sparky) NFPA 화재예방프로그램의 상징인 만화인물 달마시아 개의 이름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3  (0) 2023.06.24
소방용어142  (0) 2023.06.24
소방용어140  (0) 2023.06.24
소방용어139  (0) 2023.06.24
소방용어138  (0) 2023.06.24

스토브, 유효수신거리, 유효방수거리, 레인지 (range) 1)스토브. 2)무선신호가 유효하게 도달할 수 있는 거리. 또는 사용 가능한 신호를 수신 할 수 있는 거리. 3)유효 방수거리.(同/reach, 參/horizontal reach, vertical reach) 4)지도의 눈 금을 매기는 시스템. 임야화재의 위치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5)초원. 스톨 (stall) 소방서내 소방차량의 차고.

스톱밸브 (stop valve) 배관 속의 유체의 흐름을 정지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밸브.

스톱장치 (stops) 고가사다리의 비행부분이 사다리 본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해 주는 장치.

스톱핀 (stop pin) 압력계나 진공계의 계기면에 부착된 작은 침. 게이지 바늘의 회전을 제한하 기 위한 것이다.

스트라이크 소방대 (strike team) 펌프차, 사다리차, 불도저 등의 장비와 지휘관을 포함하여 특별히 편성된 소 방대.

스트러트, 동바리 (strut) 1)스프링클러헤드에서 퓨저블 링크를 제 위치에 고정시켜주는 장치. 디플렉터 가 부착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2)공사중인 중량물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가설물.(同/staging)

스트레이너 (strainer) 배관 등의 개구부에 찌꺼기가 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망이나 금속 보호판. 펌프에 이물질이 끼거나 또는 이물질에 의해 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펌프, 흡입호스 등에 장치한다.

스트레치 (stretch) 1)호스라인 배치명령. 2)배치된 호스라인 1본. 3)호스를 배치하다.

스트론튬(Sr) (strontium) 연 노란색의 금속원소.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되었을 때 그리고 분말 형태에 서는 자연발화하는 성질이 있다.

스트론튬 90(90Sr)(strontium 90) 스트론튬의 방사성 동위원소로 핵폭발 낙진 속에 함유되어 있다

스트립 버닝 (strip burning) 맞불 지르기의 한 방법. 연소저지선을 따라 형성된 좁은 가연물의 띠에다 불 을 질러 진행되는 불길에 의해 보다 넓은 인접 가연물띠까지 연소되도록 하 는 방법.(參/strip firing)

스트립 파이어링 (strip firing) 한 줄 이상의 임야 가연물 지대에 불을 질러서 소각 목표 가연물 지대가 모 두 연소되도록 하는 것. 목표 가연물 지대의 안쪽부터 불을 질러 화염과 불 똥 등이 중앙으로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연소저지선까지 불이 옮겨 붙지 않도 록 한다.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맞불을 지를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 다.(參/center firing, line firing, strip burning)

스트립 헤드 파이어 (strip head fires) 방화대 근처의 한 곳 또는 여러 곳에 불을 질러 바람을 타고 방화대 안쪽의 일정 구역을 신속하게 소각하는 것.(參/strip firing)

스트립트 (stripped) 1)일정 구역의 소방대가 이미 출동한 상태여서 화재경보가 발령되더라도 출 동할 소방대가 없는 구역. 2)소방호스를 모두 제거해 버린 펌프차나 호스운반차. 3)모든 장비를 제거해 버린 소방차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2  (0) 2023.06.24
소방용어141  (0) 2023.06.24
소방용어139  (0) 2023.06.24
소방용어138  (0) 2023.06.24
소방용어136  (0) 2023.06.24

스키드 적재 호스 (skid hose load) 표준방법으로 적재된 호스 위에 여러 본의 호스를 하나의 단위로 적재하여 화재가 발생했을 때 스키드 적재된 호스를 한 덩어리로 풀어내어 즉시 사용 할 수 있도록 적재하는 것

스키드, 받침대 (skid) 물품 등을 받쳐주는 나무 또는 금속판. 물품 등을 용이하게 취급하고, 진화작 업시 바닥에 고인 물로 인해 물품 등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 하는 것이다.

스킨 개구부 (skin opening)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slab)와 커튼월(curtain wall)의 내부 표면 사이에 형성 된 개구부.(同/penetration)

스타이나 터널 시험 (Steiner tunnel test) 건물 내장재의 화염확산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ASTM E84, NFPA 255, UL 723에 기술되어 있다.(參/tunnel test)

스타이너 터널 (Steiner tunnel) 건축자재의 화염확산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시험용기. 길이 7.6m(25ft), 45.7 ㎝ 30.5 ㎝(18in. 12in.)인 직사각형 스태커 (stacker) 광석, 목재 등의 입하물을 저장소에 쌓아올리는 장치.

스탠드파이프 (standpipe) 건물 및 기타 구조물에 설치된 소방호스 방출구로 물을 공급하는 수직의 습 식 또는 건식 배관.(參/dry standpipe, house lines, wet standpipe)

스탠드파이프설비 방호 구역 (standpipe system zone) 스탠드파이프설비를 높이에 따라 수직으로 세분한 지역.

스탠드파이프와 스프링 클러 겸용설비 (combined sprinkler and standpipe system) 64mm(2.5i n.) 스탠드파이프와 스프링클러설비를 동일한 급수배관에 접속시 킨 설비.

스탠바이 (standby) 1)필요할 경우 즉시 출동할 수 있도록 항상 출동준비상태를 유지하라는 명령. 2)출동준비를 완료하고 대기상태에 있는 소방대.(參/standby crew, standby equipment,standing by)

스탠바이 소방대 (standby crew) 화재, 특히 임야화재의 신속한 진화작업을 위해 특별히 조직된 소방대.(參 /standby, standby equipment, standing by)

스터드 (stud) 건물의 수직 구조재용 목재. 규격은 보통 5㎝ 10㎝(2in. 4in.) 또는 5㎝ 15㎝ (2in. 6in.)이다.

스터업 펌프, 소화용 수 동펌프 (stirrup pump) 소형의 휴대용 수동펌프로, 짧은 호스와 펌프를 고정시켜 주는 스터업 모양 의 푸트 브래킷이 달려 있다. 보통, 버킷에서 물을 펌핑할 때 사용한다.

스테어 (stair) 1)한 줄의 계단에서 계단의 한 단. 2)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줄의 계단. 스테어 플랫폼 (stair platform) 한 줄의 계단에서 계단참 부분.

스테이션 (station) 1)화재경보기 위치. 2)參/station house. 스테이지 (stage) 연극공연 등에 사용되는 건물내 일부분. 반 닫힌 구조. 무대 앞 공간의 상부 와 천장 사이의 거리는 반드시 1.5m(5ft) 이상이어야 한다 스테이플 (staple) 길이가 20∼250㎝인 섬유.

스토다드 솔벤트 (stoddard solven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라이클리닝 솔벤트. 인화점 37.8℃(100℉) 이상, 발화 온도 232.2℃(450℉).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1  (0) 2023.06.24
소방용어140  (0) 2023.06.24
소방용어138  (0) 2023.06.24
소방용어136  (0) 2023.06.24
소방용어135  (0) 2023.06.24

스로우 (throw) 1)사다리를 신속하게 세우다. 2)하나 이상의 노즐에서 물을 방출하다. 3)구조용 덮개를 신속하게 펼치다.

스루 래더 (through ladder) 사다리를 끝까지 올라가지 않고서는 사다리 꼭대기에서 내릴 수 없는 사다 리. 스멜트 (smelt) 흑액을 연소하여 얻은 무기용융물. 주성분은Na₂S와Na₂CO₃ .

스모그 (smog) 안개와 매연이 결합하여 분해되기 어려운 혼합물로서 대기 중에 존재하는 것. 일정한 기상조건에 의해 대도시나 공단지역 등에서 발생한다.(參/soot)

스모크 폴, 짙은 연기층 (smoke pall) 화재현장에서 수평으로 확산되는 두터운 연기층.

스모크타워 (smoketower) 參/smokeproof tower.

스와터 (swatter) 삽 크기의 도구. 끝에 달린 크고 유연한 플랩으로 초지 등의 화재를 두드려 진화할 때 사용한다.(同/fire bat, fire broom, flail, fire beater)

스위치 (switch) 하나 이상의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장치.

스위치기어 (switchgear) 제어, 보호, 계량을 위한 관련 부품을 포함하는 전력 개폐 또는 차단장치. 퓨 즈, 회로차단기 및 관련 부품은 스위치기어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스위트닝 (sweetening) 직류 가솔린이나 등유 속에는 황분, 특히 메르캅탄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품의 부가가치를 저하시키므로 메르캅탄류를 산화시켜 이황화물로 변화시 켜 악취를 제거하는 공정.

스캐너 (scanner) 여러 개의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포착하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자동 무선 수신기. 간혹, 의용소방대원들이 화재경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스케일링사다리 (scaling ladder) 하나 이상의 훅이 달려 있는 사다리. 건물의 창문턱에 훅을 걸고 윗층의 창 문으로 오른 후, 훅을 이용 사다리를 다시 윗층의 창문턱에 거는 방식으로 건물을 오를 수 있는 사다리이다.(同/pompier ladder)

스쿼럴-테일 섹션 (squirrel-tail section) 소방차 펌프의 흡입부에 영구 연결된 하드 석션 호스. 차량 앞부분에 약간 느슨하게 감겨 있는 형태로 적재하여 비상시 소화전에 신속하게 연결,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퀄치 (squelch) 무선수신기에서 반송파가 존재하지 않을 때 자동적으로 잡음을 제거해 주는 회로(소자).

스크랩 (scrap) 공정상의 부산물인 금속조각, 파편, 부스러기.

스크러빙 (scrubbing) 천연가스나 LP가스가 지중 가스관에서 누출될 경우 가스에 첨가된 부취제가 토양 속으로 흡수되는 것. 지하에서 누출된 가스는 다양한 지층을 통과하면 서 향기를 상실하고 아주 먼 곳까지 확산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위험한 상황 인데, 왜냐하면, 지하층 등 건물의 기저부로 스며든 가스가 적절한 시기에 감 지되지 않은 채 폭발성 또는 인화성 혼합기를 형성할 수 있는 개연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스크린 (screen) 종이와 펄프의 제조에서 원질 속에 섞여 있는 결속 섬유, 티, 이물질 등을 제 거하는 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

스키드 마운트 (skid mount) 픽업 트럭 등과 같은 차량에 적재되어 비통상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 급식 펌프.(參/slip-on tanke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0  (0) 2023.06.24
소방용어139  (0) 2023.06.24
소방용어136  (0) 2023.06.24
소방용어135  (0) 2023.06.24
소방용어134  (0) 2023.06.24

수용품 위험 (hazard of contents) 어떤 구조물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보유한 상대적 위험. 화재, 연기, 가 스 등을 발화 및 확산시키거나, 또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거주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을 말한다.

수은 밀리미터(mmHg) (millimetre of mercury) 표준 중력가속도 980.665㎝/sec², 0℃에서, 정확히 1mm 높이의 수은주에 해 당하는 압력단위.

수작동 펌프엔진 (hand tub) 증기 및 가솔린 구동 펌프엔진이 출현하기 이전 시대의 소방대원들이 사용하 던 수작동 펌프엔진.

수조 (wet pit) 연못, 호수 및 개울과 같은 곳에서 송수된 물로 가득차 있고, 여과망이 설치 된 흡수구가 있는 목재, 콘크리트 또는 석조로 된 수조.

수중펌프 (borehole pump) 수면 위로 물을 퍼 올릴 목적으로 수중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원심펌프.

수중펌프 (submersible pump) 본체를 수중에 설치하는 펌프.

수증기폭발 (water vapor explosion) 용융금속이나 슬러그(slug)와 같은 고온의 물질을 물 속에 담그면, 고온 물질 의 열이 순식간에 저온의 물에 전달되어 일시적으로 물은 과열상태에 이르게 되고, 또 조건에 따라서는 극히 짧은 시간에 급격히 비등하여 증발한다. 이 때, 액상에서 기상으로의 상 변화에 따른 폭발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 한 폭발현상을 수증기폭발이라 한다.

수직 인라인 펌프 (vertical in-line pump) 동일 중심선에 흡입 및 토출 플렌지가 있는 펌프에 의해 구동장치가 지지되 는 원심펌프.

수직 타워 (vertical tower) 플랫폼을 수직으로 올릴 수 있도록 설계된 공중작업차.

수직개구부 (vertical opening) 건물의 2개 층 이상을 관통하고 있는 모든 개구부. 계단실, 엘리베이터, 컨베 이어, 또는 난방, 환기, 기타 설비를 위한 덕트 등.

수직연소확대 (vertical spread) 화재가 수직방향으로 확대되는 것.

수커플링 (male coupling) 나사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호스 니플. 피치, 나사 및 구경이 동일한 암커플 링과 결합할 수 있다.

수평 세우기 (flat raise) 사다리의 세로대와 가로대를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뽑으면서 사다리를 세우 는 방법. 수평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head) 일정 지역의 한 면, 즉 구면의 약 ¼ 정도 되는 한쪽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물 을 방수하는 스프링클러헤드. 이때 방수된 물 가운데 아주 소량만이 스프링 클러헤드 뒤에 위치한 벽을 적신다. 전방 수평방수거리는 표준 스프링클러헤 드의 수평방수거리보다 약 4.5m(15ft) 이상 길다.

수평 피난통로 (horizontal exit) 하나의 건물에서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있는 다른 건물의 대피장소까지의 통 로. 또는 화재발생지역과 이들의 연결지역으로부터 동일한 건물의 동일한 높 이에 위치하고 화재와 연기에 대하여 안전한 대피장소까지 방화벽을 관통하 거나 방화벽 주위에 위치한 통로.

수평채널 (horizontal channel) 수평으로 겹쳐서 저장한 타이어 사이의 길이가 1.5m(5ft)를 초과하는 연속된 공간. 이 채널(channel)은 팰릿, 선반, 랙 또는 기타 저장배열의 형태.

수평천장 (level ceiling)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기울기가 41.7mm/m(1½ in./ft)인 천장.

수포제 (vesicant) 피부와 접촉할 경우 피부에 물집이 생기는 약제.

수화 (hydration) 유기화합물에서 분자내 또는 분자간에 물을 첨가하는 반응. 불포화화합물로 알코올류의 제조 및 고리화합물의 개환반응 등이 있음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9  (0) 2023.06.24
소방용어138  (0) 2023.06.24
소방용어135  (0) 2023.06.24
소방용어134  (0) 2023.06.24
소방용어133  (0) 2023.06.24

수성막포 (aqueous film-forming foam(AFFF)) 1)불화계면활성제에 포안정제를 첨가한 후, 이를 다시 물에 희석시켜 3~6%의 수용액을 형성토록 한 포소화약제. 공기 또는 산소를 제거하고 화재를 진압 할 수 있는 수성막을 형성한다. 2)포안정제를 첨가한 후 3~6% 비율의 담수 또는 해수로 희석시킨 불화계면 활성제. 산소 차단막을 형성하고, 연료의 표면에 수성막을 형성하여 연료의 증기 발생을 억제한다. 수성막포 소화약제는 보통, 단백포생성에 적합한 기 존의 포 발생장치를 사용한다. 고정식 또는 이동식 물분 수성막포 소화약제 (film Forming Foam Agents) 극성용매(물에 녹는 인화성 액체)에 용해되지 않는 것과 용해되는 수성막포 (AFFF)와 불화단백 수성막포(FFFP).

수세식 도장부스 (waterwash spray booth) 배기덕트에 유입되는 분진 또는 잔류물을 최소화하고 과잉분무 잔류물을 포 집하기 위해 물세척설비가 설치된 도장부스.

수소(H) (hydrogen) 발화점 400℃(752℉), 폭발범위 4~75Vol.%인 기체 원소. 인화성과 폭발성이 매우 강해 열 또는 화염에 노출될 경우 대단히 위험하다.

수소 블리스터링 (hydrogen blistering) 어떤 부식성 환경 하에서 탄소강 표면의 수소원자가 금속 내부로 침투하여 금속의 결함이나 엷은 조각 등에 모여 수소분자로 될 때 발생되는 가스 압력 에 의하여 금속에 기포가 생기게 되고, 결국에는 금속이 파괴되는 현상.

수소에 의한 손상 (hydrogen damage) 수소가 존재함으로 인해 또는 수소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금속이 기계적 손 상을 입게되는 현상.

수소화리튬(LiH) (lithium hydride) 백색의 투명한 결정 덩어리 또는 분말. 습한 공기 중에서는 자연발화한다. 수소화물 (hydride) 나트륨, 리튬, 알루미늄, 붕소 등과 수소가 결합된 맹독성의 자극적인 무기 화합물. 물, 산화제 등과 접촉할 경우 격렬하게 반응하거나, 또는, 간혹 인화 성을 띠기도 한다.

수손 (water damage) 소화작업시 사용한 물로 인해 발생한 상품 및 자재의 손실.

수습 소방대원 (probationer) 정규 채용 이전에 수습 교육을 받고 있는 소방대원(同/probie, mop, rookie, ink)

수습기간 (probationary period) 소방대원 지원자들이 기본적인 훈련 및 교육을 이수하는 일정기간. 수신기 (receiver) 수신된 무선신호를 감지하여 음파로 증폭시켜 주는 장치.

수신기, 경보표시기 (fire alarm annunciator) 감지기 등으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관계자 등에게 경보를 발신하는 설 비.(同/fire alarm control panel)

수압경보장치 (water pressure flow indicator) 스프링클러설비에서 물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 강하치가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질 때 유수경보장치를 작동시키는 장치.(同/pressure switch)

수압방출밸브 (water relief valve) 소방펌프의 토출압력을 제어하는 밸브.

수압펌프, 자동양수기 (hydraulic ram)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유체를 높은 곳까지 밀어 올리는 펌프. 수용성 용제 (water soluble solvent) 물에 녹는 용제. 대표적인 것으로 알코올류가 있다.

수용인원 (occupant load) 어느 한 시점에 하나의 건물 또는 건물내 한 구역을 점유할 수 있는 이론적 으로 가능한 최대 인원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8  (0) 2023.06.24
소방용어136  (0) 2023.06.24
소방용어134  (0) 2023.06.24
소방용어133  (0) 2023.06.24
소방용어132  (0) 2023.06.24

수막 (water curtain) 1)화재로 인한 복사열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외부 스프링클 러헤드의 1열. 2)복사열로 인한 화재위험에 노출된 건물을 방호하기 위해 가하는 호스주수. 3)분무도장작업에서 발생한 잉여 페인트를 흡수하거나 또는 팬을 이용 잉여 페인트를 수막으로 뿜어내어 수막 아래에 설치된 잉여 페인트 수집기로 집 적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폭포수 같은 물의 흐 름.

수면지역 (separate sleeping area) 주거시설에서 침실이 위치한 지역. 부엌 또는 거실(욕실은 제외됨) 등 기타 지역과 분리되어 있는 침실은 수면지역으로 간주한다.

수목화재 (tree fires) 나무의 상부에서 진행되는 화재. 번개나 담배꽁초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수산화나트륨 (sodium hydrate) 參/sodium hydroxide. 수산화나트륨, 가성소다 (NaOH) (sodium hydroxide) 백색의 수용성 고체화합물. 피부를 부식시키는 성질이 있다.(同/caustic soda, soda lye, sodium hydrate, lye)

수산화칼륨 ( K O H ) ( p o t a s s i u m hydroxide) 백색의 결정성 염 또는 조해성 고체. 매우 강한 염기로서, 공기 중의 이산화 탄소를 흡수한다. 비누, 유리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수산화칼륨(KOH), 가성 칼륨 (caustic potash) 參/potassium hydroxide.

수산화칼슘(Ca[OH]₂) (calcium hydrate) 參/calcium hydroxide.

수산화칼슘, 소석회 (Ca[OH]₂) (calcium hydroxide) 부드러운 백색 결정 분말. 알칼리성을 띠며 약간 쓴맛이 있고 피부에 닿으면 쓰라리다.(同/calcium hydrate, caustic lime, hydtrated lime, slaked lime)

수산화칼슘, 소석회 (slaked lime) 參/calcium hydroxide. 수선(搜線)그룹 (hunt group) 입력중인 호출을 사용하지 않는 통신선에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통신선 그룹. 수성 (aqueous) 물을 포함하고 있는. 물로 만들어진.

수성가스 (blue gas) 參/water gas. 수성가스 (water gas) 일산화탄소(CO) 40Vol.%, 수소(H₂) 50Vol.%, 이산화탄소(CO₂) 3Vol.%, 질 소(N₂) 3Vol.%를 함유하고 있는 유독성 혼합가스. 백열 코우크스층 위로 수 증기를 통과시키거나, 또는 천연가스나 탄화수소 등을 고온에서 반응시켜 생 산한다. 폭발범위는 7~72Vol.%.(同/blue gas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6  (0) 2023.06.24
소방용어135  (0) 2023.06.24
소방용어133  (0) 2023.06.24
소방용어132  (0) 2023.06.24
소방용어131  (0) 2023.06.24

수관연소 (crown out) 간헐적으로 나무의 꼭대기 부분을 태우면서 진행되는 화재.

수나사 (external thread) 원통 바깥쪽에 나사산이 절삭되어 있는 나사.

수나사의 외경 (ODM) 略/Outside Diameter of a Male Thread.

수납위치 (bedded position) 확장사다리를 수납하여 저장하는 위치.

수동발신기 (manual (fire alarm) pull station)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소방서 등에 통보할 때 사용하는 발신기. 보통, 비상구 근처에 설치한다.(同/manual fire alarm box)

수동식 소화기 (portable fire extinguisher) 소화약제나 액체, 가스 등이 들어 있는 휴대용 소화기.(參/fixed fire extinguishing system)

수동식 스탠드파이프설비 (manual standpipe system) 유량과 방수압력을 연결송수구로만 급수하는 스탠드파이프설비.

수동전환스위치 (manual transfer switch) 사람이 직접 하나 이상의 부하를 한 전원에서 다른 전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 는 스위치.

수동화재발신기 (break-glass fire alarm) 화재발신기의 유리를 깨뜨리고 발신기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서 유래한 명칭. 영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며, 미국에서는 버튼을 누르는 대신 화재발신 기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당김식을 주로 사용한다.(同/manual alarm pull station)

수두 (water head) 參/head. 수두, 선단, 헤드 (head) 1)유체가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 압력수두, 속도수두, 위치수두가 있다.(參 /water head) 2)임야화재의 진행방향에서 최전방에 위치한 화염. 3)연조기에서 주요 작업을 하도록 구성된 기계의 단위 부분. 수력학,

수리학 (hydraulics) 물의 이동과 활용에 관한 학문. 소방분야에서 수력학은 화재를 진화 및 제어 하는 데 사용되는 물과 관련된다.

수로 (aqueduct) 물 수송용 채널 또는 도관.

수리계산 (hydraulic calculation) 參/flow caculation. 수리지도 (water supply map) 진화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일정 지역의 소화수량을 나타내 주는 지도. 급수 관의 크기, 소화전 위치, 소방용수 시험결과, 소방펌프로 펌핑할 수 있는 가 용 수원 등이 표시되어 있다.

수리학적 설계방식 스프 링클러설비 (hydraulically designed sprinkler system) 압력손실을 기초로 배관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lpm( gpm)의 단위로 나타낸 살수밀도 또는 헤드당 최소 방수압 및 방수량을 특정지역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설비.

수마력 (water horsepower(whp)) 방수량을 방수압에 연관시켜서 펌프에 필요한 마력을 산정하는 방법. WHP=QP/1720에서, WHP는 수마력, Q는 방수량 gpm, P는 방수압 p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5  (0) 2023.06.24
소방용어134  (0) 2023.06.24
소방용어132  (0) 2023.06.24
소방용어131  (0) 2023.06.24
소방용어130  (0) 2023.06.24

솔더형 스프링클러헤드 (solder-type head) 열기에 의해 퓨저블 링크가 녹아 내릴 경우 작동하는 스프링클러헤드.

솔더형 스프링클러헤드 (solder-type sprinkler) 參/solder-type head.

솔리드 선반 (solid shelf) 구멍이 없고 전체가 하나의 판 모양으로 만들어진 선반. 랙크식 창고에 솔리 드 선반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선반마다 인랙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솔리드 장선구조 (solid joist construction)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간격이 0.9m(3ft) 이하이고, 천장면 아래로 100mm(4in.) 를 초과하는 돌출된 고형 구조부 또는 비구조부가 있는 천장. 솟을지붕, 모니터,

유도 방사능 검출기 (monitor) 1)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높임지붕구조. 측면이 유리로 되어 있다.(同/lantern skylight, 'Texas' skylight) 2)차량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대량주수장치. 소방선 및 고압 소방차량에 장착 된다.(參/ground monitor) 3)특정 지역의 방사능 측정. 4)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해야 할 양이나 상태 를 연속적으로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측정하는 것. 또는 이와 같은 목 적으로 사용하는 장치.

송신지연 (presignal delay) 화재경보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소방서로의 화재경보송신을 지연시키 는 것.

송전전압 (transmission voltage) 발전소에서 전기 수용가로 송전할 때의 전압. 일반고압(600V 초과, 7,000V 이 하)과 특별고압(7,000V 초과)의 두 가지로 송전한다.

송출식 발포기 (foam generator, blower-type) 분무형태의 포를 스크린에 분출한 다음, 팬 또는 송풍기로 바람을 일으켜 공 기가 스크린을 통과하면서 포를 발생시키는 장치.

송풍기 (blower) 역분사 집진기의 개별 백필터를 청소하기 위해 고압의 공기를 집진기류의 흐 름방향과 반대로 분사하는 장치.

쇠갈고리 (grappling hook) 물에 빠진 사람이나 물건 등을 건져낼 때 사용하는 철제 도구. 앵커와 비슷 한 모양을 하고 있다.

쇠지렛대 (crowbar) 강철로 만들어진 둥근 바. 한쪽 끝은 날카로운 침 모양, 다른쪽 끝은 납작하 게 만들어 쐐기(V자 모양) 모양을 갖도록 한 것. 무거운 물체를 옮길 때 지렛 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수격 (water hammer) 물을 급격히 가속하거나 감속함으로써 발생하는 힘. 보통, 밸브를 지나치게 빨리 열거나 닫을 때 발생한다. 수격으로 인해 생성된 압력은 배관이나 호스 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同/hammer, 參/surge)

수격작용 (pressure surge) 밸브나 노즐이 갑자기 개방 또는 폐쇄될 때 발생하는 급격한 압력의 변화. 간혹, 호스나 배관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압력파를 초래하기도 한다.(同 /water hammer)

수계소화기 (water based extinguisher) 포소화기, 강화액소화기 등 액체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소화기. 수공구 진화대 (hand crew) 8명∼25명으로 구성된 임야화재 진화작업대. 진화작업시 수공구를 가지고 덤 불 등을 치우는 작업을 주로 수행한다.

수관(樹冠)화재 (crown fire) 지상의 화재와는 별도로 나무의 꼭대기를 따라 번져 가는 화재.(參/crown out)

수관(樹冠)화재 (running crown fire) 參/crown fire. 수관가연물 (crown fuel) 參/aerial fuel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4  (0) 2023.06.24
소방용어133  (0) 2023.06.24
소방용어131  (0) 2023.06.24
소방용어130  (0) 2023.06.24
소방용어129  (0) 2023.06.22

소화전 키 (hydrant key) 소화전을 열고 밸브를 개방시킬 때 사용하는 도구.(參/hydrant wrench)

소화전 피트 (hydrant pit) 지면 또는 도로 밑에 설치된 소화전용 피트.

소화전 함 (hydrant house) 공장 구내 소화전이 수납되어 있는 구조물. 소방호스, 노즐, 도끼, 스패너, 랜 턴, 기타 기본적인 진화장비들도 보관되어 있다.

소화전 확보 (make a hydrant) 參/catch a hydrant. 소화전 확보 (take a hydrant) 1)펌프차를 소화전 옆에 대기시키라는 명령. 2)소화전에 호스를 연결하라는 명령.

소화전과 화재현장 호스 배치 (hydrant-to-fire-lay) 소화전 또는 급수원으로부터 화재현장으로 호스를 배치하는 것.(參/straight lay, forward lay) 소화전에 게이트 밸브를 부착하다 (gate a hydrant) 소화전을 개방하기 전에, 하나의 게이트 밸브를 방수구에 장착하는 것. 그 결 과 소화전 밸브를 차단하지 않고 다른 방수구를 사용할 수 있음.

소화주배관 (yard main) 구내 소화용 주배관. 대부분 지하에 설치한다.(同/fire service main, ring main)

속도 (velocity(vel)) 단위 시간당 위치변화율. 단위는 m/sec, km/sec 등.

속도수두 (velocity head) 유체의 흐름에너지.(同/velocity pressure, 參/Bernoulli's theorem, total rated head)

속동형 스프링클러헤드 (quick response sprinklers) 헤드의 표면적을 증가시켰거나, 또는 특별한 작동장치, 즉 금속날개 집열기나 전기적 뇌관(squib)을 부착한 스프링클러헤드. 신속한 작동을 목적으로 고안 된 것이다.

속동형 조기진압 스프링 클러헤드 (quick response early suppression sprinkler) 특정 화재위험을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속동형 스프링클러헤드.

속동형 포용확장 스프링 클러헤드 (quick response extended coverage sprinkler) 확장된 방호면적에 물을 살수할 수 있는 속동형 스프링클러헤드.

손상방지블록 (chafing block) 둥근 홈이 파여 있는 상자형 장치. 상자에 파인 둥근 홈 속에 호스를 넣고 고리로 고정시켜 호스의 외피가 거리의 연석이나 콘크리트, 자갈 등과의 마 찰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손실 (damage) 화재로 인한 총손실. 기업휴지, 미래 생산 손실, 방목손실, 목재, 야생서식물 등과 숲이나 덤불, 초지의 화재로 인한 유역 손실 등. 손을 이용한 화재확인 (feeling for fire) 1)은폐된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벽이나 격벽, 기타 관 련 표면을 손으로 만져보는 것. 2)연소된 물질과 잔해 등을 손으로 만져보면서 완전히 꺼지지 않고 남아 있 는 불씨를 확인하는 것.

손해사정인 (adjuster) 인명 또는 재산상의 손실을 조사하여 보험금 청구가 예상되는 손해액을 사정 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사람.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3  (0) 2023.06.24
소방용어132  (0) 2023.06.24
소방용어130  (0) 2023.06.24
소방용어129  (0) 2023.06.22
소방용어128  (0) 2023.06.22

소화도리깨 (flail) 산불이나 덤불화재를 두드려 진화할 때 사용하는 도리깨.

소화수 필요량, 요구수량 (water demand) 일정 면적의 화재하중에 대한 소화수량. 방수량(단위면적당 수량) 방수시간 (소화가능시간)으로 산출하며, 미국의 경우 스프링클러설비의 요구수량과 소 화전설비의 요구수량을 합한 것을 말한다.

소화수량 (fire flow) 일정 지역에서 진화작업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물의 양. 그 지역에서 소비 하는 평상시 물소비량을 더하여 계산한다.

소화수량, 급수설비 (water supply) 1)일정 지역의 물의 총량 가운데 진화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參 /water supply map) 2)수계소화설비에서 필요한 유량(gpm)과 압력(psi)을 제공하는 설비.

소화약제 (extinguishant) 參/extinguishing agent. 소화약제 (extinguishing agent) 연소중인 물질을 냉각시키거나 산소의 공급을 차단, 또는 화학적으로 연소를 억제함으로써 화재를 진화하는 물질.

소화용 주배관 (fire main) 구내 소화용 주배관. 보통 지하에 매설한다.(同/fire service main, looped fire main, yard main)

소화용수 급수관설비 (water distribution system) 보통, 루프상태로 지하에 매설되며, 적절한 간격으로 블록밸브(divisional valve)가 20~30 ㎝(8~12in.) 구경의 배관에 설치된다. 배관 또는 분기관에 옥 외소화전,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 등이 설치된다. 물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배관의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방식이다. 대 표적인 것으로 루프식 소화 주배관이 있다.

소화용수 첨가제 (water additive) 소화용수의 소화효과를 높이고 동결을 방지하며 마찰손실을 줄이기 위해 첨 가하는 약제. 통상, 3% 정도 첨가한다.

소화쟁기 (fire plow) 트랙터에 달린 둥근 모양의 쟁기. 방화선 및 연소저지선을 구축할 때 사용한 다.

소화전 (fire hydrant) 소방호스와 소방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1개 이상의 방수구가 있는 급수시 설의 밸브 접결구.

소화전 (hydrant) 급수설비에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가 달린 하나 이상의 방수구가 장치되어 소방차나 호스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수직의 금속 주조물.(同/fire hydrant, fire plug, 參/wet barrel hydrant, California hydrant)

소화전(fire plug) 參/hydrant.

소화전 니플(hydrant nipple) 소화전에 붙어 있는 나사 이음쇠. 소방호스를 연결하는 곳이다.

소화전 렌치(hydrant wrench) 5각형의 작동 너트가 달린 특수 렌치. 소화전을 개방하여 방출구 캡을 제거 하는 데 사용한다.(同/hydrant spanner)

소화전 밸브 (hydrant gate) 소화전 송수구에 연결되어 소화전 방수밸브와는 별도로 작동하면서 소화전의 방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

소화전 스템 (hydrant stem) 소화전 최상부 조작 너트로부터 바닥면 가까이 위치한 밸브까지의 본체부분. 소화전 스패너 (hydrant spanner) 參/hydrant wrench.

소화전 어댑터 (hydrant adapter) 소방펌프차의 흡입구를 소화전 송수구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어댑터나 관부 속 또는 커플링.

소화전 접근 (catch a hydrant) 소화전에 소방호스를 연결하기 위해 이동장비를 이용, 소방대원을 소화전에 접근시키는 것.(同/make a hydrant, dress a hydrant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2  (0) 2023.06.24
소방용어131  (0) 2023.06.24
소방용어129  (0) 2023.06.22
소방용어128  (0) 2023.06.22
소방용어127  (0) 2023.06.22

소방학교, 소방학부 (fire school) 1)소방대원들이 가장 효과적인 소화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타입의 실물화재를 대상으로 교육하는 소방훈련학교. 2)대학에서 소방대원들을 대상으로 개설한 단기간의 집중적인 소방교육과정. (同/fire academy, 參/fire college)

소방호스 (fire hose) 직조된 재킷 또는 비투과성 라이닝으로 제작된 가요성이 있는 호스. 소방훈련 (fire drill) 1)화재가 발생했을 때 일반대중이 피난통로를 쉽게 확인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소방훈련. 2)장비 및 진화절차 등을 숙달하기 위한 소방대원들의 훈련.

소선(素線) (strand) 연선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선. 소성변형 ( 塑 性 變 形 ) ( p l a s t i c deformation) 탄성 한계 이상으로 압박을 가했을 때 발생하는 형태의 변화. 탄성 한계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소성변형은, 특히 가열 응력과 같은 순간적인 최고 응력이 생길 때 축적되며, 국부적 소성변형은 국부응력과 뒤틀림을 가 져온다.

소수성 (hydrophobic property) 물에 녹거나 섞이지 않는 성질.

소염거리 (quenching distance) 전극의 간격이 좁아지면 전극을 통한 열의 방출이 증가하게 되어 열의 발생 과 방출이 균형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점화될 수 없는 최대거리, 전극과 전 극간의 최대거리.

소유성도 ( 疎 油 性 度)(oleophobicity) 오일에 녹지 않는 정도.

소집 (turn out) 화재경보를 접수하고 현장으로 출동하기 위해 소방대원들을 집결시키는 것.

소프트 (soffit) 1)처마, 차양 등의 수평 밑면. 2)문 위의 벽체부분.

소프트 석션 (soft suction) 參/soft sleeve.

소프트 슬리브 (soft sleeve) 펌프 차와 소화전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짧은 길이의 대구경 소방호스.(同 /soft suction)

소형 고가사다리 (junior aerial) 손잡이 휠이 필요 없는 소형 고가사다리로서 그 길이가 19.7m(65ft) 까지인 사다리.

소형 사다리차 (service aerial) 2개 또는 3개의 차축 새시 위에 19.7~30.3m(65~100ft) 길이의 사다리를 탑재 하고 있는 차량. 조타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트랙터 견인 사다리차와 동일 한 기본장비를 구비하고 있다.(同/junior aerial)

소형 소방정 (pump boat) 소용량 펌프를 장착한 소형 소방정. 선창 밑 또는 기타 대형 소방정이 접근 할 수 없는 공간에서의 진화작업시 유용한 소방정이다.

소형 소화기구 (pony) 용량 9.5ℓ(2½ al) 미만의 소형 소화기구.

소화 (fire extinguishment) 연소중인 가연물의 불길을 완전히 진압하는 것.

소화기 (extinguisher) 參/fire extinguisher. 소화기 (fire extinguisher) 소규모 화재 진화용 초기 소화기. 휴대용 소화기와 바퀴 달린 소화기가 있다. 물, 할론, 이산화탄소 등의 소화약제가 충전되어 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1  (0) 2023.06.24
소방용어130  (0) 2023.06.24
소방용어128  (0) 2023.06.22
소방용어127  (0) 2023.06.22
소방용어126  (0) 2023.06.22

소방차 호스함 (hose bed) 소방차의 호스 적재실. 소방차의 표준 호스함 공간은 최소 1.54㎥(55ft³)이고, 63.5mm(2½in.) 호스 455m(1,500ft)와 (31.7mm(1½i n.) 호스 121.2m(400ft)를 수 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펌프-사다리소방차의 표준 호스함 공간은 1.12 ㎥(40ft³)이고, 63.5mm(2½in.) 호스, 30.3m(1,000ft)와 12.7mm(½in.) 호스, 121.2m(400ft) 호스를 수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소방차 호스함 (hose body) 參/hose bed.

소방차, 엔진 (engine) 1)소방펌프차 또는 펌프 등을 지칭.(參/pumper) 2)소방차, 펌프, 사다리를 세울 때 사용하는 유압 원동기, 그리고 기타의 장비 등에 동력을 공급하는 기계장치. 3)소방차 엔진. 4)가스나 액체 연료, 또는 두 가지를 조합한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외연 기관, 가스 터빈 소방차량 (apparatus) 각종 용도의 소방용 차량.

소방차량 (fire truck) 1)소방차의 총칭. 2)보통의 소방차 또는 물탱크 소방차에 적재되지 않는 사다리 및 기타 소방 장비들을 탑재한 소방차.

소방차분대 (engine company) 소방대 1개 분대. 정격용량 1,900lpm (500 gpm, 31.5ℓ/sec) 이상의 소방차가 1대 이상 배정된다.

소방차용 말, 베테랑 소 방대원 (fire horse) 1)동력 소방차가 출현하기 이전에 증기 소방차를 끌던 말. 2)베테랑 소방대원. 소방차용 주차도로 (fire lane) 소방차 전용 주차통로나 도로. 소방특별경계 (fire picket) 參/Fire Watch.

소방펌프 (fire pump) 10.5㎏/㎤(150psi; 1035㎪) 유효압력에서 2,850lpm (750gpm) 이상의 정격용량 을 갖는 소방용 원심펌프.(參/booster pump, jockey pump)

소방펌프 유닛 (fire pump unit) 소방펌프, 구동장치, 제어기 및 부속품으로 구성된 유닛.

소방펌프 제어기 (fire pump controller) 소방펌프의 상태와 조건을 감시하고 신호를 발할뿐만 아니라 소방펌프 구동 장치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장치.

소방펌프 현장인수시험 (fire pump field acceptance test) 현장에 설치된 소방펌프의 성능 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소방펌프차 (attack pumper) 신속한 진화작업을 위해 제작된 소방차. 대부분1½in. 와 2½in. 호스, 모니터 또 는 터렛 노즐, 대용량 물탱크 드이 장착되어 있다. 보통, 화재현장에 가장 먼 저 투입된다.

소방펌프차 (fire pumper) 소화활동용 펌프를 적재한 차량.

소방펌프차 (one-thousand gpm pumper 1,000gpm) 보통, 고가의 자산들이 밀집해 있고 가용 소방용수가 풍부한 곳에서의 화재 시 출동하는 중간 용량의 소방펌프차. 정격 용량은, 용적운전시 순펌프압력 10.54㎏/㎠ (150psi)에서 63.1ℓ/sec(1,000gpm)이며, 4개의 63.52mm(½in.) 방수 부가 수반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30  (0) 2023.06.24
소방용어129  (0) 2023.06.22
소방용어127  (0) 2023.06.22
소방용어126  (0) 2023.06.22
소방용어125  (0) 2023.06.22

소방업무 (fire Service) 소방 관련 업무나 기구 등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소방용 내장호스 (lined hose) 천으로 짜여진 외피층이 있고, 그 내부는 고무, 플라스틱, 라텍스 코팅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마찰손실을 줄이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소방호스.

소방용 버킷 (fire bucket) 1)헬리콥터가 매달고 비행하다가 화재현장 상공에서 투하할 수 있도록 기계 장치를 갖춘 물탱크. 물뿐만 아니라 소화약제도 담을 수 있으며, 임야화재 진화시 사용한다. 2)모래, 물, 소화약제 등을 담을 수 있는 붉은색 물통. 바닥이 둥근 것이 보통 이고, 진화용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함에 보관한다

소방용 버킷 (fire bucket) 1)헬리콥터가 매달고 비행하다가 화재현장 상공에서 투하할 수 있도록 기계 장치를 갖춘 물탱크. 물뿐만 아니라 소화약제도 담을 수 있으며, 임야화재 진화시 사용한다. 2)모래, 물, 소화약제 등을 담을 수 있는 붉은색 물통. 바닥이 둥근 것이 보통 이고, 진화용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함에 보관한다.(同/leather bucket, fire pail)

소방용 버킷 (fire pail) 불꽃이 새겨진 붉은색 물통 또는 들통. 바닥면을 둥글게 하여 소방용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만든 것.(同/fire bucket)

소방용 전동펌프 (electric motor driven fire pump) 전동기로 구동되고 스프링클러설비, 옥내소화전설비 등의 가압송수장치로 사 용되는 펌프.

소방의 날 (fire Service Recognition Day)(美) 1)초겨울 11월이 되면 불조심 강조의 달로 설정하여 국민들에게 불조심에 대 한 경각심과 이해를 높이고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게 하여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화재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화재 신고번호 119를 생활화 하기 위하 여 11월 9일로 설정하였으며, '89년 12월 30일자로 소방법 제정에 따라 이 날을 "소방의 날"로 정하여 실시하고 있다. 2)소방 관련 종사자들을 격려하기 위한 날. 보통, 5월 둘째주 토요일(美) 3){국제소방서장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ire Chiefs)에서 회원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제정한 날.(參/Firemen's Memorial Sunday)(美)

소방점검자 (fire inspector) 1)건물의 화재위험을 점검하는 소방대원. 2)건물점검, 화재조사, 일반 대중에 대한 화재예방교육 등을 실시하는 소방대 원. 소방정 (fireboat) 대용량 주수장비, 펌프, 기타 진화장비를 탑재한 소방용 선박.

소방차 (fire apparatus) 소방서, 소방대 등 방화책임기관이 화재진압에 사용하는 긴급차량.(參 /apparatus)

소방차 운전자 (fire apparatus operator) 일정 규모의 소방장비, 즉 소방차량, 펌프 또는 사다리 등의 운행을 담당하고 있는 자.(同/engineer, driver, operator)

소방차 차고 (apparatus floor) 1)소방서내, 소방차를 대기시켜 두는 차고가 있는 층. 2)소방차가 정차하는 실제 차고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9  (0) 2023.06.22
소방용어128  (0) 2023.06.22
소방용어126  (0) 2023.06.22
소방용어125  (0) 2023.06.22
소방용어124  (0) 2023.06.22

소방대원, 소방훈련용 사다리 (pompier) 1)(佛) 소방대원. 2)하나의 세로대와 세로대를 가로지르는 여러 개의 가로대가 있고, 창문틀이 나 기타 개구부에 걸 수 있도록 길고 굽은 갈퀴가 달려 있으며, 길이가 표 시된 사다리. 소방대원들의 담력을 기르기 위해 사용하는 훈련용 사다리이 다.(參/scaling ladder)

소방대원식 운반법 (fireman's carry) 부상자, 의식불명자, 장애인 등을 운반하는 소방대원들의 운반법. 부상자 등 을 어깨에 걸머메되 대원의 한 손은 자유롭게 하여 균형을 유지하고 사다리 등을 내려올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同/fireman's lift)

소방대학 (fire college) 1)소방간부를 위한 고급 교육과정. 2)미국의 주립대학에 개설된 주 또는 지방정부의 소방학교.

소방도구 보관함 (fire tool cache) 진화작업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에 비치되어 있는 소방도구 보관함.

소방마크 (fire mark) 화재보험회사 또는 방화기구 등의 상징물. 예전에는 건물에 소방마크를 부착 하여 그 건물이 부착된 마크의 회사나 기관으로부터 방호되고 있음을 표시하 였다.

소방법 (Fire Service law) 화재를 예방, 경계, 진압하고 재난, 재해 및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 구급활동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서 공공의 안녕 질서의 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 1958년 3월 11 일 공포되었다.

소방서 (fire station) 1)소방대원 및 장비를 수용하며 소방대 주둔지로 사용되는 건물. 2)방화활동을 수행하는 공공기구. 각 지방정부에 소속된 기구로서, 관계 법률 에 의거 화재예방,진화작업, 긴급구조활동 등을 수행한다.

소방서 (engine house) 參/fire station, quarters, station house. 소방서 (station house) 同/barn, fire hall, firehouse, fire station, quarters, station.

소방서 (fire department) 방화활동을 수행하는 공공기구. 각 지방정부에 소속된 기구로서, 관계 법률에 의거 화재예방, 진화작업, 긴급구조활동 등을 수행한다.

소방서 비상점등 (trip the lights) 야간에 화재경보를 접수할 경우, 즉시 소방서의 조명을 밝히는 것.

소방서 조명등 (house lights) 화재경보 접수후 소방대가 출동할 때 소방서 전체를 밝히는 조명.

소방서 화재안전점검 (company building inspection) 건물의 화재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소방대원들이 실시하는 안전점검.

소방시설 (fire protection system) 소방시설이란 화재를 감지하고, 진압하며, 피난을 도와주는 일련의 시설을 말 한다. 1. 소화설비 가. 소화기, 자동식 소화기, 간이소화용구 나. 옥내소화전 설비 다. 스프링클러 설비 라. 물분무등소화설비

소방애호가 (fire fan) 화재 및 진화작업에 관심이 많은 사람.(同/buff, spark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8  (0) 2023.06.22
소방용어127  (0) 2023.06.22
소방용어125  (0) 2023.06.22
소방용어124  (0) 2023.06.22
소방용어123  (0) 2023.06.22

소방 협력자 (fire cooperator) 소방서와 일정한 방화활동을 수행하기로 계약을 체결하고, 방화 관련 교육훈 련을 필한 개인 또는 기관.(同/cooperator, fire agent, fire warden, per diem guard)

소방 협력자 (fire cooperator) 소방서와 일정한 방화활동을 수행하기로 계약을 체결하고, 방화 관련 교육훈 련을 필한 개인 또는 기관.(同/cooperator, fire agent, fire warden, per diem guard)

소방경진대회 (muster) 각지의 소방대원들이 모여 여러 가지 소방장비의 작동 등을 겨루는 대회.(同 /tournament)

소방공무원 (fire official) 소방서에 고용된 자. 소방서를 대표하는 자. 소방대원으로서 주어진 소방업무 를 수행하도록 위임된 자.

소방공제조합 (mutual fire societies) 1718년 보스톤에서 조직되어 미국 내에서 화재보험이 보편화될 때까지 지속 되었던 공제조합.

소방과학 (fire science) 화재의 특성, 영향 및 화재 제어와 관련한 지식체계.

소방국장, 방화관리(책임)자 (fire marshal) 1)미국의 주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화재예방을 책임지고 있는 최고위직 소 방간부. 2)화재조사를 담당하는 소방간부. 3)소방서장.(參/state fire marshal, chief of fire prevention)

소방낙하 (fire jump) 임야화재지역에 소방대원 및 장비 등을 공중 투하하는 작전.

소방대 기지 (fire camp) 임야화재 진화작업에 투입된 인원 및 장비의 주둔지.(同/base camp, fly camp, spike camp, 參/base, fire headquarters)

소방대 정원 (complement) 하나의 소방대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 소방대원의 수. 또는, 특정 화재경보에 대응하여 출동하도록 할당된 전체 소방대원의 수.

소방대 지정 (assignment) 1)해당 화재경보 또는 신호에 대응하여 출동할 소방대를 지정하는 것. 2)특정 경보에 할당된 소방대의 전체 숫자. 3)1개 소방대의 지정 임무. 소방대 지정 출동경보 (go) 특정 소방대가 출동하도록 할당된 경보.

소방대 지정 카드 (assignment card) 특정 경보기 또는 여러 대의 경보기별로 지정된 소방대를 표시하는 카드 또 는 파일. 상호지원소방대 또는 소방차 할당 임무에 대한 차트도 포함.(同 /running card, run card)

소방대상물 (fire fighting property) 소방법상 건축물, 차량, 선박, 선거(duck), 산림 그 밖의 공작물 또는 물건으 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되면 물적, 인적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모두 소방대상물이라 할 수 있다.

소방대상물 (fire fighting property) 우리 나라 소방법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축물, 차량, 선박, 선거(船渠), 산림, 그 밖의 공작물 또는 물건.(同/fire prevention property) 소방대상물의 개수명령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 설비 또는 관리의 상 황에 관하여 화재예방상 필요하거나 또는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에 위험이 미 칠 것으로 인정되는 때 관계인에게 그 소방대상물의 개수, 이전, 제거, 사용 의 금지 또는 제한, 공사의 정지나 중지 그 밖의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 (명령위반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 벌금)

소방대원 (fire fighter) 소방공무원 또는 의용소방대원. 소방대원 (private) 방수대원이나 사다리대원 등의 하급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7  (0) 2023.06.22
소방용어126  (0) 2023.06.22
소방용어124  (0) 2023.06.22
소방용어123  (0) 2023.06.22
소방용어122  (0) 2023.06.22

셋어플래시 밀폐식 시험 장치 (setaflash closed cup tester) ASTM 3243에 의거 항공터빈 연료의 인화점을 시험하는 장치. 또한 인화점 0~110℃(32~230℉)인 페인트, 에나멜, 랙커, 니스, 기타 관련 제품과 관련 제 품의 구성성분에 대한 인화점 시험에도 사용한다.(參/flash point, Cleveland Open Cup Apparatus, Tagliabue Open Cup Apparatus, Tagliabue Closed Cup Apparatus, Pensky-Martens Closed Tester)

소각 (burning out) 연소저지선 내에 불을 질러 연소저지선과 임야화재지역 사이의 연료를 태워 버리는 것.(同/firing out)

소각 (clean burn) 연소저지선에 존재하는 가연물을 소각하기 위한 불.

소각 (light burning) 가연물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정기적인 임야 소각.

소각, 설정치 (setting) 1)맞불, 슬래시 소각, 특정지역 소각, 또는 기타의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물 질을 태우는 것. 2)기기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설정하는 값.

소각로(incinerator) 쓰레기 등을 소각할 때 사용하는 로. 소구경 스프링클러헤드 (small orifice sprinkler head) 오리피스 구경이 9.5mm(3/8i n.)인 스프링클러헤드. 방수량은 표준형 스프링 클러헤드의 약 50% 정도. 사무실 등 경급위험용도에 사용한다.

소구역방출방식 (zoned application system) 방호구역 내의 특정부분에 대한 위험을 방호하는 설비.

소구획실 (small room) 스프링클러설비에 적용하는 것으로, 경급위험으로 분류되며 실내에 구조적 장애물이 없고 바닥면적이 74.3㎡(800ft²)이하인 실. 벽과 천장으로 완전히 둘 러싸여 있어야 하며, 인접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는 천장으로부터 개구부 상인방까지의 거리가 203mm(8in.) 이상이어야 한다.

소규모 화재 (one and one) 1대의 소방펌프차와 1대의 사다리 소방차만으로도 충분히 통제할 수 있는 소 규모 화재. 소금, 염 (salt) 산의 수소를 금속 또는 금속과 등가의 것으로 대체했을 때 생성되는 화합물. 대부분의 무기염은 수용액에서 이온화된다. 보통의 소금과 염화나트륨은 바 닷가 등지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데, 평균농도는 2.6%이다.

소급적용 (apply retroactively) 법시행 이전에 축조된 기존 건물이나 소방대상물에도 현행의 법규를 적용하 는 것.

소기(沼氣), 늪지가스, 메탄 (marsh gas) 參/methane.

소대 (company) 소방대의 기본단위 소로(小路) (alley) 1)좁은 공공도로. 2)일부 도시에서는 폭 6m(20ft) 미만의 공공도로를 말하기도 한다.

소모기 (singeing machine) 면사, 견방사 등의 잔털, 넵 등을 가스열, 전기 가열로 태워서 제거하여 실에 광을 내는 기계.

소모사 (worsted yarn) 소모 방적한 모사.

소모성 열사병 (heat exhaustion) 두통, 구역질, 호흡곤란, 창백하고 냉습한 피부, 비정상적인 체온, 팽창된 동 공, 나른함 등의 증상을 보이는 병으로, 장시간 동안 고온에 노출되고 염분이 부족할 때 발생한다.(參/heat cramp, heat stroke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6  (0) 2023.06.22
소방용어125  (0) 2023.06.22
소방용어123  (0) 2023.06.22
소방용어122  (0) 2023.06.22
소방용어121  (0) 2023.06.22

세이크 (shake) 지붕널 또는 벽널로 사용하는 판자. 보통의 판자보다 훨씬 넓고 두껍다.

세인트 엘모의 불 (Saint Elmo's fire) 충전물이나, 벼락을 맞은 돛대 또는 나무의 정상 부위에서 관측되는 전기방 전. 뇌우가 발생할 때에도 관측된다.

세정, 플러싱 (flushing) 공사가 끝난 뒤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 또는 압축공기를 사용 하여 배관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

세트 (set) 1)방화성 화재. 2)방화성 화재의 점화수단. 3)짧은 시간 동안 여러 번의 낙뢰 또는 철도화재 가 발생했을 때, 그 개개의 낙뢰 또는 철도화재를 지칭하는 말.

세퍼드 훅 (shepherd's hook) 파이크폴(pike pole)의 바닥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훅. 소방호스를 수직으 로 상승시킬 때 사용한다.

섹션 (section) 1)소방호스 1본.(同/piece, 參/length) 2)고가사다리 또는 기타 확장사다리의 일부분.

섹터, 담당구역 (sector) 1)임야화재 연소저지선의 일부분. 구역 책임자 1인과 2인 이상의 대원들이 구 축하거나 또는 순찰하는 곳. 2)화재 등의 긴급사태 현장에서 고위 소방간부가 지휘하는 부분. 3)소방서의 담당구역. 4)하나의 화재감지기 회로에 의해 방호되는 구역.(同/zone)

센터 파이어링 (center firing) 특정 지역의 중앙 부위에 화재를 일으켜 강력한 흡인력을 발하도록 하는 브 로드캐스트 버닝 기술의 일종. 센터 파이어의 흡인력이 증대함에 따라 센터 파이어를 중심으로 연소저지선 가까이에 일으킨 작은 불들이 중앙으로 흡수 된다.(參/area ignition, broadcast burning, simultaneous ignition)

센트럴 코어 (central core) 1)고층건물 건축의 한 형태. 계단실, 엘리베이터 샤프트, 배관 등이 건물내 중 앙 지역에 공동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同/core construction) 2)일부 고층 건물에서 계단실, 엘리베이터 샤프트, 배관 등을 수용하고 있는 지역.

셀로판 (cellophane) 목재 펄프가 원료인, 필름 모양의 강하고 부드러운 종이. 177℃(350℉)와 20 4℃(400℉) 사이에서 쉽게 연소하거나 녹지 않으면서 분해된다.

셀루가드 (상표명)(cellugard) 수성 글리콜 내화성 유압유.

셀룰로오스 (C6H10O5)N(cellulose) 목화, 나무, 케이폭(kapok) 등의 섬유질에서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고체. 종이 나 레이온, 셀로판 등의 원료가 된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초산섬유소, 아세틸 셀 룰로오스 (cellulose acetate) 촉매제로 황산을 사용할 때 초산 또는 무수초산과 셀룰로스가 반응하여 생성 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영화필름 제조에 사용되며, 천천히 그리고 조용히 연소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동일한 형태, 동일한 양에서 보통의 신문용지가 갖는 화재위험도보다 낮은 화재위험도를 갖는 물질로 분류된다.(同/Safety Film)

셀룰로이드 (상표명)(celluloid) 본질적으로 셀룰로스 니트레이트 및 캄파(장뇌)로 구성된 인화성, 열가소성 물질. 발화시 매우 빠른 속도로 열과 유독성 가스를 방출하며, 토치와 같은 불꽃을 발하면서 연소한다.(同/fiberloid, discoloid, pyrilin)

셀시우스, 섭씨 (celsius) 스웨덴의 물리학자 앤더스 셀시우스의 이름을 딴 온도 단위. 물의 빙점(0℃) 과 비점(100℃)을 그 기준으로 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5  (0) 2023.06.22
소방용어124  (0) 2023.06.22
소방용어122  (0) 2023.06.22
소방용어121  (0) 2023.06.22
소방용어120  (0) 2023.06.22

선택밸브 (selection valve) 1)동일한 배관계통에서 배관이 분기되어 있는 경우, 필요한 배관을 선택하여 유수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하는 밸브. 2)소화약제가 방호대상 위험으로 방출되도록 제어하는 밸브.(參/selector valve)

선형 감지기 (line type detector) 연속적으로 경로를 따라 감지하는 장치. 차동식 분포형 공기관식 감지기, 방 출빔형 연기감지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등이 있다.

설계 방수량 (design discharge) 수계소화설비에서 화재진압에 필요한 소요 살수량. 단위는 lpm(gpm)으로 표 시.

설비 (system) 1)어떤 목적이나 기능을 위해 조립, 조화 또는 기타 방식으로 상호 접속된 여 러 가지 장치. 2)원격장치와 상호 접속된 하나 이상의 감지기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 는 구성부품.

설비 입상관 (system riser) 급수설비와 본관(교차배관 또는 주배관) 사이에 있는 지상 수평 또는 수직배 관. 제어밸브와 유수경보장치를 포함한다.

섬광위험 (flash hazard) 아크를 발생하는 에너지의 방출과 관련된 위험.

섬도 (fineness) 섬유 및 필라멘트사의 굵기. 섭씨, 100분도(c) 略/Centigrade, Celsius.

성능시험 (performance test) 유체 기계의 운전성능을 구하는 시험. 회전수, 유량, 헤드, 축동력 등을 측정 하여 성능곡선을 구한다.

세대용 주거시설, 주거 용 방 (family living unit) 1)한 세대(또는 개인)가 거주하는 구조물, 지역 또는 실로서 주거지역만을 포 함하며, 복도, 로비, 지하실 등과 같은 다세대 건물 내의 공용장소는 제외한 다. 2)조리용 공간 및 식사, 거주, 취침용 공간이 있는 주거단위로서 1인 이상이 사용하는 단독주택, 다가구 주택 또는 이동식 주택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방.

세드, 오두막 (shed) 벽체가 완전치 못한 구조물로서 도구나 장비, 제품 등을 저장하거나 피난처 로 사용되는 곳.(同/out building)

세류충전 (trickle charge) 축전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축전지를 완전 충전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 용하는 저 암페어 충전용 전류.

세륨(Ce) (cerium) 희토류 원소. 회색의 유연하고 반응성이 강하며 비독성인 금속. 149℃(300℉) 까지 가열하면 발화할 수도 있다.

세슘(Cs) (cesium) 알칼리 금속원소. 실내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는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자신의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부드러운 고체상태를 유지한다. 반응성 이 매우 강하여 산소, 할로겐원소, 황산, 인 등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습기를 함유한 공기 중에서 자연발화 하는 성질이 있으며, 산화제로 쓰이는 물질과 도 격렬하게 반응한다. 피부와 접촉시 화상을 일으키며 독성은 약하다.

세움저장 (on-tread storage) 타이어를 수직 또는 세워서 저장하는 방법.(參/on-side storage)

세이지 식 (chezy's formula) 배관 속의 속도와 마찰손실과의 관계를 정립한 식. . v²=c²(rs). v는 속도, c는 배관의 조도(粗度)에 따른 계수, r은 수력반지름. 면적/원주를 뜻하는 수력반 지름은 d/4(d는 배관의 직경)와 같다. 수력구배 s는 h/l(h는 배관길이에 대한 마찰수두)와 같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4  (0) 2023.06.22
소방용어123  (0) 2023.06.22
소방용어121  (0) 2023.06.22
소방용어120  (0) 2023.06.22
소방용어119  (0) 2023.06.20

석탄가스 (coal gas) 강한 독성의 인화성 기체 혼합기. 고온의 유리섬유나 규토(silica) 증류기 또 는 코크스 제조로의 부산물로부터 역청탄을 분해 증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다.

석탄산, 페놀 (carbolic acid) 參/phenol 석탄유 (coal oil) 역청탄의 분해 증류 과정에서 생성된 인화성 원유, 또는 원유를 증류해서 얻 은 물질(간혹, 등유를 뜻하기도 함).

석회 (lime) 1)산화칼슘(CaO). 2)생석회, 소(消)석회, 경화성 석회의 여러 가지 화학적.물리적 형태 가운데 하나. 불연성 물질.(參/chlorinated lime, hydrated lime, hydraulic lime, unslaked lime)

선량계 (線量計)(dosimeter) 인체에 피폭된 방사선의 양을 측정하는 기구.(同/dose meter)

선량계 (hand and foot counter) 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사람의 손과 발에 묻은 방사능 수치를 신속하게 나 타내 주는 방사능 측정기. 선박 (marine vessel) 해상에서 운송수단으로 사용하는 선박 등의 인공시설.

선박 (watercraft) 유람 또는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최대 300톤인 모든 보트 및 배. 그러나 선박에는 수상 비행기, 호퍼크라프트, 인화성 액체의 운송선 및 잠수함이 포 함되지 않는다.

선박 주유소 (marine service station) 연료로 사용하는 액체를 해안, 부두, 선창, 부유식 도크에 설치된 고정식 장 치로부터 자체 추진형 선박에 저장 및 주유하고, 그 선박과의 접속에 사용하 는 모든 시설을 포함하는 부지의 일부.

선박 차열재 (marine thermal barrier) 동체, 구조적 격벽, 데크와 같은 선박의 주요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 작된 불연재. ASTM 119, Standard Test Methods for Fire Tests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Materials에 따라 15분 동안 시험한 경우 선박 차열재는 노 출되지 않은 면의 평균온도가 처음 온도보다 193℃(250℉)를 초과하여 상승 하지 않고, 이음부를 포함한 모든 부분에서의 온도가 처음 온도보다 225℃ (405℉)를 초과하지 않는 단열효과가 있어야 한다.

선박화재신호 (marine fire signal) 항구에 정박중인 선박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발하는 신호. 4초~6초 동안 5 번의 경적을 울리며, 소방선의 응답신호가 있을 때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반 복한다.

선박화재신호 (marine fire signal) 항구에 정박중인 선박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발하는 신호. 4초~6초 동안 5 번의 경적을 울리며, 소방선의 응답신호가 있을 때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반 복한다.

선의의 오보 (good intent false alarm) 오보로 밝혀졌지만, 경보기 작동시 나쁜 의도로 경보기를 작동한 것은 아닌 경보.(參/false alarm, false smoke, needless alarm)

선착 소방차 (first attendance)(英) 화재현장에 최초로 도착한 소방차량.

선착소방대 (first arrival) 화재현장에 최초로 도착한 소방대.

선택밸브 (directional valve) 동일 배관계통에서 배관이 분기되어 있는 경우, 필요로 하는 배관계통을 선 택하여 흐름경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밸브.(同/selection valve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3  (0) 2023.06.22
소방용어122  (0) 2023.06.22
소방용어120  (0) 2023.06.22
소방용어119  (0) 2023.06.20
소방용어118  (0) 2023.06.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