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송수관과 스프링클 러설비의 조합 (combined sprinkler and standpipe system) 2.5in. (6.4cm)짜리 소방대용 연결송수관과 스프링클러설비를 동일한 급수배관 에 접속시키는 것.

연결송수구 (fire department connection) 1)자동 스프링클러설비 및 연결송수관설비에 물을 공급하는 연결부. 이를 통 해 소방차가 사설소화설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參/sprinkler connection) 2)63.5mm(2½in.) 호스 방출구.

연결송수구 (pumper connection) 參/fire department connection, steamer connection 연경 (warp tying) 직기상에서 제직이 끝난 경사의 끝과 새로 틀걸이된 경사의 끝을 연결하는 것.

연관, 연도 (flue) 연기나 고온의 공기 등을 배출하는 배관, 굴뚝, 통로 등.

연기 (smoke) 물질이 연소할 때 생성되어 대기 중으로 부유하는 고체 및 액체입자와 가스.

연기감지기 (smoke detector) 연소생성물의 입자가 감지될 경우 작동하도록 고안된 감지기.(參/ionization detector, photoelectric detector)

연기기둥, 플륨 (plume) 화재 또는 굴뚝으로부터 솟아오르는 연기의 기둥.

연기농도 (smoke density) 연기가 모인 정도. 단위 체적당 연기입자의 수로 표시.

연기농도 (smoke density) 연기가 모인 정도. 단위 체적당 연기입자의 수로 표시.

연기농도 감시기 (smoke density monitor) 연기 속에서 흘러나오는 빛줄기의 정도를 감지하여 연기의 농도를 지속적으 로 기록 및 측정하여 연기농도가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경보를 발하는 감지 장치.

연기농도 상승 예상도 (smoke profile)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가 일정 공간 내에 축적될 때의 연기농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도표.

연기독성학 (smoke toxicology) 연기가 인체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

연기배출기 (smoke ejector) 어떤 구역의 연기 또는 위험한 가스 등을 배출시키거나 또는 그 구역으로 신 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연기나 가스, 열기 등을 방출하는 팬.(同/smoke extractor, forced air blower)

연기배출기 (smoke extractor) 參/smoke ejector.

연기시험용 체임버 (smoke test chamber) 연기감지기 등의 감도시험에 사용하는 장치. 장치 내에 발연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연기오보 (smoke scare) 연기와 증기 등을 혼동하여 발신된 오보.

연기중독 (smoke inhalation) 연기 등의 연소생성물을 흡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질병이나 부상.(同/smoke poisoning)

연기중독 (smoke poisoning) 參/smoke inhalation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63  (0) 2023.06.26
소방용어162  (0) 2023.06.26
소방용어160  (0) 2023.06.26
소방용어159  (0) 2023.06.26
소방용어158  (0) 2023.06.26

엔트로피 (entropy) 열이 이동함에 따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감소하는 정도. 또는 유효하지 못한 에너지가 증가하는 정도.

엘라스토머, 탄성중합체 (elastomer) 천연 및 합성 중합체. 실내온도에서 원래 길이의 2배까지 잡아늘여졌다가 장 력을 제거하면 거의 원상태로 회복되는 성질이 있다.

엘리베이터 (elevator) 1)기계적 힘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차량 또는 작업대. 2)곡물 저장 창고. 엘리베이터 통제 (capture an elevator) 비상시에 방재센터 등에서 엘리베이터를 통제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호출 버튼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

엘리베이터 통제 (elevator capture) 소방대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통제하는 것.(參/capture an elevator)

엘보 (elbow) 1)호스가 얽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커플링으로, 앵글(angle)이 달려 있다. 2)금속관의 구부러진 부분. 직각으로 구부러진 경우, 노멀 밴드라 한다. 3)양 끝에 나사가 있는 관부속품. 강관의 구부러진 부분에 사용한다.

역류방지밸브 (nonreturn valve) 參/check valve.

역류방지장치 (backflow prevention device) 공공수도관에 소화배관을 연결할 때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인입관에 설치하 는 장치.(同/backflow preventer)

역률시험 (power factor test)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 비율 산출시험.

역배치 (reverse lay) 화재현장에서 급수원으로 호스를 역배치하는 것.(參/fire-to-hydrant lay)

역세정, 역수세, 백플러싱 (back flushing) 소화장비 세척의 한 방법. 호스의 방출구 쪽에서 흡입구 쪽으로 물을 흘려 보내어 찌꺼기, 염기, 화학물질 등을 제거하는 방법.

역청탄 (bituminous coal) 무연탄을 제외한 보통 석탄의 총칭. 자연발화성이 있으며, 휘발분이 많기 때 문에 점화하기 쉽고, 일단 점화되면 긴 불꽃을 발하며 연소한다.

역호스배치 (fire-to-hydrant-lay) 화재 현장에서 급수원을 향해 호스를 배치하다.(參/hose lay, reverse lay, forward lay)

역화(逆火), 맞불 (back burn) 임야화재 진화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일으킨 맞불, 또는 연소저지선을 구축하기 위해 특정 구역에 일으킨 불.(同/backing, 參/backfire)

역화 (back burn) 임야화재 진화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일으킨 맞불, 또는 연소저지선을 구축하기 위해 특정 구역에 일으킨 불.

역화재, 대항화재 (counterfiring) 임야화재 중심부와 역화(backfire) 사이에 화재를 일으키는 것.(同/front firing, strip firing, 參/backfire)

역화재, 대항화재 (front firing) 參/counterfiring.

엮음저장(laced storage) 타이어 옆면을 겹쳐서 엮인 모양을 만드는 적재방법.

연강 동체 (mild steel shell) 고압 실린더에 사용하는 스테인레스 강과 스테인레스 스틸을 제외한 모든 스 틸 동체. 연결 (hooking up) v펌프차의 호스를 소화전에 연결하는 것, 또는 펌프차의 여러 송수구 가운데 하나에 호스라인을 연결하는 것.

연결송수관 (standpipe) 건물 및 기타 구조물에 설치된 소방호스 방출구로 물을 공급하는 수직의 습 식 또는 건식 배관.(參/dry standpipe, house lines, wet standpipe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62  (0) 2023.06.26
소방용어161  (0) 2023.06.26
소방용어159  (0) 2023.06.26
소방용어158  (0) 2023.06.26
소방용어157  (0) 2023.06.26

에탄(C2H6) (ethane) 무색무취의 비수용성, 가연성 기체. 인화점 -140.6℃(-221℉), 발화온도 51 5℃(959℉), 연소범위 3~12.5Vol.%.

에탄디올, 에틸렌글리콜 (ethanediol) 參/ethylene glycol.

에탄올, 에틸알코올 (ethanol) 參/ethyl alcohol. 에테르 (ether) 2개의 탄소 원자에 붙어 있는 하나의 산소 원자에 의해 그 특성이 결정되는 유기화합물의 총칭. 일반식은 ROR' 알코올에서 수분을 제거하면 얻을 수 있 다. 간혹 '에틸 에테르(C2H5C2H5)'와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에테르'가 정식 명칭이다.

에틸렌(C₂H₄) (ethylene) 맛과 향이 달콤한 무색의 질식제. 인화점 -136.1℃(-213℉), 발화온도 490℃ (914℉), 폭발범위 2.7~36Vol.% 에틸렌글리콜,

에탄디올 (OHCO₂CH₂OH) (ethylene glycol) 무색의 투명하고 끈적한 액체. 달콤한 맛이 나며, 냉각제와 부동액으로 쓰인 다. 인화점 111.1℃(232℉), 발화온도 400℃(752℉), 인체내로 유입되면 위험하 다.(同/1, 2 ethanethiol, ethylene alcohol, glycol)

에틸메틸케톤, 메틸에틸 케톤, MEK (ethyl methyl ketone) 參/methyl ethyl ketone.

에틸알코올, 에탄올 (C2H5OH) (ethyl alcohol) 무색의 투명한 휘발성 액체. 진정제로 분류되며, 포도주 향이 나고 자극성 맛 이 있다. 인화점 12.8℃(55℉), 발화온도 365℃(689℉), 연소범위 3.3~19Vol.%. (同/alcohol, ethanol, ethylene, glycol, grain alcohol)

에틸에테르 (C2H5OC2H5) (ethyl ether) 휘발성이 있고 변하기 쉬운 무색의 액체. 향긋한 냄새가 나며 단맛이 매우 강하다. 인화점 -45℃(-49℉), 발화온도 160℃(320℉), 연소범위 1.9~36Vol.%. 폭발성 과산화물을 생성하며, 흡입하거나 피부를 통해 흡수되면 진정제 효과를 발한다.(同/ethyl oxide, sulfuric ether)

엑설러레이터, 가속기 (accelerator)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공기의 방출 속도를 가속시키고, 물-공기의 압력차 를 제거하여 스프링클러헤드 개방시 공기를 신속하게 방출시키는 장치.

엑셀레이터 (가속기, accelerator) 자동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공기의 방출 속도를 가속시키고, 스프링클러 설비 의 건식 밸브에서 물-공기의 압력차를 제거하여 스프링클러헤드 개방시 공기 가 신속하게 방출되도록 하는 장치. 엔드 석션 펌프 (end suction pump)

스터핑 박스(stuffing box) 반대편에 흡입노즐이 달려 있는 펌프. 흡입노즐의 표면은 샤프트의 세로축과 수직을 이룬다.

엔지니어 (engineer) 1)소방 분야에서 소방 관련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엔지니어. 2)소방차 또는 소방정 운전자. 3)소방대장. 4)소방서 "엔지니어 위원회"의 위원.

엔지니어드설비 (engineered systems) 유량, 노즐압력, 배관치수 및 각 노즐의 포용면적 또는 체적, 청정소화약제량, 노즐의 타입과 수, 배치 등을 결정하기 위해 개별적 계산과 설계가 필요한 설비.

엔탈피 (enthalpy) 1)가스, 증기 등이 보유하고 있는 열 에너지의 총합. 2)열역학특성함수의 일종으로, H=U+pV(U는 내부에너지, p는 압력, V는 부 피)로써 정의되는 것.

엔태블래처 (entablature) 건물의 벽 또는 바닥의 상층부로서 기둥 위에 걸쳐놓은 수평부분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61  (0) 2023.06.26
소방용어160  (0) 2023.06.26
소방용어158  (0) 2023.06.26
소방용어157  (0) 2023.06.26
소방용어156  (0) 2023.06.24

에어 라인 마스크 (air line mask) 기다란 공기호스가 부착된 호흡기구. 공기호스는 오염지역 외부의 공급원 또 는 오염지역 내 압축공기 용기에 연결되어 있다.

에어 리프트, 공수, 항공 보급 (air lift) 항공기를 이용한 장비, 인력, 보급품 등의 수송.

에어 바운드 (air bound) 에어포켓으로 인해 기계의 특정 부분(들)의 작동이 가로막힌 상태. 특히, 원 심펌프에서 자주 발생한다.(同/air binding, 參/air lock)

에어 캐스케이드 (air cascade) 대형 공기통이 있는 설비. 자급식 호흡기구의 개별 산소통에 공기를 주입할 때 사용한다.

에어 혼, 기적 (air horn) 압축공기로 진동판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기구.

에어돔 (airdome) 진동 또는 방출을 줄이기 위해 용적식 펌프에 사용하는 공기실.(同/pulsation eliminator, 參/air chamber, air lock)

에어로겔 (aerogel) 고체 또는 액체 속에 기체가 분산되어 있는 것. 에어로졸의 반대 현상. 신축 성 발포 플라스틱 및 경질 발포 플라스틱 등.

에어로졸 (aerosol) 1)가압된 추진제에 의해 용기로부터 미스트, 스프레이, 기포 등의 형태로 분 출되는 물질. 2)기류 속에 아주 미세한 액체 또는 고체 덩어리 형태로 부유하는 미립자. 3)100 0.01㎛ 크기의 고체 또는 액체 입자가 공기 중에 안개 모양으로 분산되 어 있는 것.

에어로졸 분율 (aerosol fraction) 대기 중으로 순간 증발될 때 에어로졸 형태로 부유하는 액체 상태의 체적 비 율(Vol.%)

에어로졸 제품 (aerosol product) 화재로 인해 가열될 경우, 폭발 위험이 있는 에어로졸이 함유된 제품. FM(Factory Mutual Corporation)은 실물화재시험에 근거하여 에어로졸 제품 의 위험도를 아래와 같이 구분하고, 그 위험도에 따라 취급 및 저장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1)레벨I: 불연성 액체용제(물 등)를 사용하는 제품. 2)레벨II: 수용성 가연성 액체 또는 소량의 비수용성 가연성 액체를 사용하는 제품. 3) 레벨III: 가연성 액체(벤젠, 톨루엔 등)를 사용하는 제품.

에어로졸식 소화기 (aerosol type extinguisher appliance) 가정용 소형 소화기의 일종.

에어록 (air lock) 1)고가수조와 압력수조를 동시에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공동 입상관 내에 생성된 기포.(參/air bound) 2)용접 밀폐된 체임버로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이중 접근로.

에어유닛 (air unit) 화재현장에서 자급식 호흡기구에 신선한 공기를 보충해 주는 이동식 기구.

에어탱커 (air tanker) 연소억제제 또는 소화약제를 대량으로 살포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춘 항공기. 보통, 임야화재 진화시 사용. 에어혼, 기적 (air horn) 압축공기로 진동판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기구.

에이치형 강 (h-beam) 그 단면이 'H'형인 강재. 기둥 또는 말뚝에 사용한다.(同/H-section, H-shape steel, wide flange steel)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60  (0) 2023.06.26
소방용어159  (0) 2023.06.26
소방용어157  (0) 2023.06.26
소방용어156  (0) 2023.06.24
소방용어155  (0) 2023.06.24

어드레서블 장치 (addressable device) 다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개별적으로 표시된 상태가 있는 화재 경보설비의 주소형 부품.

어미형(魚尾形) 팁 (fishtail tip) 넓게 퍼지는 어미형(꼬리치기) 주수가 가능한 노즐 팁.

어보트, 중지 (abort) 작동자의 실수나 오동작으로 인한 설비의 복구불능 상태에서 작동을 중단시 키는 것.

어분 (fish meal) 물고기를 가공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찌끼로 만든 부산물. 자연발열성이 있고 인화성이 강하다.

어유 (fish oil) 청어나 정어리 등의 물고기에서 추출한 건성유. 자연발열성이 있다.

어코디언 적재 (accordion load) 호스구획실에 어코디언 모양으로 호스를 적재 및 배치한것.(同/accordion pack)

언더라이터 나사 (underwriter thread) 25.4mm(1in.)당 12개의 나사산이 있는 호스 나사. 언더라이터스 플레이 파이 프나 기타 노즐 등에 팁을 부착할 때 사용한다.

언더라이터스 플레이 파 이프 (상표명)(Underwriter's play pipe) 유량 측정 눈금이 새겨져 있는 노즐의 일종.

언더컷 (undercut) 나무를 잘라 쓰러뜨리기 이전에 나무가 쓰러질 방향으로 나무에 새긴 자국 (보통, V자로 표기).

업무분장, 긴급배치 (transfer) 1)소방대원들에게 서로 다른 임무를 부여하다. 2)화재현장 등으로 출동하여 비어 있는 다른 소방서를 커버하기 위해 소방대 를 이동시키다.(同/covering in, move-up, relocate)

업무출동 (service call) 긴급사태 이외의 용무, 즉 지하실 침수, 동물구조, 잠긴 문 따기 등의 서비스 를 위한 소방대 출동.

에너지 (energy) 우주의 기본적인 운동 실체. 우주 전체의 에너지 총량은 항상 일정하며, 따라 서 에너지는 새로이 만들어지거나 소멸될 수 없고, 단지 한 곳에서 다른 곳 으로 이동할 뿐이다. 이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다.

에너지 방출분력(放出分力) (energy release component) 진행중인 화재의 전방 화염에서 발산되는 단위면적당(㎡ 또는 ft²)

열방출량( ㎉/sec또는 Btu/sec) 수치.

에보나이트 (ebonite) 경질고무라고도 하며 생고무에 30∼50%에 해당하는 황을 첨가하면 얻어지며 검고 광택이 있으며 비교적 단단하고 탄성이 약한 물질. 가열하면 연화하여 조형이 가능함.

에스케이프, 탈출 (escape) 1)(英)펌프 및 구조 소방대와 같은 다목적 소방차에 탑재되는 확장사다리. 바 퀴가 달려 있다. 2)바람직하지 않은 어떤 상황으로부터 벗어나다.

에스테르 (ester) 1)구조상 무기화학에서의 염에 대응되는 유기화합물. 초산 에스테르는 초산염 이라 하고 탄산 에스테르는 탄산염이라 한다. 에스테르기는 인화성 액체류 에 속하며, 향료나 용매로써, 또는 잉크나 폭발물, 비타민 등의 제조에 사용 된다. 2)산과 알코올에서 물을 제거할 때 생성되는 화합물 및 이론상 이것에 해당 하는 구조를 가진 화합물. 즉, 산이 수소원자를 탄화수소기(알킬기) R과 치 환한 것. 곧, 산기와 R이 결합한 것으로 일반식은 RCOOR'이다.

에어(공기)마스크 (air mask) 호흡기구와 압축공기탱크로 구성된 자급식 호흡기구.(同/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9  (0) 2023.06.26
소방용어158  (0) 2023.06.26
소방용어156  (0) 2023.06.24
소방용어155  (0) 2023.06.24
소방용어154  (0) 2023.06.24

액체팽창 (expansion of liquids) 인화성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에 열을 가하면, 액체가 증발하면서 압력 이 상승하여, 결국 용기가 파열되거나 폭발하게 되는 현상.

액화석유가스 (liquefied petroleum gas(LPG)) 가스를 압축하여 액화한 것으로, 무색.무독성이다. 석유 정제 과정에서 생성 된 부산물. 인화점 -73.3℃(-100℉), 발화온도 426.7~537.8℃(800~1,000℉).

액화천연가스 (liquefied natural gas(LNG)) 대부분 메탄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탄, 에탄, 프로판, 질소, 기타 천연가스를 구성하고 있는 일반 성분을 약간씩 함유하고 있는 초저온 유체.

앨리데이드 (fire finder) 화재 감시자가 (임야화재시) 화재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參 /alidade)

앵커, 닻 (anchor) 1)노즐을 조종하는 대원을 도와 호스를 붙잡고 있는 소방대원. 2)소방차에서 끌어온 소방호스에 붙어 호스 정리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소방 대원. 3)마룻줄을 잡아매는 사다리의 가장 낮은 부분. 4)배가 다른 곳으로 떠 가지 못하고 일정한 곳에 머물러 있도록 하는 제구로, 이를 밧줄이나 쇠사 슬에 매어 물 속으로 가라앉힌다.

야간 출동용 피복 (quick hitch) 바지와 부츠가 결합된 피복. 주간에는 착용하지 않는 야간 작업용 피복이며, 항상 소방대원의 침상 옆에 놓아둔다.(同/bunker gear, drops, turnouts)

야경 (night watch) 1)야근. 2)위험지역에 대한 야간순찰. 야드(yd) (yard) 1)3ft, 36in., 91.44㎝와 동일한 단위. 2)목재를 저장하는 옥외공간. 3)야외공터. 4)건물에 인접한 공터. 5)두 면 이상이 건물의 외벽으로 가로막히지 않은 공간. 약제출입,

인-라인 (in-line) 1)웨팅 에이전트 등이 수관으로 삽입되는 것을 지칭하는 말. 2)호스라인과 직렬로 (또는 호스라인 속의 유수방향과 병렬로) 삽입된 장치나 관부속. 양 날 도끼 (double bit axe) 양쪽 끝에 날이 달린 산불 진화용 도끼.

양생(養生), 건조처리 (curing) 1)콘크리트 치기가 끝난 다음, 온도, 하중, 건조, 충격, 파손 등의 유해한 영향 을 받지 않도록 적절하게 보호 및 관리하는 것. 2)함수율을 줄이기 위해 풀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것.

양정 (lift) 급수원의 수면으로부터 펌프 토출부 중앙지점까지의 거리. 보통, 수직 거리로 측정한다.

양키 건조기 (yankee dryer) 고강도 주철로 만든 대형 증기건조드럼에 공기캡 후드를 설치한 건조기.

양판밸브 (poppet valve) 그 장착된 위치에서 수직으로 솟아 있는 밸브를 말하는 것으로, 몇몇 종 류의 펌프에 사용된다.

어깨 메어 운반 (shoulder carry) 호스를 어깨에 메고 운반하는 방법.

어깨메기용 적재 (shoulder hose load) 소방차에 호스를 적재할 때 어깨에 메고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다발 지어 적 재하는 것.(參/shoulder carry)

어댑터 (adapter) 공칭 직경은 같지만, 피치와 직경이 서로 다른 호스를 연결시키는 호스 커플 링.(參/reduce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8  (0) 2023.06.26
소방용어157  (0) 2023.06.26
소방용어155  (0) 2023.06.24
소방용어154  (0) 2023.06.24
소방용어153  (0) 2023.06.24

압력제한장치 (pressure restricting device) 흐름이 있을 때에만 2차측 수압을 감소시키는 밸브 또는 장치.

압력조절기 (pressure regulator) 同/pressure regulating device, 參/pressure control device

압력조절기 (regulator) 고압을 저압으로 바꾸어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압력조절장치. 호 흡기나 구급용 산소장비 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압력조절장치 (pressure control device) 토출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소방펌프차 등에 장착하는 압력조절밸브 또는 조절기.(同/pressure regulator)

압력조절장치 (pressure regulating device) 수압을 감소, 조절, 제어, 제한하는 장치. 감압밸브, 압력제어밸브, 압력제한장 치 등이 있다.(同/pressure regulator)

압밀(壓密)작용 (compaction) 분말소화기에서, 진동이나 충격 등이 분말소화약제의 밀도를 증가시켜 소화 약제가 적절히 방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

압접 (pressure welding) 접합부를 상온 상태 또는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접 합시키는 방법.

압축가스 (compressed gas) 1)수소·산소·질소 등과 같이 가스의 임계온도가 상온보다 낮아서 압축되어도 액화하지 않고 가스상태로 있는 것. 2)절대압력이 21.1℃에서 2.8㎏/㎠을 초과하거나 54.4℃에서 7.3㎏/㎠을 초과 하는 모든 물질 또는 혼합물. 3)증기압이 37.8℃에서 2.8㎏/㎠을 초과하는 인화성 액체 압축공기 (air pressure) 가압된 공기.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배관에서 물의 방출을 억제할 때, 그리고 압력탱크나 물소화기를 가압할 때 사용한다.

압축공기포설비 (compressed Air Foam System(CAFS)) 호스나 혼합체임버에서 포를 생성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포수용액과 결합시키 는 포설비. CAFS는 공기공급원, 펌프, 포방출장치 및 포 수용액 공급원으로 구성된다. 압축성 (compressibility)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유체의 부피나 밀도가 변하는 성질. 앞무대, 에이프런, 계류장 (apron) 1)극장에서 객석 쪽으로 돌출된 무대의 일부분. 2)회반죽 바르기 공사후의 거친 표면을 감추기 위해 창턱 아래 부분에 설치 한 판자나 마감재. 3)소방서 소방차 차고 앞 포장 구역.

애노드, 양극(陽極) (anode)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자관이나 전기분해시의 전해조 등으로 전류가 들어가는 전극.

애자노출배선 (open wiring on insulators) 클리트(cleat), 노브(knob), 애관, 보호용 가요성 애관, 건물내 절연전선의 지지 를 이용한 노출 배선방법으로 건물 구조에 의해 은폐되지 않은 것.

애트머스 시그널 (상표명)(atmos signal) 천장을 따라 배열된 튜브 안의 공기를 가열할 때 공기가 팽창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팽창원리를 이용한 자동화재경보신호. 공기가 팽창하면 경보 기에서 경보를 송신한다.

애플리케이터, 방출장치 (applicator) 화염을 향해 포나 물분무를 방출하는 특수한 파이프 또는 노즐 부착물.(參 /nozzle)

액면계 (liquid level meter) 액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 게이지 유리식, 부자식(浮子式), 액압 측정식 등이 있다.

액체 (liquid) 기체와 고체 중간에 위치한 물질의 형태. 구성분자들이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어 아주 쉽게 유동할 수 있는 물질. 동시에 구성분자들의 응집력이 강해서 기체처럼 무제한 팽창하지 물질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7  (0) 2023.06.26
소방용어156  (0) 2023.06.24
소방용어154  (0) 2023.06.24
소방용어153  (0) 2023.06.24
소방용어152  (0) 2023.06.24

암페어아우어 (ampere-hour) 1암페어의 전류가 1시간 흘렀을 때의 전체 전기량.

암화(暗化) (blacken) 연소지역에 주수하여 불꽃을 소멸시킴으로써 어둡게 하는 것.

암화(暗化), 등화관제 (black out) 1)연소지역에 주수하여 불꽃을 진화함. 2)공습대피훈련시 모든 조명을 끄는 것.(參/darken, blacken)

암화 (darken) 1)화염으로 불 탄 지역에 물을 뿌려 완전히 진화하는 것. 2)등화관제. 압력방출구 (relief vent) 기기 등의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안전을 위해 과도한 압력을 방 출하는 개구부.

압력방출밸브 (pressure relief valve) 가열 등에 의한 밀폐용기, 탱크 등의 내압이 상승하는 경우에 용기의 파손이 나 압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 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이상 과압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안전밸브 압력상승률 (rate of pressure rise) 압력상승에 필요한 시간에 따른 압력의 증가율. 최대 압력상승률은 폐쇄된 용기에서 폭발이 발생하는 동안 압력 대 시간곡선의 가장 가파른 부분의 기 울기로 계산한다.

압력손실 (loss of pressure) 호스나 급수설비의 고장 등으로 인해 방수압력이 감소하는 현상.

압력손실 (pressure drop) 배관, 밸브, 호스, 관부속 등에서의 장애나 높이의 변화, 마찰, 누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손실.(同/pressure loss, friction loss)

압력수두 (pressure head) 유체의 단위중량당 위치에너지.0.07㎏/㎠(1llb/in.²)의 압력으로 물을 0.7m(2.304ft) 높이까지 올릴 수 있다.

압력스위치 (circuit closer)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단.속되는 스위치. 소방펌프를 자동적으로 작동되도 록 할 때와 유수경보용으로 널리 사용된다.(同/pressure switch)

압력스위치 (pressure switch) 參/water pressure flow indicator.

압력식 포발생기 (pressure foam maker) 포수용액의 흐름 내로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해 벤츄리 원리를 이용하는 포발 생기. 저압에서 포를 생성하며, 생성된 포가 배관 또는 호스를 통하여 소화될 위험에 이송될 수 있도록 충분한 속도에너지를 유지한다.

고배압형(high back-pressure)과 강제형(forcing type), 두 가지가 있다.

압력용기 (pressure vessel)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용기.

압력운전, 직렬운전 (pressure operation) 여러 개의 임펠러를 직렬로 연결시킨 다단원심펌프를 운전하는 것. 이는 펌 프의 용량을 늘리기보다는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임펠러와 임펠러 사이를 통과하는 물의 힘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同/series operation)

압력운전, 직렬운전 (series operation) 물이 각각의 임펠러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양의 물로도 높 은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다단원심펌프 운전법.(同/pressure operation)

압력유지장치 (pressure maintenance device)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의 공기압력 유지장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컴프레셔 등의 가압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압력제어밸브 (pressure control valve) 흐름 및 정지 상태에서 특수 밸브의 2차측 수압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설계된 파일럿 작동식 밸브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6  (0) 2023.06.24
소방용어155  (0) 2023.06.24
소방용어153  (0) 2023.06.24
소방용어152  (0) 2023.06.24
소방용어151  (0) 2023.06.24

알람체크밸브 (alarm check valve)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밸브의 일종. 밸브 1, 2차측의 압력차에 의해 개 방되며 개방과 동시에 경보를 발한다. 한 방향으로만 물을 흐르게 하는 역지 (check)기능, 배수 및 시험밸브 기능을 갖추고 있다. 자동경보밸브라고도 한 다. 대부분 클래퍼(clapper)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알루마이트 (상품명)(alumite) 알루미늄의 내식성과 강도를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의 표면에 산화알루미늄 피막을 입힌 것.

알루미늄(Al) (aluminum) 회백색의 금속. 658℃(1,217℉)에서 녹고, 분말 형태에서는 쉽게 연소하는 성 질이 있으며 분진 형태에서는 자연발열되기도 한다. 연소중인 알루미늄 분진 에 물을 끼얹을 경우 격렬한 화염을 생성하며, 폭발의 위험도 있다.

알루미늄 분말 (aluminum powder) 입자의 직경이 1㎜ 이하인 알루미늄.

알칼리 (alkali) pH 7.0 이상의 염기 또는 수산화물. 물에서 녹아 다량의 수산기이온을 발생 시키며, 그 수용액은 알칼리성 맛이 나고 적색 리트머스 지를 청색으로 변화 시킨다.

알칼리 금속 (metal alkali) 參/alkali metal.

알칼리 금속류 (alkali metals)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프란슘. 물과 접촉하면 분해되어 발열반응 으로 인해 발화될 수 있는 수소를 방출한다.

알칼리 세정 (alkali cleansing) 세정하려고 하는 기기나 배관계통의 내부에 알칼리 수용액을 넣고 고온으로 순환시켜 유지(油脂)나 실리카(Si) 등을 제거하는 것.

알칼리 전지 (alkaline battery) 전해액으로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사용하고, 양극에 수산화니켈을, 음극에 카 드뮴을 사용하는 전지. 중부하(重負荷)에 견딜 수 있고 저온에서도 사용 가능 하며 수명 또한 길지만, 방전될 때의 전압이 1.2V로 약간 낮고 가격이 비싸 다.

알칼리법 (alkali process) 알칼리성 약액으로 처리하는 펄프법. 목재, 짚류, 인피섬유 등 광범위한 섬유 재료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흔히 크라프트법, 소다법 등을 말한다.

알코올 (alcohol) 일반식이 ROH 구조(R은 알킬기)인 여러 가지 유기화합물 가운데 하나. 일반 알코올류에는 에틸 알코올 또는 곡물에서 추출한 주정, (C2H5OH)메탄올 또 는 목정(木精)(CH3OH),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소독용 알코올(C3H7OH) 등 이 있다.

알코올형 포 (alcohol-type foam) 수용성인 인화성 액체의 화재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된 포. 물에 녹고 물과 혼합하기 쉬우며, 포발생기가 필요 없는 기계포이다.

알코올형포 수용성 물질 (alcohol resistant foam concentrates) 수성막포 또는 불화단백포를 파괴하는 특성이 있는 화재 및 탄화수소류 화재 의 소화용으로 단백포 또는 불화단백포와 같은 수용성 천연 중합체를 기제로 하는 포.

암모니아 방호복 (ammonia suit) 고무로 만든 방호복. 호흡기구 또는 암모니아 마스크와 함께 착용하여 암모 니아 화재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同/ammonia wading suit, 參/acid suit)

암소음 (background noise) 배경효과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으로 음향성이 있는 소음.

암커플링 (female coupling) 호스나 장비 등에 달린 나사 이음장치. 동일 나사, 동일 직경의 수나사 이음 쇠와 결합될 수 있는 커플링이다.

암페어 (ampere(A)) 회로의 한 지점에서 측정한 전류량에 대한 단위. 1볼트(V)의 전압이 1옴(Ω) 의 저항을 통과한 전류의 양.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5  (0) 2023.06.24
소방용어154  (0) 2023.06.24
소방용어152  (0) 2023.06.24
소방용어151  (0) 2023.06.24
소방용어150  (0) 2023.06.24

안전차단기 (safety cut-out) 參/safety control.

안전차단밸브 (safety shutoff valve) 가스나 석유 등을 배관으로 공급할 때, 불안전한 조건이 발생할 경우 안전제 어설비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밸브.(參/safety control)

안전차단장치 (safety shutoff device) 버너가 점화하지 않을 경우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해 주는 장치.(參 /safety control)

안전충전높이 (safe fill level) 위험물 탱크의 정상충전높이보다 위에 위치하며, 탱크에 위험물의 주입이 허 용되는 높이. 안전충전높이는 반드시 과충전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해야 한다. 탱크의 위험물의 높이가 과충전높이에 도달하기 전에 위험물의 흐름을 완전 히 차단시키거나 우회 이송시키는데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안전충전높이가 설정된다. 안전충전높이는 탱크의 종류, 탱크 내부 형태나 조건 및 운전자 실행기준에 따라 각 특정 탱크에 대해 운전자가 설정한다.(同/tank rated capacity)

안전캐비닛 (safety flammables storage cabinet) 외부의 압력에 의한 변형, 누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同/safety cabinet)

안전캔 (safety can) FM 또는 UL의 인증을 획득한 인화성 액체 용기. 용도에 따라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다. 인화방지망, 스프링 폐쇄식 뚜껑,

스파우트(spout) 덮개 등이 장착 되어 있고, 열기에 노출될 경우 내부의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할 수 있는 안 전장치를 갖추고 있다.

안전필름 (safety film) 參/cellulose acetate.

안전화 (safety shoe) 발부리 부분과 발목 부분에 철판을 대어 발을 보호하도록 한 신발. 안정제, 안정판, 스테빌 라이저 (stabilizer) 1)포 형성제.(參/foam concentrate) 2)공중 소방차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參/jack) 3)나프타 성분은 가스상 성분(탄소수 4개 이하)을 용해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증류하여 제거하고 증기압을 조절하는 증류탑.

안정한 물질 (stable materials) 공기, 물, 열, 충격, 압력 등에 노출되더라도 그 화학적 구성이 변하지 않는 물질. 대부분의 고체는 안정한 물질이다.

안테나(antenna)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장치. 공중선(空中線)이라고도 한다.(參/aerial)

안티몬(Sb) (antimony) 가연성 금속원소. 납을 딱딱하게 만드는 경화 합금으로 사용.

안퍼폭약 (ammonium nitrate with fuel oil(ANFO)) 질산암모늄과 연료유 혼합물로 만든 폭약.(同/blasting agent)

알람 체크 밸브 (alarm check valve)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밸브의 일종. 밸브 1, 2차 측의 압력차에 의해 개 방되며, 개방과 동시에 경보를 발한다. 한 방향으로만 물을 흐르게 하는 역지 (check)기능, 배수 및 시험밸브 기능을 갖추고 있다. 자동경보밸브라고도 하 며, 대부분 클래퍼(clapper)형이다.(參/waterflow detecto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4  (0) 2023.06.24
소방용어153  (0) 2023.06.24
소방용어151  (0) 2023.06.24
소방용어150  (0) 2023.06.24
소방용어149  (0) 2023.06.24

안전릴리프밸브 (safety relief valve) 가스 저장 실린더 등에 장치하여 과도한 압력을 배출토록 함으로써 파열을 방지해 주는 밸브.

안전마개 (safety bung) 드럼통에 충진할 때 드럼통 속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개방되는 마개.

안전밸브 (safety valve) 밸브의 1차측 정압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식 압력방출장치. 밸브가 신속하게 완전 개방되는 것이 특징이며, 주로 가스 또는 증기를 취급하는 장치에 사용 된다.

안전밸브개그 (safety valve gag) 안전밸브의 설정압력보다 더 높은 압력에서 정압시험을 실시할 때 안전밸브 가 열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클램프.

안전밸브의 리프트 (lift of safety valve) 밸브가 열렸을 때 안전밸브, 안전릴리프밸브 또는 릴리프밸브의 시트에서 디 스크가 분리되어 이동한 거리. 일반적으로 밸브가 정격용량으로 방출하고 있 을 때 디스크가 시트에서 움직인 거리.

안전벨트 (pompier belt) 사다리 세로대에 벨트를 걸어 몸을 고정시킨 후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고리가 달린 조절식 벨트.(同/life belt, 參/safety belt)

안전벨트 (safety belt) 회전고리가 달려 있는 벨트. 사다리 및 훈련탑 등에서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한다.

안전벨트, 구명대 (life belt) 參/pompier belt.

안전봉 (safety rod) 비상사태시 원자로를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예비 조절봉.(參 /scram)

안전성냥 (safety match) 일정한 표면에 대고 그어야만 불이 붙는 성냥.

안전솔벤트 (safety solvent) 쉽게 발화되지 않고 또 독성도 없는 솔벤트. FM에서는 인화점 38℃(100℉) 이상의 것으로 정의.

안전유리 (safety glass) 가는 철사 또는 플라스틱을 유리판 안에 넣거나, 또는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 에 삽입하여 유리가 깨어져도 파편이 튀지 않도록 고안된 유리.(參/tempered glass)

안전인터록 (safety interlock) 위험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나 위험한 공간으로 사람이 접근하는 것 을 방지해 주고 또 접근이 허용된 시간 동안에는 위험한 작업이 진행되지 않 도록 해주는 연동장치.(同/interlock)

안전작동밸브 (safety trip valve) 버너와 같은 점화장치로의 연료 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해 주는 신속 폐쇄 밸브.

안전잔량 (safe residual) 산 소통의 산소가 완전히 고갈되기 이전에 산소통을 교체해야 할 시점을 나 타내 주는 잔여 산소량. 안전장치 (safety relief) 가입된 실린더나 탱크 등의 파열을 방지해 주는 장치로, 파열판 등이 있다.

안전전문가 (safety specialist) 인명이나 재산 등이 위험한 조건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해 주는 절차 등의 개 발전문가.(參/Certified Safety Professional)

안전제어장치 (safety control) 장비의 위험한 운전을 사전에 방지할 목적으로 부착하는 자동제어장치.(參 /safety shutoff device, safety shutoff valve, safety trip valve)

안전지대 (island) 산불이 발생한 지역 내에서 연소되지 않은 지역.

안전지대 (safety island) 연소저지선이 돌파 당하거나 비화로 인해 연소저지선 외부의 가연물이 연소 하게 될 경우 피난처로 사용되는 지역.

안전차단기 (safety breaker) 회로에 일정치 이상의 전류나 전압이 흐를 때 자동적으로 회로를 차단해 주 는 기기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3  (0) 2023.06.24
소방용어152  (0) 2023.06.24
소방용어150  (0) 2023.06.24
소방용어149  (0) 2023.06.24
소방용어148  (0) 2023.06.24

아이브로우 (eyebrow) 건물 외부의 창문 위로 돌출되어 있는 수평 돌출부.(參/fire canopy)

아이크 오 훅 (ike-o-hook) 한쪽 끝에 작은 구멍이 나 있는 강철 갈고리. 구조용 덮개와 함께 사용한다.

아질산염(MNO₂) (nitrites) 질산을 함유한 염 또는 에스테르. 질산염보다 하나 적은 산소원자를 보유하 고 있지만, 질산염보다 강한 산화제이다. 가연성 물질과 혼합되면 위험물질로 변하며, 열이나 화염에 노출될 경우 대단히 위험하다. 몇몇 아질산염류, 특히 아질산암모늄(NH₄NO₂)과 같은 것은 스스로 폭발하는 성질이 있다. 아크 (arc) 공기나 가스를 통한 방전. 아크 또는 방전 에너지는 전류 및 전압, 지속시간 에 비례한다. 고에너지 아크의 온도는 19,500℃(35,000℉)까지 치솟을 수 있는 데, 이는 태양의 온도보다 높은 것이다.

아크롤레인(CH₂CHCHO) (acrolein) 석유제품이 연소할 때 생성되는 독성 화합물. 인화점 -17.8℃(0℉) 미만, 발 화온도 220℃(428℉), 폭발범위 2.81-31Vol.%

아크방전내력 (resistance to arc tracking) 아크상태로 방전된 전기에 대한 절연내력.

아크전압 (arc voltage) 용접 작업에서, 모재(母材)와 용접봉 끝부분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압.

아킹 (arcing) 전기회로 개폐시 단자와 단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불꽃.

아트리움 (atrium) 대형 건축물에서 건물 중앙부 등의 몇 개 층을 구획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 로 연결한 대공간. 태양광선을 들이거나 또는 건물 내에서 극적인 공간을 연 출하기 위해 채용하는 건축양식이다.

아파트, 공동주택 (apartment) 독립된 가구를 구성하는 1인 또는 다수의 사람들이 각각 독립해서 생활할 수 있도록 구획된 주거용 건물. 'apartment house,' 'garden apartment,' 'tenement,' 'condominium apartment,' 'flat,' 기타 다른 명칭도 동일한 것으 로 간주한다.

아황산가스(SO₂) (sulfur dioxide) 유황이 연소하면서 생성된 불연성 가스. 매우 강한 독성을 갖고 있다.

아황산펄프 (sulfite pulp) 아황산법으로 만든 펄프. 아황산펄프의 강도는 중간 정도이고 초지성이 뛰어 나며 증해의 정도에 따라 표백하기 어려운 것과 쉬운 것이 있다. 아황산펄프 는 정제 및 표백하기가 쉽고 거의 모든 종이의 원료가 된다.

악의의 오보 (malicious false alarm) 우발적인 오보와 비교하여, 소방서 업무를 방해할 목적으로 누군가가 고의적 으로 울린 화재경보.

악화, 열화 (deterioration) 상태가 악화되거나 나빠지는 과정. 화학 원소들이 분리되면서 그 자체의 순 수상태를 상실해 가는 것도 악화 또는 열화라 한다.

안면 보호창 (face shield) 열기와 비산하는 물체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헬멧에 부착하는 보호장 치. 보통,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한다.(同/shield)

안면보호판 (facepiece) 오염된 공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얼굴과 호흡기관을 보호해 주는 호흡기 구 성품. 마스크와 머리끈이 포함되며, 안면보호판과 급기원을 연결해 주는 호스 도 안면보호판에 포함할 수 있다.(同/fenestra)

안전거리 (setback) 화재현장의 화재 건물로부터 토지의 경계선이나 도로까지의 빈 공간 용지의 간격이나 폭.

안전공구 (safety tool) 공구를 사용할 때 불꽃이나 정전기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조치를 강구한 공구.(同/non-sparking tool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2  (0) 2023.06.24
소방용어151  (0) 2023.06.24
소방용어149  (0) 2023.06.24
소방용어148  (0) 2023.06.24
소방용어147  (0) 2023.06.24

아날로그 발신장치(센서) (analog initiating device(sensor)) on/off상태만을 표시할 수 있었던 기동장치와는 달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기동장치.

아날로그 통신 (analog communication) 연속적으로 표현된 데이터 또는 음성을 전송하는 통신방식. 원격측정법 (telemetry)에 사용되기도 한다.(參/digital communication)

아네로이드 기압계 (aneroid barometer) 일반 기압계의 수은주를 진공 밀폐된 체임버로 대체한 대기압 측정기.

아말감 (amalgam) 전해셀의 경우, 수은과 금속을 혼합시켜 만든 물질을 아말감이라 한다. 금광 의 제련작업에 사용하거나, 전해소다를 제조하기 위해 아말감을 사용할 경우 에는 아말감법이라 한다.

아미드 (amide) 산아미드 또는 아미드화합물이라고도 하며, 암모니아 NH3의 수소를 카르복 시산에서 히드록시기를 제거한 잔기 RCO(아실)로써 치환한 구조인 것.

아세톤(CH₃COCH₃) (acetone) 합성 또는 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인화성 액체 증류액. 솔벤트로 많이 사용된 다. 인화점 -17.8℃(0℉), 발화점 465℃(869℉), 폭발범위 2.6 12.8.Vol.% 아세트알데히드(C H₃ CHO) (acetaldehyde) 산화물을 형성하거나 중합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아세틸렌(C₂H₂) (acetylene) 탄화칼슘 등의 탄화물류와 물이 반응할 때 생성되는 무색 기체. 폭발범위 2.5 81.0Vol.%, 발화온도 305℃(581℉), 폭발온도 약 400℃(752℉). 공기보다 가볍 다. 산소와 함께 연소시키면 고열이 발생하므로, 금속의 용접 및 용단작업에 주로 사용한다. 아세틸렌은 Ag, Mg, Hg, Cu 등에 작용시키면 폭발성의 금속 아세틸레드(C₂H₂+Cu →Cu₂+H₂)를 생성하며, 동이나 동 함유량이 62% 이상을 함유한 동합금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아세틸렌을 가압 용해(아세틸렌 은 아세톤에 25배 용해)시킴으로써 분해폭발(C₂H₂→2C+H₂+54.19㎉ /kgmol)을 방지해야한다. 아세틸렌 토치 (acetylene torch) 아세틸렌 용접 및 용단 용구. 1개의 산소 및 아세틸렌 탱크, 2개의 조절기, 2 본의 호스, 1개의 용접 블로우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아스카렐 (askarel) 절연체로 사용하는 불연성 염화탄화수소. 아크 상태에서 발생된 가스는 주로 불연성 염화수소이며, 아스카렐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양의 가연성 가스를 함유할 수 있다.

아스팔트 (asphalt) 고분자량의 탄화수소 및 기타 탄소 화합물의 점성 혼합물로서, 천연적으로 생성된 거무스름한 역청. 아연(Zn) (zinc) 밝게 빛나는 백색의 금속원소. 얇은 아연조각이 습기와 접촉될 경우 발화하 는 성질이 있다.

아웃리거 잭 (outrigger jack) 고가사다리나 공중작업대의 양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하도록 고안된 잭. 소방차의 차대가 제공하는 지지대보다 더 넓은 지지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것 이다.(同/jack, outriggers, stabilizer)

아이 알 아이 (Industrial Risk Insurers(IRI)) 주로, 방재우량물건(HPR)을 취급하는 미국의 손해보험조직. 손해보험회사들 이 회원사로 가입하고 있으며, 일반 업종뿐만 아니라 석유업종 물건도 다수 취급.

아이들 (idle) 공전(空轉), 즉 아무런 가치가 없는 회전이라는 뜻. 아이들 기어, 아이들 풀리 등에 사용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1  (0) 2023.06.24
소방용어150  (0) 2023.06.24
소방용어148  (0) 2023.06.24
소방용어147  (0) 2023.06.24
소방용어146  (0) 2023.06.24

심블 (thimble) 1)벽이나 바닥을 관통하는 케이블, 전선 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관. 2)로프 또는 케이블의 삭안 한 가운데에 장착된 U자형 장치. 3)지붕으로 굴뚝을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목재난로에서 사 용한다.

심폐소생법 ( c a r d i o p u l m o n a r y resuscitation) 심장박동정지, 호흡 멈춤, 기도 막힘 등의 상태에 있는 환자에게 인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외부에서 심장을 자극하여 호흡이 재개되도록 하는 것.

쌍구형 소화전 (double hydrant) 보통, 63.5mm(2½in.) 구경의 방수구 2개가 설치되어 있는 소화전. 간혹, 하나 이상의 '스티머'(steamer) 방수구가 장착된 소화전도 있다.

쌍구형 연결금구 (siamese) 1)2개 이상의 호스라인을 하나의 호스로 결합시킬 때 사용하는 관부속. 흡입 부는 암피팅, 방출부는 수피팅(參/wye). 2)쌍구형 호스라인을 연결시키는 행위.(參/siamese line)

쌍구형 호스라인 (siamese line) 2개 이상의 호스라인이 하나의 호스로 연결되는 호스라인.(同/parallel lines, 參/siamese)

쌍구형 흡수관 (collecting head) 2개 이상의 흡입부와 1개 이상의 토출부로 이루어진 기구. 하나 이상의 호스 라인을 펌프 흡입부에 연결할 때 사용한다.(參/delivery head, siamese)

쌍여닫이창 (casement window) 한쪽 측면에 힌지를 부착하여, 창문을 개방할 때 바깥쪽으로 밀어서 개방하 도록 되어 있는 창.(參/window)

쓰레기 소각 (debris-burning fire) 나뭇잎이나 쓰레기 등을 소각하기 위한 연소. 씨실 (weft thread) 직물로 짜여진 호스에서 가로 방향으로 들어간 실.(同/woof, 參/warp thread)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50  (0) 2023.06.24
소방용어149  (0) 2023.06.24
소방용어147  (0) 2023.06.24
소방용어146  (0) 2023.06.24
소방용어145  (0) 2023.06.24

신관 (blasting cap) 작고 얇은 벽으로 구획된 원통형 케이스. 폭발성이 낮은 물질을 폭발하게 하 는 아지드화납 등의 강력한 폭발성 물질을 수용하고 있다.(參/detonator, primer)

신더, 재 (cinder) 전부 또는 일부가 소실되었지만 완전히 재로 변하지는 않은 상태의 석탄이나 나무.

신뢰성 부품 (reliable component) 고장이 발생하지 않거나 정기적으로 교체하지 않는 부품.

신입대원 (recruit) 정규 소방대의 일원으로 합류했지만 아직 수습기간이 끝나지 않은 대원.(同 /rookie)

신축 링 (expansion ring) 소방호스를 커플링의 후미에 단단히 고정시켜 주는 금속 링.

신호 (signal) 도로변에 위치한 화재경보기로부터 발신된 전신부호. 경보기의 위치를 나타 내는 것이다.

신호 대 잡음비, SN비 (signal-to-noise ratio) 잡음의 크기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 보통, 데시벨(dB)로 표시한다.

신호라인회로 (signaling line circuit) 입력신호, 출력신호 또는 두 신호 모두가 송신되는 다중설비와 공통회로 제 어유닛 또는 송신기 사이의 경로 또는 회로.

신호선 인터페이스 (signaling line circuit interface) 발신장치, 발신장치용 회로, 경보장치, 경보장치용 회로, 설비제어용 출력, 기 타 신호선을 신호회로에 접속시키는 설비의 구성요소.

실내난방기 (space heater) 비교적 좁은 공간용 이동식 난방장치. 어떤 것은 액체연료를 사용하기도 한 다. 인명피해가 큰 화재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실린더 (cylinder) dOT(구. ICC) 실린더 사양에 적합한 구조의 이동식 컨테이너. DOT 사양에서 허용하는 최대물용량은 454㎏(1,000lb)이다.

실링 (sealing) 금속관공사 등의 경우 전선관로를 통해 가스 등이 이동하거나 폭발시 화염이 전파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관로를 밀봉하는 것.

실제현금가액, 시가 (actual cash value(ACV)) 화재 손실에서 감가상각분을 공제한 교체 비용.

실화 (actionable fire) 1)불법적으로 발화된 화재. 법률, 법령, 규정 등을 위반하면서 연소 또는 확산 되는 화재. 2)진압하여야 하는 화재.

실화 (unfriendly fire) 난방이나 산업적인 용도 등으로 일으킨 불이 우발적으로 그 연소 제한구역을 벗어나서 확산되는 화재.

실효값전류 (effective current) 실효값으로 주어진 전류. 'effective'보다는 'root-mean-square'(RMS) 쪽이 더 명확한 용어이다.

심냉처리 ( 深 冷 處 理 ) ( s u b z e r o treatment) 담금질한 철강을 0℃ 이하의 저온도로 냉각시키는 처리.

심부화재 (deep-seated fire) 1)짐더미, 곡물창고, 가구 등의 가연물 속으로 깊숙이 파고 들어간 화재.(參 /flash fire) 2)잘 진화되지 않는 화재. 3)구조재를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화재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9  (0) 2023.06.24
소방용어148  (0) 2023.06.24
소방용어146  (0) 2023.06.24
소방용어145  (0) 2023.06.24
소방용어144  (0) 2023.06.24

시공, 구조, 건설 (construction) 건물 또는 기타 구조물을 조립하는 방법.(參/balloon construction, fire-resistive construction, heavy-timber construction, noncombustible construction, wood-frame construction)

시멘트 (cement) 석회,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실리카(규토, 무수규산, 이산화규소), 산화철 등 으로 제조된 회색의 분말. 물, 골재 등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만든다.

시민신고 (citizen alarm) 일반 시민에 의한 화재신고.(參/still alarm)

시안산수은 (mercuric cyanate) 參/mercury fulminate. 시안화수소 ( H C N ) ( h y d r o g e n cyanide) 參/hydrocyanic acid. 시안화수소산, 청산 ( H C N ) ( h y d r o c y a n i c acid) 쓴맛이 있고 아몬드향이 나는 무색의 액체. 인화점 -17.8℃(0℉), 발화온도 537.8℃(1,000℉), 폭발범위 6~41Vol.%. 인체내로 유입되면 매우 강한 독성을 띤다.(同/formonitrile, hydrogen, cyanide, prussic acid)

시어 (sear) 물체를 그을리다. 표면연소를 야기하다. 시유 발신기(도로 발신기) (municipal fire alarm box(street box)) 공공화재서비스 통신센터로 경보를 전송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하는 발신장 치, 수신장치 및 접속회로(공공 전화망 이외의 접속회로)를 포함한 장비.

시유 발신기 (municipal transmitter) 공공화재서비스 통신센터로 경보를 전송하기 위해 먼 거리에서 작동시킬 수 있는 발신기.

시유 발신기 (municipal transmitter) 공공화재서비스 통신센터로 경보를 전송하기 위해 먼 거리에서 작동시킬 수 있는 발신기.

시준의(視準儀), 앨리데 이드 (alidade) 망원렌즈가 장착된 직선자. 관망대에서 화재의 위치를 파악할 때 사용한다. (參/fire finder)

시차열분석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DTA)) 시료와 열적으로 비활성인 기준물질을 각각 같은 용기에 넣어, 두 가지를 등 가조건하에서 주위의 온도를 일정한 속도로 올리거나 내리면서, 그 둘 사이 의 온도 차(시차온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시료의 온도변화를 이용하여 정성분석을 하고, 또 온도차-시간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으로 정량분석을 하 는 방법

시체 운반용 자루 (body bag) 화재로 인한 사망자를 운반하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자루. 시트 (sheet) 두께 0.15∼6.0mm의 금속박판.

시트록 (sheetrock) 건물 내벽용 시트의 일종. 종이와 종이 사이에 석고를 넣어 만든 석고보드이 다.

시프트 (shift) 1)근무주기. 2)동일한 근무주기에 속하는 소방대원들의 그룹.

시험용 소화전 (test manifold) 소화전설비의 압력이나 방수량 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용 소화전.(同/hose header)

시험화재 (test fire) 재료 또는 구조물의 화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8  (0) 2023.06.24
소방용어147  (0) 2023.06.24
소방용어145  (0) 2023.06.24
소방용어144  (0) 2023.06.24
소방용어143  (0) 2023.06.24

습식 스탠드파이프 (wet standpipe) 배관에 항상 물이 차 있고, 또 15.17~30.34m(50~100ft) 길이의 12.7mm(½in.) 호스를 적재한 호스함들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내 배관설비.

습식 입상관 (wet riser)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직 배관.

습식 자동스프링클러설비 (automatic wet pipe sprinkler system) 습식 밸브 1, 2차 측의 배관에 항상 물이 충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설비.

습식부스 (waterfall booth) 수막이 흘러내리는 밀폐실. 분무도장작업시 사용한다.

습식설비 (wet pipe system) 1)급수설비에 연결되어 있고 동시에 습식 배관에 자동식 노즐이 부착된 미분 무수설비. 화재의 열에 의해 노즐을 통해서 물이 즉시 분사되는 설비. 2)습식 배관설비에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부착하여 화재로 인한 열에 의 해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면 즉시 방수되도록 급수설비와 연결한 스프링 클러설비.

습식소화전 (wet-barrel hydrant) 결빙의 우려가 없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소화전의 일종. 각 소화전에는 호스 와 밸브가 있는 나사식 방수구를 구비하고 있다.(參/California hydrant)

습식스프링클러설비 (automatic wet pipe sprinkler system) 습식 밸브 1, 2차 측의 배관에 항상 물이 충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설비.(同 /wet-pipe sprinkler system)

습윤단열의 (wet adiabatic) 일단의 공기가 응축점 이상으로 상승할 때 응축된 습기로부터 열이 방출되는 것.(參/adiabatic)

승강로 (hoistway) 엘리베이터나 덤웨이터가 운행하는 샤프트, 승강구, 엘리베이터 통로, 기타 수직 통로 또는 공간.

승인, 인증, 검정 (approval) 관공서, 보험회사 등이 일정한 자격을 갖춘 것으로 인정하는 각종 기관이나 단체 등에서 부여하는 인증(검정).

승차구역 (fully enclosed personnel area) 자물쇠가 걸려있는 문, 지붕, 바닥 및 4면이 있고 완전 밀폐된 소방차의 운전 실 또는 승객실.

승화 (sublimation) 고체물질이 액체상태를 거치지 않고 증기를 방출하거나 곧바로 기화되는 것.

시각경보설비 (visual alarm system) 음향설비를 대체하거나 또는 음향설비에 병설된 시각적인 설비를 통해 화재 경보를 발하는 경보설비. 청각장애인들이 거주하는 시설물에서 주로 사용한 다.

시각신호 표시기 (annunciator) 회로, 위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2 이상의 표시램프, 문자표시, 기타 이와 동등한 설비를 포함하는 유닛.

시각신호 표시반 (annunciator panel) 규모가 큰 일정 지역에서 경보가 발해진 지점을 구체적으로 표시해 주는 표 시반. 파일럿 램프와 같은 시각적인 방법을 이용하며, 보통 해당 지역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시간-온도곡선 ( t i m e - t e m p e r a t u r e curve) 시간에 따른 화재 온도의 증가폭을 나타내는 그래프. 건축자재나 조립품 등 의 내화성능을 시험할 때 사용한다.(參/standard time-temperature graph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7  (0) 2023.06.24
소방용어146  (0) 2023.06.24
소방용어144  (0) 2023.06.24
소방용어143  (0) 2023.06.24
소방용어142  (0) 2023.06.24

스프링클러헤드 쐐기 (sprinkler wedge)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체적인 작동을 유지하면서 특정 스프링클러헤드의 살수 기능만을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나무쐐기. 쐐기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가 늘어지며 쐐기 모양을 하고 있다.(同/sprinkler block, sprinkler stopper, sprinkler tongs)

스프링클러헤드 표시온도 (sprinkler temperature rating) 작동온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색으로 표시한다. 75℃ 미만: 무색, 75℃ 이상 121℃ 미만: 백색, 121℃ 이상 162℃ 미만: 청색, 162℃ 이상 200℃ 미만: 적 색, 200℃ 이상 260℃ 미만: 녹색, 260℃ 이상: 황색.

스플라이스 (splice) 1)2개의 로프를 꼬아서 연결한 것. 2)로프의 끝부분을 매듭지어 풀리지 않도록 한 것.(同/crown splice) 3)로프의 끝부분을 매듭지어 삭안(索眼) 생기도록 한 것.(同/eye splice)

스필 (spill) 1)위험한 물질의 우발적인 유출. 2)이동중인 소방차에서 호스라인을 끌어내어 배치하다. 3)호스라인을 지면에 고의적으로 떨어뜨리다.

스필 파이어 (spill fire) 지면으로 유출된 인화성 및 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한 화재.

슬래시 제거 (slash disposal) 화재위험을 줄이거나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슬래시를 제거하는 것.(同 /brush disposal)

슬래시, 플래시 가연물 (slash) 벌목, 가지치기, 제초, 잡목제거 등의 작업 뒤에 남겨진 잔해. 통나무 조각, 나무껍질, 잔가지, 그루터기 등을 말한다.(參/flash fuel)

슬러리 (slurry) 점토, 석회, 펄프, 연소억제제 등의 불용성 물질과 물이 혼합된 혼합물.

슬러지 (sludge) 점도가 높은 고체와 액체의 혼합물. 슬러리와의 구별은 명확하지 않으나 예 를 들면 진흙은 슬러지라 하고 진흙탕물은 슬러리라고 한다. 슬러리와 케이 크와의 구별도 명확하지 않으나 진흙덩이를 만들 수 있을 정도인 것을 케이 크라고 한다.

슬롭오버 (slopover) 연소중인 유류 탱크에 유류 표면의 온도보다 낮은 비등점의 액체(물 또는 포 소화약제)를 방사했을 때 물 또는 포수용액이 급격히 증발하면서 유류가 팽 창되어 넘쳐흐르는 것.(參/boiling liquid-expanding vapor explosion, breakover, boilover, frothing)

슬롯 (slot) 고전자 또는 회전자의 공극에 면한 표면 또는 그 내부에 보통 회전기 축과 평행하게 설치된 홈. 홈 속에는 대부분 회전기의 권선이 들어 있으며, 일부는 통풍 목적으로 사용한다.

슬리브, 보호관 (sleeve) 1)흡입 또는 공급호스. 2)전선이 벽이나 바닥을 관통해야 할 때 설치하는 전선 보호용 관.

슬립온 탱커 (slip-on tanker) 탱크, 펌프, 배관 등의 필요한 장비를 완비한 펌핑장치. 소방차량 등에 손쉽 게 탑재하고 분리할 수 있다.

슬립온식 패키지 소화설비 (slip-on fire fighting package) 트럭차대, 유틸리티 베드 또는 플랫 베드 위에 배치하는 펌프, 배관, 탱크 및 호스릴 등이 완비된 소화설비. 이 소화설비는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으로 차 량에 배치 및 제거될 수 있다.

슬링 건습계 (sling psychrometer) 參/psychrometer.

습구 온도 (wet-bulb temperature) 슬링건습계(sling psychrometer)의 습구 온도계에 나타난 온도.(參 /psychrometer)

습기 있는 장소 (damp location) 캐노피, 입구의 큰 차양, 지붕이 있는 개방된 현관 및 이와 유사한 장소 아래 에 보호된 곳 및 지하실, 광, 냉동 창고 등과 같이 습기가 있는 내부 장소.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6  (0) 2023.06.24
소방용어145  (0) 2023.06.24
소방용어143  (0) 2023.06.24
소방용어142  (0) 2023.06.24
소방용어141  (0) 2023.06.24

스프링클러 배관스케쥴 (sprinkler piping schedule) 다양한 규격의 스프링클러설비용으로 승인된 배관의 규격을 수록한 것. 보통, 설치된 헤드의 수를 기준으로 한다. NFPA 13 참조.(同/piping schedule)

스프링클러 유수경보장치 (waterflow sprinkler alarm) 參/flow alarm.

스프링클러 입상관 (sprinkler riser)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 제어밸브나 경보체크밸브 등이 위치한다. 입상관은 단일 방호구역의 스프링클러설비마다 1개씩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스프링클러 제어밸브 (sprinkler control(stop) valve) 하나의 방호구역 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를 제어하는 밸브. 항상 개방되 어 있어야 하므로 '열린 상태로 잠금'(locked open) 위치에 두는 것이 원칙이 다.

스프링클러 필요방수량 (sprinkler demand) 살수면적 살수밀도 살수시간으로 계산한다.

스프링클러설비 (sprinkler system) 건물 내의 화재를 제어 및 진화하기 위한 설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스 프링클러헤드와 급수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력탱크, 소방펌프, 저수조, 압력 탱크, 상수도 연결부 등의 급수설비와 제어밸브, 그리고 스프링클러설비 작동 시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 등을 포함한다.(參/automatic sprinkler system, deluge sprinkler system, dry system, preaction sprinkler system, spray sprinkler, sprinkler alarm, sprinkler block, sprinkler connection, sprinklered, sprinkler head, sprinkler spacing, sprinkler stopper, wet pipe sprinkler system)

스프링클러설비 급수원 (sprinkler system water supply) 스프링클러설비의 급수원은 용량은 동일하고 동력원(전동기와 내연기관 등) 과 설치장소(서로 반대되는 곳에 이격)는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급수원을 설 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sprinkler connection) 펌프차에 연결된 호스라인을 이용하여 스프링클러설비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연결부. 보통, 2개의 송수구가 부착된 쌍구형 연결부를 말한다.(同/fire department connection)

스프링클러설비 유수경보 (sprinkler water flow alarm) 參/water flow alarm.

스프링클러헤드 (sprinkler head) 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장치. 헤드와 배관을 연결하고 있는 나사 니플, 퓨저블 링크 등의 방출장치, 물을 분무형태로 분산시켜 주는 반사판 등으로 이루어 져 있다.

스프링클러헤드 마개 (sprinkler block)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체적인 작동을 유지하면서 특정 스프링클러헤드의 살 수기능만을 정지시킬 때 사용하는 장치.(同/sprinkler stopper, sprinkler tongs, 參/sprinkler wedge)

스프링클러헤드 마개 (tongs) 參/sprinkler tongs. 스프링클러헤드 방호면적 (sprinkler spacing) 스프링클러헤드가 관련 위험을 적절하게 방호할 수 있는 면적.

스프링클러헤드 방호틀 (sprinkler guard)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스프링클러헤드를 보호하는 장치. 사람 손이 닿을 정도 로 낮은 곳에 헤드가 위치할 경우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스프링클러헤드 쐐기 (sprinkler stopper) 參/sprinkler tongs, sprinkler wedge.

스프링클러헤드 쐐기 (sprinkler tongs) 同/sprinkler block, sprinkler stopper, 參/sprinkler wedg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5  (0) 2023.06.24
소방용어144  (0) 2023.06.24
소방용어142  (0) 2023.06.24
소방용어141  (0) 2023.06.24
소방용어140  (0) 2023.06.24

스판, 경간 (span) 빔, 트러스, 거더 등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수평거리.

스판드렐 공간 (spandrel area) 외벽의 개구부(창문 등) 상부와 그 바로 윗층의 다른 개구부의 바닥 사이 공 간부분.

스패너 렌치 (spanner wrench) 호스커플링 등을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하는 도구. 간혹, 소화전 등을 들어올리 거나 개방 또는 폐쇄할 때 지렛대로 사용되기도 한다.(同/spanner)

스퍼 (spur) 사다리 세로대 또는 지지대의 끝부분에 장치된 금속 스파이크. 사다리를 지 면에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스포트 버닝 (spot burning) 브로드캐스트 버닝의 일종. 축적된 슬래시 더미 내부에서 발생하여 그 더미 에 한정되는 연소.

스포트형 감지기 (spot-type detector) 특정 위치의 일부분에 대한 감지성능이 있는 감지기. 차동식, 정온식, 보상식, 이온화식, 광전식, 연기복합식, 열연복합식 등이 있다.

스포팅, 비화 (spotting) 1)진화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소방대원 및 장비를 배치하다. 2)화재현장으로부터 바람에 실려 날아온 스파크나 불똥으로, 날아간 장소에서 새로운 화재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參/spot fire)

스폴링, 폭열 (spalling) 화재에 노출된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균열현상.

스프레더 (spreader) 1)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쐐기형 도구. 차량 등에서의 구조작업시 구조재 사이 에 끼워 벌리거나 또는 무거운 물체 등을 들어올릴 때 사용한다. 2)參/spreader tip.

스프레더팁 (spreader tip) 물을 부채꼴 모양으로 방수할 수 있는 노즐팁.(參/nozzle)

스프레이 (spray) 1)열을 흡수하고 화재를 질식시키며, 복사열에 노출된 표면을 보호해 주기도 한다. 2)스프레이 노즐로부터 분출된 기류. 수막을 지칭하기도 한다.

스프레이 팁 (spray tip) 차단용 충돌부(shutoff butt)가 없는 방수조절방식의 방수기구. 옥내소화전설 비에 고정된 소방호스와 함께 쓰이는 경우에는 차단기능이 있거나 없을 수도 있으며, 소방서용 스프레이 팁은 트위스트형으로 차단할 수 있거나 없을 수 도 있다.

스프링 호이스트 (spring hoist) 사다리 적재함에서 고가사다리를 세울 때 사용하는 기계장치. 스프링의 힘을 이용한다. 현재의 소방차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스프링식 센터 펀치 (springloaded center punch) 구조작업시 자동차의 강화유리를 제거할 때 사용하는 장치.

스프링클러 (sprinkler)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천장면등에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부분이 용융 또는 파괴되어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거나 화재 감지기에 의해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면서 소화를 이루게 하는 설비로 옥내 소화전 등 수동식 소화설비에 의한 초기 소방활동이 곤란한 소방대상물에 설 치되어 효과적인 소화활동을 하는 자동소화설비이다.

스프링클러 감시설비 (sprinkler supervisory system) 參/supervis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스프링클러 경보장치 (sprinkler alarm) 스프링클러헤드가 작동하면 경보음을 발하는 장치.

스프링클러 배관 (sprinkler piping) 스프링클러설비에서 헤드까지 물을 전달하는 배관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44  (0) 2023.06.24
소방용어143  (0) 2023.06.24
소방용어141  (0) 2023.06.24
소방용어140  (0) 2023.06.24
소방용어139  (0) 2023.06.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