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터 (booster) 소규모 화재 진압용으로 사용되는 물탱크, 펌프, 19mm(¾in.) 또는 25mm(1in.) 구경의 고무내장 호스.(參/booster line, booster pump, booster reel, booster tank, booster unit)

부스터 라인 (booster line) 부스터 펌프나 탱크에 부착된 19mm(¾in.) 또는 25mm(1in.) 구경의 소형 호 스.(同/booster hose, chemical line, red line, quick line, 參/booster, booster reel, booster tank, booster unit, tank line)

부스터 릴 (booster reel) 소방차에 장착된 19mm(¾in.) 또는 25mm(1in.) 호스릴을 감는 장치. 간혹, 전 동식 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參/booster, booster tank, booster unit, hose reel)

부스터 유닛, 이동식 소 화장치 (booster unit) 트럭 또는 트레일러에 장착된 이동식 물탱크, 호스 릴, 펌프 등. 소규모 화재 및 임야화재 진화용으로 사용한다.(參/booster, booster line, booster pump, booster reel, booster tank)

부스터 탱크, 증압탱크 (booster tank) 소방차용 물탱크. 부스터 호스와 펌프를 연결시켜 준다.(參/booster, booster line, booster pump, booster reel, booster unit)

부스터 펌프, 증압펌프, 충압펌프 (booster pump) 1)정격 1,900lpm(500gpm) 미만의 펌프. 19mm(¾in.), 25mm(1in), 38mm(1½in.) 호스용 펌프이다.(參/booster, booster line, booster reel, booster tank, booster unit) 2)연결송수관 또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압을 높여주는 고정식 소방펌프.(參 /jockey pump, fire pump)

부스터 펌프용 흡입압력 조절장치 (suction pressure regulating valve) 공설수도배관에 부스터 펌프를 연결하여 가압 송수할 때, 일정한 흡입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

부스터 호스 (booster hose) 고무튜브, 편조 또는 나선형 보강재, 그리고 외부 보호피복이 있는 호스. 호 스는 38mm(1½in.)까지의 크기로 소방차용으로 제작된다.(參/booster line)

부스터 호스릴 (booster hose reel) 소방펌프차에 설치하는 고압의 방수장치.

부식성 물질 (corrosive material) 인체의 피부와 같은 유기체의 세포조직을 태우거나 자극 또는 파괴하는 고 체, 액체, 기체 물질. 인체 내로 유입될 경우에는 폐나 위장에도 피부와 동일 한 위해를 가한다.(參/toxic substance,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부식제, 소작제 (燒灼劑)(caustic) 열기에 의해서라기보다는 화학작용을 통해 피부조직을 태우거나 파괴, 부식 시키는 물질.

부식토 (humus) 풀잎, 나무, 기타 동물이나 식물이 부패하여 형성된 토양. 임야화재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이다.

부식피로 (腐蝕疲勞) (c o r r o s i o n fatigue) 환경에 의한 부식과 반복되는 하중에 의한 피로의 상호 작용의 결과 발생하 는 재료의 피로 현상. 피로강도 이하의 응력에서 피로파괴를 일으킨다.

부싯깃 (tinder) 아주 쉽게 불이 붙을 수 있는 대팻밥이나 잔가지 등의 건조한 가연성 물질. 부싱 (bushing) 1)스프링클러헤드 교체시 스프링클러설비 티(tee)부위의 개구부를 축소시켜 주는 관부속. 2)전기가 흐르는 전선이 벽이나 탱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애자. 변압 기의 상부에서 전선을저지하고 있는 애자. 투관, 축받이 통 이라고도 함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01  (0) 2023.06.18
소방용어100  (1) 2023.06.18
소방용어98  (0) 2023.06.18
소방용어97  (0) 2023.06.18
소방용어96  (0) 2023.06.18

본질안전 (intrinsically safe) 어떠한 상황에서도 주변의 위험 분위기를 발화시킬 만큼 충분한 전기 또는 열에너지를 방출하지 않는 것. 본질적으로 안전한 장치, 배선, 시스템은 대기 중의 위험가스나 증기, 또는 가연성 분진이나 가연성 섬유에 대해 엄격한 시 험을 실시한다.(參/nonincendive)

본질적 위험 (inherent, hazards) 열, 빛, 동력 등의 상존하는 보통위험에 앞서 작업장 내에 본질적으로 존재하 는 위험. 볼 밸브 (ball valve) 구형(球形) 밸브. 어떤 위치에서나 밸브시트와 잘 들어맞는다는 이점이 있다.

볼 블랭킷 (ball blanket) 위험물의 표면에 특수 플라스틱 볼을 띄워 그 위험물의 증발을 감소시키는 방식. 볼은 또한 포소화약제의 성능을 지속시켜 주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볼류트 (volute) 원심펌프의 나선형 분기실. 임펠러에 의해 가해진 물의 속도에너지가 압력으 로 전환되는 부분이다.

볼륨 (volume(vol)) 1)어떤 물체가 점유하고 있는 3차원의 공간. 2)방수량.(參/gallons per minute) 3)소리의 크기 또는 강도.

볼트 절단기 (bolt cutter) 볼트나 연결고리 등을 절단할 때 사용하는 절단기. 수동식, 공기작동식, 유압 작동식 등이 있다.(同/bolt shear)

봉상주수 (solid stream) 분무형태의 주수와 비교하여, 물이 흩어지지 않고 줄기를 이루어 방출되는 주수.

봉상주수 (straight stream) 최대의 수압으로 화재를 진화하거나 또는 방수거리를 최대로 늘리기 위한 주 수.(參/solid stream)

봉쇄, 억제, 격납 (containment) 연소확대를 제한하다.

부가경보 (multiple alarm) 제1경보 발령 이후에 부가적으로 발령되는 제2, 제3 경보와 같은 경보.

부도체, 절연체, 단열재 (nonconductor) 1)전기를 포함하여 어떤 형태의 에너지도 전달하지 않는 물질. 2)절연체 또는 단열재.

부동충전 (floating charge) 부하가 접속되어 있는 축전지에 충전장치를 통해 일정한 전압을 계속 공급하 여 축전지를 항상 충전된 상태로 유지하며, 작은 부하는 충전장치를 통해 그 리고 큰 부하는 축전지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방식.

부두 (pier) 배가 정박할 수 있도록 육지에서 바다를 향해 길게 돌출되어 있는 구조물. 보통, 그 너비보다 길이가 훨씬 길다.

부드러운 흡입호스 (soft suction hose) 소화전에서 소방펌프차로 송수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기 쉬운 호스.

부등률(不等率) (diversity factor) 전력 계통의 각 구간에서 각각의 수요 전력의 합과 계통 전체의 최대 수요 전력과의 비. 항상 1보다 큰 값이다. 부등률의 대상은 수요 부하군, 배전 변 압기군, 배전 간선군 등이며, 그 값은 보통, 1.1~1.6 정도이다.

부등침하(不等沈下) (differential settlement) 구조물 전체 또는 일부의 하중에 의해 구조물의 기초가 균일하게 침하하지 않고 경사지게 침하하는 현상.

부르동 게이지 (bourdon gage) 곡선 모양의 평평한 관이 있는 압력계. 압력이 변함에 따라 곡선의 모양도 변하는데, 이러한 곡선의 움직임은 다이얼의 바늘로 전달된다.

부분진공 (pull a vacuum) 1)펌프가 소화전의 용량이나 방출량을 초과하여 작동할 때 형성되는 부분적 인 진공상태를 지칭하는 용어. 2)펌프와 급수원 사이의 압력을 떨어뜨리다.(參/cavitation and drafting)

부상 (injury) 어떤 사고의 결과 인체에 가해진 물리적 손상. 사고 발생후 1년 이내에 치료 를 받아야 하는 부상(사고 당시 실제 치료 여부에 관계없이) 또는 사고 발생 직후 적어도 1일 이상 응급실에서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을 말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00  (1) 2023.06.18
소방용어99  (2) 2023.06.18
소방용어97  (0) 2023.06.18
소방용어96  (0) 2023.06.18
소방용어95  (0) 2023.06.18

복사열 (radiant heat) 전자파 형태로 운반되는 열에너지. 기체를 통과할 때는 기체의 온도를 상승 시키지 않지만 고체나 불투명한 물체를 통과할 때는 그들의 온도를 상승시킨 다.

복사열 (radiated heat) 參/radiant heat.

복사열 패널 시험 (radiant panel test) 물질 표면의 인화성을 측정하는 시험법. 미국의 {국가기준제정국}(National Bureau of Standards)에서 개발하였다. ASTM 162-67.

복사열상 (radiation burn) 복사열에 의한 피부의 손상.(參/flash burn, thermal burn)

복식 가압장치 (dual pressure machine) 參/pump escape.

복식레버 (compound lever) 어떤 레버의 암(arm)으로부터 전달된 힘이나 움직임이 다음 레버의 암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각각의 레버를 연속적으로 배열한 것.

복식재킷 (multiple jacket) 각기 별도로 짜여진 2개의 재킷(더블재킷)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둘 이상 의 재킷이 서로 교차하면서 짜여진 호스.

복잡도 (complexity) 하나의 시스템이나 시스템 구성요소의 복잡한 정도. 복잡도는 인터페이스의 개수나 복잡도, 조건분기의 개수나 복잡도, 네스팅의 정도, 데이터 구조의 형 식 등과 같은 시스템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복합 혼합물 (hybrid mixture) 가연성 가스와 가연성 분진 또는 가연성 미스트의 혼합물.

복합노즐 (hybrid nozzle) 자동식, 비자동식 또는 복합식으로 사용되며, 감지/작동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노즐. 감지/작동장치는 별도의 감지장치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복합소방차 (scoosher) 탱크차, 펌프차, 급수탑 등이 복합된 차량. 꼭대기에는 대량주수가 가능한 유 압 작동 굴절식 붐과 연기 속에서 화재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열감지기를 장착하고 있다. 사다리와 기타 기본적인 소방장비들 또한 구비되어 있다.

복합형 감지기 (combination detector) 2개 이상의 화재신호에 응답하거나, 이러한 현상 중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작동원리(2가지 이상의 원리)를 이용한 장치. 연기감지기와 열감지기의 조합 또는 차동식 및 정온식 열감지기의 조합 등을 그 예로 볼 수 있다 본관, 간선 (main) 물 분배설비의 주배관 또는 전기 배전설비의 주회로.

본딩 (bonding) 1)금속 부분을 영구 결합하여 전류가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는 경로를 마련 하는 것. 2)2개의 전도체를 이어 주는 연결선( 딩용 금속 나전선, 또는 금속간 접촉) 을 장치하여 가로막힌 전류의 흐름을 이어 주는 것.(參/bonded)

본딩 (electrical bonding) 參/bonding. 본딩된 (bonded) 전도성(보통, 저항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1메가옴 [1㏁] 이하) 있는 금속성 연결부를 사용하여 정전기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것.(參/grounded, bonding)

본부, 본부임원 (headquarters)(美) 1)소방서 행정을 총괄하는 곳. 2)소방서 고위 행정담당자들의 총칭. 본수(本數)(length) 호스 1본. 미국의 경우, 보통 15m(50ft)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99  (2) 2023.06.18
소방용어98  (0) 2023.06.18
소방용어96  (0) 2023.06.18
소방용어95  (0) 2023.06.18
소방용어94  (0) 2023.06.18

보조펌프 (auxiliary pump) 소방차에 장착하는 펌프로서, 그 정격용량이 10.5kg/㎠(150psi)에서 최소기준 정격용량 1,900llpm(500gpm) 미만인 펌프.(參/booster pump)

보조펌프, 충압펌프, 자 키펌프 (jockey pump)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설비 등의 배관에 항상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소 형 고압펌프.

보통위험 (common, hazards) 일정 공간에 상존하는 열, 빛, 동력 등을 말한다.

보행거리 (travel distance) 한 지점에서 위험조건을 충족시키는 가장 가까운 소화기까지의 실제 거리.

보행이 불가능한 사람 (nonambulatory)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아니하고는 건물을 벗어날 수 없는 상태에 처한 사 람.

보행전위 (step potential) 신체를 통해 발에서 발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대지전위차.(參/touch potential)

보험기간 (rating period) 화재보험의 유효기간. 영국과 미국 등의 경우, 책임 개시일의 자정부터 책임 만료일의 자정까지를 말한다. 보험설계의 4요소(cOPE) 건물 등의 화재위험을 기호로 표시할 때 사용하는 4가지 요소. 즉, 구조 (Construction), 용도(Occupancy), 소화설비(Protection), 연소확대위험 (Exposure) 등은 보험을 설계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다.

보호 전동기 (guarded motor) 스크린, 방지판(baffle), 그릴, 그물 모양의 얇은 금속판(expanded metal), 기 타 위험부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 등으로 통전부 및 회전부에 직접 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모든 개구부의 크기를 제한하는 개방형 전동기. 통전 부 또는 회전부에 접근할 수 있는 개구부는 직경 19mm(0.75in.)의 원통형 막 대가 관통할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

보호각 (protective angle) 돌침의 선단, 기타 뇌격의 단자가 될 도체의 선단에서 그의 상단을 통하는 연직선에 대하여 보호범위의 각도.

보호계전 (protective relaying) 시스템이나 부품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사전에 설정된 비정상적 회로상 태나 주변조건에 다다를 경우 보호회로나 구역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조정되 어 있는 계전기 및 회로차단기 조합. 일정 조건이 발생할 경우, 보호계전기는 회로차단기를 작동시켜 회로를 개방한다. 주요 유형으로는 과전류, 차동, 방 향성, 거리계전기 등이 있다.

보호범위 (zone of protection) 피뢰침의 설치에 따라서 뇌의 직격 위험으로부터 보호되는 피뢰침 주변의 대 지 및 공간.

보호안경 (goggles) 분진, 비행물체, 강한 빛 등으로부터 눈의 손상을 방지해 주는 보호안경.

보호협조 ( p r o t e c t i o n coordination) 보호장치와 보호대상기기 또는 보호대상선로 사이에 지정된 협조관계. 보호 장치는 감도가 좋은 것으로는 안되고 일시적인 이상전압 등에 대해서 즉시 개방하지 않고 적당한 지연특성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고장의 성 질, 고장지점의 원근, 고장범위에 따른 선택보호의 기능도 요구된다.

복도 (corridor) 각각의 방으로 출입할 수 있는 건물내 통로.

복사, 복사선, 방사선 (radiation) 1)빛, 단파, 자외선, X선파 등에서 방출된 에너지. 2)열을 포함한 에너지의 전이. 전자파의 형태로 에너지가 이동하는 현상. 3)알파입자, 베타입자, 중성자 등 고속 원자입자의 흐름. 복사에너지 (radiant energy) 전자기파, 무선파, 가시광선, X선, 핵방사능 등에서 방출된 에너지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98  (0) 2023.06.18
소방용어97  (0) 2023.06.18
소방용어95  (0) 2023.06.18
소방용어94  (0) 2023.06.18
소방용어93  (0) 2023.06.18

보염(保炎)노즐 (flame retaining nozzle) 參/nozzle.

보육시설, 탁아소 (day care facilities) 어린아이들을 도맡아 돌보는 시설.

보일러 폭발 (boiler explosion)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던 에너지가 급격하게 방출되는 현상. 스팀압력이나 물을 고온으로 가열했을 경우, 정수압은 용기의 억제력을 초과하게 된다. 이 러한 용기에는 보일러, 탱크, 파이프, 용기 주위를 감싸고 있는 재킷, 기계의 가압 부위, 기타 압력을 억제하고 있는 모든 기계장치들이 포함된다. 폭발의 원인은 용기가 거센 압력을 견디지 못하게 되거나 용기의 노화, 기계적 결함 등이다.

보일오버 (boilover) 연소중인 탱크로부터 원유(또는 기타 특정 액체)의 작은 입자들이 연소되면 서 방출하는 열기가 수분과 접촉하게 될 경우, 탱크 내용물 가운데 일부는 거품의 형태로 격렬하게 방출되는 현상.(參/tank fire, frothover, slopover)

보일유 (boiled oil) 건조성을 높인 건성유의 일종. 공기 속에 방치하면 12시간 이내에 건조되어 박막을 형성하며, 주로 페인트의 재료로 사용된다.

보일의 법칙 (boyle's Law) 기체(보통, 이상기체)의 부피는 일정한 온도에서의 압력에 반비례한다는 열역 학 법칙. 주어진 온도에서 산출된 압력과 부피는 항상 일정하다. 수식은, V₁ P₁= V₂P₂; V₁은 최초 부피, P₁은 최초 압력, V₂는 최종 부피, P₂는 최종 압력.

보조감시실 (subsidiary station) 평상시 사람이 상주하지 않으며 중앙감시실로부터 원거리에 있고, 통신채널 에 의해 중앙감시실과 연결되는 중계역할을 하는 감시실. 방호건물로부터의 발신채널 또는 수신장치와 감시실과의 채널을 상호 연결시키는 작업이 행해 지는 곳이다.

보조냉각밸브 (auxiliary cooling valve) 주냉각설비와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수동 밸브. 펌프운전시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다.

보조발신기 (auxiliary box) 1개 이상의 원격 장치로 작동될 수 있는 발신기.

보조설비 (supplementary facility) 본체설비가 고장날 경우 본체설비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와 동등 한 설비 및 성능을 갖춘 비상용 설비.

보조소방대원 (auxiliary fire fighter) 1)특별한 긴급사태시에만 활동하도록 훈련 및 등록된 민간 소방대원. 2)비정상적인 상황하에서 일선 소방대를 지원하도록 지정된 보조인력.

보조엔진펌프 (auxiliary engine driven pump) 차량엔진 이외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 펌프.

보조자 (go-fer) 소방애호가, 자원봉사대 또는 소방대원을 도와주는 사람.(參/buff)

보조장비 (auxiliary equipment) 위험을 방호하기 위해 전기설비, 연료 공급설비, 환기시설을 차단하거나 경보 장치를 기동시키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장비로서 분말소화설비, 웨트케미컬설비와 관련된 장비를 말한다.

보조저장 (miscellaneous storage) 저장높이가 3.7m(12ft) 이하로 주용도에 부수적인 저장형태. 보조저장은 건물 연면적의 10% 또는 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면적 372 ㎡ (4,000ft²) 중 큰 면적 을 초과할 수 없고, 하나의 적재파일 또는 저장면적이 93 ㎡ (1,000ft²)을 초 과할 수 없으며, 각 적재파일 또는 저장지역은 7.6m(25ft) 이상 다른 저장지 역과 이격되어야 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97  (0) 2023.06.18
소방용어96  (0) 2023.06.18
소방용어94  (0) 2023.06.18
소방용어93  (0) 2023.06.18
소방용어92  (0) 2023.06.18

변조 (modulation) 목소리나 기타 정보 등을 무선부호와 조합하는 과정. 변조 방식에는 진폭 변 조(AM)와 주파수 변조(FM)가 있고, 보통 2방향 소방 무전기에서 사용한다.

변태 (transformation) 온도변화에 따라 물질의 원자배열이 달라져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현저히 변화하는 현상. 철은 온도에 따라 A0(약 210℃), A₁(약 726℃), A₂ (약 770℃), A₃(약 910℃), A₄(약 1400℃)의 5가지 변태점이 있다. 별도 유도설비 (separately derived system) 전력을 발전기, 변압기, 변환기로부터 유도하고 접지측 전선을 포함하여 다른 계통의 공급전선과 직접 접속이 없는 구내배선설비.

병렬 통신설비 (parallel telephone system) 각각의 화재 발신기에 대해 개별적으로 배선된 회로를 사용하는 통신장비.

병렬라인 (parallel lines) 參/siamese lines. 병렬운전, 유량운전 (parallel operation) 각각의 임펠러가 공동의 토출구를 통해 방수함으로써 낮은 압력으로도 커다 란 유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원심펌프 운전법. 2대의 원심펌프를 병렬 로 운전할 경우, 1대를 운전할 때와 비교하여 토출압력은 동일하나 토출유량 은 2배가 된다.(同/capacity operation, volume operation) 병용할 수 있는 장치 (compatible equipment) 현장에서 개조 없이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장치.

보강봉, 늑근 (stirrup) 1)사다리 바닥부분에 부착하는 금속. 사다리를 세웠을 때 사다리가 미끄러지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同/heel plate) 2)철근콘크리트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있는 보조철근. 보강재, 미끄럼막이 (cleat) 기구를 보강하기 위해 기구의 몸체에 부착하는 금속조각. 손잡이나 발디딤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나무 또는 금속조각.(同/batten, rung)

보결 소방대원 (substitute) 1)정규 소방대원이 휴가 등으로 자리를 비울 때 그 역할을 대신하는 시간제 소방대원. 2)정규직 임용을 기다리는 견습 소방대원. 보극 (commutating pole) 정류기계의 주자속 중간위치에 설치된 보조자극. 보극의 여자권선에는 부하 전류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르며, 정류를 쉽게 하는 자속을 발생하게 되어 있 다.

보급담당자 (service chief) 화재통제계획서상 필요한 인력, 장비, 보급품 등의 조달, 유지, 배급을 담당하 는 소방간부.

보급책임자 (supply officer) 사고발생시 필요한 보급품 공급과 장비 및 도구 등의 수리업무 등을 담당하 는 소방간부. 보상(범위) (coverage) 보험계약상 보험계약자가 가입한 보험이 담보하는 보상의 한도 및 범위.

보상권선 (c om p ens at ing -fie ld winding) 다른 권선에 의한 기자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소멸하기 위하여 역기자력을 발생하도록 설치된 코일.

보상식열감지기 (combined type heat detector) 정온식(일정 온도에 도달할 때 작동) 열감지기 및 차동식(온도상승률이 일정 치 이상일 때 작동)열감지기의 성능을 겸한 감지기. 열 복합식 감지기라고도 한다.

보스톤식 용마루 지붕 (boston hip roof) 지붕의 추녀마루를 따라 2중 널빤지 또는 2중 슬레이트가 세로로 놓여져 있 는 지붕.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96  (0) 2023.06.18
소방용어95  (0) 2023.06.18
소방용어93  (0) 2023.06.18
소방용어92  (0) 2023.06.18
소방용어90  (0) 2023.06.18

벨크로 (상표명)(Velcro) 1가닥은 작은 훅을 또 1가닥은 작은 루프를 감싸고 있는 2가닥의 나일론 테 이프로 이루어진 잠금장치. 2가닥의 테이프를 함께 누르면 단단히 잠기고, 테 이프 끝을 분리시키면 쉽게 열리는 장치이다.

벽 (wall) 벽돌, 콘크리트, 나무, 기타 이들과 유사한 물질로 만들어진 직립 구조물. 건 물이나 방 등을 다른 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것들 가운데 하나이며, 구획, 분 할, 지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벽난로 (fireplace) 조립식 또는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화실(fire chamber), 벽난로 또는 이와 유 사한 것. 강제배기형과 자연배기형이 있다.

벽난로 (wall furnace) 건물내, 이동주택, 레크리에이션 차량 등에 설치하는 난방기구. 환기구가 설 치된 독립 난방기구이다.

벽돌 보강조 (brick joisted) 일반적인 건축에 사용하는 구조. 벽돌 또는 조적벽, 나무로 된 바닥, 루프 조 이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벽부형 오븐 (wall-mounted oven) 한 개 이상의 가열 부분, 내부 배선, 별도의 제어기기로 구성되고 벽이나 기 타 표면에 설치하기 위한 조리용 오븐.

벽소화전 (wall hydrant) 건물 외벽에 설치된 소화전. 내부 배관으로부터 급수되며 제어밸브는 건물 내부에 위치하고, 건물 외부에서 열쇠로 작동시킨다.

벽체 삽입용 노즐 (wall nozzle) 작은 팁이 달린 봉상주수노즐. 벽과 벽 사이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 기 위하여 그 사잇공간에 삽입, 주수할 때 사용하는 노즐이다.

변류기 (current transformer(CT)) 대전류를 소전류로 바꾸어서 측정할 목적으로 설치한 전류변성장치.

변성알코올 (denatured alcohol) 사람이 섭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알코올로 만들기 위해 피리딘 또는 기타 변성제를 첨가한 알코올. 부동액을 만들 때 사용한다.

변압기 (electric transformer) 입력된 특정 전압의 전기를 다른 전압의 전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비. 변압기 (transformer) 교류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는 장치.

변압기 및/또는 스위치 기어실 (transformer and/or switchgear room) 화재위험이 비교적 적은 전기기기만을 수용하도록 고안된 옥내구획실. 벽, 천 장, 바닥, 문은 불연성 내열재로 건축 또는 표면처리하여야 한다.

변압기유 (transformer oil) 변압기의 코일을 전기 및 열에 대해 절연시켜 주는 액체. 대부분 가연성 액 체이며, 인화점은 121.1~148.9℃(250~300℉). 변위 (displacement) 일반적으로 미크론(㎛) 또는 mil(25.4㎛의 천분의 1)로 표시하는 각 사이클의 피크에서 피크까지 이동거리. 변위는 와전류 프로브와 같은 변위 감지기로 측정한다 변전소 (substation) 전력을 전환하고 개폐하는 변압기 및 스위치기어 장비를 수용하고 있는 곳. 변전소 인입전력은 둘 이상의 전원에서 나오거나, 또는 변전소에서 회로차단 기를 통해 인입전력을 여러 개의 배전회로로 분리시킨다. 인입변압기, 스위치 기어 장비, 배전용 소형 변압기 시설은 통상, 변전소로 간주되지 않는다.

변전실 (transformer vault) 벽, 지붕, 바닥의 내화성능(152mm 또는 6in.두께의 R.C) 3시간, 연결 건물로 이어진 문의 내화성능이 3시간(고정식 소화설비가 설치된 경우는 1시간)이고, 높이 102mm(4in.) 이상인 문틀이나 턱이 있으며, 문에는 잠금장치가 되어 있 고 접근이 제한되며, 변압기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외부 통풍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는 용구의 저장이나 불필요한 파이프, 덕트 등의 설치가 허용되지 않는 실. 보다 세부적인 사항은 NEC 450, part C 참조.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95  (0) 2023.06.18
소방용어94  (0) 2023.06.18
소방용어92  (0) 2023.06.18
소방용어90  (0) 2023.06.18
소방용어89  (1) 2023.06.16

베이스 (base) 1)진화작업, 구조, 보급 등의 역할을 조정하는 곳.(參/fire camp) 2)사다리의 바닥 부분.

베이스 레일 (base rail) 가로대와 보강대가 부착되어 있는 공중사다리의 하단 현재(弦材, 레일). 베이스보드, 굽도리판 (baseboard) 1)회반죽 벽과 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대는 마감재. 2)플로팅 루프 탱크에서, 방출된 포를 가두기 위한 판(포 댐).

베이어닛 노즐, 삽입노즐 (bayonet nozzle) 관창 헤드가 부착된 소형 살수장치. 구획실, 천장, 기타 밀폐된 곳에서 발생 한 소규모 화재를 진화할 때 사용한다.

베이창, 여닫이창 (bay window) 실내공간이 연장된 형태의 창. 건물의 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베이퍼 록 (vapor lock) 연료라인에 증기가 발생하여 엔진으로 흘러가는 연료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 베이퍼 실,

증기밀봉 (vapor seal) 탱크 또는 컨테이너 등으로부터 인화성 증기가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방지해 주는 장비 또는 자재.

베이퍼 플럼 (vapor plume) 굴뚝에서 나오는 연도가스 속에 응축되어 있는 물방울. 눈으로 볼 수 있는 연기.

베타 입자 (beta particle) 방사능 물질이 방출하는 입자. 전자와 동일한 입자이며, 자연계에서 가장 작 은 전하를 갖고 있다. 운동속도는 광속에 가깝다.

베타트론 (betatron) 고에너지의 X선을 만들어 내는 대형 진공전자장치. 비파괴검사용 또는 의료 용으로 사용된다. 벤젠(C6H6) (benzene) 인화성 액체. 인화점 -11℃(12℉), 발화온도 782℃(1,440℉), 폭발범위 1.3~7.1Vol.%. 인체 내로 유입될 경우 위험하다.

벤추리 (venturi) 점점 작아지는 2개의 구역 사이에 짧고 좁은 직관이 있는 배관. 유속을 측정 하기 위해 또는 연료나 포소화약제 등의 액체가 물줄기 속으로 혼합될 때 그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벤추리 호흡기, 벤추리 마스크 (venturi mask) 표준 면체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일정 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안 된 호흡기.

벤치캔 (bench can) 금속부품 등을 안전하게 세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캔의 일종 벤트 노즐, 굽은 노즐 (bent nozzle) 구획실 또는 밀폐된 공간의 주수작업에 알맞도록 휘어진 특수 노즐.(同/bent stream tip)

벤트스택 (vent stack) 탱크내 압력을 정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전장치로서, 1)상압탱 크에서 직사광선에 의한 온도 상승시 탱크내 가스를 자동적으로 대기로 방출 하여 내압 상승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거나, 2)액체 저장탱크의 내압 상승 시 압력상승을 예방하기 위한 부분에 수봉(water sealed)된 설비를 직접 부착 한 설비와 가스 홀더에 설치되어 물을 봉인하는 것 등이 있다.

벤티드 파이어 (vented fire) 창문을 깨뜨리거나 벽 또는 지붕을 뚫고 연소하면서 열기와 연기를 방출하 고, 동시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화재.

벨 (bell) 속이 비어 있고 금속으로 제조된 원추형 경보장치. 소방차가 경보신호를 발 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벨 인크리져 (bell increaser) 크기가 다른 두 기구를 이어 주는 벨 모양의 커플링 벨로스 (bellows) 기기의 일부가 유연성, 밀봉성 등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이음부. 주름 상 자 모양의 이음부로서 신축성이 좋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94  (0) 2023.06.18
소방용어93  (0) 2023.06.18
소방용어90  (0) 2023.06.18
소방용어89  (1) 2023.06.16
소방용어88  (0) 2023.06.16

백스텝, 뒷발판 (back step) 소방차 후미에 설치된 발판. 소방대원들이 승차하기도 하며, 호스를 끌어내리 기 위해 딛고 올라서기도 하는 부분이다.(同/rear step, 參/tailboard)

백액 (white liquor) 알칼리법 증해의 폐액 중의 약품회수공정에서 녹액을 가성화하여 얻는 투명 한 알칼리액. 백액은 증해공정으로 재순환된다.

백열, 작열 (incandescence) 열기로 인해 발생하는 광휘.

백열성 (incandescent) 백열과 함께 빛이나 광휘를 발하는 성질.

백엽상, 온도계 수납장 (thermoscreen) 參/instrument shelter.

백킹 (backing)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연소해 가는 화재.(參/back burn, backfire)

백팩 (back pack) 1)보통, 15~30m(50~100ft) 길이의 호스 다발. 스탠드파이프에 연결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노즐과 관부속이 구비되어 있다. 고층빌딩의 경우, 소방대원 이 직접 운반한다. 2)배낭형 소화기. 3)등에 짊어지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장비.

밸브 (valve) 물질이 흘러가는 통로에 설치된 유량조절장치. 액체, 공기, 가스 등의 흐름을 조절한다.

밸브 오폐쇄(誤閉鎖)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소화설비의 제어밸브가 작동자의 부주 의 등으로 인해 폐쇄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발생한 화재를 '스프 링클러설비 제어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발생한 화재'(shut-valve fire)라 하 며, 이는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가 커지게 되는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이다.(參/shut-valve fire)

밸브 폐쇄시 화재 (shut-valve fire) 스프링클러설비 제어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발생한 화재.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면서도 화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요인이 되므로, 제 어밸브를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參 /improperly closed valve)

뱀프 (vamp) 1)의용소방대원. 2)소방업무와 관련된 사회적 활동을 담당하는 소방대원.

뱃밥, 아우컴 (oakum) 삼, 파인타르 및 광유의 혼합물. 누수방지용 코킹으로 사용되며, 연소할 때에 는 짙은 연기를 발생한다.

뱅어사다리 (bangor ladder)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주대를 부착한 확장사다리.(參/tormentor pole)

뱅크 (bank) 여러 개의 동일한 장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것. 버기 (buggy) 1)소방서장용 자동차를 가리키는 속칭. 2)소방대원 수송차. 3)가솔린 또는 기타 인화성 액체를 수송하기 위해 특수 바퀴를 장착한 탱크.

버섯 모양 연소 (mushrooming) 건물 내에서 화재가 수평으로 확산되어 가는 현상. 환기가 신속하고 적절하 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발생한다.

버스덕트 (bus duct) 띠 모양의 구리 또는 알루미늄 모선을 지지하는, 옥내 배선용 관로 버스바 (bus-bar) 둘 이상의 전기회로를 접속시켜 주는 짧은 전도체. 동대, 알루미늄 등이 사용 된다.(參/bus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93  (0) 2023.06.18
소방용어92  (0) 2023.06.18
소방용어89  (1) 2023.06.16
소방용어88  (0) 2023.06.16
소방용어87  (0) 2023.06.16

배연샤프트 (smoke shaft) 건물의 지층에서 옥상까지 관통하고 있는 샤프트. 각 층마다 개구부가 있고 옥상에는 환기팬이 설치되어 있다. 화재시 발화층의 댐퍼가 개방되면 환기팬 이 작동하여 연소생성물을 배출한다.

배연설비 (smoke exhaust system) 옥내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를 옥외로 배출하기 위한 설비.(同/smoke venting system)

배연탑 (smoke exhaust tower)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하는 연기배출용 탑.

배의 경사각 (heel angle) 배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선과 수면에 수직인 선과의 교차각도.

배의 전도각 (survival angle) 가상적 손상을 입은 후 안정성 측면에서 배가 허용하는 최대 경사각.

배전반 (switchboard) 패널 앞면이나 뒷면, 또는 양면 모두에 계기, 스위치, 퓨즈, 버스 등의 장치를 수용하고 있는 하나의 단일 슬라브로 조립된 패널 또는 패널그룹. 일반적으 로, 캐비닛에는 배전반을 설치하지 않고, 전후방 어느 쪽에서나 접근 가능한 개방 프레임상에 설치한다.

배출기, 이덕터 (eductor) 1)포나 웨팅 에이전트를 혼합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호스라인에 설치하는 장 치. 2)배출기를 통과하는 물의 속도에 의해 소화약제를 빨아들이는 배출기.(參 /siphon, suction booster)

배출기, 익죠스터 (exhauster)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건식밸브 2차측 배관 내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 는 장치.

배치 (arrangement) 공장 등에서 기계, 설비 등이 사용목적에 따라 그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배치 및 배열하는 것.

배치 (straight lay) 소화전이나 급수원으로부터 화재현장으로 호스를 배치하는 것.(參/forward lay, hydrant-to-fire lay, reverse lay)

배치 (pay out) 호스나 로프, 전기선 등을 호스함, 로프릴, 코일 등에서 풀어내어 배치하는 것.

배치 프로세스 (batch process) 일련의 공정처리가 동일한 장소에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 는 프로세스

배치도 (site plan) 일정 면적 내의 건축물의 위치 및 점유 부분, 부속건물의 위치, 방위, 형상, 통로, 건축선 등을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

배터리 리밋 (battery limits) 화학공장 등에서 유닛을 둘러싸고 있는 외각의 가상선. 즉, 구역화된 단위공 정의 경계선을 말한다.

백 필터 (bag filter) 가스를 포대(bag) 등으로 통과시켜 사이클론 집진기로는 포집되지 않는 미세 한 먼지까지 포집하는 장치.(參/cyclone, dust collector)

백드래프트 (backdraft) 고온의 가스가 폭발하거나 또는 급속하게 연소하는 현상. 적절한 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화재로 인해 산소가 고갈된 건물 안으로 외부의 산소가 유입될 경우 발생한다.(參/hot air explosion, smoke explosion)

백드레프트 (backdraft) 고온의 가스가 폭발하거나 또는 급속하게 연소하는 현상. 적절한 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화재로 인해 산소가 고갈된 건물 안으로 외부의 산소가 유입될 경우 발생한다.

백린 (white phosphorus) 왁스와 비슷한 반투명 고체 형태의 인 원소. 30℃(86℉)의 대기 중에서 자연 발화하며, 인체 내로 흡수될 경우 매우 강한 독성을 띤다.(同/yellow phosphorus, 參/phosphorus)

백수 (white water) 쇄목기, 초지기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 함유되어 있는 섬유, 충전제 등으로 인하여 백색으로 보인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92  (0) 2023.06.18
소방용어90  (0) 2023.06.18
소방용어88  (0) 2023.06.16
소방용어87  (0) 2023.06.16
소방용어86  (0) 2023.06.16

배낭식 탱크 (knapsack tank)(英) 소형 발포기에 포소화약제를 공급하는 15ℓ(4gal) 정도의 소형 휴대용 배낭식 탱크.

배낭형 소화기 (back pack pump tank) 보통, 소규모 덤불화재 진화시 사용하는 소화기의 일종. 20ℓ(5gal) 들이 물통 과 짧은 호스, 펌프 및 노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同/Indian Pump, 參 /pump tank)

배리스터 (varister) 저항값이 전압에 의해 비직선적으로 변화되는 성질이 있는 반도체소자. 저항 은 전압이나 온도가 상승하면 감소한다.

배브콕 보일러 (babcock and Wilcox boiler) 수관보일러의 일종. 하나의 동체와 다수의 수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열면이 크고 물의 순환이 양호하므로 증기 발생 속도가 빠르다.

배브콕 소화기 ( 상 품 명 ) ( b a b c o c k extinguisher) 중탄산나트륨(NaHCO₃)수용액과 황산이 들어 있는 휴대용 소화기의 일종. 압력원은 구성성분 사이의 화학반응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통해 얻는다. (參/self generating extinguishers)

배선로 (electrical raceways) 전기배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선관, 덕트, 트레이, 몰드 등의 총칭.

배선로 (wireways) 완전한 계통으로 설치한 후 전선을 수납하고, 전선과 케이블의 보호 및 수납 용 덮개나 경첩이 있는 금속판 트로프.

배수 (drop water) 구조작업시 마루에 구멍을 뚫어 불필요한 물을 제거하는 것.

배수구 (drain) 불필요한 물이나 액체 등을 배출하는 채널 또는 배관.(參/scupper)

배수구 (scupper) 1)바닥에 위치한 배수구. 2)바닥면보다 약간 높은 벽에 마련된 배수용 개구부. 호스 주수나 스프링클러 헤드 살수로 인한 손실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배수로 (waterway) 호스나 펌프 등의 장비에서 물이 흘러가는 내부 통로. 배수밸브 (ball drip) 주로, 연결송수구의 접속배관에 설치하는 볼 모양의 배수밸브.

배수용 밸브 (dump valve) 덕트나 용기 등의 바닥에 고여 있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밸브.

배수하다 (dewater) 화재나 홍수 뒤에 남겨진 물을 옥외로 배출시키다.

배압(背壓) (back pressure) 1)정압수두에서 측정한 압력. 2)수압, 공기압, 증기압 등의 계통에서 배기측이나 압력 작동면 또는 그 반대 측면에 작용하는 압력.(同/head, static head)

배연구 (heat vent) 參/smoke vent. 배연구 (smoke vent) 지붕에 설치하는 면적1.5 9.2㎡(16 100ft²)의 개구부. 경금속 구조물로서 화재 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댐퍼가 장치되어 있다

배연기 (forced air blower) 參/smoke ejector.

배연대원 (vent man) 건물내 환기의 필요성 여부를 결정하고, 또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환기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소방대원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90  (0) 2023.06.18
소방용어89  (1) 2023.06.16
소방용어87  (0) 2023.06.16
소방용어86  (0) 2023.06.16
소방용어85  (0) 2023.06.16

방화조치 (stopping) 參/firestopping.

방화조치, 화재차단 (firestopping) 구조물내 은폐된 공간을 폐쇄하여 벽이나 천장을 통한 화재의 확산을 원천적 으로 봉쇄하는 것.(同/stopping)

방화지구 (fire protection district) 시골 또는 도시교외의 공공 소방지구. 인접한 소방서에 일정한 금액을 지급 하고 방화활동을 위임하거나 또는 자체 소방서를 운영하기도 한다.

방화지도 (fire protection map) 방화구역 내에서 일정 지점까지의 이동거리를 표시한 지도.

방화창 (fire window) 화재의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창문으로서 시험을 거쳐 승인된 것.

방화추정 (suspicious fire) 방화로 짐작되는 원인미상의 화재.

방화추정화재 (touch-off) 방화범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화재.(同/arson, firesetting, set fire)

방화커튼 (fire curtain) 극장의 무대와 객석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벽 기능을 수행하는 내화커튼.(參 /draft curtain)

방화커튼 (safety curtain) 參/fire curtain.

방화피복 (bunker clothing) 야간에 접수된 화재경보에 대응하여 출동할 때 소방대원들이 착용하는 부츠, 방수바지, 코트 등.(同/turnout clothes, 參/night hitch)

방화피복 (night hitch) 야간에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소방대원의 침대 근처에 놓여 있는 방화 피복.(同/quick hitch, drops, 參/bunker clothing)

방화핸드북(도서명) (fire Protection Handbook) 사실상 방화활동의 모든 것을 취급하고 있는 포괄적인 참고서. 1935년부터 NFPA에서 발간하고 있다.

방화호(구) (fire trench) 연소저지선의 하나로 땅에 파놓은 구덩이.

배관스케줄 (pipe schedule)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단위. 같은 호칭경이라도 스케줄이 큰 것이 두껍다.

배관스케줄설계방식 (pipe schedule system) 용도분류에 의해 결정되는 스케줄로 배관구경을 선정한 스프링클러설비. 지 정된 크기의 배관에 정해진 개수의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

배관행거 (pipe hanger) 배관을 천장 등에 설치할 때, 천장에서 아래쪽으로 배관을 매달기 위해 사용 하는 금속.

배기 (exhaust air) 증기기관, 내연기관, 증기터빈, 가스터빈 등에서 팽창을 끝내고 배출되는 증 기 또는 가스.

배기가스 (exhaust gases) 어떤 물질이 연소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증기.

배기덕트 (exhaust duct) 건물 내에서 사용된 공기가 팬룸이나 재활용 기계실 등으로 흘러 갈 수 있도 록 그 통로 역할을 하는 배관.

배기밸브 (exhaust valve) 계통의 공기 및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배기구에 부착하는 밸브.

배기프라이머 (exhaust primer) 이젝터 벤추리를 통해 진공이 형성될 정도의 속도로 펌프를 구동시키는 내연 기관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우회시켜 펌프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프라이밍 장치.(參/prime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9  (1) 2023.06.16
소방용어88  (0) 2023.06.16
소방용어86  (0) 2023.06.16
소방용어85  (0) 2023.06.16
소방용어84  (0) 2023.06.16

방화문 (rated fire door) 건물의 연소 및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문. 갑종(내화성능 60분) 과 을종(내화성능 20분) 방화문이 있으며, 열기로 인해 변형되거나 파괴되지 않는다.

방화문 조립품 (fire door assembly) 개구부를 방호하는 방화문, 문틀, 철물, 기타 부속품들이 조합된 것.

방화방지법 (Model Arson Law) {북미소방관협회}(Fire Marshal's Association of North America)에서 권장하 는 방화(放火) 관련 기본 준칙. 미국의 대다수 주에서 법률로 채택하고 있다

방화범(放火犯), 방화광 (放火狂)(firebug) 1)방화범. 2)불 구경을 유별나게 좋아하기는 하지만, 고의로 불을 지르고 다니지는 않는 사람. 3)불 지르기를 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

방화범 (arsonist) 방화에 해당하는 범죄를 저지른 자. 방화벽, 방화내력벽 (fire wall) 1)벽돌이나 R.C.(철근콘크리트) 등으로 축조한 벽체. 하나의 건물을 분할하거 나 둘 이상의 건물을 분리시켜 화재의 확산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지붕 이 내화재 또는 준내화재로 되어 있지 않은 건물에서 방화벽은 건물의 기 저부로부터 전층을 거쳐 지붕 위까지 연장되는데, 이 경우 벽체는 지붕판의 밑면에 단단히 지지된다. 2)적절한 내화성능을 갖춘 벽체로, 건물을 구획하여 화재의 확산을 제한해준 다. 방화복 (fire coat) 소방대원용 보호의복.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D고리형 잠금장치가 부착 되어 있고, 방습막이라 불리는 방수형 내화재를 안감으로 사용한다.(同 /turnout coat)

방화복장 (drops) 방화복에 고무 부츠를 착용한 복장.(參/bunker clothing, night hitch, turnout, quick hitch)

방화선 전진법 (move-up method) 參/progressive method.

방화설비, 소방시설 (fire protection system) 화재의 감지, 제어, 진화를 목적으로 하는 화재경보장치나 설비, 소화장치나 설비, 또는 이러한 장치나 설비들이 조합된 것.

방화성능 (fire protection rating) 參/fire endurance rating.

방화셔터 (fire shutter) 외벽에 설치된 창문 등의 개구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조립품으로써 인증기관의 승인을 획득한 것.

방화수조 (cistern) 일반적으로, 지하에 설치하는 소방용 물탱크.

방화엔지니어, 소방설비 기사 (fire protection engineer) 1)일정한 훈련 또는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로서 방화활동과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에 정통한 엔지니어. 2){방화엔지니어회}(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의 회원. 방화장벽 (barrier) 1)화재의 확산을 차단해 주는 방화설비. 특히 방화벽, 방연칸막이, 자동방화문 등을 말한다. 2)전기회로 또는 아크 발생부에서 절연이나 격리효과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 배리어라고도 한다

방화장벽, 배리어 (barrier) 1)화재의 확산을 차단해 주는 방화설비. 특히 방화벽, 방연칸막이, 자동방화문 등을 말한다.(同/cut-off) 2)전기회로 또는 아크 발생부에 절연이나 격리를 목적으로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8  (0) 2023.06.16
소방용어87  (0) 2023.06.16
소방용어85  (0) 2023.06.16
소방용어84  (0) 2023.06.16
소방용어83  (0) 2023.06.16

방화구역 (separate fire division) 모든 화재가 하나의 방화구획된 구역에서 다른 방화구획된 구역으로 확대되 지 않도록 방화벽, 방화문 및 이와 동등한 방법으로 건물의 다른 모든 부분 과 구획하거나 연소확대방지를 위한 이격거리를 확보한 건물의 일부분.(參 /fire separation, separation)

방화구역, 화재인접구역 (fire area) 1)모든 개구부가 방화문, 방화창문, 기타 유사한 등급의 내화성능을 갖춘 장 치에 의해 방호되는 건물의 한 구역.(同/fire cut, fire zone) 2)건물내 화재층과 인접한 일정 구역

방화구획 (compartmentation) 건물을 구획하여 비상시 각각의 구획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최초 발화구역 이상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시켜 주는 건물 설계의 일종. 고층건물, 의료시설 등에서 일반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방화구획 (Fire separation)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 1,000㎡를 넘는 것에 소정의 규정에 따라 내화구조의 바닥, 벽 및 갑종 방화문 또는 기 준에 적합한 자동방화 셔터, 방화 댐퍼에 의한 방화용 구획

방화구획 (subdivision) 방화구획을 위한 벽, 방화벽, 방화문 등에 의한 구획.

방화구획, 분리 (fire separation) 1)화재의 확산을 저지 및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벽으로 승인된 정도의 내화성 능을 충족시키는 바닥 또는 벽. 2)창고의 물품과 물품 사이, 건물과 건물 사이 또는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이나 복도로서 연소저지선 및 진화작업 수행 공간으로 기능 할 수 있는 곳.(參/separation)

방화구획실 (fire compartment) 건물 내에 직상층 바닥과 해당 층의 바닥을 포함하여 모든 벽이 내화벽으로 둘러싸인 건물 내의 공간. 방화담요, 소화담요 (fire blanket) 불연성 또는 화염 발생을 억제하는 물질로 만든 담요. 화재를 질식시켜 소화 하는 데 사용한다.(同/smothering blanket)

방화대 (firebreak) 1)화재의 확산을 차단하거나 진화 작업을 개시할 수 있는 연소저지선 역할을 하는 자연적, 인공적 방화선.(同/fire lane) 2)대화재로 확산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낡고 오래된 건물들을 고의적으로 파괴한 도시지역.

방화대 (fuel break) 일정 면적 내의 식물을 완전 제거하거나 또는 불에 잘 타지 않는 식물로 대 체하여 그 곳으로 화재가 번질 경우 보다 쉽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성한 넓고 긴 지역.(參/fire break)

방화대 통로 (fire aisle) 저장시설 중간에 있는 통로. 방화대 역할을 한다.

방화댐퍼 (fire damper) 덕트설비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차단시켜 열기의 이동 을 제한하도록 설계된 장치.

방화등지 (grading schedule) 특정 지역의 방화설비를 평가할 때 보험 언더라이터들이 사용하는 평가기준. 가연물의 종류, 총인구, 급수원, 화재발생빈도, 기후조건, 통계학적.지리학적 요인들, 소방서 평가(수행 가능한 소방활동) 등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방화모 기장 (helmet shield) 소방대원용 헬멧 앞부분에 부착하는 명판. 소속 소방서 및 소방대, 계급, 그 리고 간혹 일련번호까지도 기록한다.(同/hat front, hat shield)

방화문 (fire door) 수직 또는 수평 개구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화재의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문 으로서 시험을 거쳐 승인된 것.(參/automatic fire doo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7  (0) 2023.06.16
소방용어86  (0) 2023.06.16
소방용어84  (0) 2023.06.16
소방용어83  (0) 2023.06.16
소방용어82  (0) 2023.06.16

방호설비 (protective system) 압력용기의 릴리프밸브와 같이 사고의 발생을 완화하거나 방지하는 설비.

방호하의 (turnout pants) 소방대원용 방수, 방염 하의. 대원들이 출동할 때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다. (同/drops)

방화(放火) (arson) 자신의 소유를 포함한 주거지, 건물, 구조물, 기타 자산 등에 의도적으로 불 을 지르는 범죄행위. 발화원인이 의심스럽거나 밝혀지지 않은 화재는 그 원 인이 명확히 판명될 때까지 방화로 간주하지 않는다.

방화 (arson) 자택 또는 타인의 주택, 빌딩, 구조물 또는 그 외의 물품을 의도적으로 연소 시키는 범죄. 'fire setting, incendiarbism'라고도 한다.

방화 (protection) 일정 지역을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취하는 모든 활동.

방화(放火)증거, 물증 (corpus delicti) 불법행위의 요체. 방화(放火)에서 화재의 동기 및 원인을 증명하는 증거. 방화 캐노피 (fire canopy) 벽체의 외부 모서리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한 캐노피. 내화재로 만들며, 캐노 피 밑에 위치한 창문을 통해 빠져나온 화염이 캐노피 위에 위치한 건물 부분 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參/eyebrow)

방화, 방화범, 방화도구 (incendiary) 1)고의적인 방화로 여겨지는 화재. 2)방화범. 3)고의적인 방화에 사용되었거나 또는 방화와 관련된 장비.(參/arson, firebug, fire raiser)

방화, 소방설비 (fire protection) 1)일반적인 의미로, 공공기구 또는 민간단체들을 통해 화재예방 및 소방활동 을 수행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감소시키려는 노력. 2)구체적으로는, 특정 화재를 제어 또는 진화하기 위해 동원된 장비, 방법 등.

방화경계선 (protection boundary) 특정 소방기관이 담당하는 방화구역의 경계선.

방화계획도 (survey map) 사전 방화계획 수립시 작성하는 지도. 어떤 시설 또는 지역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들, 즉 접근지점, 계단, 벽체, 건축구조 및 그 수용물 등을 수록한 지도.

방화관, 소방감독관 (fire warden) 1)화재예방간부 2)일정한 화재예방 및 방화활동 임무를 부여받은 민간 방화대.(參/fire cooperator) 3)산림방화간부.

방화관리자 (fire protection manager) 소방법상의 특수장소인 소방 대상물에서 방화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 소방법에서 정하는 일정한 자격여건을 구비하고 특수장소에 대한 소방계획의 작성, 자위소방대의 조직, 소화, 통보,피난 등의 훈련 및 교육, 소방시설 그 밖의 소방관련시설의 유지관리, 화기취급의 감독, 그 밖의 방화관리상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소방법 제9조 및 동법시행령 제6조 참조)

방화광 (pyromaniac) 파괴적인 화재를 일으키고자 하는 강력한 욕구를 지속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자.

방화구 (gutter trench) 1)임야화재 아래 부분의 경사면에 만든 트렌치. 연소물질이나 위에서 굴러 내 려온 것들을 가두어두는 곳. 2)언더컷 라인의 일부.(參/undercut line)

방화구 (undercut line) 화재가 발생한 언덕의 경사면 등지에 구덩이를 파서 숯덩이 등의 잔화를 잡 아 둘 수 있도록 만든 연소저지선.(同/underslung line, 參/gutter trench

방화구(underslung line) 參/undercut line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6  (0) 2023.06.16
소방용어85  (0) 2023.06.16
소방용어83  (0) 2023.06.16
소방용어82  (0) 2023.06.16
소방용어81  (2) 2023.06.16

방출장치 (discharge device) 스프링클러헤드, 분무노즐, 호스노즐 등과 같이 물이나 포수용액을 특정 형태 로 방출하는 장치.

방파판 (swash partition) 물탱크 내부에 설치하는 차폐판. 소방차가 이동할 때 물의 출렁거림을 방지 하기 위한 것이다.(同/baffle)

방폭구조 (explosion proof) 용기 내부의 특정 가스나 증기의 폭발에 견딜 수 있고 스파크 등으로 인한 가스나 증기의 발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용기 외부의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수용하고 있는 증기나 가스로 인해 주변의 인화성 분위기가 발화하 지 않도록 고안된 구조.

방폭기구 ( e x p l o s i o n p r o o f apparatus) 케이스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정 가스나 증기의 폭발에 견딜 수 있고 내 부 가스와 증기의 폭발, 스파크, 불꽃에 의해 함 주위의 특정 가스나 증기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고, 주변의 인화성 분위기를 발화시키지 않고 외부온도 에서 동작하는 케이스 안에 밀폐된 기구.

방폭전기설비 (electrical installations of explosionproof) 폭발성 분위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전기기기 및 관련 배선, 전선관, 금속부품.

방폭형 전동기 (explosionproof motor) 전동기 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특정 가스 및 증기의 폭발에 견디고 전동기 내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특정 가스 및 증기의 스파크, 섬광에 의해 전동기 주변의 특정 가스 및 증기의 점화를 방지하고 전폐형 전동기 내부에서 발생 된 특정 가스 및 증기의 폭발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 외함이 있는 전동기.

방향족 (aromatic(arene)) 6개의 탄소원자가 고리형 분자구조를 이루는 유기화합물. 주로 석유 및 콜타 르에서 추출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벤젠이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 (aromatic hydrocarbons) 1개 이상의 연결고리(benzoid ring), 즉 6개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고리를 포함하고 있는 탄화수소. 벤젠, 나프탈렌, 톨루엔, 스틸렌 등.

방호개구부 (protected opening) 벽 또는 칸막이 등에 위치한 개구부. 방화문이나 방화창문, 방화셔터 등이 설 치되어 있다.

방호구역 (protected area) 감시장치, 소화설비 등으로 감시되거나, 소화범위에 포함된 영역.(同 /protected premises)

방호구역, 밀폐공간, 외 함 (enclosure) 1)화재를 제어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동안 방호대상물에 미분무수 등 소화약 제의 농도를 유지시키는 케이스, 외함, 칸막이 또는 벽. 2)제한된 또는 부분적으로 제한된 공간. 예를 들면, 실, 건물, 용기, 사일로, 저장통, 배관,덕트 등이 있다. 3)사람이 충전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물리적인 파손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설비 방호된 (guarded) 위험 부분에 근로자나 물질의 접촉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덮고, 차폐하고, 장벽, 레일, 스크린, 매트, 플랫포옴으로 둘러싸는 것.

방호복 (protective clothing) 열기, 연기, 독성가스, 기타 위험한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해 주는 피복으 로서 코트, 부츠, 헬멧, 장갑 등을 모두 포함한 것.(同/protective equipment)

방호복 (turnouts) 소방대원용 방수, 방염 상.하의.(同/bunker clothes, drops, quick hitch)

방호상의 (turnout coat) 소방대원용 방수, 방염 상의. 대원들이 출동할 때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다. (參/fire coat)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5  (0) 2023.06.16
소방용어84  (0) 2023.06.16
소방용어82  (0) 2023.06.16
소방용어81  (2) 2023.06.16
소방용어80  (0) 2023.06.13

방염 (Flame resistence) 외부의 불꽃을 제거하면 연소가 확대되지 않고 불꽃이 없어지도록 약제 처리 된 물질이나 물체의 표면 상태 방염도료 (fire-retardant paint) 가연물이 발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페인트 또는 매스틱(유향수지).

방염성 (flame resistant) 외부의 화염 공급원이 제거되면 더이상 화염을 전파하지 않는 물질이나 표면 의 상태.(參/flame retardant)

방염성 (flame retardant) 參/flame resistant.

방염제 ( f i r e - r e t a r d a n t chemicals) 목재나 텍스타일 등의 가연성 물질에 주입하여 그 물질의 가연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화학물질.(同/fire retardants)

방염제 (flame retarding agent) 어떤 물질의 구성성분 또는 코팅제로 사용되어 그 물질의 인화점을 높이고 부분적인 내화성을 제공하는 물질.

방염코팅 (fire-retardant coating) 가연물의 표면에 덧칠하여 화염의 확산을 저지하거나 그 속도를 지연시키는 것.

방위(方位) (azimuth) 한 지점에서 바라보는 방향. 정북(正北)에서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그 각도 를 측정한다.

방유제 (artificial barricade) 위험물 옥외 탱크 저장소의 주위에 기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공적으 로 설치하는 철근 콘크리트나 흙으로 조성된 뚝.

방유제 (dy(i)ke) 기름탱크가 흘러 넘쳐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탱크 주위에 설 치하는 흙 또는 콘크리트 벽. 방음재 (acoustical tile) 소리를 흡수하는 성능이 있는 내장재.

방임연소 (free burning) 1)무제한의 연소. 2)자연적인 방화선이나 진화 인력의 제지 없이 연소를 지속하는 임야화재.

방재설비, 방화대책, 소 화설비 (physical protection) 同/safeguard, fire protection system.

방재센터 (building safety center) 대규모 건물에서 건물 내에 설치된 각종 자동 소화설비의 수신이나 감시제어 및 외부 소방관과의 연락 등을 일괄 처리하는 각종 설비나 장비가 비치되어 있고 이러한 설비를 항상 감시하는 인원이 상주하고 있는 장소

방재센터 (central administration room) 빌딩 관리에 필요한 설비(방재설비, 방범설비, 전기설비, 상하수도설비, 공조 설비, 가스설비 등)를 총괄적으로 감시 및 제어하는 곳.

방재센터 (fire command center) 감지상태, 경보발신상태 및 제어설비의 상태가 표시되는 장소. 수동으로 설비 를 제어할 수 있는 유인 또는 무인 시설이 위치한다.

방적 (spinning) 섬유원료로부터 실을 만드는 공정.

방적형(防滴形) 전동기 (dripproof motor) 액체나 고체가 수평면에서 수직방향으로 0∼15도의 각도로 외함에 충돌하거 나 침입해도 작동되고, 환기구가 있는 개방형 전동기.

방출계수 (discharge coefficient) 오리피스나 배관에서 방출되는 액체가 갖는 이론적 유량에 대한 실제 유량의 비.

방출다기관 (discharge manifold) 방수 경로를 분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4  (0) 2023.06.16
소방용어83  (0) 2023.06.16
소방용어81  (2) 2023.06.16
소방용어80  (0) 2023.06.13
소방용어79  (0) 2023.06.12

방어선 설정 책임자 (line locator) 구역책임자에게 현장의 방어선 구축 위치를 확인해 주어야 할 책임이 있는 자. 방어선 인근 소각 (line firing) 연소저지선과 인접한 곳에 위치한 가연물만을 소각하기 위해 일으킨 불.(參 /strip firing)

방어선 점검자 (line inspector) 연소저지선을 점검하여 방어선 지휘자에게 그 효율성과 적합성을 확인해 주 어야 할 책임이 있는 자.

방어선 지휘자 (line boss) 화재현장 지휘관으로부터 하달된 임야화재 진화작업을 수행할 책임이 있는 자.

방어진화 (defensive fire fighting) 화재발생 지역내의 화재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는데 만 국한되는 화재진압방법

방연계단, 통신센터, 급 수 소방차, 화재감시망 루 (fire tower) 1)열, 연기, 가스 등이 건물내로 침투하는 것을 저지 또는 억제하기 위해 설 치한 방연계단. 2)소방대 훈련탑. 3)소방서 통신센터. 4)급수탑을 탑재하고 있는 소방차 또는 급수탑으로 사용되는 고가사다리차. 5)산불 감시탑.(參/smokeproof tower)

방연구획실 (smoke compartment) 직상층 바닥과 해당 층의 바닥을 포함하여 모든 벽이 방연벽으로 둘러싸인 공간.

방연댐퍼 (smoke damper) 덕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연기의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연기감지기에 의해 자동 폐쇄된다.

방연문 (smoke control door) 연기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된 문.(同/smoke stop door)

방연문 (smoke prevention door)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건물내 복도나 계단 등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문.

방연벽 (curtain board) 고온가스와 연기를 가두었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천장으로부터 위험 지역의 바닥까지 커튼 모양으로 늘어뜨린 금속 등의 불연재로 만든 벽.(同 /draft curtain)

방연벽 (smoke barrier)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일반적으로, 천장에 매단다.(同/draft curtain, draft stop)

방연칸막이 (smoke partition) 건물을 여러 부분으로 구획하여 화재시 연기의 확산을 차단하도록 설계된 격 벽.

방연커튼 (draft curtain) 계단실의 천장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드리워진 불연성 커튼. 화재를 차단 하거나 또는 그 확산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한다.(同/curtain board, fire curtain, 參/draft stop)

방연타워 (smokeproof tower) 연기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방호구역. 화재나 연기로부터 계단 을 보호해 준다.(同/smoke tower, tower, 參/fire tower)

방열복 (approach clothing) 위험물 화재, 항공기 화재, 대규모 화재 등 복사열리 강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열에 대한 반사, 단열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된 방화피복으로 일반적 으로 표면에 열반사성이 좋은 알루미늄 층이 있고 중간층 및 안감은 단열성, 방수효과가 있으며 소재자체는 어느 정도 내열성을 가지고 있다. 방열모, 상 의, 하의 , 장갑, 장화가 한 조로 이루어지며 표지는 내열성섬유(프리카본섬유 와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한 것과 석면포를 사용한 것 등이 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3  (0) 2023.06.16
소방용어82  (0) 2023.06.16
소방용어80  (0) 2023.06.13
소방용어79  (0) 2023.06.12
소방용어78  (1) 2023.06.12

방수대원 (pipeman) 參/nozzleman.

방수량 (applied fire flow) 실제 화재에 방수되는 물의 최대량을 분당 수량으로 표시한 것. 동시에 여러 관창이나 분사헤드로부터 방사되는 물 또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등의 소화설 비로부터 살수되는 물량의 합계.

방수량 (applied fire flow) 화재현장에서 실제로 방출된 최대 방수량 또는 최고 방수율. 단위lpm. 소방 호스의 총방수량과 자동스프링클러헤드 및 기타 소화설비에서 방출된 방수량 을 합한 량이다.(參/fire flow)

방수량 (output)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압력으로 소방펌프차가 방수한 물의 양.

방수량 (discharge rate) 주어진 시간 동안 호스라인이나 펌프로부터 방출된 물의 양. 보통, 분당 갤런 (gpm) 또는 분당 리터(lpm)로 표시한다. 방수량 가변특성 ( c o n s t a n t / s e l e c t gallonage feature) 지정된 유량을 토출하기 위해 현장에서 오리피스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의 특성. 봉상주수로부터 광범위한 무상주수까지의 선택을 통해 방수량 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방수모 (fire helmet) 화재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낙하물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도록 착용하는 헬멧 방수복 (night hitch) 화재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사용하는 피복으로 야간에도 대원들의 침대 옆에 두고 출동시에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게 준비해 두어야 하는데서 유래된 용 어. 'Quick hitch', drops'라고도 한다. 방수성 (watertight) 물이 침투할 수 없는 성질.

방수원 (hoseman) 호스라인 담당 소방대원.

방수원 (nozzleman) 관창수. 소방호스의 관창을 조작하여 화재현장에서 물이나 기타의 소화약제 를 방사하여 화재진압활동을 하는 소방대원. 'pipeman'이라고도 한다

방수장치 (multiversal) 參/deluge. 방수제 (waterproofing agent) 어떤 물질에 사용하여 그 물질에 물이 침투할 수 없는 막이 형성되도록 해주 는 약제 방수총 (deck gun) 소방차에 영구 장착된 대용량 터렛 노즐 또는 모니터 노즐. 보통, 펌프에 연 결해서 사용한다.( 방수총 (truck pipe) 參/wagon battery, ladder pipe.

방수총 (turret nozzle) 대량주수용 노즐.(參/turret pipe)

방수총 (deck gun) 소방차에 영구 장착된 대용량 터렛 노즐 또는 모니터 노즐. 보통, 펌프에 연 결해서 사용한다.(同/deck pipe, 參/master stream, monitor nozzle, turret nozzle)

방수포 (turret nozzle) 소방펌프차의 상단에 고정된 대량방수와 원거리까지의 방수를 위한 방수 장 비로 방수압력이 높기 때문에 분리해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차량이나 트레일 러에 고정시켜서만 사용할 수 있다. 방어구역(sector), 관할구 역, 방호구획 1. 산림화재나 기타 화재현장에서 1인의 단위 지휘관 아래서 작전이 전개되 고 있는 화재구역의 단위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2  (0) 2023.06.16
소방용어81  (2) 2023.06.16
소방용어79  (0) 2023.06.12
소방용어78  (1) 2023.06.12
소방용어77  (0) 2023.06.12

방사고온계 (radiation pyrometer) 고온의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열방사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보 통,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의 초점을 열전대, 서모파일 등의 검출기에 맞춘다.

방사능 경고표지 (radiation warning symbol) 방사능 물질이 존재하거나 잠재적인 방사능 위험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표지.

방사능병 (radiation sickness) 의료용, 산업용, 군사용 등의 방사선 기기로부터 방출된 과도한 방사선에 노 출될 경우 발생하는 병. 그 정도가 약할 경우에는 식욕감퇴, 구토, 현기증, 백 혈구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백혈구가 완전히 파 괴되어 신체의 면역력이 감퇴하게 된다. 또한 새로 만들어지는 적혈구 역시 감소하여 빈혈 등의 원인이 되거나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同 /radiation illness)

방사선 감지기 (radiation detector) 이온화 방사선을 감지 및 측정하는 전자장치.

방사선 흡수량 (radiation absorbed dose(rad)) 이온화 방사선으로부터 흡수된 방사선의 양. 1g당 100erg의 에너지와 동일한 값이다.(參/roentgen)

방사선장치 (radiation machine) X선 장치나 입자가속기 등 이온화 방사성(radioactive) 알파, 베타, 감마입자를 방출하는 물질.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장치,

방사성 (radioactive) 알파, 베타, 감마입자를 방출하는 물질. 방사성 물질 용기 (coffin) 방사성 물질의 해상 수송용 컨테이너.(參/pig)

방사율 (emissivity) 같은 온도에서 흑체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와 물체의 표면에 의해 방출되는 복사에너지의 비.

방수(사)량 (rate of application) 일정 시간, 일정 면적당 방출되는 양.(同/discharge rate)

방수 (Appiy water) 화재부위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관창(노즐)을 이용하여 물을 뿌리는 작 업 방수거리 (horizontal reach) 관창(노즐)에서 방사되는 물을 지면을 따라 측정한 거리 값

방수거리 (horizontal reach) 노즐에서 분출된 물줄기가 다다를 수 있는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 방수구 (Outlet) 1. 소방 펌프차나 소화설비의 물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수구 2. 플러그를 꽂아서 전류를 사용하기 위한 비상 콘센트 설비 등의 콘센트 3. 건물 내에서 옥외로 나갈 수 있는 출구

방수구, 아웃렛 (outlet) 1)소방펌프차의 방수구. 2)전기배선상의 한 지점으로서 플러그를 꽂아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지점.

방수대원 (nozzleman) 소방호스 노즐 담당 소방대원.(同/pipeman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81  (2) 2023.06.16
소방용어80  (0) 2023.06.13
소방용어78  (1) 2023.06.12
소방용어77  (0) 2023.06.12
소방용어76  (1) 2023.06.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