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간동자, 밸러스터(baluster) 
층계의 난간 등을 지지하는 기둥 모양의 지지대.

난류화염(turbulent flame) 
난류를 타고 확산되는 화염.

난류화염속도(turbulent-flame velocity) 
난류화염의 확산속도.

난연재료(incombustible materials)
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건축재료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국립건설시험소장이 품질시험을 실시하여 그 성능이 확인되고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자가 행하는 품질검사에 합격된 것을 말한다.

난연재료, 난연성의, 방염(fire retardant)
화재의 확산을 저지하거나 그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처리를 거친 표면 또는 구조. 내화성이 있는 것보다는 실질적으로 내화성능이 떨어진다.(參/fireendurance rating, fire rating, fire resistance, fire resistance rating, fire
resistant)


난연처리제, 방염제(retardant) 
가연물의 인화성을 감소시켜 주는 물질.

난청지역(shadow area) 
무선통신이 곤란하거나 또는 거의 불가능한 통신 사각지대.

날개벽, 종단벽(endwall)
건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한 폭이 좁은 벽체. 대부분의 날개벽은 창이나 출입구 등의 옆에 설치되어, 건물에서 돌출된 짧은 담과 같은 역할을 한다.(同/wingwall, 參/extension wall)

날실(warp thread) 
직물로 짜여진 호스에서 세로 방향으로 들어간 실.(參/weft thread)

납땜(brazing)
융점이 낮은 합금을 녹여서 접합시키는 방법. 접합부의 본 바탕은 녹지 않는다. 납땜과 은납을 이용하는 경납땜이 있다.(同/soldering)

납작머리 도끼(flat head axe)
대장간용 큰 망치 또는 이와 비슷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납작머리 도끼.(同/floor axe)

납작머리 도끼(floor axe) 參/flat head axe.

내경(inside diameter) 
호스 등과 같은 원형물체의 내부 직경

내구성(endurance)
지정된 특성을 유지하고 보통 조작을 반복하여 사용하는데 견딜 수 있는 성능. 일반적으로 반복되는 횟수 또는 조립품, 구조물 등이 특정 온도에서 본래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나타낸다.

내근대원(house man)
1)소방서 내근 대원.
2)소방대가 출동한 후 소방서에 잔류하면서 화재경보접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대원. 전소방대원들이 교대로 맡는다.

내닫이창(jut window) 參/bay window.
내닫이창, 퇴창(oriel window)
건물의 주벽체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브래킷이나 코르벨(corbel) 등으로 지지되고 있는 창.(同/bay window)

내력벽(bearing wall) 
바닥, 보 등 구조적 하중을 지탱하는 벽

내력벽(load bearing wall) 
구조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벽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40  (0) 2023.06.06
소방용어39  (0) 2023.06.06
소방용어37  (0) 2023.06.06
소방용어36  (0) 2023.06.06
소방용어35  (0) 2023.06.06

나사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산과 골이 있는 커플링.(參/National Standard Thread)

나사 개스킷(thread gasket)
수나사와 암나사 연결부 사이의 방수형 밀봉(watertight seal)을 위해 암나사 연결부 내에서 사용되는 개스킷.(參/tail gasket)


나사 커플링 또는 어댑터 (screw thread coupling or adapter)
나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커플링 또는 어댑터


나선형 보강재(spiral reinforcement)
개별 층 사이에 겹쳐 짜인 것이 전혀 없이 나선형으로 직조된 쌍으로 구성된 호스 보강재. 각 쌍의 직조층은 반대 방향에서 나선형으로 직조되며, 고무층은 각 쌍의 나선형층으로 분리된다.

나이젤의 식(Neisel's formula)
기둥, 바닥, 구획실, 벽 등의 내화성능 시험을 통해 개발한 여러 가지 실험식 가운데 하나. 비중이 작은 재료와 관련된 식이다.


나프타(naphtha)
1)인화점 -49.4℃(-57℉), 발화온도 287.8℃(550℉), 폭발범위 1~6Vol.%인 특
정 석유제품 및 천연가스 액상제품을 지칭하는 용어.(同/petroleum ether)
2)짙은 적색 또는 진호박색의 액체로, 크실렌과 크실렌 계열의 다른 화학물질
들이 혼합된 혼합물이다. 인화점 37.8℃(100℉).

나프타, 납사(naphtha)
1)인화점 -49.4℃(-57℉), 발화온도 287.8℃(550℉), 폭발범위 1~6Vol.%인 특정 석유제품 및 천연가스 액상제품을 지칭하는 용어.(同/petroleum ether)
2)짙은 적색 또는 진호박색의 액체로, 크실렌과 크실렌 계열의 다른 화학물질들이 혼합된 혼합물이다. 인화점 37.8℃(100℉).(同/high flash naphtha)

나프탈렌(C10H8)(naphthalene)
좀약 냄새가 나는 흰색의 결정질 탄화수소. 콜타르나 석유 유분에서 추출한다. 인화점 78.9℃(174℉), 발화온도 526.1℃(979℉), 연소범위 0.9~5.9Vol.%

낙뢰(lightning) 
구름과 구름 사이, 또는 구름과 대지 사이의 대기에서 발생하는 방전.

낙뢰빈도등급(lightning activity level)
일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낙뢰의 상대적 빈도수와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 1에서 5까지의 등급으로 분류한다

낙뢰서지(lightning surge) 
낙뢰로 인해 전기회로에 발생한 일시적인 전기 장애.

낙뢰화재(lightning fire)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낙뢰에 의해 발생한 화재.

낙엽화재(duff fire)
보통 표면화재로 인해 시작된다. 불씨가 숲바닥에 축적된 나뭇잎 등의 속으로 침투하여, 연소는 느리게 진행되지만 광범위한 훈소화재를 지속할 수 있다.

낙하연소(Falldown)
이미 진행중인 화재로부터 떨어져 내린 불씨나 연소물 등으로 인해 발화되어 연소하는 것.

낙하지점(jump spot) 
임야화재 진화시 소방대원들이 헬기 등에서 뛰어내리는 목표지점.

난간(balustrade) 
난간 꼭대기에 연속되어 있는 난간동자들의 줄.

난간(railing) 
계단이나 플랫폼 등의 측면에 세워진 난간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9  (0) 2023.06.06
소방용어38  (1) 2023.06.06
소방용어36  (0) 2023.06.06
소방용어35  (0) 2023.06.06
소방용어34  (0) 2023.06.06

꺾임지붕(gambrel roof)
지붕의 아래 절반부분은 급경사면으로 모임지붕이고, 위 절반부분은 보다 완만한 경사의 박공지붕으로 되어 있는 이중경사 지붕.


꼬임(kink)
1)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호스를 여러 번 비트는 것.
2)호스의 우발적인 비틀림.

꽃불(fireworks) 
소음 또는 섬광을 일으키는 가연성 및 폭발성 장치. 불꽃놀이에 사용.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8  (1) 2023.06.06
소방용어37  (0) 2023.06.06
소방용어35  (0) 2023.06.06
소방용어34  (0) 2023.06.06
소방용어33  (0) 2023.06.06

기준방수량(standard fire stream)
노즐방수량 15.8ℓ/sec(250gpm)으로, 약 3.5 ㎏/㎠ (50psi)의 압력에서 28.6mm(1⅛in.) 노즐을 통해 방출된 수량이다.(同/standard hose stream, [참고]/fire stream, hose stream)


기중(氣中) 개폐기(air break switch) 
공기 중에서 정격전류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


기지국(base station) 
현장에 파견된 소방대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중앙본부.(同/base)

기타재해출동(special attendance) 
화재사고 이외의 사고출동.

기포펌프, 에어 리프트 펌프(air lift pump)
장치의 바닥 부분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액체를 송출하는 장치. 액체는 기포가 팽창함에 따라 밀려 방출된다.

기포형 부취제(bubble type-odor additive)
바이패스 가스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하는 액체 부취제. 바이패스에 설치된 밸브로 조절한다.

기폭제(blasting agent)
특정 물질, 또는 연료와 산화제로 이루어진 혼합물. 폭발을 목적으로 하지만 폭발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기폭제(initiating explosives)
신관, 뇌관 등에 들어 있는 폭약. 화염, 열, 충격, 마찰 등에 매우 민감하다.
아지드화납, 아세틸화은, 뇌산수은, 디아조디니트로페놀, 니트로소구아니딘, 스티프네이트 납,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니트레이트 등.

기폭제(priming composition)
충격이나 진동에 민감한 혼합물. 폭발을 일으킨 이후에는 스스로 신속하게 연소해 가는 성질이 있다. 고성능 폭발물, 흑색화약 등의 기폭제로 사용된다.

기화기(vaporizer)
액체 상태의 LP가스에 충분한 열을 가하여 기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컨테이너 이외의 장치.

긴급 중환자 치료차량(mobile intensive carevehicle)
사고현장에서 그리고 수송도중에 병자나 부상자에게 필요한 응급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간 및 장비, 통신시설 등을 구비하고 있는 차량.

긴급구조
재난이 발생할 우려가 현저하거나 재난이 발생한 때에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의 보호를 위하여 제6호의 규정에 의한 긴급구조기관과 제7호의 규정에 의한 긴급구조지원기관이 행하는 인명구조 응급처치 그 밖의 필요한 모든 긴
급한 조치


긴급구조기관
긴급구조에 필요한 인력과 시설 장비를 갖춘 기관 또는 단체로서 대통령령이정하는 기관 및 단체


긴급의료원(paramedic) 
의사를 보조하여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된 자.

긴급정지(scram) 
원자로를 긴급하게 정지시키는 것. 일반적으로, 안전봉을 삽입하여 정지시킨다.

긴급차단밸브(emergency shut-off valve)
위험물 수송배관에 설치하는 유출 방지용 밸브. 작동 방식에 따라, 압력식,과류(過流)식, 열감지식 등으로 구분한다. 가연성 배관이 건물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보통 열감지식 차단밸브를 설치한다.(同/safety shut-off valve)
깃, 날개, 날(blade) 
펌프, 수차, 증기터빈, 압축기, 송풍기 등에 사용되는 날개의 총칭.

까뀌(adz(e)) 
손잡이에서 직각으로 칼날이 서 있는 절단용 도구

꺾은계단(return-type stair)
전통적인 계단의 형태. 한 층에서 다음 층으로 이동할 때 그 거리의 반에 해당하는 계단을 오른 다음 방향을 바꾸어 다시 남아 있는 거리만큼의 계단을 올라가도록 되어 있는 계단이다.(同/dog-leg stai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7  (0) 2023.06.06
소방용어36  (0) 2023.06.06
소방용어34  (0) 2023.06.06
소방용어33  (0) 2023.06.06
소방용어32  (0) 2023.06.06

기밀(air tight)
가스나 공기가 기계, 장치, 용기 등의 일부분을 통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

기밀성(gastight)
가스용 벤트 또는 배관을 통과하지 않고서는 가스나 공기가 구조물로 들어가거나 나올 수 없는 것.

기밀시험(pressure retention test) 
용기 등의 기밀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同/airtightness test)

기본 사건(basic event)
결함수분석(fault tree analysis)에서 더 이상 확대되지 않는 최소단위의 사건 (예, 장치 고장, 인간실수, 외부사건 등)

기본 연소속도(fundamental burning velocity)
미연소가스의 특정 조성, 온도 및 압력조건에서 층류 화염의 연소속도.


기상상태(state of weather)
{미국화재위험등급체계}(National Fire Danger Rating System) 코드. 구름의 양, 강우의 종류 및/또는 화재감시탑에서 측정한 시계제한, 일조량의 변화로 인한 가연물내 함수율의 변동여부 등 "10일간의 화재위험기후 기록서식
"(10-day Fire Danger Weather Record Foam)에 필요한 기재사항을 측정하는 코드.

기술사(professional engineer(PE))
특정 분야에 필요한 교육 및 경험을 쌓고 그 분야의 기술을 발휘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고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자.

기 압 계 , 바 로 미 터(barometer) 
1)대기압 측정용 계기. 2)지표(指標), 지침(指針)

기어 펌프(gear pump) [참고]/pump.

기업휴지(business interruption(BI))
고장이나 손상으로 인하여 장치를 운전정지시킬 때부터 정상적인 운전상태로 복구될 때까지 기업운영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기저부(base section)
확장사다리의 가장 첫 번째 또는 바닥 부분. 사다리를 세웠을 때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同/bed ladder)

기저부
(main section) 확장사다리의 바닥 부분.(同/bed section)

기저속도(base speed) 
가변속도 전동기에서, 정격전압 및 정격부하에 대한 최저 정격속도.

기전력, 전동력(electromotive force(e.m.f.))
전위가 다른 2 사이에서는 전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전기를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힘을 기전력이라 한다.

기점(基點)(anchor oint)
1)연소저지선을 구축하기 시작한 지점. 도로, 구덩이, V자형의 긴 골과 같은 자연 방호물을 말한다.
2)노즐을 조종하는 사람을 보조하기 위해 소방호스를 붙들고 있던 소방대원이 호스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지점.

기준 관찰시간(base observation time) 
임야화재의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한 관찰에 소요된 시간.

기준 연료 모델(base fuel model)
특정 지역의 대표적인 연료 형태를 나타낸 것. 그 지역의 임야화재 위험도를 계산할 때 사용한다.

기준, 표준(standard)
건축구조나 방화설비 등에 관한 요구사항, 규정 등을 명시하고 있는 문서.([참고]/fire code)

기준구역(base area)
특정 임야화재 지역에서 소방대가 직면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지역의 기준이 되는 구역. 기준 연료모델과 경사도를 통해, 소방대가 직면할 수 있는 화재 위험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6  (0) 2023.06.06
소방용어35  (0) 2023.06.06
소방용어33  (0) 2023.06.06
소방용어32  (0) 2023.06.06
소방용어31  (1) 2023.06.06

급수펌프(feed water pump) 
보일러나 물탱크 등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펌프.

급수헤드(delivery head) 
동시에 여러 개의 호스로 물을 공급하는 관부속.([참고]/collecting head)

급수호스 어댑터(delivery hose adapter)[참고]/adapter.
기계식 사이렌(mechanical siren) 
전자 사이렌과 비교하여, 전동기로 작동하는 사이렌.

기계식환기장치, 강제환기장치(mechanical ventilationdevice)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통풍팬을 설치하여 환기시키는 장치.

기계포(mechanical foam)
저팽창 단백포 또는 몇 가지 합성물질로 만들어진 소화용 기계포나 공기포.특수 노즐을 통해 방사되는 소화약제이며, 수용액의 농도는 3%와 6%가 있다.

기구, 장비, 가전제품(appliance)
1)보통, 소방차에 탑재되는 여러 가지 도구나 장치.
2)가스나 전기를 사용하여 조명, 난방, 전력공급, 냉방 등에 이용하는 비산업용 장치. 예를 들면, 세탁기, 믹서기, 헤어 드라이어 등.

기기(equipment)
전기시설의 일부이거나 전기시설과 접속하는 피팅, 장치, 전기기구, 조명기구등을 포함한 일반적인 용어.

기기용 접지선(equipment grounding conductor)
기기, 배선관, 기타 함의 비통전 금속부분과 설비의 접지측 전선 또는 인입장치, 별도 유도전원의 접지전극용 전선에 접속하기 위한 전선.


기능행위(skill based action)
머리 속에 기억된 행동에 의해 지배되는 다소 잠재 의식적인 행위. 예를 들면 숙련된 운전자에 의한 비상조치의 시행 또는 기계공에 의한 수동공구의사용이 이에 해당된다.

기동 (작동)시키다(actuate) 
경보설비 또는 소화설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다.

기동 소방대(flying squad)
화재경보에 가장 신속하게 대응하여 출동하는 소방대. 정규 소방대의 진화작업을 지원하기도 한다.([참고]/tactical squad)

기동장치(initiating device)
연기감지기, 수동발신기, 감시스위치 등과 같이 상태변화를 전송하는 설비의구성요소.

기둥(column) 
하중을 받는 수직 구조부재.

기둥, 지주, 필라(pillar) 
1)수직 내력기둥. 2)(英) 도로 화재경보기.

기력상실(overcome)
화재로 인해 기력을 상실한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 연기가 주원인이다.([참고]/smoke inhalation)

기류(air currents) 
기계적 작용, 열반응, 또는 자연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이동.

기름 담금질 탱크, 오일퀜칭 탱크(oil quenching tanks)
37.8℃(100℉)까지 가열시킨 기름탱크. 고온 금속의 담금질용으로 사용한다.
담금질 작업중 발생한 화재는 진화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기름제거, 탈지(degrease)
열처리 또는 화학적.전기적 처리를 통해서 그리스나 기름, 기타 지방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5  (0) 2023.06.06
소방용어34  (0) 2023.06.06
소방용어32  (0) 2023.06.06
소방용어31  (1) 2023.06.06
소방용어30  (0) 2023.06.06

금속화재(metal fire)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금속분말이 연소하는 화재. 보통, D급 화재로 분류한다.


금속화재 소화기(dry powder extinguisher) 
금속화재용 분말약제를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소화기.

금속화재용 분말약제(dry powder)
가연성 금속 화재시 사용하는 분말 또는 과립형 소화약제.([참고]/dry chemical)


금속화재용 소화약제(dry compound extinguishing agent)
마그네슘, 알루미늄,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화재 소화용 소화약제.


금수성 물질(water reactive chemicals) 
물과 접촉할 경우 격렬하게 반응하는 알칼리금속 등의 물질.

급기저항(intake depression) 
공조기의 급기측에서 발생하는 저항.

급속개방장치( q u i c k - o p e n i n g device(QOD))
스프링클러설비의 건식밸브 클래퍼를 신속하게 개방하고 밸브 2차측의 가압 공기를 배출시켜, 가압수가 헤드를 통해 빠르게 방사될 수 있도록 해주는 보조기구.([참고]/accelerator, exhauster)


급속단로장치( q u i c k - d i s c o n n e c t device)
여러 가지 장비들을 연결하고 분리시킬 때 사용하는 수동장치. 자동 또는 수동 차단장치.

급수-펌프차(tanker-pumper) 
최소 용량 31.5ℓ/sec(500gpm) 이상의 펌프를 장착한 급수차.

급수담당관(water supply officer)
특정 진화작업에 필요한 급수 관련 업무를 책임지고 있는 소방간부. 펌프차가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소화전으로의 펌프차 배치, 물탱크차의 운용 및 펌프차 중계송수 등을 포함한 보조급수 설비의 지휘 등을 담당한다.

급수라인(feeder line)
1)급수원과 화재현장 근처의 펌프차량을 연결하는 호스.
2)급수호스.


급수라인(supply line)
1)Y자형 호스라인에 물을 공급해 주는 호스라인.
2)펌프 흡입부로 물을 공급해 주는 호스라인.

급수본관(water main) 
그보다 작은 배관으로 물을 공급해 주는 대구경 배관 또는 도수관.

급수원(water supply point) 
진화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을 수용하고 있는 수원.

급수차(nurse tanker)
대용량 급수차. 화재 현장에 출동한 하나 이상의 소방펌프차나 물탱크 소방차에 물을 공급해 주고 이동식 수조로도 사용하는 차량.


급수차 출동(tanker call)
화재시 현장 주변에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충분하지 않을 때 급수차를 요청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청에 의해 급수차가 출동할 경우를 말한다.(同/tanker force)

급수차, 유조차, 탱커(tanker)
1)화재현장으로 물을 수송할 때 사용하는 소방차. 보통 3.785kl(1,000gal) 이상의 물을 수송하며, 펌프가 장착되어 있다.(同/tank apparatus, tank truck,water tank, [참고]/air tanker)
2)인화성 액체 수송차량.

급수차량 지휘자(tanker boss) 
화재시 3~5대의 급수차를 지휘하는 소방간부.(同/tanker manager)

급수탑차(water tower truck) [참고]/water towe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4  (0) 2023.06.06
소방용어33  (0) 2023.06.06
소방용어31  (1) 2023.06.06
소방용어30  (0) 2023.06.06
소방용어29  (0) 2023.06.06

근접진화(proximately fire fighting)
항공기 화재, 다량의 인화성 액체 및 가스화재와 같은 매우 높은 수준의 대류, 전도, 복사열을 만들어 내는 화재를 포함한 사고에 있어서의 구조, 진화,재산보존의 활동을 포함한 특수화된 진화작업.극도로 높은 수준의 복사열에의 노출로부터의 특수한 열 보호뿐만 아니라 전도, 대류 열로부터의 열 보호와 화염이 발생하지 않는 곳으로 직접 진입을 통해 실시되는 이러한 작업이 화재로부터 가까이 있거나, 작업의 범위에 따라 작업에 관련된 사람에게 꼭 필요하다.

글래스 벌브 스프링클러 헤드(bulb type sprinkler)
유리용기 속에 밀봉된 액체와 작은 기포 모양의 열감지장치가 열을 받게 되면 유리용기 속의 액체가 팽창하면서 용기가 파열, 살수되는 스프링클러헤드.온도급별은 밀봉된 액체의 색깔에 의해 표시된다.


글래스-벌브 스프링클러 헤드( f r a n g i b l e - b u l b sprinkler)
일정한 양의 액체와 기포가 채워진 특수 유리로 만든 작은 구체가 달려 있는자동스프링클러헤드. 열기에 의해 액체가 팽창하면서 기포를 흡수하게 되고,이후 기포가 사라지자마자 급속하게 상승한 압력으로 인해 구체가 파괴되고 밸브 캡이 개방된다. 액체의 양과 기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작동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同/glass bulb type, [참고]/nonsolder sprinkler)

글랜드(gland)
순환 또는 왕복 샤프트의 결합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하는 연성 패킹.

글로브 박스(glove box)
위험물을 수용하고 있는 밀봉된 사각형 박스. 작업자는 박스 외부에 부착된 글로브와 박스의 개구부를 통해서 위험물을 취급할 수 있음.

글로브 밸브(globe valve) 
스크류와 수동핸들로 작동하는 활판이 원형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

글리세롤(glycerol) [참고]/glycerin.

글 리 세 린 ( H O C H ₂ CHOHCH₂OH) (glycerine)
무색무취의 투명하고 달콤한 맛이 나는 끈적끈적한 액체. 저독성, 저가연성. 인화점 170℃(320℉), 발화점 370℃(698℉).(同/glycerol, glycyl alcohol,1,2,3-propanetrio)

글리실 알코올(glycyl alcohol) [참고]/glycerin.

글리콜(glycol) [참고]/ethylene glycol.

금속(metal)
그 화합물이 용해될 때 양이온을 생성하는 원소. 또 금속원소의 산화물이 물과 반응했을 때에는 산을 생성하기보다는 수산화물을 생성한다. 금속원소의 약 75%는 금속으로서, 대부분 금속광택이 나는 결정형 고체이고 전도성이 있
으며 화학 반응성 또한 매우 크다.

금속구조물(metal-framed structure)
전기적으로 연속성 있는 금속자재로 피뢰도선의 전기 통로와 동등한 도전경로를 확보한 구조물.

금속라스(metal lath) 
회반죽이 떨어지지 않고 벽에 붙어 있도록 지지해 주는 철망.

금속외장(metal-clad structure) 
구조물외벽이나 지붕 등이 금속으로 덧씌워진 구조물.

금속외장 방화문(metal-clad fire door)
문 목재의 핵심부위가 금속으로 덧씌워져 있거나 또는 문틀, 레일, 단열처리 패널 등이 24게이지 이하의 강철판으로 덧씌워진 문.(同/kalamein)

금속화재(metal fire)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의 금속분말이 연소하는 화재. 보통, D급 화재로 분류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3  (0) 2023.06.06
소방용어32  (0) 2023.06.06
소방용어30  (0) 2023.06.06
소방용어29  (0) 2023.06.06
소방용어28  (0) 2023.06.06

그라운드 모니터(ground monitor)
여러 개의 쌍구형 송수구가 장착된 장비. 소방호스와 노즐의 안정장치로 기능하여 보조 인력 없이도 대량 주수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장비이다.(同/portable director, [참고]/monitor)


그라운드 잭(ground jack)
고가사다리차에 부착되어 사다리를 작동할 때 요동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해주는 무거운 기계장치.

그라운드 케틀(ground kettle)
타르, 아스팔트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의 가열에 사용하는 바퀴가 있거나 없는 컨테이너.

그라운드 플레이트, 상판(ground plate)
두께 12.7mm(½in.) 이상의 금속판.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아웃리거 잭 밑에 설치한다. 무르거나 불안정한 지면에 설치하여, 공중 소방장비나 유압 기중기 소방차를 사용할 때 안정성을 제공한다.

그래스 라인(grass line)(英) 
야자껍질 섬유로 만든 로프. 부력이 있어 물에 가라앉지 않는다.

그레이드(grade)
도로설계에 사용되는 각도 단위로 길이에 대한 높이의 변화 비율을 표시. 45도 경사는 100% 그레이드와 같다

그레인 알코올(grain alcohol)
[참고]/ethyl alcohol.

그롬메트, 쇠고리(grommet) 
구조용 덮개의 작은 구멍에 끼우는 금속고리.

그루터기(stub) 
높이 6.1m(20ft) 미만의 고사목.([참고]/snag)

그룹, 단(group) 
동일한 내용의 업무를 수행하는 소방대 대원들.

그룹화재(group fire)
단일 블록이나 구역에서 하나 이상의 건물이 화재에 관련된 대규모 화재. 발화된 블록 또는 구역 이상으로 화재가 확산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대화재와구분된다.([참고]/conflagration)

그물식 탐색(gridiron)
일정 지역을 평행선 또는 격자 모양으로 구분한 후 체계적인 수색을 통해 작은 불이나 화재의 증거를 탐색하는 것.

그을음(scorch) 
과도한 열기로 인해 어떤 물질이 (갈색이나 검정색으로) 변색되는 것.

그을음선(scorchline) 
화재로 인해 말라 비틀어졌거나 변색된 군엽(群葉)의 평균 높이.

극장 경계임무(theater detail) 
극장 공연에 배치된 소방대원 또는 화재예방업무 종사원.

극초단파(ultrahigh frequency(UHF)) 
300~3,000㎒ 사이의 무선주파수.

극한 강도(ultimate strength)
재료가 인장, 압축, 전단에서 견딜 수 있으며, 극한 부하, 초기 또는 무제한 크기를 기초로 산출되는 각각의 최대인장, 최대압력 또는 최대전단력.

근무교대(standing in) 同/trades.

근접방열복(proximately clothing) 
전도, 대류 및 복사열로부터 보호되도록 디자인된 열을 반사하는 방열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2  (0) 2023.06.06
소방용어31  (1) 2023.06.06
소방용어29  (0) 2023.06.06
소방용어28  (0) 2023.06.06
소방용어27  (0) 2023.06.06

구조작업(salvage operations)
화재 등의 긴급사태시 또는 그 후에 화재, 연기, 물, 기타 위험노출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취하는 조치.(同/salvage, [참고]/salvage company, salvage cover)


구조작업용 깔판(floor runners)
보통, 가로 91㎝ (3 ft), 세로 5.46m(18 ft) 정도의 중질 플라스틱이나 캔바스.
바닥 위에 설치하며, 구조작업중 잔해나 물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양탄자를 깔아놓는다.

구조차(salvage tender) 구조장비를 운반하는 차량.

구조차량(rescue apparatus) 
구조작업용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同/rescue truck)

구타페르카(gutta-percha)
말레이시아 상록수에서 추출한 거친 플라스틱 물질. 고무와 유사하지만 고무보다 수지 함유량이 더 많고, 절연체로 사용한다.

구형 스프링클러헤드(old-style sprinkler)
총수량의 40∼60%를 초기에 아래 방향으로 살수하며, 상향형 또는 하향형 디플렉터를 설치하도록 설계된 스프링클러헤드.(同/conventional sprinkler)


구호 우선 순위(triage) 
치료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환자 및 부상자를 분류하는 것.

구획된 연단(enclosed platform)
강당이나 집회실 등에서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곳. 그 천장은 앞무대로 부터 1.5m(5ft)를 넘지 않는다. 공연, 집회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구획벽(enclosure wall)
계단실, 엘리베이터 샤프트, 덕트 공간, 기타 한 층을 통과하는 수직 개구부를 에워싸고 있는 건물내 내력벽 또는 비내력벽.

구획실(compartment) 
벽과 천장으로 완전히 둘러싸인 공간.

구획저장(cut-off storage)
동일한 건물이나 옥내에 칸막이 또는 벽으로 구획하여 혼합해서 저장할 수없는 물질을 저장하는 것.

국소방출방식(local application system)
화재발생위험이 높은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방사하도록 소화설비를 설치하는방식. 가스 또는 분말소화설비의 약제 방출 방식이다.(同/local discharge system, [참고]/total flooding system)

국제단위계(International System Units(SI))
1960년 {질량 및 부피에 관한 제11차 국제총회}에서 채택된 국제 공용의 단위체계. 미터법과 유사하다.

굴뚝화재용 봉(chimney rods) 
굴뚝화재를 진화할 때 휴대용 펌프의 노즐을 굴뚝 안으로 확장시켜 주는 봉.

굴절식 붐(articulating boom)
확장과 수축모드가 너클 이음쇠의 각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2 이상의 접는 붐으로 구성된 공중장치.

굽도리판(foam dam)
플로팅 루프 탱크의 상부 포방출구에서 방출된 포를 가둬두기 위해 설치한격벽.

권장방수량(recommended fire flow)
일정 구역이나 지역에 필요할 것으로 산정된 권장방수량. 예전에는 인구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나, 요즈음에는 관련 지역의 상대적인 화재위험도를 기준으로 산정한다.(同/required fire flow, [참고]/fire flow)

규소(Si)(silicon) 
비금속 원소. 분말 형태에서는 인화성이 있다.

규칙행위(rule based action)
기억된 또는 문서화된 규칙에 따른 사람의 행위. 예를 들면, 펌프를 수리하기 위해서 보수매뉴얼을 사용하는 것 또는 계기를 보정하기 위해서 문서화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드 바(grid bar) 
혼타면기에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바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1  (1) 2023.06.06
소방용어30  (0) 2023.06.06
소방용어28  (0) 2023.06.06
소방용어27  (0) 2023.06.06
소방용어26  (1) 2023.06.06

구스넥(gooseneck)
1)인화성 액체 용기의 배기관 끝에 설치된, 끝부분이 휘어진 배관.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2)건물의 최상층 피난 발코니에서 화재 피난 사다리를 펼쳤을 때 건물 너머로까지 펼쳐지는 피난 사다리의 부분.(同/gooseneck ladder)
3)초기의 휴대용 펌프를 지칭하는 용어. 펌프 최상부에 장착된 방출관의 모양이 거위의 목처럼 생긴 것에서 유래.
4)휴대용 플레이파이프의 초기 형태.
5)(英) 댐 충수용 분기관 대신에 사용하는 U자형 관부속.


구스넥사다리(gooseneck ladder) [참고]/gooseneck

구아 고무(guar gum)
시아노피스 테트라고노로바(Cyanopis tetragonoloba) 나무의 씨앗에서 추출한 수용성 점액. 금속과 접촉하는 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소방호스노즐의 내부를 코팅하는 데 사용한다.

구역 배수구(sectional drain)
설비의 일부 구역만 배수하는 제어밸브에 설치된 배수구. 즉, 고층건물에 있는 유수검지장치용 제어밸브 위에 설치된 배수구.


구역 스프링클러설비(zones system)
건물 전체를 하나의 통합된 단위로 묶어서 제어하는 스프링클러설비와 비교하여, 건물내 각 구역을 독립된 밸브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스프링클러설비.


구역 책임자(sector boss) 
임야화재 1구역 내에서의 진화작업을 책임지고 있는 소방간부.

구역제어밸브(sectional control valve) 
루프식 소화전에서, 소화배관을 블록화 하기 위해 설치한 밸브

구조대(life chute) 
피난기구의 일종. 고층건물 화재시 사용하는 원통형의 미끄럼대.

구조대(rescue squad) 
전문적인 구조작업을 위해 조직된 집단.(同/rescue company)

구조대(salvage company)
1)구조작업을 주업무로 하는 소방서의 한 조직.
2)보험회사가 운영하는 구조대.(同/insurance patrol, salvage corps, [참고]/salvage cover, salvage operations)

구조대(slide escape)
건물 또는 항공기 등에서 사람들을 대피시킬 때 사용하는 활강장치.(同/chute)

구조물(structure)
특정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수많은 재료들을 조립하여 건립한 건축물.([참고]/air supported structure)

구조물 화재(structure fire)
구조물의 내부, 상부, 하부 등 어떤 형태로든 구조물과 접촉한 채 연소를 지속하는 화재.

구조삼각건(rescue sling)
로프나 망을 매듭지어 부상당한 사람을 안전한 장소로 내릴 수 있도록 해주는 슬링.

구조수송(rescue carry) 
부상당했거나 의식불명인 사람을 안전하게 수송하는 방법.

구조용 기계톱(상표명)(partner rescue saw) 
환기 및 구조작업용 원형 기계톱.(同/K-12)

구조용 덮개(salvage cover)
타르 칠을 한 두꺼운 면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방수천. 화재시나 화재를 진화한 뒤에 물건 등을 덮어 물이나 연기, 약한 열기로 인해 물건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가장자리를 따라 고리가 만들어져 있어 벽 등에 못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30  (0) 2023.06.06
소방용어29  (0) 2023.06.06
소방용어27  (0) 2023.06.06
소방용어26  (1) 2023.06.06
소방용어25  (0) 2023.06.04

교류(alternating current(AC))
일정한 간격으로 신속하게 전류의 극성이 바뀌는 전류. 북미 지역에서는 60Hz/sec, 유럽 지역에서는 50Hz/sec이다.

교류발전기(alternator) 
교류를 생산하는 발전기. 저속에서도 축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교반식 반응기(stirred reactor)
소량 생산에서 중규모 생산량에 걸쳐 온도, 압력면에서 넓은 범위로 조작되어 회분 및 연속 방식에 불문하고 사용 가능한 반응기. 형태는 원통형 용기가 일반적이며, 수직형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수평형은 슬러리를 처리한다던 가 증기나 가스 흡수를 위해 액면을 크게 할 경우에 사용된다.


교신(signaling) 
손, 목소리, 무선 등을 이용한 통신.

교정(校正), 눈금 보정(calibration)
1)기존의 눈금에 대해 계측기를 보정하는 것. 새로운 기준을 사용하여 측정기의 눈금을 정할 때는 눈금 결정이라 한다.
2)전압이나 전류, 주파수 등의 경우 표준기기, 표준시료 등을 이용하여 계측기의 측정값과 그 참값과의 관계를 구하는 것.

교정시설(penal occupancies) 
교도소, 소년원 등 사람을 구속하여 수감하는 시설.(同/correctional facilities)

교차등(intersection light)
긴급차량의 앞쪽 낮은 측면에 위치한 비상경보등. 긴급차량이 교차로에 진입함을 조기에 경고하며, 차량의 측면에서 최대수직조명으로 조사한다.

교차배관(cross main) 
스프링클러헤드가 부착되는 가지배관(branch line)에 급수하는 배관.

구강 대 구강 인공호흡법( m o u t h - t o - m o u t h resuscitation)
숨을 쉬지 못하는 부상자의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부상자를 소생시키는 행위.(同/mouth-to-outh ventil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구강 대 비강 인공호흡법( m o u t h - t o - n o s e ventilation)
구강 대 구강 인공호흡법을 실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실시하는 인공호흡법.
숨을 쉬지 못하는 부상자의 코로 공기를 불어넣어 부상자를 소생시키는 행위.

구급수송기(air emergency ambulance) 
긴급수송용 고정익 또는 헬리콥터형 항공기.

구내 배선(계통)(premises wiring(system))
가공인입선의 말단부하 또는 지중인입선의 말단부하에서 아웃렛까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설치된 모든 관련 금구, 피팅, 배선장치와 함께 신호회로, 동력, 전등, 제어회로를 포함한 옥내외배선. 구내배선은 전기기구, 조명기구, 전동기 제어기, 전동제어장치, 이와 유사한 기기의 내부배선을 포함하지 않는다.

구리(Cu)(copper)
가단성과 연성이 있는 적갈색 금속원소. 열과 전기의 양호한 전도체이며, 미세한 가루형태에서는 독성과 인화성이 있다.

구명로프 발사총(life gun)
경량의 로프가 부착된 특수 발사체를 발사하는 총. 건물 또는 사람이 접근할수 없는 장소 등에서 인명을 구조할 때 사용한다.

구명망(life net)
원형의 커다란 금속 틀에 캔버스천을 씌워 그 위로 사람이 뛰어내릴 수 있도록 고안된 망.(同/jumping sheet, net)

구명밧줄, 구명줄(lifeline) 
구명용 로프. 마닐라 삼 등으로 만들며, 보통 한쪽 끝에 갈고리가 달려 있다.

구배(勾配)(slope 경사(도),) 
1)지형의 수평 기울기.
2)수평을 기준으로 100m당 상승 또는 하강한 표고차. %로 표기한다.

구분방송 선택스위치(floor selector switch) 
비상방송설비에서 구분방송 층을 선택하는 스위치.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9  (0) 2023.06.06
소방용어28  (0) 2023.06.06
소방용어26  (1) 2023.06.06
소방용어25  (0) 2023.06.04
소방용어24  (0) 2023.06.04

과충전높이(overfill level)
위험물 탱크의 최대충전높이. 이 높이를 초과해서 위험물이 주입되면 과충전 되어 탱크 밖으로 흘러 넘치거나 플로우팅 루프 탱크의 지붕과 탱크 구조물 이나 부속장치 사이에 접촉하거나 손상이 발생되는 높이.(同/maximum capacity)

관목 가연물(living fuel) 
임야화재에 의해 완전히 연소될 수 있는 식물들.

관부속(fitting)
배관이나 호스 등을 연결하는 여러 가지 도구. 확관기(increaser), 축관기(decreaser), 어댑터, 커플링 등.

관성(inertia)
물체가 갖고 있는 물리적 성질의 하나. 정지하고 있는 물체는 계속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려 하고, 운동하고 있는 물체는 그 운동속도나 방향에 가해지는 변화에 저항하려 한다는 성질.


관할구역 외 지원(outside aid)
자동지원 또는 상호지원과 비교하여, 인접 지역이나 인근 행정구역에 위치한 소방서와 계약을 맺고 방화활동을 지원하는 것.([참고]/automatic aid, mutual aid)

관할기관(authority having jurisdiction)
장비 및 절차의 승인, 또는 주·시·군 등에서 건축을 '승인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구나 개인 등을 지칭하는 용어.

광(학)고온계(optical pyrometer)
열방사선에서 나오는 특정 파장의 세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참고]/pyrometer)

광각(廣角)화재(wraparound fire) 
건물의 중심부위를 에워싸고 연소하는 화재.

광물면(mineral wool)
록 실리카(rock silica) 또는 양모(wool)와 비슷한 슬래그(slag)에서 뽑아 만든 불연성 물질.

광산가스(damp)
석탄광산에서 흔히 발견되는 가스를 지칭하는 일반적 용어.([참고]/after damp, choke damp, fire damp, stink damp, white damp)

광섬유 케이블(fiber optic cable)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섬유로 만든 자료 전송 케이블. 복사 전력이나 빛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케이블의 규격은 코어/피복의 직경을 미크론(u)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인 규격은 9/125, 62.5/125, 200/230의 세 가지이다.


광역 소방대(IR(Inter Regional) crew) 
대규모 임야화재 진압 전문 소방대.

광역통신 서비스 (wide area telephone service(WATS))
모든 통신에 대해서 전화비용을 할인해주는 통신회사의 서비스. 이 서비스에 는 in-wats, 800-번호 서비스(미국 전지역으로부터 전화 받는 측까지 통화될 수 있는 무료 서비스), out-wats(통화한 총 시간에 비례하는 정액 요금제로 가입자가 개별 통화등기 없이 특정 전화 터미널로부터 상기 지역 내에서 무제한 통화할 수 있는 서비스)일 수도 있다.

광전식 감지기(photoelectric detector)
복사에너지에 노출될 경우 그 자체의 전기적 전도성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광전지가 내장된 화재감지기. 연기를 통과하여 전달되는 빛의 감소량을 탐지하는 방식으로 연기 또한 감지할 수 있다

광전식 분리형 연기감지기 (projected beam type smoke detector)
주변 공기에 포함된 연기가 일정 농도 이상일 때 작동하는 것. 연기 누적에 의한 광전식 소자의 수광량의 변화에 의해 작동하는 감지기이다.

광전지(光電池) (photoelectric cell)
광전효과 또는 광학작용을 이용하여 광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는 것. 광전관, 셀렌 광전지 등이 있다.

광전효과 (photoelectric effect)
물질에 전자파(광자)를 입사(入射)했을 때 그 물질로부터 전자가 튀어나오는 것.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8  (0) 2023.06.06
소방용어27  (0) 2023.06.06
소방용어25  (0) 2023.06.04
소방용어24  (0) 2023.06.04
소방용어23  (1) 2023.06.04

공항소방차(aircraft crash rescue vehicle)
노즐과 방수총으로 포를 방출할 수 있는 자급식 소방차. 항공기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에 필요한 기타 장비도 탑재하고 있다.(同/crash truck, foamvehicle)


공항소방차(crash fire rescue(CFR) apparatus)
항공기화재 진화용으로 공항 소방서에서 사용하는 특수 소방차.
공항소방차(crash truck) [참고]/crash fire rescue apparatus.


과도장 제거(detearing)
침지되거나 도장된 물체를 정전계에 통과시켜, 이러한 물체에 과도장된 도장 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공정.


과류방지밸브(excess flow valve)
탱크 등에서 가연성 액체나 가스가 대량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밸브. 유출량이 일정치를 초과하게 될 경우 밸브는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과망간산칼륨(KMNO₄)(potassium permanganate)
진홍색 결정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인체 내로 흡수될 경우 독성이 있다. 강력한 산화제로, 유기물질과 접촉할 경우에는 발화할 수도 있다.(同/permanganate of potash)

과부하(overload)
일정 시간 동안 정격부하를 초과하여 장비를 운전하거나 또는 정격용량 이상으로 전선을 사용할 경우 장비의 파손 및 과열의 위험이 있다. 단락이나 지락 등은 과부하로 보지 않는다.([참고]/overcurrent)

과부하시험(overload test)
신규 배치되는 소방펌프차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험. 펌프차의 동력은 규정 동력 외에 10%의 여유동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또 짧은 시간 동안 순펌프압력 11.6 ㎏/㎠ (165psi)에서 정격토출용량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과부하시험
(spur test) [참고]/overload test.

과산화물(peroxide)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산화물로서, 2개의 산소원자가 단일결합에 의해 묶여 있는 것.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와 같은 것을 말한다.([참고]/oxide)

과산화수소를 발생하는 화학약품(peroxide forming chemical)
공기에 노출되었을 때 충격이나 압력, 또는 열에 민감한 폭발성 과산화수소를 발생하는 화학약품.

과산화아세틸([CH₃CO]₂O₂)(acetyl peroxide)
신맛이 강한 무색의 액체. 순수한 과산화아세틸은 충격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디메틸프탈레이트 속에 25% 용액으로 저장 및 운반한다.


과열방지장치(thermal protector)
전동기 또는 전동기 컴프레셔의 일부. 전동기의 과부하 및 시동불량으로 인해 전동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장치이다.


과잉 분무도료(overspray) 
피도장물에 도장되지 않는 물질.

과전류(overcurrent)
장비의 정격 전류치를 초과하여 전선이나 전선 절연물의 온도를 위험수위까지 상승케 하는 전류. 과부하나 단락, 지락 등에 의해 발생한다.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는 기기와 전선으로 제어하여야 한다.

과전류차단기(overcurrent circuit breaker)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가 흐를 때 회로를 차단하는 기기.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7  (0) 2023.06.06
소방용어26  (1) 2023.06.06
소방용어24  (0) 2023.06.04
소방용어23  (1) 2023.06.04
소방용어22  (0) 2023.06.04

공중사다리작업대(aerial ladder platform)
사다리차에서 기계적 힘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세우는 공중작업대.(사다리를 연속적인 피난에 이용하는 것을 포함)

공중작업대(aerial platform apparatus)
구조 및 진화작업에 사용하며, 기계적 힘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세우는 작업대. 굴절식 붐(boom)이나 접기식 붐, 또는 두 가지 방식이 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同/snorkel, hydraulic platform apparatus)


공중작업대 소방차(apparatus, aerial platform) [참고]/aerial platform apparatus.

공중작업차량(apparatus, elevating platform)
[참고]/elevating platform apparatus.

공중작업차량(elevating platform apparatus)
고층 건물의 화재시 진화작업 및 인명구조를 위해 사용하는 공중작업대가 탑재된 소방차량.(同/snorkel, aerial platform truck, hydraulic platform appliance)

공중장치(aerial device)
인원의 배치 또는 소화활동, 피난, 소화용수의 방수에 사용하는 공중사다리,
공중작업대, 공중사다리작업대, 급수탑 등.


공중정찰(aerial reconnaissance) 
항공기를 이용하여 임야화재지역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것.

공중진화(aerial attack)
1)보통, 임야화재 진압시 항공기를 이용하여 산불 진행로에 소화약제를 투하하는 것을 의미. 공중에서 장비, 진화요원, 호스 등을 투입할 때에도 항공기를 이용한다.
2)고가사다리차에서 사다리 파이프를 이용하여 고층건물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화재노출물을 방호하는 것.

공중진화(air attack)
임야화재지역에 항공기를 파견하여 소화약제의 살포, 진화요원 수송, 현장본부로의 보급품 공급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

공중투입대원(smokejumper) 
화재현장 상공에서 공중 투입되는 소방대원.([참고]/helijumper)

공중투하(airdrop)
1)항공기를 이용하여 임야화재지역에 연소억제제 또는 소화약제를 투하하는 것.
2)낙하산을 이용한 인력 및 물자의 투하.

공중합체
(copolymers)
두 가지 이상인 단량체가 중합하여 각 성분을 함유한 중합체를 생성하는 반응을 공중합(共重合) 또는 혼성중합(混性重合, copolymerization)이라 하고, 이러한 반응으로 생성된 중합체를 공중합체라고 한다.

공진(共振)(resonance)
1)유도 리액턴스(reactance)와 용량 리액턴스가 평행하여 회로 전체에서 리액턴스가 없어지는 현상.
2)어떤 물체에서,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진동 주파수가 그 물체의 고유 주파수(자유 진동 주파수)와 동일하게 되는 현상.

공칭전압(nominal voltage) 
회로나 계통에 지정된 공칭전압값.(120/240, 480/277, 600 등)

공통덕트(common duct) 
2개 이상의 분기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수용하고 있는 덕트.

공항 램프(airport ramp)
격납고 앞 계류장(aprons) 및 포장된 주기장(hardstand)을 포함하여 표면 형태와 관계없이 항공기를 보관, 수리, 유지관리하는 모든 옥외지역.

공항 터미널 건물(airport terminal building)
항공권 판매, 비행 정보, 수화물 취급 및 항공운송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포함하여 주로 승객의 탑승 등에 사용되는 건물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6  (1) 2023.06.06
소방용어25  (0) 2023.06.04
소방용어23  (1) 2023.06.04
소방용어22  (0) 2023.06.04
소방용어21  (0) 2023.06.04

공동벽, 계벽(界壁)(common wall) [참고]/party wall.

공설 수동발신기(street manual call point)
미국의 거리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으며, 발신기에서 발신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소방서 등에 화재발생을 알리는 M형 수신기라고도 한다.


공설수도에 의한 소화용수공급(public water supply)(美)
공설수도를 사설 구내소화설비에 직접 연결하여 소화용 급수원으로 사용하는 것.

공설주수배관, 수도본관(street main)
보통, 땅속에 매설하는 급수관. 미국에서는 공설수도의 주배관을 구내 소화설비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급수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공식(pitting)
금속의 표면에 구멍이 생기게 하는 대단히 미세한 부식. 가장 파괴적이고 깊숙한 부식의 형태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구멍(pit)은 입구가 깊이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말한다. 흔히 부식성 물질로 덮여 있기 때문에 구멍을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


공유벽(party wall) 
2개의 건물이 공유하는 벽.(同/common wall, separating wall, zero lot line)

공유벽(separating wall) [참고]/party wall.


공융(共融) 혼합물(eutectic)
둘 이상의 금속 용해물 또는 합금의 혼합물로서, 성분을 결합하는 비율에 따라 최저 융점을 얻을 수도 있다

공인안전전문가(certified Safety Professional)
{공인안전전문가위원회}(Board of Certified Safety Professionals)에서 부여하는 안전전문가 자격.

공장자체소방대(industrial fire brigade)
산업체 등에서 진화활동을 수행하는 사설 소방대.(同/work fire brigade, [참고]/fire brigade, fire guard)

공장형 구조(mill-type construction)
그 내력벽과 외벽이 2시간 내화성능의 불연성 벽체로 이루어진 구조. 기둥,보, 큰 보 등은 통상 중목재이고, 나무바닥과 지붕은 은폐된 공간이 없도록 축조된다. 1900년대 초, 미국에서 섬유 관련 공장의 방화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했다.(同/mill construction building, plank on timber construction, [참고]/heavy timber construction)

공정안전관리(process safety management(PSM))
어떤 공정에 잠재된 위험요소를 모두 찾아내어 이를 제거하거나 통제함으로 써 사고를 예방하고, 또 사고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처하는 종합안전관리시스템.

공정안전관리(PSM) [참고]/process safety management.

공조설비(air handing system)
건물 내의 공기를 배출해 정화하고 다시 되돌려 보내기 위한 팬(fan), 덕트, 제어장치, 댐퍼, 여과장치, 흡입구 및 냉온방장치 등의 전체적인 설비.

공조설비(air handling system)
건축물 내부의 공기를 제거, 정화, 재 순환시키는 팬, 덕트, 제어장치, 댐퍼,필터, 통풍구, 냉·난방장치 등으로 구성된 설비.

공중, 고가, 가공(aerial)
[참고]/aerial ladder, aerial attack, aerial fuel, aerial platform apparatus, aerial reconnaissance, aerial track.

공중-지상 화재감지시스템(air-ground detection)
주요 지역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지상에 설치한 고정감지기와 공중정찰을 통한 입체적인 화재감지방식을 조합한 시스템.

공중가연물(aerial fuel) 
지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나무나 구조물 등의 가연물.(同/crown fuel)

공중노즐(elevating nozzle) 
굴절식 공중작업대에 장치된 노즐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5  (0) 2023.06.04
소방용어24  (0) 2023.06.04
소방용어22  (0) 2023.06.04
소방용어21  (0) 2023.06.04
소방용어20  (3) 2023.06.04

공기압축기,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
1)저압장치. 전동기, 용적식 피스톤형 압축기 및 저장탱크로 구성. 작업공구,페인트 분무기 등의 기계류에 저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2)고압장치. 전동기, 에어 캐스케이드 시스템에 연결된 다단계 압축기로 구성.자급식 호흡기구에 필요한 고압의 공기를 생산한다.


공기의 흐름, 기류(air flow)
건물내 공기의 이동. 화재층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중요한데, 화재를 향해 전진하는 소방대원의 진행방향을 뒤쫓는 공기의 흐름일 경우 특히 그러하다.


공기차단소화(fire brake extinguishing)
산림화재에서, 물과 모래를 섞은 물 슬러리(water slurry)를 화점에 뿌려 소화하는 것. 물 슬러리는 고체 성상에 의한 공기차단효과와 물에 의한 냉각효과를 동시에 나타낸다.

공기탱크, 기조(氣槽)(air receiver) 
압축공기를 방출하거나 또는 필요할 때까지 저장할 수 있는 용기.


공기포(air foam)
공기를 주입한 기포들의 집합. 인화성 액체나 물보다 비중이 낮다. 휘발성의 가연성 증기가 공기와 결합하여 재발화 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同/chemicalfoam, mechanical foam, [참고]/air foam stabilizer)

공기포 노즐(air foam nozzle) 
공기포를 발생시키는 공기-흡입식 노즐.

공기포 소화약재(air foam concentrate)
포수용액을 만들기 위해 그 농도와 성질에 따라 물 대비 3%~6%의 비율로 사용하는 액체.

공기포 소화약제(air foam concentrate)
포수용액을 만들기 위해 그 농도와 성질에 따라 물에 3~6%의 비율로 혼합하는 액체.

공기포 수용액(air foam solution) 
공기포 소화약제와 담수 또는 해수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수용액.

공기포 펌프(air foam pump)
용적식 펌프를 사용하여 물과 포소화약제를 혼합, 포수용액을 만드는 장치.포수용액은 노즐에서 공기와 혼합된다.

공기필터(air filter)
공기를 사용하기 전에 공기 속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장치. 1급 필터의 경우, 공기정화시 화염에 노출되더라도 잘 타지 않으며 방출하는 연기의 양 또한 매우 적다. 2급 필터의 경우, 공기정화시 화염에 노출되면 어느정도 연소하거나 소량의 연기를 방출한다.


공기호흡기(air mask)
압축공기 봄베가 붙어 있는 자급식 공기호흡기. 'SCBA(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ntus'라고도 한다.
화재현장의 연기속이나 유독 가스로 오염된 공기 속에서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장비로서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기와 공기를 압축저장한 압축공기 저장용기와 공기를 호흡하기 위한 면체와 등에 짊어질 수 있는 밴드 등으로 구성된 호흡용 장비이다.


공기호흡장치부착 방화복(supplied-air suit)
대부분의 입자 및 가스성 물질이 침투할 수 없는 방화복으로, 공기공급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피부가 노출될 경우 또는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경우 위험할 수 있는 장소에서 착용한다.([참고]/acid suit)


공기흡입식 방출장치(air aspirating discharge devices)
공기를 포수용액에 흡입·혼합하여 포를 특정 형태로 방출하도록 특수 설계된 장치.

공동(空洞)현상(cavitation)
펌프 속에 진공이 생겨 진동이나 효율상실 등의 원인이 되고 펌프를 손상시키기도 하는 현상.([참고]/pull a vacuum)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4  (0) 2023.06.04
소방용어23  (1) 2023.06.04
소방용어21  (0) 2023.06.04
소방용어20  (3) 2023.06.04
소방용어19  (0) 2023.06.04

공공수도본관(city main)(美)
미국에서는 공공수도본관을 구내 소화설비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므로 소화설비의 급수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수도배관에 소화설비의 배관을 직접 연결할 수 없다.(同/public main)


공공수도본관(public (water) main) 
상수도를 공급하는 관.(同/city main)

공공안전관리자(public safety officer)
경찰서에 소속된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으로서 소방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어, 순찰 중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방대원으로서의 임무를수행할 수 있다.

공극비(porosity) 
입자의 전체 부피에 대한 간극 부피의 비

공급전압(supply voltage)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同/source voltage)

공기 비흡입식 방출장치(non air aspirating discharge devices)
AFFF 또는 FFFP 수용액을 방출할 때의 방수형태와 유사한 방출형태로 방출하는 장치

공기비흡입식스프레이노즐(non air aspirated spray nozzle)
수성막포와 같은 포소화약제가 공급될 때 방출장치의 고유한 패턴으로 포를 방출하는 개방형 방향성 스프레이노즐(同/open, directional spray nozzle).


공기 압축기,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
1)저압장치. 전동기, 용적식 피스톤형 압축기 및 저장탱크로 구성. 작업공구, 페인트 분무기 등의 기계류에 저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2)고압장치. 전동기, 에어 캐스케이드 시스템에 연결된 다단계 압축기로 구성. 자급식 호흡기구에 필요한 고압의 공기를 생산한다.

공기 지지 구조물(air supported structure)
천막과 유사하며, 곧게 서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을 대기압 이상으로 가압한 구조물.([참고]/structure)

공기, 무선통신(air)
1)대기.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 혼합물. 질소 78%, 산소 21%, 희유기체
1%로 구성.
2)무선통신.

공기가스(air gas) 
공기 중에 가연성 증기가 혼합된 기체.

공기막, 에어커튼(air curtain)
1)기름누출을 통제하기 위해 수중에 공기를 방출하여 형성된 기포의 막.
2)가공 처리된 공기(예:청정실, 무균실 등)가 출입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출입문 주위에 설치한 공기의 막.

공기샘플링형 감지기(air sampling type detector)
감지장치로부터 방호구역까지 배관망이나 튜브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감지기.
감지기 함 내의 흡입팬이 공기샘플링포트, 배관, 튜브를 통해 방호구역으로부터 감지장치까지 공기를 흡입하여 감지장치에서 공기 중의 연소생성물을 분석한다.

공기식 화재경보기(상품명)(aero fire alarm system)
천장 및 벽을 따라 설치된 작은 배관 속의 공기가 열기로 인해 팽창되면, 이배관에 연결된 감지장치의 다이어프램이 작동, 경보를 발하는 감지장치.


공기식 화재경보기(aero fire alarm system)
천장 및 벽을 따라 설치된 작은 배관 속의 공기가 열기로 인해 팽창되면 이배관에 연결된 감지장치의 다이아프램이 작동하여 경보를 발하는 감지장치.


공기실, 에어 체임버(air chamber)
공기로 가득 채워진 펌프 체임버(펌프동체). 용적식 펌프에서 피스톤이나 기어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참고]/airdome, air lock)

공기압입식 발포장치(compressed air system)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포수용액을 발포시키는 장치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3  (1) 2023.06.04
소방용어22  (0) 2023.06.04
소방용어20  (3) 2023.06.04
소방용어19  (0) 2023.06.04
소방용어18  (0) 2023.06.04

고지(waste paper) 

사용한 종이 및 판지, 종이 및 판지의 재단 부스러기 등 2차 섬유의 총칭.

고체(solid)
물질의 상태 가운데 하나. 구성분자들의 운동성이 거의 없고 형태 또한 거의 변하지 않는 상태.([참고]/gas, liquid)

고층건물(high rise (building))
건물 상층부까지 공중소방장비가 도달할 수 없는 높이의 건물. 때문에 고층건물 상층부에서의 화재는 건물 내부에서 진화할 수밖에 없다. 미국 NFPA Code는 높이가 40m를 초과하는 구조물을, 우리 나라의 소방법은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물을 고층건물로 정의하고 있다.


고층랙창고, 고층입체창고(high bay warehouse) [참고]/rack storage.


고탄소강(high carbon steel) 
0.45% 이상의 탄소가 함유된 강철.([참고]/low carbon steel)

고팽창포(high expansion foam)
액체 포소화약제 가운데 하나. 팽창비가 100:1에서 1,000:1까지 다양하고, 발포속도도 빠르다. 화재지역에 쏟아 붓기도 하고 인화성 액체 화재를 질식소화 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고폭발물(high explosive)
충격이나 가열 등으로 인해 폭발을 일으키는 화합물. 보통, 질소를 함유하고 있다. 고폭발물은 충격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이중 가장 민감한 것은 뇌산수은과 니트로글리세린이다. 반면에 TNT와 질산암모늄은 비교적 폭발하기가 어려우므로 뇌관 등의 발파장치를 필요로 한다. 충격파의 속도는 1,000m/sec(3,000ft/sec) 이상이다.([참]/primary explosive, secondary explosive)

고해(beating)
펄프섬유에 초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물 속에 일정농도로 해리된 섬유를 기계적으로 절단하거나 피브릴화 하는 공정.

고형화(固形化), 점결성(粘結性)(caking)
1)물의 흡수 또는 분말 자체의 침전으로 인해 소화약제 분말 입자가 딱딱한 덩어리로 뭉치는 현상.
2)탄소 함유량이 많은 역청탄의 성질. 300~500℃로 가열될 경우 부드럽게 녹아 내리다가 서서히 식으면서 단단한 코크스 덩어리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고휘발성 액체(highly volatile liquid) 
비점이 20℃(68℉) 미만인 액체.

곡물류(grain)
밀, 귀리, 옥수수, 보리, 기타 농작물의 씨앗 또는 열매. 대량으로 저장할 경우 화재 및 분진폭발의 위험이 있다.

곤(bale) 
실의 무게 단위.

골철판(corrugated iron)
강도를 높이기 위해 규칙적인 수평 융기선이 파도 모양을 갖도록 한 아연도 금강 또는 철판. 지붕 덮개 및 가건물용으로 사용한다.

공격(attack) 
실제 소화활동. 화재현장에서 화재진압 작전계획을 적극적으로 실행하는 것.

공격시간(attack time) 
실제 소화활동이 개시된 시간.

공공 방재센터(public fire service communication center)
화재경보설비의 중앙 통신장비를 설치한 건물이나 건물의 일부를 말하며, 보통 교환기, 수신기, 송신기, 전원공급장치 등이 위치하는 장소.


공공 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일반통신사업자(일반 대중에게 개별 다이얼 코드를 통해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공급하는 통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통신시설 및 중앙장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2  (0) 2023.06.04
소방용어21  (0) 2023.06.04
소방용어19  (0) 2023.06.04
소방용어18  (0) 2023.06.04
소방용어17  (2) 2023.06.04

고인화성 물질(extremely flammable)
태그 개방식 시험기'로 측정했을 때, 그 인화점이 -6.7℃(20℉) 미만인 물질을 말한다.([참]/Tagliabue open cup apparatus)

고장 정도(failure severity)
보통 성능결함으로 표현되는 장치의 성능저하에 대한 정도. 상, 중, 하로 구분한다.

고장률(failure rate)
시스템이나 기기, 부품 등이 특정 단위 기간동안 고장을 일으키는 비율. 단위
기간동안의 '총고장수/총동작 시간(또는 총 사건수)'으로 표시한다.


고장모드(failure mode)
하드웨어가 고장날 가능성이 있는 징조, 조건, 형태. 고장모드는 기능의 상실,조급한 동작, 허용오차를 벗어난 상태, 점검 중 발견한 누출과 같은 물리적인특성으로 인식될 수 있다.


고장모드 및 영향분석(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FMEA))
설비별 고장 유형에 따라 원인, 결과, 대책을 분석 및 수집하는 위험확인 기법.


고장빈도(failure frequency)
발생한 고장(사건)의 수를 고장이 발생한 기간동안에 경과된 총 시간이나 빈도


고장시간(down time) 
가공기 및 주변 장치가 고장 등으로 인해 정지하고 있는 시간.

고장의 공통 원인(common cause failure)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2이상의 시스템, 부품, 장치의 고장.

고장전류(fault current)
전선과 대지 또는 전선과 전선 사이의 연결이 비정상적일 경우, 전선으로부터 대지로 또는 전선으로부터 다른 전선으로 흐르게 되는 전류. 아크나 절연파괴와 같은 경우에 발생한다.

고장확률(failure probability)
하나의 장치가 사용상태에서 또는 일정한 시간 동안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0에서 1까지의 값).

고적재저장(high piled storage)
지상 높이 4.55m(15ft) 이상, 또는 화물운반대나 선반 위에서는 높이 3.64m (12ft) 이상의 높이로 밀집 적재된 저장.

고정식 (교류) 발전기(fixed generator(alternator))
차량에 영구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용량 7kW 이상의 발전기. 보통 기계적으로 구동된다.

고정식 모니터(fixed monitor(cannon))
다량의 포를 운반할 수 있는 고정식 지지대에 설치된 장치. 배관 또는 호스를 통해 모니터에 수용액을 공급할 수 있다.

고정식 소화설비(fixed fire extinguishing system)
건축물 등에 고정된 소화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옥내소화전설비 등.([참고]/portable fire extinguisher)

고정식 포방출구(fixed foam discharge outlet)
탱크, 방유제, 기타 구획된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포 방출 장치.


고정장치, 파스너(fastener) 
전선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장치.

고조파(harmonics)
전기적으로, 고조파란 그 파형 주기가 바람직한 주파수나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인 주파수대에 있는 전압 또는 전류를 말한다. 고조파는 가변속도 구동장치, 정류기, 유도가열기, 개인용 컴퓨터, 포화변압기(형광등 안정기), 복사기, 정지형 스위, 형광 및 고광도 아크방전등, 기타 비선형 장치나 아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1  (0) 2023.06.04
소방용어20  (3) 2023.06.04
소방용어18  (0) 2023.06.04
소방용어17  (2) 2023.06.04
소방용어16  (0) 2023.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