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프트 구획벽 (shaft enclosure) 배관이나 배선 등을 위한 수직관통부 및 건축물의 각 층을 관통하도록 설계 된 엘리베이터용 수직관통부 등을 다른 부분과 구획해 주는 벽.

서까래 (rafter) 마룻대에서 도리 또는 보에 걸쳐 지른 통나무. 지붕을 떠받치는 기능을 한다. 서까래, 플랭크 (plank) 1)용마루나 도리에서 처마 끝까지 가로질러 얹은 부재. 2)두께 50.8~101.6mm(2~4in.), 너비 20.32㎝(8in.) 이상의 판자.

서베이 미터 (survey meter)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구.

서비스 트럭 (service truck) 고가사다리가 장착되어 있지 않고 최소한의 장비와 부스터 펌프만이 탑재되 어 있는 사다리차.(同/city service truck, 參/service aerial)

서지 (surge) 유체의 압력이 갑자기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參/water hammer)

서지시험 (surge test) 권선을 가로지르는 고전압 펄스를 발생시켜 상(相) 권선에 권선간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기시험.

서지어레스터 (surge arrester) 서지 전류를 방출하거나 우회하여 서지 전압을 제한하는 보호장치. 이러한 기능을 반복할 수 있는 동안 속류가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서징 (surging) 토출측의 압력과 유량이 주기적으로 변동을 일으켜 펌프 흡입측 연성계 및 토출측 압력계의 지침이 흔들리고 토출유량도 변화하는 이상현상. 운전상태 를 바꾸지 않을 경우, 변동은 주기적으로 지속된다.

서큘레이터, 순환장치 (circulator) 지하실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할 때 사용하는 호스노즐의 일종. 드넓은 지 역에 물을 순환 및 분배해 준다.(同/distributor, 參/Bresnan distributor nozzle)

석고 ( C a S O ₄ · 2 H ₂ O)(gypsum) 플라스터 및 플라스터보드에 사용하는 광물질.(參/sheet rock)

석고보드 (gypsum board) 수산화 석회 및 석고로 만든 판. 건물의 내벽 또는 천장용 마감재로 사용한 다.(同/sheet rock)

석고처리, 회반죽 바르기 (pargetting) 내부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통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관 내부에 회반죽 을 바르는 것.

석면 (asbestos) 길고 유연한 섬유로 쉽게 분리되는 광물질. 고온에서도 잘 견디며, 여러 가지 물질과 결합하여 그 물질에 내화성을 부여하기도 한다.

석면 시멘트 판, 석면 슬레이트 (asbestos cement board) 시멘트 및 석면 등의 섬유물질로 만들어진 불연성 건축자재.

석션 렌치 (suction wrench) 흡입호스의 커플링을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하는 스패너.

석션 아이 (suction eye) 원심펌프 임펠러의 개구부. 이 개구부를 통해 펌프 내로 물이 들어간다.(同 /eye, impeller eye)

석유 (petroleum) 자연적으로 생성된 탄화수소류. 가솔린, 윤활유, 솔벤트 등의 연료용 원료로 사용된다.

석유화학제품 (petrochemicals) 석유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여 생산된 화학제품.

석탄 (coal)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탄소질 암석의 일반적 명칭. 식물성 퇴적물에서 압 력, 지각변동, 기타 다양한 화학적 과정에 의해 변화된 것으로, 특히 그 구성 성분의 휘발성과 관련이 있다.(參/bituminous coal)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2  (0) 2023.06.22
소방용어121  (0) 2023.06.22
소방용어119  (0) 2023.06.20
소방용어118  (0) 2023.06.20
소방용어117  (0) 2023.06.20

상향형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dry upright sprinkler head) 參/dry pendant sprinkler head.

상향형 스프링클러헤드 (upright sprinkler) 물이 위쪽을 향하여 살수되어 디플렉터에 부딪히도록 설계된 스프링클러헤 드.(參/pendant sprinkler)

상호접속용 케이블 (interconnecting cables) 시스템 동작과 제어를 위한 신호용 케이블과 동력용 케이블.

상호지원 (mutual aid) 소방서간 상호지원활동. 관할구역이 인접한 소방서들간에 자주 이루어진다. (參/automatic aid, outside aid)

상황보고 (progress report) 화재 현장책임자가 현장의 상황 등을 종합하여 주기적으로 소방본부에 보고 하는 것.

상황판 (turnout board) 소방대 및 장비의 출동 현황을 표시하는 점검판 샌드위치 구조 (sandwich construction) 적층 구조패널을 채택한 구조.

샐로우 백 (shallow bag) 끄트머리 부분을 세우거나 말아 올려서 떨어지는 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가두어 두는 구조용 덮개. 건물의 바닥 등에 설치한다.(同/catchall)

샘플링식 연기감지기 (sampling smoke detector) 방호구역에 연결된 튜브와 에어펌프를 사용하여 방호구역으로부터 공기를 흡 입한 뒤 공기 중의 연기입자를 감지하는 방식의 연기감지기.

샛문 (wicket door) 대문 옆 또는 대문짝 일부에 낸 작은 문 생나무 연소 (live burning) 생나무 등이 절단된 채로 조금씩 연소하는 것.(參/progressive burning)

생석회, 산화칼슘 (cao)(burnt lime) 參/calcium oxide.

생석회, 산화칼슘 (CaO)(calcium oxide) 백색 또는 회백색의 고체 덩어리. 간혹, 철분으로 인해 노란색 또는 갈색을 띄기도 한다. 강력한 자극제. 물과 접촉시 열을 발산하며 유기물질 근처에서 는 위험하다.(同/burnt lime, calx, fluxing lime, lime, quicklime, unslaked lime)

(同/burnt lime, calx, fluxing lime, lime, quicklime, unslaked lime)

생석회, 산화칼슘 (CaO)(fluximing lime) 參/calcium oxide.

생성열 (heat of formation)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표준 방법에 의해 화합물이 생성될 때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열. 생크 (shank) 호스를 커플링에 결합시키기 위해 익스팬더와 호스 주위에 단단히 부착하는 외부 링이나 슬리브관(sleeve).

샤를의 법칙 (charles' law) 압력이 일정할 경우,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와 정비례한다는 방정식. V₂ =(T₂/T₁)V₁ V₁은 최초의 부피, V₂는 최종 부피, T₁은 최초의 온도, T ₂는 최종 온도. 샤프트 (shaft) 엘리베이터, 계단, 전기배선 및 난방배관 등이 지나가는 수직통로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1  (0) 2023.06.22
소방용어120  (0) 2023.06.22
소방용어118  (0) 2023.06.20
소방용어117  (0) 2023.06.20
소방용어116  (0) 2023.06.20

살수장애물 (obstruction to distribution) 소화약제를 효과적으로 방사할 수 없게 하는 모든 장애물. 스프링클러헤드의 살수를 가로막는 조명등, 높이 쌓인 물건더미 등과 같은 것.

살수장치 (deluge set) 봉상주수를 받치기 위한 삼각 받침대와 노즐로 구성된 이동식 대량 주수장 치. 둘 이상의 흡입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參/master stream)

살수차단폴 (pole shutoff) 한쪽 끝에 금속 쐐기가 달려 있는 긴 막대. 개방된 스프링클러헤드에 쐐기를 끼워 넣어 살수를 차단해 주는 기능을 한다.

살충제(pesticide) 해충을 방지, 박멸, 격퇴하기 위한 약품. 삼구형 소화전 (triple hydrant) 펌프차용 방수구 1개와 63.5mm(2½in.) 방수구 2개가 설치된 소화전.

삼림감시원 (forest ranger) 공유림의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자.

삼림지 (tree farm) 목재로 사용하기 위해 나무를 경작하는 지역. 삼림지대 (forest land) 대지의 10% 이상을 나무가 차지하고 있는, 1에이커(4,046.8m^2; 1,224평) 이 상의 대지.

삼림퇴적물 (rough) 지표면의 유기물과 지표면 바로 아래층에 서식하는 식물의 퇴적물. 풀, 잔가 지, 나뭇잎, 낮은 덤불 등.

삼림특별소방대 (hotshot crew) 산불 진화를 위해 특별히 훈련된 소방대. 산불 발생시 제1 공격대로 우선 투 입된다.

삼림화재용 호스 (forestry hose) 매우 가볍고 직경이 작은 싱글-재킷 소방호스. 고무 안감을 대거나 대지 않은 호스로, 산불 진화를 주목적으로 하는 호스이다.

삼투성 (permeable) 액체나 공기를 통과시키는 성질.

삼투호스 (percolating hose) 린넨과 같은 다공성 섬유로 만들어진 호스. 처음 충수할 때에는 약간의 누수 가 발생하지만 섬유질이 부풀어오르면서 점차 누수 현상이 사라지고 방수성 을 갖게 된다.

삽입 플러그 (attachment plug) 리셉터클에 삽입하여, 리셉터클과 플렉시블 코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 는 코드의 부속 접속구. 상근(소방)대원 (red hot) 소방서에서 숙식하며 상주하는 소방대원.(參/sparkle)

상대습도 (relative humidity) 가스 또는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나 습기의 양. 동일한 온도에서 공기 중의 습기를 모두 빨아들였을 경우 나타나는 습기량에 대한 %로 표시 한다.

상부 난간 (top rail) 보강재가 부착된 공중사다리의 상부 강재(레일).

상부주입방식 (top pour method) 가연성 및 인화성 액체 저장탱크의 상부에 포방출구를 설치하는 방식. 화재 시에는 포를 탱크의 상부에서 주입하여 진화한다.

콘 루프 탱크(cone roof tank)에는 Ⅰ형과 Ⅱ형 방출구를 사용하고, 플로팅 루프 탱크(floating roof tank)에는 특형 방출구(ream seal)를 사용한다.(參/ream seal)

상승각 (climbing angle) 소방용 사다리를 세우기에 가장 좋은 각도. 보통 70~72도.

상온 시동 (cold start) 기기의 온도가 상온에 가까운 상태에 도달했을 때 기기를 기동시키는 것.

상존 화재위험 (constant danger) 특정 지역에 항상 존재하는 화재위험요소들. 보통의 화재위험, 지리적 요인, 가연물의 종류, 세력이 가장 강한 바람의 방향 등.(參/variable dan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20  (0) 2023.06.22
소방용어119  (0) 2023.06.20
소방용어117  (0) 2023.06.20
소방용어116  (0) 2023.06.20
소방용어115  (0) 2023.06.20

산화납 (red lead) 參/lead oxide. 산화물 (oxide) 산소와 다른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

산화방지제 (antioxidant) 고무의 산화, 천연지방 및 기름의 열화, 식품의 부패, 가솔린 및 윤활유의 점 성화 등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유기화합물.

산화에틸렌, 에틸렌옥시드 (CH₂OCH) (ethylene oxide) 실내온도에서는 아무런 색깔이 없고, 눈과 피부에 닿으면 쓰라린 액체. 인화 점 -17.8℃(0℉), 발화온도 428.9℃(804℉), 연소범위 3~100Vol.%. 

산화에틸렌, 에폭시에텐, 에틸렌옥시드, 옥시란 (epoxyethene) 參/ethylene oxide.

산화연, 광명단 (Pb₃O₄)(lead oxide) 금속 보호용 도료 및 축전지에 사용하는 밝은 적색의 분말. 분말형태에서는 독성이 있다.(同/minium, red lead)

산화제 (oxidant) 연료(가스나 분진 또는 미스트)와 반응하여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가스성 물질. 공기 중의 산소는 가장 일반적인 산화제이다.

산화제 (oxidizer) 1)아주 쉽게 산소를 방출하지만 방출한 산소만큼 다른 원소를 보충 받지는 않는 물질. 2)전자를 취득하는 하나의 원자 또는 원자기를 함유하고 있는 산소, 오존, 염 소, 수소, 과산화물, 질산, 금속산화물류, 염소산염류, 과망간산염류 등의 물 질. 이들 물질은 셀룰로스 등의 환원성 유기화합물이 있을 경우 상온에서도 격렬하게 반응하므로, 저장시에는 적절한 환기장치를 갖추고, 가능한 서늘 하게 보관하여야 한다.(同/oxidizing agent, oxidizing material, 參 /oxidation)

산화제 농도 감소 (oxidant concentration reduction) 밀폐된 공간에서의 산화제 농도를 점화에 필요한 농도 미만으로 유지하는 기 술.

산화칼슘, 생석회 (caustic lime) 參/calcium hydroxide.

산화칼슘, 생석회 (unslaked lime) 參/calcium oxide.

산화하다 (oxygenate) 산소와 결합하거나 산소를 공급하거나 산소로 포화시키다.

살수 비장애 구조물 ( u n o b s t r u c t e d construction) 스프링클러헤드의 열기류 또는 살수를 방해하지 않는 보, 트러스, 기타 구조 재 등의 구조물. 살수비장애구조물은 개구부가 횡단면적의 70% 이상이고 부 재의 두께가 최소 개구부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수평 구조재가 있거나 구 조재의 중심선 간격이 2.3m(7½ft) 이상인 구조물을 말한다.(參/obstructed construction)

살수장애구조물 ( o b s t r u c t e d construction) 스프링클러헤드의 화재제어 또는 진화능력에 영향을 주는 열기류, 또는 살수 를 방해하는 보, 트러스, 기타 구조재 등의 구조물.(參/unobstructed construction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9  (0) 2023.06.20
소방용어118  (0) 2023.06.20
소방용어116  (0) 2023.06.20
소방용어115  (0) 2023.06.20
소방용어114  (0) 2023.06.20

산소(O) (oxygen) 지구 대기의 약 21%를 차지하는 기체. 연소에 필요한 필수조건으로서 화재 4 면체의 한 부분을 차지할 뿐 아니라, 생물체의 호흡에도 필수적인 기체이다.

산소 발생식 호흡기 ( g e n e r a t i n g - t y p e breathing apparatus) 자급식 호흡기구의 일종으로, 교체 가능한 캐니스터 내부에서 화학반응을 통 해 필요한 산소를 생산할 수 있다.

산소감소, 질식소화 (starvation) 1)산소의 감소. 2)연료나 산소를 제거하여 화재를 진화하다.

산소결핍 (oxygen deficiency) 생명을 유지하거나 화염이 지속되기에는 충분치 못한 산소.

산소농도시험램프 (flame safety lamp) 대기 중의 산소 결핍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염램프. 대기 중의 산소농도가 16% 아래로 떨어지면 램프의 화염은 자동적으로 소멸된다.

산소농축분위기 ( o x y g e n - e n r i c h e d atmosphere(OEA)) 산소농도가 21Vol.%를 초과하거나, 또는 산소의 분압이 0.218 ㎏/㎠ (160torr) 를 초과하는 대기상태.

산소마스크 (oxygen mask) 화학반응 또는 산소통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자급식 호 흡기구.(參/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산소아세틸렌 용단기 (oxyacetylene cutting outfit) 아세틸렌가스와 산소의 혼합기를 연소시켜 철 등을 녹이면서 절단하는 기구 세트.

산소아세틸렌 용접 (oxyacetylene welding)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고온의 화염(3,315.6℃ [6,000℉] 이상)을 발생시키는 산 소와 아세틸렌 혼합가스 용접법. 이 용접법은 매우 위험한 작업으로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이 대단히 크다.

산소지수 (oxygen index) 산소와 질소가 혼합된 상승기류 속에서 점화된 물질이 연소를 지속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최저산소농도(Vol.%). 플라스틱, 고무, 섬유 등의 연소성을 표시 하는 것으로, 산소지수가 큰 물질은 불에 잘 타지 않는다 산소평형 (oxygen balance) 폭발성 물질의 위력과 화학구조 사이의 관계를 밝혀 폭발의 강도를 파악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 화합물 100g이 폭발(연소)할 때의 산소 과부족량을 그램 (g)으로 표시한 것이다. 완전연소 조성, 즉 산소평형이 0인 곳에서 폭발의 위 력은 최대가 된다. 일부 예외도 있지만, 0을 중심으로 하여 +와 - 양측으로 멀어져 갈수록 폭발의 위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인다.

산알칼리 소화기 (soda-acid extinguisher) 중탄산나트륨(NaHCO₃)과 황산(H₂SO₄)용기가 내장되어 있는 휴대용 소화 기. 소화기를 거꾸로 세우면, 황산과 중탄산나트륨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가 스를 생성, 분출한다.

산알칼리 소화기 (tip-up extinguisher) 거꾸로 세워야만 작동하는 산알칼리 소화기.

산알칼리 소화기 ( s t o p p l e - t y p e extinguisher) 납마개를 느슨하게 끼운 병 속에 산성용액을 수용하고 있다가 소화기를 거꾸 로 들게 되면 마개가 열리고 산성용액이 쏟아져나와 산알칼리용액과 혼합되 도록 한 소화기.(參/soda-acid extinguisher)

산화, 산화반응 (oxidation) 본질적으로, 산화란 산소가 다른 물질과 결합하는 화학반응을 의미한다. 그러 나 오늘날에는 전자의 전이현상이 발생하는 모든 화학적 반응을 지칭하고 있 다. 산화와 환원은 항상 동시에 발생하며, 전자를 취득하는 물질을 가리켜 산 화제라 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8  (0) 2023.06.20
소방용어117  (0) 2023.06.20
소방용어115  (0) 2023.06.20
소방용어114  (0) 2023.06.20
소방용어113  (0) 2023.06.20

사이폰 (siphon) 1)물 등의 액체를 정상 수면보다 높은 곳으로 끌어올렸다가 정상 수면보다 낮은 곳으로 방출하는 배관 또는 호스.(參/eductor, suction booster) 2)지하실에 고인 물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호스 연결구. 3)배수하다.

사전예방 (presuppression) 화재발생시 효율적인 진화작업을 확보하기 위해 화재발생 이전에 미리 필요 한 조치들을 적용해 보는 것.(參/prevention, suppression)

사전진화계획, 예방계획 (pre-fire planning)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구체적인 진화계획을 수립하는 것.

사체 운반용 가방 (disaster pouch) 參/body bag.

사하중, 정하중, 고정하중 (dead load) 1)구조물에 상시 작용하는 구조물의 자중(自重)을 말한다. 설계에서도 항상 작용하중으로 다룰 필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 재료의 실제 중량을 분 포하중으로 나누어 구한다. 2)건축물을 구성하고 있는 기둥, 들보, 바닥, 지붕, 벽, 기초, 창호, 기타 부속 물 등 고정적인 것이 갖는 중량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고정하 중은 건자재의 밀도나 단위면적당 중량에 체적 또는 면적을 곱해서 구한다.

사회적 위험 (societal risk) 많은 사람에 대한 위험의 크기. 대부분 복합 사건의 빈도분포로 표현된다.

삭안(索眼), 아이-스플라 이스 (eye-splice) 밧줄의 두 끝을 잇대어 고리 모양으로 연결한 것. 산 (성) (acid) 그 수용액이 다음 성질 가운데 하나 이상에 해당되는 화학물질류를 말한다. 신맛, 리트머스 시약을 적색으로 변화시키거나 기타 반응시약을 특정 색으로 변화시키는 성질, 특정 금속과 반응하거나 또는 특정 금속을 용해시켜 염을 생성하는 성질, 염기 또는 알칼리류와 반응하여 염을 생성하는 성질. 모든 산 은 수소를 포함하고 있다.

산가(酸價) (acid value) 유지, 윤활유, 납 등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지방산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 시 료 1g을 중화시키는 데 필요한 ㎎ 수산화칼륨의 수로 표시한다. 산불 (forest fire) 삼림 또는 기타 임야지대에서 발생한 화재. 미국의 경우, A급 산불은 1/4에 이커(1,011.7㎡; 281평) 이하, B급은 1/4에이커 초과 10에이커(40,468 ㎡; 12,240평) 미만, C급은 10에이커 이상 100에이커(404,680 ㎡; 122,400평) 미만, D급은 100에이커 이상 300에이커(1,214,040 ㎡; 367,200평) 미만, E급은 300에 이커 이상 1,000에이커(4,046,800 ㎡; 1,224,000평) 미만, F급은 1,000에이커 이 상 5,000에이커(20,234,000 ㎡; 6,120,000평) 미만, G급은 5,000에이커 이상인 화재를 지칭한다.

산불예방 소방대원 (prevention fire fighter) 숲속에 위치한 산업시설의 방화장비 점검 및 숲에 출입하는 사람들을 대상으 로 산불계몽 등의 화재예방활동을 수행하는 소방대원.(同/prevention patrolman, prevention guard, fire inspector) 산불예방프로그램 (Smokey the Bear) 미국과 캐나다 산림청에서 실시하는 산불예방프로그램의 상징.

산불의 분류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s) 參/forest fires.

산성 산화물 (acidic oxide) 물과 결합하여 산을 생성하는 비금속산화물.(參/oxide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7  (0) 2023.06.20
소방용어116  (0) 2023.06.20
소방용어114  (0) 2023.06.20
소방용어113  (0) 2023.06.20
소방용어112  (0) 2023.06.20

사설경보기 (private box) 1)개인 자산에 설치된 경보기. 공공화재경보설비에 연결되어 있으며, 일반대 중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경보기이다. 2)사설경보설비에 설치된 경보기.

사설소방대, 자체소방대 (private fire brigade) 개인 또는 사업단체 등이 설립한 소방대. 소방업무뿐 아니라 화재예방업무까 지 수행하는 곳도 있다.

사설소화전 (private hydrant) 사설급수설비에 설치한 개인자산 방호용 소화전.(參/reverse hydrant)

사설요양소 (residential-custodial care facility) 고령, 물리적 또는 정신적 장애로 인해 자기 스스로 생존해 나갈 수 없는 사 람들을 4인 이상 수용하여 간호하는 건물 또는 건물의 일부.(參/nursing home)

사염화탄소, 할론 1 0 4 ( C C l ₄ ) ( c a r b o n tetrachloride) 1)무색의 비인화성 액체. 기체상태에서는 공기보다 가볍다. 과거에는 소화약 제로 사용하였으나, 인체 내로 유입될 경우 독성이 매우 강해서 현재는 사 용하지 않는다. 2)주요 물질과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공기중 : 2CCl₄+O₂→2COCl₂+2Cl₂, 습기중 : 2CCl₄+H₂O→COCl₂+2HCl,CO₂중 : 2CCl₄+CO₂→2COCl₂ ,금속접촉 : 3CCl₄+Fe₂ O₃→3COCl₂+2FeCl₂ 사용압력 (service pressure) 소화기의 압력계와 명판에 나타나는 정상 작동압력. 사용전압,

인입전압 (service voltage) 기기 등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통상 사용하는 전압.(同/supply voltage)

사유건물 (private building) 일반인들이 자주 출입하지 않거나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지 않는 건물 또는 건 물의 일부.

사이드 레이즈 (side raise) 사다리의 한쪽 다리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건물과 평행하게 사다리를 세우는 방법.(同/beam raise)

사이드 로링 사다리 (side rolling ladder) 가이드 레일(guide rail)에 부착된 반고정식 사다리. 보통, 선반에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캠프 (side camp) 오지에서의 임야화재 진화작업을 위해 임시로 건립한 소규모의 캠프.(同/fire camp, spike camp)

사이렌 (siren) 블레이드나 임펠러를 빠른 속도로 움직여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

사이잘 삼 (sisal) 아쿠브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섬유. 로프나 삼실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하며, 자연발열성이 있다.(參/henequen)

사이징, 가호 (sizing) 1)종이의 흡수성을 감소시키고 잉크의 번짐을 방지하며 종이 표면의 평활성 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품으로 처리하는 공정. 2)경사로 쓰이는 실에 풀을 먹이는 것.

사이클론 (cyclone) 대표적인 원심력 집진장치. 그림과 같이, 선회 기류 속에서 떠돌던 고체입자 는 원심력에 의해 벽쪽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고, 결국 사이클론 벽에 충돌하 여 기류로부터 분리된 후 원뿔의 하부에 모여서 외부로 배출된다. 사이클론 은 고온, 고압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이용 범위는 상당히 넓다.(參 /bag filter, dust collector)

사이클링 스프링클러 (cycling sprinkler) 參/on-off sprinklers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6  (0) 2023.06.20
소방용어115  (0) 2023.06.20
소방용어113  (0) 2023.06.20
소방용어112  (0) 2023.06.20
소방용어111  (0) 2023.06.20

사다리 지지봉 (staypole) 사다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막대.(同/tormentor, tormentor pole, 參/crotch pole, pole)

사다리 훅 (ladder hook) 호스를 사다리에 고정시키는 장치.

사다리소방차 (ladder truck) 1)사다리 운반을 주목적으로 하는 소방차. 2)기준 개수 이상의 지상사다리를 운반하는 차량.

사다리용 인상줄 (halyard) 확장사다리에 설치된 로프 또는 케이블. 사다리의 비행부분을 올리는 데 사 용한다.(同/fly rope, 參/lanyard)

사다리용 인상줄 (lanyard) 확장사다리의 비행부분을 펼칠 때 사용하는 로프.(同/halyard)

사다리의 기저부 (foot a ladder) 參/butt.

사다리차 소방대 (hook and ladder) 옛날의 사다리 수송 소방대를 지칭하는 것으로, 오늘날의 사다리차 소방대.

사다리차 소방대 (truck company) 1)사다리차, 공중작업대, 타워 사다리 소방차 등을 운용하는 소방대. 2)사다리 소방대.(參/hook and ladder)

사다리차 소방대원 (truckman) 사다리 소방대에 배속된 소방대원.(同/ladderman, trucker, truckie) 사마륨(Sm) (samarium)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희토류 원소. 발화온도 150℃(302℉). 사망자 (fatality) 화재가 발생한 시점부터 72시간 이내에 화재로 인해 사망한 사람.

사망재해율 (fatal accident rate(FAR)) 위험에 노출된 단위시간(보통, 1000명의 작업자가 일생동안 작업하는 시간)당 추정 사망자수.

사망확률 (fatality accident frequency rate(FAFR)) 일정한 업무 또는 행위를 (10에 8승)시간 행했을 때의 사망확률.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설계시 활용할 수 있는 화재위험도 표시법의 일종 사면 (dead front) 기기의 작동부분이 사람에게 노출된 충전부가 없는 면.

사상자 (casualty) 어떤 사고로 인해 부상 또는 사망한 사람. 화재 사상자, 진화작업 사상자, 긴 급의료 사상자로 구분된다.

사설 감시실 (proprietary supervising station) 사설 화재경보설비의 경보 또는 감시 신호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감시 및 신 호 검색을 위해 직원이 항상 상주하고 있는 장소.

사설 무선 신호장치 (private radio signaling) 사유 무선감시소에서 제어하고 있는 무선장치.

사설 소화전 (reverse hydrant) 인접한 상수도설비의 소화전에 호스를 연결하여 해당 급수설비로 물을 공급 하는 소화전.(同/laying out, private hydrant)

사설 호스라인 (house line) 옥내소화전 또는 가정용 수도설비에 영구 부착된 사설 소방호스.(同 /standpipe hose)

사설 화재경보설비 (proprietary system) 개인 건물에 설치된 화재경보설비. 비상시 모든 경보는 공공 소방서가 아닌 건물내 경비실로 전달된다.(同/proprietary fire alarm system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5  (0) 2023.06.20
소방용어114  (0) 2023.06.20
소방용어112  (0) 2023.06.20
소방용어111  (0) 2023.06.20
소방용어110  (1) 2023.06.18

사다리 고정 (heeling a ladder) 사다리의 바닥부분에 사람의 체중을 실어 바닥부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행위.

사다리 고정용 체인 (ladder dog chain) 한쪽 끝에 스파이크가 달린 금속 체인. 창문밑틀이나 지붕 등에 사다리를 고 정시킬 때 사용한다.(同/dog chain, ladder dog)

사다리 기저부 (ladder butt) 사다리 세로대의 바닥 끝부분.(同/heel)

사다리 노즐 (ladder nozzle) 고가사다리에 장착된 대구경 노즐.

사다리 록 (ladder lock) 1)사다리 가로대를 고정시켜 사다리의 비행부분이 단단히 자리잡을 수 있도 록 해주는 멈춤쇠. 2)소방대원이 사다리 세로대에 다리를 감아 안정된 자세를 취하는 몇 가지 방법.(同/leg lock)

사다리 받침대 (ladder bed) 사다리소방차에 설치된 받침대. 사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사다리 받침대 잠금쇠 (ladder bed lock) 소방차가 주행중일 때 사다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가사다리를 그 받침 대에 고정시켜 주는 잠금쇠. 잠금쇠는 수동 또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풀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사다리 받침목 (ladder block)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사다리를 세울 때 사다리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다리가 기울어진 쪽의 세로대 밑에 괴는 경사진 목재토막.

사다리 방수총 (ladder pipe) 고가사다리 팁에 장착된 대구경 방수노즐. 지상의 쌍구형 송수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사다리 배치 (spotting a ladder) 목적대상이나 사람에 다다를 수 있도록 사다리를 위치시키는 것.

사다리 세로대, 수평구 조재 (side rail) 參/beam.

사다리 세우기 (ladder raise) 1인 이상의 소방대원들이 사다리를 세우는 여러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

사다리 소방대 (ladder company) 사다리 소방차를 운행하고 사다리작업, 구조, 강제진입, 환기 등의 임무를 수 행할 수 있도록 훈련된 소방대.

사다리 소방대원 (ladderman) 사다리 소방대 소속 소방대원(同/trucker, truckie, truckman)

사다리 소방차 (truck) 호스나 펌프를 제외한 사다리 및 기타 소방장비를 탑재하고 다니는 사다리 소방차.(參/aerial truck, crash truck)

사다리 안전벨트 (ladder belt) 소방대원의 몸을 사다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 안전벨트로 몸을 사다리에 고정시킨 소방대원은 추락에 대한 염려 없이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 다.

사다리 운반법 (ladder carry) 소방대원들이 사다리를 운반하는 여러 가지 방법.

사다리 이동 (slide a ladder) 1)사다리를 가로방향으로 눕혀서 이동시키는 것. 2)사다리의 세로대에 두 발을 걸치고 미끄러지면서 내려오는 것으로, 비상시 이용할 수 있는 하강법이지만 매우 위험한 방법이다

사다리 적재 (ladder nesting) 사다리 적재에 소요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크기가 서로 다른 사다리들을 포개어 적재하는 방법.

사다리 지지막대 (ladder pole) 사다리를 세우거나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보조막대. 사다리에 부착되어 있 다.(同/crotch pole, tormento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4  (0) 2023.06.20
소방용어113  (0) 2023.06.20
소방용어111  (0) 2023.06.20
소방용어110  (1) 2023.06.18
소방용어109  (1) 2023.06.18

사강(斜降)식 구조대 (slide type escape) 고층건물의 개구부에서 지상으로 비스듬하게 미끄러져내릴 때 사용하는 활강 장치. 사건 (event) 장치의 운전이나 인간행위와 관련 있는 사고, 또는 시스템에 고장을 발생시 키는 시스템 외부에서의 사고.

사건수분석 (event tree analysis) 초기 사건을 따라 귀납적으로 예상결과를 확인하고 정량화하는 논리적인 위 험분석기법. 사고 (incident) 공익안전요원 1인 이상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화재 또는 기타 긴급사태.

사고 (incident) 소방 또는 그 밖에 공안 관련기관의 업무를 필요로 하는 화재나 재해

사고결과분석 (consequence analysis) 빈도, 확률에 관계없이 사고결과의 영향만을 분석하는 것.

사고기록 (incident record) 어떤 사고와 관련하여 소방서에서 기록 보관하는 공식문서.

사고기록일지 (log) 소방서 사건일지.(同/company journal, journal) 사고보고서 (incident report) 특정 긴급사태 처리 책임자가 서면으로 작성한 서류. 사고발생시간, 처리내 용, 세부적인 사고현황, 손해정도, 사상자 등이 기록된다.

사고사례 (incident history) 일정한 기간동안 일정한 지역에서 발생한 화재사고 조사보고서.

사고영향 모델 (effect models) 사망, 부상, 재산피해에 대한 사고의 영향을 예측하는 모델 사고영향 지역 (effect zone) 독성물질의 누출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하여 공기 중의 농도가 특정 농도 이 상인 지역. 인화성 물질의 누출사고로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 사고의 영향을 받은 지역. 열적인 사고로 일정한 복사열 한계에 근거하여 그 사고의 영향을 받은 지역.

사고원인 (accidental cause)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간의 행위가 개입된 화재사고의 원인. 부주의한 화 기 취급, 아세틸렌 장비를 사용하는 용접 및 절단작업 등.

사고이력데이터 (historical incident data) 과거사고로부터 수집, 기록된 데이터.

사고지휘체계 (Incident Command System) 사고현장을 신속히 처리하고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 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의 관리 책임을 갖는 사고현장 조 직구성 내의 장비, 자원, 인원, 절차. 의사전달체계 등의 체계.

사고현장 지휘자 (incident commander) 특정 사고현장에 필요한 모든 활동을 총괄하는 고위 소방간부.

사다리 (ladder) 2개의 세로대와, 일정한 간격으로 세로대에 걸쳐 있는 여러 개의 가로대로 이루어진 등판용 장비.(參/aerial ladder, attic ladder, bangor ladder)

사다리 가로대 잠금장치 (ladder rung locks) 사다리가 접히지 않도록 가로대를 고정시키는 잠금장치.

사다리 격납실 (nest of ladders) 사다리 소방차의 사다리 구획실 내에서 대형 사다리의 적재 공간 사이사이에 소형 사다리를 적재한 것.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3  (0) 2023.06.20
소방용어112  (0) 2023.06.20
소방용어110  (1) 2023.06.18
소방용어109  (1) 2023.06.18
소방용어108  (0) 2023.06.18

비터 (beater) 1)(제지공장) 펄프를 고해하는 기계의 일종. 비터는 타원형의 통, 칼날이 붙은 회전 롤 및 받침날로 구성된다. 회전날과 받침날의 사이로 펄프가 통과할 때 고해가 이루어진다. 2)회전에 의해 섬유재료에 타격작용을 주어 개섬과 제진을 하는 부품.

비통전 (deenergized) 지면으로부터의 전위차도 없고 전기 통전부 및 전원으로부터의 전기적인 접 속이 없는 것. 비트 (bit) 깎거나 구멍을 뚫는 공구의 날 끝부분을 총칭하는 말.

비파괴검사 ( n o n d e s t r u c t i v e examination(NDE)) 제품 등의 결함을 검사할 때 파괴하지 않고 검사하는 방식. 대표적인 것으로, 방사선시험, 자분탐상시험, 침투탐상시험 등이 있다.

비화(飛火) (communicated fire) 參/spot fire.

비화(산)화재 (spot fire) 임야화재에서 생성된 불똥이나 스파크 등으로 인해 연소저지선 외부에서 발 생한 화재.(參/spotting, spotting fire)

비화 (spotting fire) 비산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스파크나 불똥을 만들어 내며 진행되는 화재.(參 /spot fire)

빅 스틱, 긴 사다리 (big stick) 參/aerial ladder.

빌딩코드, 건축법규 (building code) 건물의 건축을 규제하는 법령. 빌딩의 분류, 높이, 내화성능, 방화설비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미국의 각 주는 "model building code"(민간기준)를 기 초로 하여 건축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미국 전역에서 인정받는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은 3가지가 있다. 1)The National Building Code(NBC): BOCA(Building Officials and Code Administrators International) 제정. 보카 코드라고도 한다. 2)The Standard Building Code(SBC): SBCCI(Southern Building Code Congress International) 제정. 3)The Uniform Building Code(UBC): ICBO(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ilding Officials) 제정.

빌릿, 강편(鋼片) (billet) 1)철강 제조업에서 강재의 형상치수를 분류할 때 사용하는 명칭으로, 각봉 또 는 환봉상태의 강재. 2)역소성(逆塑性) 가공시, 특히 압출가공시 사용하는 재료. 일반적으로 괴상의 환단면이나 각단면의 재료를 의미하고 판형의 것은 이에 해당하지 않음.

빔 레이즈 (beam raise) 사다리의 두 다리 중 한쪽 다리만을 지면에 접촉시켜 건물과 사다리가 평행 을 이루도록 사다리를 세우는 방법.

빔 맨 (beam men) 진화작업시 사다리의 빔에 의지하여 진화하는 소방대원. 빔, 들보, 보 (beam) 1)사다리의 가로대를 지지하고 있는 견고한 측면구조부재.(同/spar, string) 2)세로 지지대(기둥)에 놓여 있는 수평구조재로, 마루나 지붕 등의 하중을 지 탱한다. 3)빛이나 전파 등이 한쪽 방향으로 흐르는 것.

빔구조 (beam construction) heavy-timber construction, post-and-beam construction.

빙점 (freezing point)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액체가 고체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온도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2  (0) 2023.06.20
소방용어111  (0) 2023.06.20
소방용어109  (1) 2023.06.18
소방용어108  (0) 2023.06.18
소방용어107  (1) 2023.06.18

비상조명 (emergency lighting) 건물내 피난로, 비상구,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건물내 시스템 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만 점등되는 조명이다.

비상차량 (emergency vehicle) 긴급사태 발생 현장으로 인원 및 장비 등을 수송할 수 있는 차량으로 승인된 차량. 사이렌과 경광등이 설치되어 있다.(同/emergency tender)

비스무스 (bismuth(Bi)) 가용성 연결부에 사용하는 금속원소. 납과 유사한 성질의 금속으로서, 분말 형태에서는 인화성이 있다.

비스브레이킹 (visbreaking) 가솔린의 제조를 목적으로 하는 접촉분해법에 의해 제조된 접촉분해 원료유 의 점도를 저하시키고, 접촉분해시 코우크스화하는 것을 억제하는 전처리로 서 약 480℃, 수십 기압, 액상으로 수행하는 완만한 열분해법. 비열 (specific heat(sp ht)) 일정량의 물을 일정 온도로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Btu/lb/℉또는 ㎈ /g/℃로 표시한다.(參/heat capacity)

비열 (specific heat(sp ht)) 일정량의 물을 일정 온도로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Btu/lb/℉또는 ㎈ /g/℃로 표시한다.(參/heat capacity)

비용융형 스프링클러헤드 (nonsolder sprinkler) 기동장치에 땜납을 사용하지 않은 스프링클러헤드. (參/frangible bulb sprinkler, frangible-pellet sprinkler, high temperature sprinkler)

비위험장소 (nonhazardous location) 전기설비의 구조 및 사용시 특히 고려해야 하는 폭발성 혼합기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 비유전율 (dielectric constant) 유전체의 단위 체적 내에 저장되는 정전에너지의 양. 유전율 ε의 진공유전율 ε0에 대한 비율로 εr 또는εs로 나타낸다. 분극하기 쉬운 물질일수록 큰 값을 나타내며 기체는 대부분 1.0임.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절연물은 대체로 2-5 정 도의 것이 많고 물(80.7) 이나 알코올(25.8)은 큰 수치를 나타낸다. 비유전율이 큰 물질은 전계 중에 두면 외부 전계에 비해 내부 전계가 작아지고 콘덴서의 극판 사이에 두면 정전용량 C가 커짐.

비인화성 (nonflammable) 1)방염성에 기준하여 발생시킨 화염에서도 연소하지 않는 액체 또는 가스.(同 /flame resistant) 2)압력 760torr(1.0332 ㎏f/㎠)의 산소 100%에서도 연소하지 않는 액체 또는 가스.

비재용형 감지기 (nonrestorable detector) 화재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열감지부가 파괴되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 (參/restorable detector)

비재용형 기동장치 (nonrestorable initiating device) 작동시 내부 감지소자가 파괴되는 기동장치.(參/restorable initiating device)

비점, 비등점, 끓는점 (boiling point(bp)) 액체가 기화하기 시작하는 온도(압력과 액체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즉 액체 의 증기압이 대기압을 초과할 때의 온도. 보통, 1기압을 기준으로 한다.

비조정식 회로차단기 (nonadjustable circuit breaker) 차단기 트립에 필요한 전류값 또는 차단기 작동에 필요한 시간을 변화시킬 어떠한 조절장치도 장착되어 있지 않은 회로차단기.

비중 (specific gravity(sp gr)) 일정 온도, 일정 부피에서의 어떤 물질의 무게로, 같은 온도에서 같은 부피의 다른 물질의 무게와 비교한 비교중량.(參/density, gravity)

비중계 (hydrometer) 액체의 비중 측정 및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점검할 때 사용하는 장치.

비체적 (specific volume) 물질의 단위 무게당 부피. ㎥/㎏또는 gal/lb로 표시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1  (0) 2023.06.20
소방용어110  (1) 2023.06.18
소방용어108  (0) 2023.06.18
소방용어107  (1) 2023.06.18
소방용어106  (1) 2023.06.18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 ( b o i l i n g liquid-expanding vapor explosion) 탱크 안에 수용된 액체가 대기압에서 갖는 비등점 이상으로 가열될 때 탱크 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거대한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

비례추이 (proportioning shifting) 유도전동기에서 2차저항이 r₂인 경우 슬립-토오크 특성이 주어져 있을 때, 2 차저항을 p배한 경우에 얻어지는 특성은 특성곡선에서 각 토오크에 대응하는 슬립값을 p배하여 그림으로 구할 수 있는 이론.

비료용 질산암모늄, 초 안(NH₄NO₃) (fertilizer grade ammonium nitrate) 질산을 암모니아로써 중화하여 얻어지는 무색 결정. 물에 녹을 때 많은 열을 흡수한다. 약 200℃에서 분해, (NH₄NO₃→N₂O+2H₂O)더 높은 온도에서 는 폭발하므로 질산암모늄 폭약으로도 사용되며, 주용도는 질소비료. 비막이, 방수용 철판,

비 흘림 (flashing) 굴뚝이나 창문 주위, 또는 지붕에 설치하여 그 부위에 내후성을 부여하고 누 수를 예방해 주는 판. 양철 또는 구리로 만든다.

비발화성 (nonincendive) 정상적인 가동 조건하에서 가동할 때 또는 회로 배선이 개방, 단락, 지락상태 일 때에, 대기 중의 인화성 혼합기를 발화시킬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방출할 수 없는 것. 비발화성 장비, 부품, 회로, 접점 등은 '본질안전설비'에 비해 안 전성이 떨어진다.(參/intrinsically safe)

비방화 개구부 (unprotected opening) 바닥, 벽, 기타 칸막이 등이 지나가는 수직 또는 수평 개구부로서 연기, 열, 화염 등이 제한 없이 이동할 수 있는 것.

비복구형 압력방출장치 (non-reclosing pressure relief device) 작동된 후에는 개방상태로 있도록 설계된 압력방출장치. 일반적으로 파열판 이나 파괴핀장치라고 한다.

비상(전화)연락망 (red network) 긴급사태 발생시 의용 소방대원들에게 통보하고, 필요한 인력을 소집하기 위 해 설치한 전화연락망.

비상구, 피난통로 (exit) 1)건물 또는 구조물의 내부로부터 지상의 외부로 연결된 탈출로. 피난경로에 는 비상구, 피난통로, 수평 피난로, 구획된 피난계단과 피난경사로가 포함된 다. 2)피난 지역.(參/egress, fire escape)

비상근 소방대 (retained station)(英) 시간제 소방대원들로 구성된 소방대 비상근 소방대원 (retained fire fighter) (英) 출동요청이 있을 때에만 출동하는 시간제 소방대원 비상근 유급 소방대원 (part-paid fire fighter) 정규 소방대원 부재시 진화작업을 수행하고, 실제 근무시간에 따라 임금을 받는 임시직 소방대원.

비상소집, 리콜(recall) 1)긴급사태 발생시 비번인 소방대원들을 소방서 또는 화재현장으로 소집함. 2)소방대가 진화작업을 마치고 귀환하여 또 다른 진화작업을 위해 출동준비 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 또는 불길이 잡히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신 호.

비상정지스위치 (emergency stop switch)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하는 장치로서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엘리베이터 등이 즉각 정지하게 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10  (1) 2023.06.18
소방용어109  (1) 2023.06.18
소방용어107  (1) 2023.06.18
소방용어106  (1) 2023.06.18
소방용어105  (0) 2023.06.18

블록밸브, 구역제어밸브 (divisional valve) 소화용 배관의 파열 등에 대비하기 위해 루프배관(loop main)이 지나가는 구 역마다 블록화 하여 배관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는 밸브. 스프링클러설비의 루프식 배관, 소화전 옥외 주배관(지하배관의 경우, 포스트식 개폐표시형 밸 브 사용) 등에 설치한다.(同/sectional control valve)

블루스톤, 청석, 황산구리 (bluestone) 1)건축용 타일의 일종. 2)參/blue vitriol.

비계 (scaffold)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임시로 설치한 이동식 플랫폼과 그 부속구조물. 비관통벽 (unpierced wall) 파이프나 도관 등이 관통하는 부분을 밀봉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 벽. 또 한 벽체에 설치된 모든 창문이 안전유리나 망입유리로 되어 있는 벽.

비금속(卑金屬),모재(母 材) (base metal) 1)용접 또는 절단되는 금속. 2)귀금속의 반의어. 알칼리금속, 알칼리토류금속과 같이 공기 중에서 쉽게 산 화되는 금속을 말한다

비금속 외장 케이블 (nonmetallic-sheathed cable) 방습, 방염, 비금속성 외피로 덧씌워진 2가닥 이상의 전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공장 조립물.

비금속 익스텐션 (nonmetallic extension) 비금속 외피 또는 플라스틱 압출 외피로 덧씌워져 있는 2개의 절연 전선 어 셈블리.

비금속외장 케이블 ( s h i e l d e d nonmetallic-sheathed cable) 내습성, 방염성 비금속 재료의 압축성형된 중심에 2가닥 이상의 절연전선을 꼬아 만든 나선형 금속 테이프. 전선 차폐물과 내습, 방염, 내유, 방식, 방균, 방광성 비금속 재료로 피복한 SNM형 케이블. 비내력벽 (nonbearing wall) 자체 중량만을 지탱하고 바닥이나 지붕 등에 의한 다른 하중을 받지 않는 벽.

비내장 소방호스 (unlined fire hose) 면, 마, 합성섬유 등으로 만들어진 소방호스로서 고무튜브나 라이닝이 되어 있지 않은 것. 주로, 습식 스탠드파이프가 설치된 건물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임야화재를 진화할 때에도 사용한다.

비내화 철골 (unprotected steel) 방호피복이 부실하여 화재의 열기에 직접 노출될 위험이 있는 철골구조재. 비노출면 (unexposed surface) 건물에서 화재에 노출된 면의 반대쪽 면.

비노출면 온도 (unexposed surface temperature) 화재에 노출된 면의 반대쪽 면에 위치한 바닥, 지붕, 벽, 또는 칸막이 등의 표면온도.

비드 (bead) 1)용접작업에서 모재와 용접봉이 녹아서 형성된 가늘고 긴 형태의 띠. 2)중심에 구멍이 있는 유리,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절연물. 동축선로(同軸線 路)에서, 내부 도체를 선로의 중심에 바르게 고정하기 위한 지지도구로 사 용된다.

비등 (boil) 수증기 및 증기 거품이 격렬하게 뿜어져 나오는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參 /boiling point)

비등수형 원자로 (boiling water reactor(BWR)) 냉각제인 경수(輕水)를 비등시켜 기수(氣水) 분리기로 유입하고, 원자로 내부 에서 다시 증기와 포화수를 분리한 다음, 증기터빈으로 유입하여 발전하는 방식. 열효율은 좋지만 방사능 누출 위험이 있다.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 (bLEVE) 略/Boiling Liquid-Expanding Vapor Explosion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09  (1) 2023.06.18
소방용어108  (0) 2023.06.18
소방용어106  (1) 2023.06.18
소방용어105  (0) 2023.06.18
소방용어103  (0) 2023.06.18

브리지 포인트 (bridging point) 1)중계회선시설, 구간시설 또는 두 시설 모두에 신호라인회로가 분포되어 있 는 위치. 2)두 개의 구내 정보통신망(LAN)시스템을 이어주는 접속장치가 있는 위치.

블라스팅 (blasting) 제품이나 재료의 표면에 모래나 강(鋼) 입자와 같은 연마재를 첨가한 물 등 을 강력하게 분사하여 스케일, 녹, 도막 등을 제거하는 것.

블라스팅 파우더, 발파 용 화약 (blasting powder) 유황, 목탄, 질산나트륨으로 구성된 화약. 흑색화약에 비해 유황을 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다.(參/black powder)

블래더 (bladder) 포소화약제로 가득 채워진 통발. 소방차 물탱크 안에 가라앉힌다.

블래더 탱크 프로포셔너 (bladder tank proportioner) 압력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다이어프램 안에 포원액이 들어 있는 표준 프레 셔 프로포셔너와 유사한 프로포셔너. 작동방법은 포원액과 물이 분리되어있 어 비중에 관계없이 모든 포원액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준 프레셔 프로포셔너와 동일하다.

블랙 아웃, 암화 (暗化)(blacken down) 불꽃으로 가득찬 곳에 물을 뿌려 어둡게 하는 것.

블랙 파우더, 흑색화약 (black powder) 질산칼륨(KNO₃), 목탄, 유황(질산나트륨 [NaNo₃]은 질산칼륨으로 대체 가 능)의 혼합물로 구성된 폭발물. 열에 민감하고 신속하게 연소하는 성질이 있 으며, 폭굉(detonation)은 일어나지 않지만, 화재 및 폭연(deflagration)의 위험 성은 있다.(參/blasting powder)

블랭크 캡 (blank cap) 호스피팅의 나사산이 작동자의 부주의함으로 인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

블레이즈 (blaze) 1)격렬하게 연소하는 화재. 2)환하게 타오르다.

블로우 오프, 분출 (blow off) 보일러를 수리하거나 물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보일러 내의 물을 전부 또 는 일부 배출하는 것.

블로우 탱크 (blow tank) 증해가 끝난 펄프의 방출을 받아내는 탱크. 일반적으로 강철제 내압 탱크를 사용한다. 블로우다운 (blowdown) 1)릴리프밸브의 설정압력과 복구압력 사이의 차이. 설정압력의 백분율이나 압 력단위로 표현됨.(同/blowback) 2)공정상에서 응축성 가스, 열유, 열액체 등을 액체로 배출하는 경우에 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 설비. 반응장치, 증류탑 등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프, 이것을 안전하게 저장하는 탱크, 연소처리의 경우 기화시키는 증발기 등으 로 구성되어 있는 장치.

블로우업 (blowup) 실질적인 통제가 불가능히지거나, 또는 진화계획을 전면 수정해야 할 정도로 화재의 강도와 확산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 간혹, 화재폭풍과 유사한, 격렬한 대류현상을 동반한다. 파열, 폭발이라고도 함.

블로우업 화재 (blowup fire) 임야화재가 갑자기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것을 말한다. 대기압의 상승, 낮은 습도, 바람 등이 주원인이다

블로우업, 파열, 폭발 (blowup) 실질적인 통제가 불가능해지거나, 또는 진화계획을 전면 수정해야 할 정도로 화재의 강도와 확산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 간혹, 화재폭풍과 유사한, 격 렬한 대류현상을 동반한다.

블록 (block) 1)활차에서 로프나 체인이 통과하는 도르래를 하나 이상 수용하고 있는 함. 2)4개의 큰 도로(街)를 경계로 하는 지역. 3)인접 건물군.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08  (0) 2023.06.18
소방용어107  (1) 2023.06.18
소방용어105  (0) 2023.06.18
소방용어103  (0) 2023.06.18
소방용어102  (0) 2023.06.18

붐 (boom) 공중작업대의 승강빔. 붐의 구조에는 강화된 외판 박스빔형, 트러스된 격자 형, 개방된 "U" 트러스형 등이 있다.

붐 지지대 (boom support) 차대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구조적 구성품. 움직일 때 공중장치를 지지하 는 데 사용한다.

붕산염 용액 (borate solution) 예전에, 연소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임야화재 진행로에 있는 가연물에 뿌렸 던 슬러리(slurry).

붕소(B) (boron) 900℃(1,652℉) 이상의 온도에서 금속과 접촉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비금속 원소. 공기 중에서 붕소 분진은 자연발화한다.

붙임기둥, 벽기둥 (pilaster) 벽 속에 세워져 벽면 위로 살짝 돌출되도록 한 기둥.

브라스, 황동 (brass) 1)소방차 및 소방서에서 황동 또는 크롬으로 된 장비. 2)소방차에 소방호스를적재할 때, 커플링의 접근을 의미. 3)구리와 아연 합금인 노란색 금속. 브러시,

덤불 (brush) 1)발전기에서, 전기자로부터 전력을 뽑아 내거나 또는 전동기의 회전자에 전 력을 주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 2)산림 바닥에 있는 나뭇잎, 가지 등이 쌓여 있는 것.

브레스난 회전 분무노즐 (bresnan distributor nozzle) 물이 공급되면 헤드부분을 회전시켜 방사형으로 물을 분출하는 특수분무노 즐.(參/circulator nozzle)

브레이크 (brakes) 소방차에서 수동으로 펌핑할 때 사용하는 긴 손잡이.

브레이크오버 (breakover) 연소저지선 또는 자연적인 방화선을 침범하여 연소를 지속하는 임야화재.

브레이크오버 (breakover) 임야화재에서 불길이 자연적인 방화선이나 연소저지선을 돌파하여 계속되는 현상.(同/slopover, 參/breakover fire)

브로드캐스트 버닝 (broadcast burning) 특정 지역으로의 확산을 목적으로 일으킨 의도적인 불.(參/area ignition, center firing, simultaneous ignition, spot burning, edge firing)

브로모메탄(CH₃Br) (bromomethane) 參/ethyle bromide.

브로모클로로디플루오로 메탄 (bromochlorodifluorome thane(BCF))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CFP₂CLBr)(同/Halon 1211)

브로모클로로메탄 (bromochloromethane(C BM))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CH₂CLBr)(同/Halon 1011)

브로모트리플루오로메탄 (bromotrifluoromethane( BTF))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및 냉매로 사용(CF₃Br)(同/freon, Halon 1301)

브롬화 메틸(CH₃Br)V (methyl bromide) 쉽게 액화되는 무색의 불연성 가스. 발화온도 536.1℃(997℉), 폭발범위 10~16Vol.%, 인화점은 없다. 인체 내로 유입될 경우 독성이 있다.(同/Halon 1001)

브리지 (bridge) 진화작업시 호스가 도로를 지나가야 할 경우, 호스를 보호하고 교통의 흐름 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덮개.(同/hose bumper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07  (1) 2023.06.18
소방용어106  (1) 2023.06.18
소방용어103  (0) 2023.06.18
소방용어102  (0) 2023.06.18
소방용어101  (0) 2023.06.18

분출밸브 (blow off valve) 물이 보일러 내부에 농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해 물의 일부를 방출할 때 사용하는 밸브.

분포(살포)시험 (ground pattern test) 스프링클러헤드에서 방출된 물의 양, 분포형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분포형 열감지기 (line type heat detector) 전선 모양의 감지부(열전대, 반도체 등)를 통해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 기.

분해 (decomposition) 1)느린 산화반응. 2)감지될 만한 열기나 빛을 발하지 않은 채 연소하는 것. 3)하나의 물질이 두 가지 이상의 다른 물질로 변하는 화학변화.

분해폭발 (decomposition explosion) 아세틸렌, 금속질화물, 유기과산화물 등(보통, 폭발물로 분류되지 않는 일부 물질도 포함)의 급속한 발열반응이 원인이 된 폭발로 화학적 폭발의 일종임. 엄청난 양의 고온가스 방출이 뒤따른다.

불꽃감지기 (flame detector) 1)불꽃의 존재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는 전자장치. 2)자외선, 적외선, 또는 화재시 생성되는 가시광선에 의해 작동하는 감지장치.

불꽃감지기 (radiant energy sensing fire detector) 열기로 인한 복사에너지(자외선,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등)를 감지하는 장치.

불꽃놀이법 (Model Fireworks Law) {북미소방관협회}에서 권장하는 불꽃놀이 규제에 관한 기본 준칙. 미국의 대 다수 주에서 법률로 채택하고 있다.

불꽃방출 (flame jet) 저장용기 속의 가연성 내용물이 분출 즉시 점화하게 되면 내용물의 분출 방 향에 따라 불꽃이 형성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불꽃은 소화하기가 매우 어렵 다. 또 불꽃에 의해 용기 주변의 가연성 물질이 발화하게 되고 시설물 또한 불꽃의 열기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불꽃플리커감지기 (flame flicker detector) 불꽃에서 발생하는 특징적인 주파수를 갖는 빛(플리커)에 반응하는 광전자 불꽃감지기.

불도저 (bulldozer) 앞부분에 커다란 삽 모양의 장치가 부착된 트랙터. 흙을 밀어 붙여서 연소저 지선을 구축할 때 이용한다.

불도저 작업대 (bulldozer company) 불도저 운전자와 그 조수로 구성된 소방용 불도저 작업대.

불소 (fluorine(F)) 비금속성 할로겐 원소. 연노란색, 인화성, 자극성, 독성 가스. 인화점 -220℃ (-364℉). 상온에서는 대부분의 산화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며, 화재위험이 대 단히 큰 원소이다.

불쏘시개 (kindling) 불을 붙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로서, 가연성이 뛰어나다.

불쏘시개, 펑크 (punk) 1)압축톱밥을 작게 뭉친 것. 아주 천천히 연소하며, 불쏘시개로 사용하기도 한다. 2)그을리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부식된 물질(고목 등). 주의 깊게 진화하지 않 을 경우에는 연기만 피우면서 연소를 지속한다.

불안정성 (instability) 이동식 유닛에서 전도를 방지하는 모멘트의 합이 유닛이 전도하는 모멘트의 합 이내에 있는 상태.

불안정한 물질 (unstable material) 활발하게 중합, 분해, 응축되거나, 자체반응 또는 기타 격렬한 화학변화를 일 으킬 수 있는 물질.

불안정한 액체 (unstable liquid) 충격을 받거나 고압, 고열 등에 노출되면 격렬하게 분해되거나 자기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액체.(同/reactive liquid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06  (1) 2023.06.18
소방용어105  (0) 2023.06.18
소방용어102  (0) 2023.06.18
소방용어101  (0) 2023.06.18
소방용어100  (1) 2023.06.18

분무도장실 (spray room) 인화성 또는 가연성 물질이 개방 공간에서 사용되고, 기계식 환기설비가 설 치되어 있는 완전 밀폐실.

분무도장지역 (spray area) 위험한 양의 인화성 또는 가연성 증기, 미스트, 잔류물, 분진 또는 침전물이 도장작업으로 인해 존재하는 지역.

분무식 도장 (spray painting application) 압축공기를 이용, 도료를 분무상태로 분사하여 도장하는 방식.(同/spray finishing)

분무형 스프링클러헤드 (spray sprinkler) 열 흡수라는 스프레이 원리를 이용하여 화재를 제어하도록 고안된 자동 스프 링클러헤드.(同/spray sprinkler head, 參/sprinkler system)

분배중계차 (distributor truck) 압력계가 달린 여러 개의 호스 흡입구와 토출구가 장치되어 있는 분배중계 차.(同/manifold truck)

분수우물 (artesian well) 탐사지점 바로 위의 대수층(帶水層)으로부터 분출된 우물. 지하수 압력에 의 해 물이 분출된다.

분압 (partial pressure) 기체 혼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특정 성분의 압력. 분자 (molecule) 1개 이상의 원자로 구성된 화학물질단위.

분전반 (panelling) 參/panelboard.

분전반, 패널판 (panelboard) 1)전등, 열, 전력회로 등을 제어하는 스위치, 버스, 자동식 과전류 차단장치를 수납하는 조립식 패널. 전면에서만 접근 가능하고 벽 또는 칸막이에 위치한 캐비닛 또는 컷아웃 박스 내에 위치한다. 2)얇은 플라스틱 조각판 또는 한쪽 면에 목재합판을 붙인 플라스틱 압축판. 내장재로 사용된다.(同/panelling)

분진 (dust) 사람이 흡입할 경우 인체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화재위험을 안고 있는 직경 10u 미만의 미세한 고체 입자들. 분진을 종류별로 분류하면, 1)모든 형태의 금속 입자들, 2)실리카, 운모, 활석, 석영, 흑연, 점토, 탄산칼슘, 석면 등, 3)화 학약품, 살충제, 밀가루 등의 곡물류, 셀룰로스, 석탄 등이 있다. 사람의 폐에 가장 치명적인 광물분진의 크기는 0.5~2u 사이이다. 밀폐된 작업구역 내의 분진 부유물은 그 화학적 성질에 관계없이 높은 화재위험을 내포하고 있으 며, 정전기 스파크나 기타의 점화원에 의해 폭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밀폐된 작업실에는 백필터실(bag-house), 집진기, 침전기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분진 위험장소 (class Ⅱ hazardous location) 가연성 분진에 의한 위험장소.

분진누적 (loading) 스프링클러헤드에 분진이나 도료 등이 부착되는 현상. 헤드의 작동을 지연시 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분진용 방폭 전기기기 및 외함 (dust ignition proof equipment and encloser) 분진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방폭구조를 갖춘 전기기기 및 외함.

분진폭발 (dust explosions) 가연성 고체(곡물, 나무, 석탄, 플라스틱 물질, 경금속 등)의 미세한 입자들이 주변의 공기 또는 산소와 결합하여 완전연소를 일으키는 현상. 부피가 클 때 에는 잘 연소하지 않던 물질도 분진형태에서는 활발한 연소성을 나타낸다. 분진의 착화에너지는 10(마이너스2승)∼10(마이너스3승)J이며, 폭발범위는 하 한이 25(45), ㎎/ℓ상한이 80㎎/ℓ이고, 입자의 크기는 100㎛ 이하이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05  (0) 2023.06.18
소방용어103  (0) 2023.06.18
소방용어101  (0) 2023.06.18
소방용어100  (1) 2023.06.18
소방용어99  (2) 2023.06.18

분기시설 (leg facility) 하나 이하의 방호구역을 제1 또는 제2 중계시설에 접속시킨 통신채널의 일 부. 이 시설은 중계시설의 접속점으로부터 방호구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중 계기의 종단까지 신호전송회로의 일부를 말하기도 한다.

분기회로 (branch circuit) 회로를 보호하는 최종 과전류장치와 부하설비 사이의 회로전선.

분당 입방피트 (cubic feet per minute(cfm)) 풍량 측정치. ft³/min

분당 회전수(rpm) 略/revolutions per minute.

분리, 방화구획 (separation) 1)건물과 건물 또는 물질과 물질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 건물 또는 물질이 화재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 2)연소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방화벽 등의 방벽.(參/firebreak, fire separation, separated storage, separate fire division)

분리노즐 (break-away-nozzle) 호스 주수의 유효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차단밸브로부터 팁(tip)을 분리시킨 노즐. 분리배치 (split lay) 2대의 펌프차를 이용하여 1대는 호스 전진배치, 또 1대는 역배치에 사용한 호스배치법.

분리저장 (detached storage) 혼재불가능 물질을 저장하지 않고, 다른 구조물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옥외 개방된 지역 또는 별도의 건물에 저장하는 것.

분리저장 (storage, segregated) 혼합하여 저장할 경우 위험할 수 있는 물품을 동일 실내에 저장하되 물품들 사이에 공간을 두고, 혼합하여도 위험하지 않은 물품을 그 공간에 삽입하여 저장하는 저장법.

분리적재함 (divided bed) 2칸 이상으로 구획되어 있는 소방차 호스함.(同/divided body, split bed)

분말소화기 (dry chemical extinguisher) 분말 소화약제와 추진제가 충전되어 있는 소화기. A, B, C급 화재 모두에 사 용할 수 있다.

분말소화약제 (dry chemical) 탄산수소나트륨,(NaHCO₃), 탄산수소칼륨,(KHCO₃) 요소 + 탄산수소칼륨 ,([NH₂]₂CO+KHCO₃) 또는 제1인산암모늄(NH₄H₂PO ₄)등이 주성분인 분말소화약제. A, B, C급 화재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소화약제로, 취급 및 보관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參/dry powder)

분무 (fog)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방출된 수증기 구름.(參/high pressure fog)

분무 각도 (fog cone) 무상노즐에서 방출되는 물분무의 각도. 노즐에 부착된 오리피스를 각의 중심 으로 분무기류의 한 면과 그 반대면을 연결하여 측정한 각.

분무 애플리케이터 (fog applicator) 2.43m(8ft) 또는 3.03m(10ft) 배관에 연결된 무상노즐 팁에 부착하는 것으로, 열기가 지나치게 강하여 근접할 수 없는 화재나 연소중인 탱크의 테두리를 넘어서 연소하는 화재를 진화할 때 사용한다.

분무공격 (impingement) 물분무노즐에서 방사된 작은 물방울들이 물체의 표면을 직접 강타하는 것.

분무노즐 (spray nozzle) 물을 분무형태로 주수할 수 있도록 고안된 노즐.(同/fog nozzle, 參/nozzle)

분무도장부스 (spray booth) 페인트 분무작업을 위해 특별한 환기설비를 갖춘 구조물. 스프레이, 증기, 기 타 잔해들이 구조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자동 표면처리식 (automotive refinishing), 상향 통풍식, 하향 통풍식, 전면 개방식, 이동식, 터 널식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03  (0) 2023.06.18
소방용어102  (0) 2023.06.18
소방용어100  (1) 2023.06.18
소방용어99  (2) 2023.06.18
소방용어98  (0) 2023.06.18

부싱, 투관, 축받이 통 (bushing) 1)스프링클러헤드 교체시 스프링클러설비 티(tee) 부위의 개구부를 축소시켜 주는 관부속. 2)전기가 흐르는 전선이 벽이나 탱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애자. 변압 기의 상부에서 전선을 지지하고 있는 애자.

부압(-), 음압 (negative pressure) 대기압 미만의 압력. 일종의 부분적인 진공상태.

부유분체 (aerated solid powders) 하부로부터의 균일한 통기로 인하여 컨테이너 안에서 유동화된 분체도장재 료. 이러한 물질은 유동상을 형성하여 피도장 물질을 액체에 침지하듯이 그 유동상에 침지하는 것이 보편적인 관행이며, 그 유동상은 분체 분무작업에도 이용됨.

부착력 (bond strength) 서로 다른 2개의 물질이 접촉할 때, 두 물질의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힘.

부착물 (attached) 호스 또는 펌프에 연결 및 운반되는 노즐, 호스, 기타의 장치들.

부촉매소화 (chemical flame inhibition) 소화약제를 투여하여 연소의 기본적인 연쇄반응을 차단시키는 진화의 한 방 법.

부취(付臭)제, 착취(着臭)제 (odor additives) 냄새가 없는 천연가스나 LP가스 등에 첨가하는 방향제. 상업용 부취제로는 지방성 황화물, 황화탄소계 화합물 등이 있다.

부타디엔 (C4H6)(butadiene) 인화점 -76℃(-105℉), 발화온도 420℃(788℉), 폭발범위 2~12Vol.%인 무색 의 탄화수소가스. 약간의 독성이 있으며 합성고무 제조에 사용한다.

부탄(C4H10) (butane) 인화점 -60℃(-76℉), 발화온도 405℃(761℉), 폭발범위 1.9~8.5Vol.%인 무색 의 탄화수소가스. 냉매 및 연료로 사용한다. 

부트 (boot) 1)발과 다리를 보호해 주는 가죽 또는 고무 덮개. 2)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장비 위에 설치한 슬리브.

부하용량 (loading capacity) 특수한 구조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재경보설비에서 불연속적인 소자의 최대수. 분극지수시험 (polarization index test) 전압을 인가하고 2분 후에 전기기계의 절연저항을 시험하는 것. 그 후 10분 마다 반복 측정하여 절연저항의 변화를 측정한다.

분기 (branch) 1)연결부 또는 펌프로부터 뻗어 나온 호스. 2)하나 이상의 2단자 부품이 직렬로 접속된 것으로서, 회로의 두 분기점 사이 를 연결하고 있는 부분. 3)그래프에서 2개의 마디(노드)를 연결하는 부분 또는 한 개의 마디에 연결된 자기폐쇄형 루프. 4)2이상의 붕괴모드를 가진 방사성 핵 중에서 한 개의 붕 괴 모드에 의해 생긴 생성물.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02  (0) 2023.06.18
소방용어101  (0) 2023.06.18
소방용어99  (2) 2023.06.18
소방용어98  (0) 2023.06.18
소방용어97  (0) 2023.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