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사이렌 (electric siren) 홈이 파인 디스크가 있는 전동기를 사용하는 음향경보장치. 한 가지의 경보 음만 낼 수 있지만, 음량이나 소리의 간격은 전동기의 속도에 따라 다양하 다.(同/electro-mechanical siren, 參/electronic siren)

전기스위치 (electric switch) 전기회로의 접속을 연결, 차단, 변환시키는 장치.

전기시설 예방관리 (electrical preventive maintenance) 발생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감지, 감소, 제거할 수 있도록 전기기기의 일상적 인 점검, 시험, 수리 절차.

전기안전 (electrical safety) 전기에너지의 사용에 관련된 위험을 인지하고 위험으로 인한 상해 또는 사망 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수립하는 것.

전기자 (armature) 전자기 장치에서 고정자에 대해 회전 또는 이동운동으로 전기-기계에너지의 변환 또는 회로의 개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

전기작업용 장갑 (lineman's gloves) 고압 전기기기 작업시 착용하는 절연 장갑. 장갑의 맨 안쪽 내피는 면, 중간 층은 고무, 그리고 장갑의 외피는 가죽으로 되어 있다.

전기적 위험 (electrical hazard) 부주의하거나 무의식적인 접촉이나 기기 고장으로 전기쇼크, 아크 섬광화상, 열화상 또는 폭발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상태.

전기적인 보호 (electrical protection) 방폭전기설비에 이상상태가 발생한 경우 방폭전기설비가 점화원이 되지 않도 록 보호하는 조치. 전

기적인 안전작업조건 (electrically safe work condition) 작업하는 전선 및 회로가 통전부분에서 단로되고, 잠금/꼬리표를 부착하며, 회로전압을 시험하고, 필요한 경우 접지된 상태.

전기화재 (electrical fire) 통전중인 전기기기가 관련된 화재. 전단력(剪斷力) (shearing force) 1)3가지 부재응력(축방향력, 전단력, 휨모멘트) 가운데 하나. 2)부재의 축에 직각 방향으로 작용하여 부재에 변형을 일으키려는 힘 3)부재의 축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부재를 절단하려는 힘.

전단벽 (shear wall) 벽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내력벽 및 비내력벽.

전도 (conduction) 1)고온 물체와 열전도체의 직접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열의 전달. 2)열기류의 전달. 전도도 (conductivity)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상대적 능력, 또는 전도에 의해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상대적 능력.

전도성 (conductive) 전류를 운반하는 성질.

전도성 바닥 (conductive floor) 전도성 소재로 시공된 바닥. 정전기 방지대책의 일종이다.

전동식 릴리프밸브 (power-actuated relief valve) 밸브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때 동력(전기, 공기, 스팀, 수압)을 이용하는 압력방출장치.

전등용 아웃렛 (lighting outlet) 조명기구 또는 램프홀더에서 단자 처리한 펜던트 코드, 램프홀더, 조명기구를 직접 접속하기 위한 수구.

전력 및 제어용 케이블 (power and control tray cable) 비금속 외장아래에 접지선의 피복 유무에 관계없이 케이블 트레이, 전선로, 지지선에 설치하기 위한 2개 이상 절연전선으로 TC형 케이블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05  (0) 2023.07.04
소방용어204  (0) 2023.07.04
소방용어202  (0) 2023.07.04
소방용어201  (0) 2023.07.04
소방용어200  (0) 2023.07.04

저항 브리지식 연기감지기 (resistance bridge smoke detector) 전기 브리지 그리드로 떨어져내린 연소생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습기나 연기 입자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경보기.

저항성 전류 (resistive current)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동상인 전류.

적린 (red phosphorus) 보랏빛이 나는 붉은색의 분말. 인의 동소체로, 260℃(500℉)에서 발화한다. 대 량으로 쌓여 있거나 산화물질에 노출될 경우에는 자연발화하기도 한다.

적법한 연기 (legitimate smoke) 공장이나 화덕 등에서 발생하는 연기. 화재사고가 아닌 보통의 화기 사용으 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를 말한다.

적색경계표지 (red tag alert system) 붉은 색의 표지를 사용하여 사고예방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방법.

적외선 (infrared) 파장의 크기가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커서 눈에 보이지 않는 광선.

적외선 가열 (infrared heating) 보통, 필라멘트 전구를 저온에서 점등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적외선 방사를 통해 가열하는 것. 잉크, 아교, 바니시, 페인트 등을 건조할 때, 냉동 식품을 녹일 때, 의료목적 등으로 사용한다.

적외선 감지기 (infrared ray detector) 복사 에너지 가운데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하는 불 꽃 감지기.(同/infrared flame detector)

전격(電擊) (electric shock) 전류가 인체 내를 통과하여 신경이나 근육이 마비되고 생리기능이 저하되었 을 때 중대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전기의 방전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재해로써 정전기에 의한 전격은 대부분 전격사(電擊死)가 발생할 만큼 강하 지 않다.

전광사인 (electric sign) 정보를 전달하거나 주의를 끌기 위하여 단어나 기호를 이용하는 고정식 또는 휴대용 자립식 전기조명장치.

전극, 용접봉 (electrode) 1)전류를 유입하거나 유출시키는 곳. 음극과 양극이 있다. 전지의 전극, 진공 관의 전극, 콘덴서 등의 전극 등 여러 가지가 있다. 2)아크용접 또는 가스용접에서 용접 부분에 녹여 접합하는 금속봉. 나봉(裸 棒)과 피복봉이 있고, 또 철강재 용접봉(탄소강, 주철, 특수강 등)과 비철금 속 용접봉으로 구분된다.(同/welding rod)

전기 (electricity) 전기는 기본적으로 음의 특성을 갖는 전자와 양의 특성을 갖는 양자 또는 중 성자로 이루어져 있다. 마찰 등으로 인한 물체의 인력과 척력은 자연현상에 서 관찰할 수 있는 전기의 대표적인 예이다.

전기기기 (electrical equipment) 전기시설의 일부, 전기시설에 접속하는 재료, 피팅, 장치 및 조명기구, 소형 전기기계기구에 적용하는 일반적인 용어. 발전설비, 변전설비, 배전설비, 부하 장치 및 제어, 보호, 감시장치를 포함한다.

전기뇌관 (electric blasting caps) 전기를 사용하여 연소 또는 폭파시킬 수 있는 특수 뇌관. 보통의 퓨즈발파뇌 관과 비슷하게 제조된다. 여러 개의 폭발물을 동시에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 고 폭파시킬 수 있다.

전기부하기기 (utilization equipment, electrical) 전자, 전자기기, 화학, 가열, 점화, 또는 이와 유사한 목적에 전기에너지를 사 용하는 장비.

전기분해, 전해 (electrolysis) 수용액 속에서 전류에 의해 물과 기타 무기화합물이 분해되는 현상. 분해의 정도는 수용액에 가해진 전기의 양에 비례한다. 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음이온 과 양이온은 각각 양극과 음극으로 이동하여 축적되거나 방출된다. 이때 전 극에 있던 금속이온은 코팅제로 작용하게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04  (0) 2023.07.04
소방용어203  (0) 2023.07.04
소방용어201  (0) 2023.07.04
소방용어200  (0) 2023.07.04
소방용어199  (0) 2023.07.02

저압탱크 (low pressure tank) 0.053∼1.05㎏/㎠ (0.5~15psi)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저장탱크.

저연소이론 (Low-Burning Theory) 화재는 그 진행 방향에서 장애물을 만날 때까지 상향 운동하는 성질이 있다. 장애물은 칸막이벽과 같은 가연물일 수도 있지만, 어쨌든 잠시라도 화재의 확산을 저지해 준다. 장애물을 만나면 화재는 버섯 모양으로 퍼지거나 또는 장애물을 타고 넘어 장애물 아래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시작한다.

저온취성(低溫脆性) (cold shortness) 강(鋼)의 온도가 상온 이하로 내려가면 외부의 힘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고 충격, 피로 등에 대한 저항력도 감소하게 되는 성질. 특히, 냉한지에서는 기 계 재료의 주요 파손 원인이 된다.

저장실 (storage room) 인화성 및 가연성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방. 다른 구역으로부터 완전 차단되 어 있으며, 별도의 환기장치를 갖추고 있다.

저장실 (vault) 화재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비 및 유지관리되는 저장 전용 내 화 밀폐실.

저장용구 (storage aids) 물품을 저장 및 분리할 때 사용하는 선반, 팰릿, 짐깔개, 분리판, 스키드 등. 저장탱크 (tank storage) 저장용 탱크. 설치형태에 따라 옥외저장탱크, 옥내저장탱크, 지하저장탱크, 간 이저장탱크, 이동저장탱크로 구분한다.

저장품 차단벽 (storage cutoff) 1)섞여 있을 경우 위험할 수 있는 물품을 동일 건물 내에 저장할 때에는 분 리하여 저장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분리저장을 위해 사용하는 격벽이나 고 정식 탱크 등을 말한다. 2)분리저장용 벽체로서 그 내화성능이 1시간인 것.

저적열 (low red heat) 287.8~371.1℃(550~700℉) 사이의 온도.

저전력 무선송신기 (low power radio transmitter) 여러 종류의 저전력 무선신호에 의해 제어/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

저전압 장치 또는 설비 (low voltage circuit, equipment, or system) 조명, 사이렌, 무선기기와 기타 차량 부속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DC 12V 또는 24V용 전기설비.

저전압식 감지기 (low voltage type detector) 60V 이하의 전압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감지기. 저탄소강 (low carbon steel) 탄소 함유량 0.3% 미만의 강철. 연강이라고도 한다.(參/high carbon steel)

저팬, 옻칠 (japan) 1)주물공장에서, 새로운 주물을 도장할 때 사용하는 아스팔트와 나프타의 혼 합물.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2)옻칠의 일종.

저팽창포 (low expansion foam) 參/foam expansion. 저폭발물 (low explosive) 폭발한다기 보다는 갑자기 확 타오르는 현상에 가까운 폭발물. 추진제, 뇌관 용 혼합물 중 일부, 흑색화약, 사진촬영용 섬광 화약, 폭발지연제 등.(參 /deflagration)

저항 (resistance) 장치나 재료 등이 전류의 흐름에 저항하는 저지효과. 교류회로에서 저항은 임피던스의 한 구성요소가 된다. 전도체 내에서 발생하는 열의 원인이며, 단 위는 옴(OMEGA )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03  (0) 2023.07.04
소방용어202  (0) 2023.07.04
소방용어200  (0) 2023.07.04
소방용어199  (0) 2023.07.02
소방용어198  (0) 2023.07.02

재생식 호흡기 ( r e g e n e r a t i n g - t y p e mask) 호흡에 사용된 공기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후에 산소통에서 공급된 신 선한 공기로 호흡기를 재충전하는 자급식 호흡기구.

재연소 (reburn) 1)화재가 진화된 지역에 남아 있던 인화성 가연물이 재발화 하여 또다시 화 재가 진행되는 것. 2)재연소된 지역 재용형 감지기 (restorable detector)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할 때 잘 파괴되지 않고, 또 센서를 교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화재감지기.(參/nonrestorable detector)

재용형 기동장치 (restorable initiating device) 작동 중에 감지소자가 파괴되지 않는 장치.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參/nonrestorable initiating device)

재킷 (jacket) 케이블, 호스 등과 같은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바깥쪽에 덮어씌우는 절 연성 또는 내구성 외피.

잭 (jack) 1)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 사용하는 이동식 장치. 레버, 스크류, 유압 프레 스 등으로 힘을 가한다.(參/outrigger jack) 2)구조용 스크류 또는 유압 잭.

잭 래프터, 잭 서까래 (jack rafter) 지붕널외를 지지하기 위해 중도리 위에 놓는 작은 서까래.

잭 플레이트 (jack plates) 고가사다리 또는 공중작업대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아웃리거(outrigger) 잭 밑에 설치하는 금속판.

잭나이프 (jacknife) 트랙터.트레일러 타입 사다리차의 위치. 트레일러에 대한 트랙터 각도 60 로 고가사다리를 세워 확장할 때 트럭에 최고의 안정성을 부여한다.

저성능폭발 (lower order explosion) 가스-공기 혼합기의 비율이 부적절한 상태에서 발화되었을 때 일어나는 현상. 가스형 폭발의 경우, 보통 고성능폭발과 저성능폭발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뉘 어지는데, 고압폭발로 기술되는 고성능폭발은 가연성 증기와 공기가 최적의 비율로 혼합되어, 발화시 증기가 급격하고도 완전하게 연소되는 것을 말한다. 저성능폭발은 가연성 증기와 혼합되는 공기의 양이 너무 작거나 많아서 발화 하기가 어렵고, 또 발화된다 하더라도 지속시간이 극히 짧은 경우를 말한다.

저수위경보용 전극 (electrode for low level electrolyte alarm) 물올림장치 또는 물탱크에서 수위가 내려가는 경우 또는 축전지에서 전해액 의 레벨이 감소하는 경우에 경보를 발하도록 설치된 전극.

저압 미분무수소화설비 (low pressure water mist system) 배관의 사용압력이 12.3㎏/㎠ (175psi) 미만인 미분무수소화설비.

저압 실린더 (low pressure cylinder) 21℃(70℉)에서 35㎏/㎠(500psi) 이하의 압력으로 질소, 압축공기, 기타 압축 가스를 수용하고 있는 실린더.

저압수도본관 (low service main) 한 도시에서 고압으로 송수하지 않아도 되는 지역에 송수하는 상수도. 많은 양의 물을 송수할 수 있지만, 효율적인 주수를 위해 충분한 압력을 필요로 하는 소방펌프차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저압온수 및 저압스팀보 일러 (low-pressure hot-water & low-pressure steam boiler) 압력 11.25㎏/㎠ (160psi) 이하 또는 온도 121℃(250℉) 이하인 온수 또는 압 력 1.05㎏/㎠ (15psi) 미만인 스팀을 공급하는 보일러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02  (0) 2023.07.04
소방용어201  (0) 2023.07.04
소방용어199  (0) 2023.07.02
소방용어198  (0) 2023.07.02
소방용어197  (0) 2023.07.02

잠복화재 (hangover fire) 參/holdover fire.

잠복화재 (sleeper fire) 외견상 완전 진화된 것으로 보였던 불씨가 재발화하여 발생한 화재.(同 /holdover fire, sleeper)

잠복화재 (holdover fire) 상당한 시간 동안 잠복상태로 존재하는 화재.(同/hangover fire, sleeper fire)

잠열 (latent heat) 어떤 물질이 액체상태에서 기체상태로, 또는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전환 될 때 흡수 또는 방출하는 열량. 단위 중량당 Btu 또는 ㎈로 측정한다.

잠재발열량 (potential heat value) 건축자재의 평균 발열량(Btu/lb).

잡초제거 (weed control) 잡초 및 초지를 제거하거나 또는 그 범위를 축소시켜 화재위험을 감소시키는 작업.(同/weed abatement)

장기간 화재 (extra period fire) 화재 발견후 만 하루가 지난 그 다음날 오전 10시까지도 불길이 잡히지 않은 화재. 장뇌(樟腦),

캄파 (camphor(C10H16O)) 무색의 고체. 상온에서 서서히 피어오르는 특이한 냄새를 발한다. 인화점 65.6℃(150℉), 발화온도 466.1℃(871℉).

장병창 (piercing pole) 나무 또는 유리섬유로 만든 창. 끝에 금속 꼬챙이가 달려있어 구조작업시 천 장 등을 찔러 배수시키는 데 사용한다.

장식형 스프링클러헤드 (ornamental sprinkler) 제조업체에서 미관상 도색 또는 도금한 스프링클러헤드.(同/decorative sprinkler)

장애경보 (trouble alarm) 參/trouble signal.

장애신호 (trouble signal) 경보설비에서 고장이 발생했음을 표시해 주는 신호.(參/adverse condition)

장치 (tool) 클린룸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장치, 저장 용기, 워크 스테이션 또는 공정기계.

장치신뢰도 (equipment reliability) 공정장치가 어떤 환경조건에서 운전될 때 일정한 위험기간동안 그 장치의 기 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확률. 재 (ash) 물질의 연소가 완료된 후 남겨진 고체 찌꺼기.

재난 (disaster) 국민의 생명?신체?재산 및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 재난관리 재난의 예방?대비?대응 및 복구를 위하여 행하는 모든 활동 재난관리책임기관 재난관리업무를 행하는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방 행정기관?공공기관?공공단체(공공기관 및 공공단체의 지부 등 지방조직을 포 함한다) 및 재난관리의 대상이 되는 중요 시설의 관리기관

재난구호차 (disaster unit) 재난 발생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장비들을 구비하고 있는 구호차량.

재발화 (burnback) 이미 진화된 지역에서 불꽃이 재발화 하는 것. 인화성 연료에 충분한 소화약 제를 분사하지 않았거나, 열기에 의해 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화약제의 효력이 상실된 경우에 발생한다.

재발화 (reflash) 인화성 가연물에서 발생한 화염이 완전 진화된 이후에 어떤 고온의 물체에 의해 화염이 되살아나는 것.(參/flashback, rekindle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01  (0) 2023.07.04
소방용어200  (0) 2023.07.04
소방용어198  (0) 2023.07.02
소방용어197  (0) 2023.07.02
소방용어196  (0) 2023.07.02

자외선 복사 (ultraviolet radiation) 파장 400~4,000Å의 전자기 복사열. 인체의 피부와 플라스틱 등의 물질에는 매우 치명적이다.(1Å=1× 10-8㎝)

자재문(自在門) (free hinge door) 안과 밖에서 모두 열고 닫을 수 있는 여닫이문의 일종 자중 (tare weight) 내용물이 들어 있지 않은 컨테이너의 중량.

자체소방대 (fire brigade) 진화 훈련을 마친 일단의 사람들로 조직화된 소방대. 오늘날의 정식 소방서 만큼 그 규모나 임무의 범위에 있어서 포괄적인 조직은 아니다.

자체소방대원 (fire guard) 1)소방훈련을 이수한 일단의 시민 또는 사업체 고용인들로 구성된 민간소방 대.(參/fire brigade, industrial fire brigade) 2)參/watchman.

작동 정압 (static activation pressure) 0.1㎏/㎠ /min(0.1bar/min) 미만 압력상승률로 벤트 폐쇄부를 작동시키는 압 력.

작동시험 (service test) 소방장비의 작동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작업대 하중용량 (platform load capacity)

작업대가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무게. 하중용량은 작업대, 인원, 물소화설 비가 물을 토출할 때 노즐 반작용에 의한 힘 등에 추가된 장치 무게에 따라 결정된다.

작업부하 (workload) 주어진 시간 내에 수행하여야 할 부과된 작업.

작업분석 (task analysis) 하나의 절차 또는 전체 작업을 단위작업으로 나누고 이러한 자료를 사건수 (event tree)에 결합하는 것이 필요한 인간실수 분석법.

작업중 (working on) 근로자가 착용중인 보호장비와 관계없이 공구, 탐침 또는 시험 기기로 손, 발, 신체의 다른 부분과 노출, 통전 중인 전선 또는 회로부품이 접촉하는 것.

작업중인 호스라인 (working line) 소화작업을 위해 물을 주수하고 있는 호스라인과 노즐.(參/supply line)

작업차 (city service truck) 參/service truck.

잔류가스 (after damp) 갱내 가스의 화재 또는 폭발 후 갱 내에 잔류하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參 /choke damp)

잔압 (residual pressure) 유체가 흐르는 동안 시스템 내에 남아 있는 압력.

잔화 (ember) 화재시 생겨난 작은 불티. 재발화 위험이 있으며 바람을 타고 먼 곳까지 불 을 옮길 수도 있다.

잔화진압 (clearing up) 남은 불씨까지 완전히 진화하다.

잔화진압 (mop up) 진화작업의 후기 단계. 아직 남아 있는 불을 찾아내어 진화하거나 또는 불기 를 찾아내 그 부분에 주수함으로써 열기를 냉각시키는 작업.(同/overhauling)

잔화진압 (overhaul) 진화작업의 최종단계. 남아 있는 모든 잔화 및 불씨를 찾아내어 완전 진화하 는 단계이다. 잔화진압시간 (mop up time) 參/elapsed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200  (0) 2023.07.04
소방용어199  (0) 2023.07.02
소방용어197  (0) 2023.07.02
소방용어196  (0) 2023.07.02
소방용어195  (0) 2023.07.02

자연발화 (spontaneous ignition) 가연성 물질 내부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반응에 의한 발화. 물질 내부의 유기화합물이 그 물질을 발화시킬만큼 충분한 열기를 발생시킬 때까지 느린 속도로 산화작용을 지속함으로써 발생한다. 산화작용에 필요한 산소가 충분 하고 물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시킬 환기능력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자주 발생한다.(同/self ignition, 參/autoignition temperature)

자연발화성 금속 (pyrophoric metal) 공기 중에서 자연발화하는 금속.

자연발화성 물질 (pyrophoric material) 54.4℃(130℉) 미만의 대기에서도 매우 쉽고 빠르게 발화하는 물질. 2염화티타 늄, 인 등의 고체 및 3부틸알루미늄 등의 액체가 포함된다. 나트륨, 부틸리튬, 수산화리튬 등은 습한 대기에서 물과 발열성 반응을 일으켜 자연발화하는 성 질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은 희석가스 또는 석유 속에 저장하여야 한 다. 또 바륨, 미슈메탈 등은 아주 미미한 마찰에도 스파크를 일으키기 때문에 자연발화성 물질로 분류한다.(同/pyrophoric)

자연발화성 연료 (hypergolic fuel) 접촉시 자연발화하는 산화제와 가연물의 화합물. 액체 로켓 연료 또는 추진 제로 사용된다.

자연발화성 작용 (pyrophoric action) 고체가 자연발화 형태로 귀결될 수 있는 자연발화성 탄소를 생성하는 작용. 증기배관과 같은 고온의 배관이 나무 등의 가연성 칸막이를 통과할 때 칸막 이와 배관 사이에 충분한 이격거리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배관의 열이 주변 가연물의 인화점을 낮추어, 심한 경우 가연물을 숯과 같은 자연발열성 물질 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조건이 무르익기까지는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리지만, 일단 조건이 성숙되면 배관의 온도가 조금만 상승해도 주변 가연물을 발화시 킬 수 있다.

자연발화온도 ( a u t o i g n i t i o n temperature) 인화성 가스, 또는 증기와 물의 혼합물이 불꽃이나 화염에 의하지 아니하고 도 발화할 수 있는 최저온도. 증기와 가스의 자연발화온도는 공기속에서보다 산소만 존재할 경우가 더 낮으며, 촉매역할을 수행하는 물질의 존재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연발화온도 ( s e l f - i g n i t i o n temperature(SIT)) 물질의 내부에서 발생한 발열반응에 의해 물질이 발화하기 시작하는 최저온 도.(同/autoignition temperature)

자연발화온도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SIT)) 參/autoignition temperature.

자연소화 (self-extinguishing) 열기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지 않을 경우 스스로 연소를 중지하는 것.

자연통풍 (natural draft) 굴뚝내 연도가스의 무게와 그에 상응하는 굴뚝 외부 공기의 무게 차이로 인 해 발생하는 기류.

자연통풍버너 (natural draft burner) 굴뚝이나 환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자연통풍을 이용하여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끌어들이는 연소장치.

자연통풍탑 (natural draft tower) 굴뚝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공기를 이동, 즉 통풍시키는 통풍탑.

자연환기 (gravity ventilation) 바람이나 기체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환기하는 방식.

자외선 감지기 (ultraviolet detector)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자외선 영역(약 4,000Å 이하)의 복사 에너지를 감 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1Å=1× 10-8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9  (0) 2023.07.02
소방용어198  (0) 2023.07.02
소방용어196  (0) 2023.07.02
소방용어195  (0) 2023.07.02
소방용어194  (0) 2023.07.02

자동폐쇄문장치 (automatic closing device)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폐쇄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갑종방화문에 부착하게 된 다.

자동폐쇄방호구역 (ventilation-limited) 정상 상태에서 모든 문, 해치, 및 출입구가 닫혀 있는 방호구역. 미분무수설 비가 작동되면 방호구역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방호구역으로부터 공기를 배기 시키는 환기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 정지되는 방호구역.

자동폐쇄장치 (automatic closing device) 화재발생시 자동적으로 문을 폐쇄하는 장치.(參/automatic fire door, self closing device)

자동화재감지기 (automatic fire detectors) 1)열, 화염, 빛, 연기, 수증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기타 물질을 생성할 때 에 일어나는 현상을 감지하는 장치. 2)비정상적으로 높은 온도, 온도 상승률, 입자, 적외선이나 가시광선 또는 화 재로 발생된 가스 등을 감지하는 장치. 자동화재속보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소방대상물의 화재발생시 당해 소방대상물에 설치된 P형 또는 R형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로부터 화재신호를 받아서 자동으로 관 할 소방서에 전화통화를 하여 화재발생지역의 주소와 전화번호를 알려주는 설비이다.

자동화재속보설비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화재발생시 자동적으로 소방서에 통지 하는 설비.

자립성 방화벽 (free standing fire wall) 구조적으로 건물의 본체와는 독립된 방화벽. 화재의 열기에 의해 건물이 변 형, 붕괴되더라도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벽이다.

자립연소 (self-sustained burning) 더 이상의 열기를 공급받지 않아도 진행중인 연소를 지속할 수 있는 성질.

자석분리기 (magnetic separator) 자석을 이용하여 불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금속을 모아 제거하는 기기. 분 진폭발위험이 있는 곡물 저장고나 착화하기 쉬운 섬유 부스러기가 쌓여 있는 곳 등에서 방화대책의 일환으로 사용한다.

자속밀도 (flux density) 자기장의 세기. 자연 방사선 (background radiation)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방사선. 우주선(宇宙線), 방사성 원소로부터 발생된 방 사선, 사람이나 동물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방사선 등.(同/natural radiation, natural radioactivity)

자연발열 (spontaneous heating) 가연성 물질 내부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반응에 의한 열의 발생. 자연발화 의 원인이 된다.(參/spontaneous ignition)

자연발화 (autoignition) 스파크 또는 화염이 없는 상태에서 열기에 의해 발화된 연소.

자연발화 (self-ignition) 參/spontaneous ignition.

자연발화 ( s p o n t a n e o u s combustion) 參/spontaneous heating, spontaneous ignition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8  (0) 2023.07.02
소방용어197  (0) 2023.07.02
소방용어195  (0) 2023.07.02
소방용어194  (0) 2023.07.02
소방용어193  (0) 2023.07.02

자동식 (기동)밸브 (automatic(activation) valve) 경보, 건식배관, 델루지, 구역 및 그룹 밸브를 포함하는 미분무수설비의 유량 제어밸브.

자동식 소화설비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설비.

자동식 소화설비 감시장치 ( a u t o m a t i c extinguishing system supervision) 자동식 스프링클러설비나 기타 소화설비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정 상적인 상태에 응답하는 장치(제어밸브, 압력, 소화약제의 액위 및 온도, 펌프 동력 및 기동, 엔진 온도 및 과속, 실내 온도 등을 포함).

자동식 소화설비 작동감 지 기 ( a u t o m a t i c extinguishing system operation detector) 자동식 소화설비의 작동을 감지하는 장치.

자동식 스탠드파이프설비 (automatic standpipe system) 필요 유량과 압력을 항상 공급할 수 있는 급수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스탠드 파이프설비. 호스 접결구에 급수하기 위해 호스밸브를 개방하는 것 이외에 다른 어떤 조치도 취할 필요가 없다.

자동식 주거용 소화장치 (automatic residential fire extinguisher unit) 자동으로 작동되며 특정 형태의 위험, 즉 주거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식 소화장치.

자동식 지붕 배연구 (automatic roof vent) 화재시 발생하는 열과 연기를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지붕.

자동압력조절장치 (automatic pressure regulation governor) 參/pressure control device.

자동온도조절장치 (thermostat) 온도 변화에 따라 작동하는 자동제어장치.

자동작동 (automatic operation) 사람이 조작하지 않고 작동되는 것. 열, 온도 상승률, 연기 또는 압력 변화 등에 의해 작동한다.

자동전환스위치 (automatic transfer switch) 부하가 접속되었던 전원이 고장나면 부하를 자동적으로 다른 전원으로 이동 시키고, 최초의 전원이 복구되면 부하를 최초의 전원으로 복구시키는 스위치.

자동지원 (automatic aid) 사전 협의를 거쳐 유사시 자동적으로 출동하게 되어 있는 상호지원소방대. 보통, 시와 시의 경계지역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 소방대 사이에서 이루어진 다.

자동차 정비소 (repair garages) 사무실, 주차장, 전시장으로 사용하는 인접 공간을 포함하여 차량 또는 승용 차의 수리, 도장, 차체 및 펜더(fender) 작업을 수행하는 건물, 구조물 또는 이들의 일부.

자동차 핸들, 운전대 (steering wheel 자동차 핸들, 운전대參/tiller.) 參/tiller.

자동폐쇄문 (automatic closing door) 평상시에는 열려 있고 자동폐쇄장치 작동시는 닫히거나 열린 후 자동적으로 닫히는 문으로 방화구획의 벽에 설치되는 갑종방화문 등이 이에 해당된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7  (0) 2023.07.02
소방용어196  (0) 2023.07.02
소방용어194  (0) 2023.07.02
소방용어193  (0) 2023.07.02
소방용어192  (0) 2023.07.02

자나파 (janapa) 굵은 삼베자루를 만들 때 사용하는 동인도 삼.

자동 방화 장치 (automatic fire protection device)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작동될 수 있는 모든 방화장치. 자동 스프링클러설비, 자동화재설비 등.

자동 복구식 감지기 (self-restoring detector) 센서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가 자동적으로 원상 복구될 수 있도록 고안된 감 지기.

자동 연소위험 (auto exposure) 건물 내.외부 연소위험의 결합. 건물 저층에서 창으로 빠져나온 화염이 고층 의 창으로 침입할 우려가 있을 때 자동 연소위험이 존재한다.

자동 프라이밍 펌프 (self-priming pump) 공기가 차 오르는 경우에도 외부의 작용 없이 급수를 재개할 수 있는 원심펌 프.

자동감지장치 (automatic detection equipment) 자동으로 열, 연기, 화염, 연소생성물, 인화성 가스, 화재나 폭발의 발생가능 상태 등을 감지하고 경보장치와 소방시설을 작동시키는 장치.

자동개방밸브 (automatic water control valve)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나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등에 사용되는 밸 브. 화재발생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된다.(參/deluge sprinkler system, preaction sprinkler system)

자동기록장치 (logger) 전화 및 무선호출의 내용과 수신 시간 등을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장치.

자동노즐 (automatic nozzle) 내장된 감지·작동장치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노즐.(參/constant pressure nozzle)

자동방화문 (automatic fire door) 화재시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문. 방화문 폐쇄장치는 열을 감지하거나 또는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때 작동한다.(參/automatic closing door)

자동방화장치 (automatic fire protection device)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작동될 수 있는 모든 소화설비. 자동 스프링클러설비, 자동화재경보설비 등.

자동배수장치 (auto drip) 연결송수관설비나 옥외소화전설비에서, 배관계통의 가장 낮은 부분에 설치하 여 설비 사용후 배관 내에 고인 물을 자동적으로 배수해 주는 장치. 배관의 부식이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자동밸브 (autocontrol valve) 일제살수식 및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설비, 포소화설비에 사용하 는 자동 및 수동 개방밸브. 자동밸브는 화재감지기 및 감지용 스프링클러헤 드에 의해 작동하며, 수동밸브에는 전기식과 배수식이 있다.

자동소방펌프 (automatic fire pump)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고 물이 쏟아지면 배관의 압력 등이 변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소방펌프를 말한다. 펌프의 작동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만, 펌프를 정지시길 때는 사람이 확인 후 수동으로 정지시킨다.

자동스프링클러설비 (automatic sprinkler system) 배관 속에 가압상태로 물을 담고 있다가 화재로 인해 스프링클러헤드가 작동 되면 즉각 물을 살수할 수 있는 설비.(參/wet pipe sprinkler system)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6  (0) 2023.07.02
소방용어195  (0) 2023.07.02
소방용어193  (0) 2023.07.02
소방용어192  (0) 2023.07.02
소방용어191  (0) 2023.07.02

입구 (entrance) 건물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개구부.

입도분석(粒度分析) (grading analysis) 분말 형태의 시료를 체질하여 각각의 미립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는 것. 입상관, 챌판 (riser) 1)스프링클러설비나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직 급수관. 2)모든 수직 파이프. 3)계단의 발판과 발판 사이의 수직부분.

자가발전설비(emergency generating unit) 상용 전원이 정전되는 경우 원동기가 자동적으로 구동되어 발전기를 작동시 킴으로써 비상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同/industry owned generating unit)

자급식 호흡기구 (SCBA) 略/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자급식 호흡기구 ( s e l f - c o n t a i n e d breathing apparatus) 위험한 환경에서도 원활한 호흡작용을 지속하기 위해 소방대원들이 착용하는 호흡기. 안면보호판, 조절기 또는 제어장치, 공기 또는 산소 공급원, 기타 장 치 등(간혹, 필터를 포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가속 분해점 ( s e l f - a c c e l e r a t i n g d e c o m p o s i t i o n temperature) 운반용기 속에 저장된 과산화물이 분해되기 시작하는 최저온도.

자기가열 (self-heating)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한 열기.

자기가열온도 ( s e l f - h e a t i n g temperature) 어떤 물질이 발열반응을 개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최저온도.

자기방전 (self-discharge) 전지의 내부로부터 전류가 방출되어 충전상태에 있던 전지의 용량이 감소하 는 현상.

자기연소 (autoiginition) 자연발화라고도 한다. 화원이 없이 발생하는 연소

자기탐상검사 (magnetic particle inspection) 자성 재료에 결함이 있는 경우, 그 때문에 생기는 자기적 변형을 이용하여 자성재료 내부의 결함의 유무를 조사하는 검사로 소방분야에서는 위험물 탱 크 안전성능시험 중 비파괴 검사방법의 일종이다.

자기폐쇄식 (self-closing) 개방되었다가 자동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것.(參/automatic closing device, self-closing device, self-closing door)

자기폐쇄식 문 (self-closing door) 개방되었다가 다시 자동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문.

자기폐쇄장치 (self-closing device) 문 등의 장치가 개방된 다음, 곧 다시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해주는 기계장 치.(參/automatic closing device, self-closing, self-closing doo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5  (0) 2023.07.02
소방용어194  (0) 2023.07.02
소방용어192  (0) 2023.07.02
소방용어191  (0) 2023.07.02
소방용어190  (0) 2023.07.02

일시적방출(episodic release) 보통 사고와 관련하여 제한된 시간동안에 방출하는 것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 설비 (deluge sprinkler system) 특수한 위험으로부터 시설물을 방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동스프링클러설비 의 일종. 감지장치에 연결된 밸브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와 배관으로 구성된다.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밸브가 개방되고, 개방 된 헤드를 통해 물이 살수되도록 되어 있다.(同/deluge system)

일지,저널(journal) 1)일 활동내역, 경보접수, 방문자 등을 기록하는 상황실 업무일지. 2)전동축에서, 특히 베어링 속에 들어 있는 부분. 세로 저널과 가로 저널이 있다

임계수준 (critical level) 화재 성장시 환경악화로 인해 인명이 위험하게 되는 수준. 연소생성물과 위 험에 노출된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에 따라 임계수준은 달라진다.

임계압력 (critical pressure) 어떤 물질의 기체상태와 고체상태가 공존하는 상태인 물질의 임계온도에서 물질이 나타내는 압력.(參/critical temperature)

임계온도 (critical temperature) 기체가 액화할 수 있는 최고온도. 임계온도에서 액체와 증기의 밀도는 동일 하다.

임계질량 (critical mass) 연쇄반응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분열 가능한 최소의 양.

임시배선 (temporary wiring) 건축, 재축, 유지관리, 수리 또는 철거 기간에 동력 및 조명, 장식용 조명, 축 제용 동력 및 조명, 이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된 배선.

임시저지선 (scratch line) 임야화재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임시로 엉성하게 구축한 연소저지선.

임시직 소방대원. (substitute call fire fighter) 參/partpaid fire fighter

임야 (wildland) 휴경지나 경작된 토지 이외의 대지로서 그 가연물 구성이 나무, 덤불, 잡초 등 개간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식물군으로 이루어진 것. 임야화재 (wildfire) 1)우연히 발생하여 무제한적인 연소를 지속하는 화재. 2)농작물, 초지, 덤불, 숲 등 지표면의 식물군에서 우연히 발생한 화재.

임야화재 (wildland fire) 숲이나 초지, 덤불, 툰드라 등 개간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대지에서 발생한 화 재. 그러나 숲지대에서 발생한 화재의 경우에는 그 구성 관목의 종류에 관계 없이 모두 임야화재로 본다.

임야화재 소방차 (brush truck) 임야화재 진화용 장비를 갖춘 경소방차.

임야화재 소방차 (dland fire apparatus) 용량이 76 - 950 lpm (20 - 250 gpm)인 펌프, 물탱크 및 기타 소화장비를 갖 춘 소방차.

임업활동화재 (forest utilization fire) 목재 채취, 산불의 확산, 삼림 관리활동 등으로 인해 야기된 임야화재.

임의조작방지형 밸브 (tamperproof valve) 경보 등의 보안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는 열거나 닫을 수 없는 밸브.

임펄스 (impulse) 폭발에 대한 과압과 시간과의 관계 곡선에서 곡선 아래 부분의 면적. 이 면 적은 폭풍파의 부압과 양압으로 계산될 수 있다.

임펠러 (impeller) 원심펌프에서, 날개가 달린 회전체. 회전을 통해 물에 운동력을 전달한다.

임펠러 아이 (impeller eye) 원심펌프 임펠러 중앙에 위치한 흡입구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4  (0) 2023.07.02
소방용어193  (0) 2023.07.02
소방용어191  (0) 2023.07.02
소방용어190  (0) 2023.07.02
소방용어189  (0) 2023.06.30

인화성 증기 (flammable vapor) 공기 중 인화성 성분의 농도가 연소하한계의 10%를 초과하는 증기.

인화성 지수 (flammability index) 증기의 연소하한농도에 대한 증기-공기 혼합기의 농도의 비율을 표시한 것.

인화성의 (flammable) 쉽게 발화되어 격렬하게 연소하는 성질, 또는 화염확산속도가 신속한 성질.

인화성의, 가연성의, 가 연물 (inflammable) 參/flammable, nonflammable.

인화점 (flash point) 어떤 액체가 공기와 혼합되어 발화 가능한 혼합기를 형성할 수 있을 만큼 충 분한 증기를 방출하기 시작하는 최저 온도. 보통, 밀폐식 시험법으로 측정한 다.(參/flammable liquid)

일기, 기후 (weather) 특정 시간, 특정 장소의 온도, 날씨, 습도 등과 관련한 일반적인 대기상태.

일반가연물 (ordinary combustibles) 화재시 물을 사용하여 진화할 수 있는 가연물. 나무나 의류, 종이 등을 말한 다.

일반구조 (ordinary construction) 외부 내력벽과 비내력벽이 불연성 또는 준불연성 재료로 되어 있고, 내력벽 의 경우 최소한의 내화성능과 안정성을 갖추고 있는 건물. 지붕, 바닥, 그리 고 건물의 골격 등에 사용된 목재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중목구조에 사용되는 것보다 작은 치수의 목재로 되어 있는 건물.

일반취급소 (general handling place) 위험물을 소량으로 나누어 저장 및 취급하는 장소.

일방향 무전기 (one-way radio) 소방본부 지령실에서 이동차량이나 각 소방대로 신호를 송신하는 무전기. 이 동차량에서 소방본부 지령실로는 송신할 수 없다.

일방향 통신, 단신 (simplex) 무선통신의 일종. 한번에 한 방향으로만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 으며, 동시 송·수신은 불가능하다.

일사병 (heat stroke) 소모성 열사병보다 더 심각한 현상. 장시간 동안 고온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 는 현상으로, 피부가 건조해지고 체온이 상승하며 의식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즉시 치료하지 않을 경우, 정신착란, 경련, 혼수상태 등을 야기하며, 심한 경 우 사망하기도 한다.(參/heat exhaustion)

일산화질소(N₂O) (nitrous oxide) 달콤한 맛이 나는 무색의 불연성 가스. 연소를 촉진하며, 공기와 혼합하여 폭 발성 혼합기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치과 및 일반외과용 마취제로 사용된다. (同/laughing gas)

일산화탄소(CO) (carbon monoxide) 공기보다 가볍고, 흡입할 경우에는 독성이 매우 강한 무색의 기체. 발화온도 609℃(1,128℉), 폭발범위 12.5~74Vol.%.

일산화탄소 감지기 (carbon monoxide detector) 일산화탄소에 반응하는 센서를 통해 감시회로와 접속하는 감지기.

일산화탄소 경보장치 (carbon monoxide alarm) 일산화탄소에 응답하는 단독 또는 다중 경보장치. 일산화탄소가스 (同/sweetdamp)(whitedamp) 參/damp.

일상점검 (in-service inspection) 소방대가 실시하는 일상적인 점검업무. 일상점검 중에도 소방대는 화재 경보 에 즉각 출동할 수 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3  (0) 2023.07.02
소방용어192  (0) 2023.07.02
소방용어190  (0) 2023.07.02
소방용어189  (0) 2023.06.30
소방용어188  (0) 2023.06.30

인터록 (interlock) 한 부분의 작동 또는 그 메카니즘이 다른 부분을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그 작동을 멈추게 하는 장치.

인터페이스 (interface) 1)두 가지 형태의 물질이 경계를 이루고 있는 층(면). 2)기능이 서로 다른 두 장치 사이의 공간이 상호 접속되어 있는 영역. 인화방지망,

화염방지기 (flame arrester) 1)화염방지기의 한쪽 면이 발화원에 노출되었을 때 다른쪽 면의 인화성 증기 가 점화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장치. 2)가스-공기 혼합기가 이송되는 라인에 사용하는 밸브 없는 장치로, 화염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저지해 준다.

인화성 (flammability) 가연물이 발화되어 연소할 수 있는 상대적 용이성.

인화성 가스 (flammable gas) 1)대기 중 산소농도가 보통인 경우에도 발화할 수 있는 가스. 2)공기, 산소 또는 아산화질소와 일정 비율로 혼합될 경우 발화할 수 있는 가 스.

인화성 가스 감지장치 (flammable gas detection equipment) 인화성 가스나 증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기기.

인화성 가스 폭발 (flammable gas explosions) 가스와 공기 또는 산소의 가연성 혼합기가 발화하게 되면 열에너지의 급격한 방출로 인해 부피가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이때 부피가 증가하는 것은 열반 응에 의한 가스 체적의 팽창 및/또는 공기의 가열 및 팽창 때문인 것으로 알 려져 있다.

인화성 고체 (flammable solid) 어떤 고체에 불을 붙였을 때 그 중심축을 따라 2.54mm/sec(0.1in./sec) 이상 의 속도로 화염을 지속하며 연소하는 것들을 말한다.

인화성 공기-증기 혼합기 (flammable air-vapor mixtures) 매우 급속하게 연소하는 인화성 증기와 공기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혼합기체.

인화성 물질 (flammable material) 쉽게 발화하여 신속하게 연소할 우려가 있는 고체, 액체, 증기 또는 가스를 모두 인화성 물질이라 한다. 인화성 고체의 경우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분진 또는 분말형태(금속, 또는 셀룰로스, 소맥분 등의 유기물질), 2)저온에서도 자연발화 할 수 있는 종류(백린), 3)미생물 또는 기타 열화작용에 의해 내부에 열기가 축적되는 종류(어분, 젖 은 셀룰로스류),

인화성 물질 저장소 (flammable storage space) 인화성 물질의 저장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구조물.

인화성 시험 (flammability test) 어떤 물품의 발화 용이성과 그 물품에서 확산될 수 있는 화염의 속도에 대한 시험.

인화성 압축가스 (flammable compressed gas) 증기압이 2.8(㎏f/㎠ )(40psia)를 초과하는 가스. 수송을 위해 압축 및/또는 액화된 인화성 가스.

인화성 액체 (flammable liquid) 인화점이 37.8℃(100℉) 미만이고, 37.8℃(100℉)에서의 증기압이 2.8㎏f/㎠ (40psia)를 초과하지 않는 액체. 클래스 IA 인화성 액체는 인화점이 22.8℃(7 3℉) 미만이고 비점이 37.8℃(100℉) 미만인 액체. 클래스 IB는 인화점이 22. 8℃(73℉) 미만이고 비점이 37.8℃(100℉) 이상인 액체. 클래스 IC는 인화점 22.8℃(73℉) 이상 37.8℃(100℉) 미만인 액체.(參/combustible liquid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2  (0) 2023.07.02
소방용어191  (0) 2023.07.02
소방용어189  (0) 2023.06.30
소방용어188  (0) 2023.06.30
소방용어187  (0) 2023.06.30

인명안전코드 (Life Safety Code) NFPA 101 코드.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건물 설계 단계에서 건물 안전기준을 규정한 코드. 안전한 피난설비 등에 관한 기준을 명시하고 있으며, 의료용 건물에 대해서는 방호에 필요한 건물설계기준을 포 함하기도 한다.

인버젼, 역전 (inversion) 고도가 올라갈수록 그 온도도 상승하는 대기의 수평층.

인산 암모늄([NH₄]₂ HPO₄) (ammonium phosphate) 백색의 결정 또는 분말. 불연성, 저독성. 목재, 벽지, 텍스타일 등의 방염처리 용으로 사용. abc급 분말소화기용 소화약제. 임야화재를 지연시키기 위한 초 목 코팅제.(同/diammonium phosphate, DAP)

인산염 (phosphate) 參/ammonium phosphate.

인서비스, 근무중의 (in-service) 1)화재 등의 비상사태 임무를 완수하고 또 다른 임무 수행에 필요한 준비를 완료한 상태. 2)화재 현장에 도착하여 지시를 기다리는 상태.(同/on-the-line, on track)

인수시험 (acceptance test) 계약서와 사양서의 준수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인도시 구매자를 대신하여 수 행하는 시험. 인도전 또는 인도후 10일 이내에 실시한다.(同/performance test)

인입(引入)장치 (service) 전기공급설비로부터 배선설비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구내로 전력을 운반하 는 전선 및 장비의 총칭.

인입 전선로 (service raceway) 인입선을 수납한 전선로.

인입구 케이블 (service-entrance cable) 주로 인입용으로 덮개가 있거나 없는 단일 또는 다중 전선 인입선 (service conductors) 배전간선이나 변압기로부터 전력을 필요로 하는 구내 인입설비까지 연결된 전선.

인입장치 (service equipment) 회로차단기, 스위치 및 퓨즈, 부속품으로 구성된 기기. 건물, 기타 구조물 또 는 한정된 지역의 인입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주 제어 및 차단설비가 설치되 어 있다.

인입케이블 (service cable) 케이블 형태의 인입 전선.

인장형 스프링클러헤드 (pull type sprinkler head)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한 인장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인장기구를 부착한 스 프링클러헤드. 덕트의 내부 등 특수한 부분에 설치한다.

인접 발신기 (adjacent box) 화재경보가 송신된 발신기 근처에 위치한 또다른 화재발신기.(參/vicinity box)

인접경보기 (vicinity box) 화재가 발생하여 이미 경보가 발령된 경보기 근처에 위치한 경보기. (同 /adjacent box)

인접작업 (working near) 전기안전작업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노출, 통전 중인 전선 또는 회로의 접근 제한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인증내화벽 (fire-rated wall) 표준시험법에 의한 시험을 통해 최소 30분의 내화성능을 갖는 것으로 인증된 벽체.

인증취득 (labeled) 정부가 인정하는 시험소 또는 인증기관으로부터 그 승인을 득하여 인증라벨 이나 상징, 또는 기타 인증 확인표지를 부착한 장비나 자재.

인증품 (listed) 국가적으로 인정받는 시험연구소의 시험을 거쳐 인증을 득한 장치나 제품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1  (0) 2023.07.02
소방용어190  (0) 2023.07.02
소방용어188  (0) 2023.06.30
소방용어187  (0) 2023.06.30
소방용어186  (0) 2023.06.30

이황화탄소(CS₂) (carbon disulfide) 무색 또는 옅은 황색의 액체. 순수한 이황화탄소는 냄새가 없으나, 다른 물질 과 어울릴 경우에는 불쾌한 냄새를 발한다. 다른 물질과 마찰될 경우 발화위 험이 있고, 물보다 무겁다.

인화점 -30℃(-22℉), 발화온도 90℃(194℉), 폭 발범위 1.3Vol.%~50.Vol.%

익스텐드 (extend) 1)노즐 팁에 호스를 부착하거나 또는 노즐을 제거하고 호스를 부착하는 것. 2)화재 등이 확산되다. 3)사다리를 길게 뻗치다.

익스팬더 (expander) 신축 링을 확장시키는 장치. 소방호스를 커플링에 단단히 부착시켜 주는 기 능을 한다.

인(P) (phosphorus) 노란색 또는 흰색의 인광성 밀납 고체. 상온에서는 자연발화하며, 독성이 있 다. 밀폐된 튜브 안에서 가열되면 독성이 없는 붉은색의 형태로 변하는데, 적 린은 백린보다 인화성이 낮다.

인-라인 이덕터 (in-line eductor) 발포기의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벤츄리작용을 통해 혼합되는 혼합장치. 이 장 치는 배관내 압력에 의해 원액이 자동적으로 필요한 비율로 물과 혼합되고, 혼합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인-라인식 프레셔프로포 셔너 (in-line balanced pressure proportioner) 펌프로 올린 포원액의 압력이 미리 조절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표준 프레셔프 로포셔너와 유사하다. 물과 원액의 균형은 입상관이나 복합 소화설비의 단면 에 위치한 별도의 프로포셔너에서 이루어진다.

인가자 (authorized person) 특수 임무를 수행하거나 또는 작업상 특수 장소에 근무하도록 지명된 사람.

인가전압 (applied voltage) 전기회로의 단자와 단자 사이에 공급되는 직류 및 교류전압.

인가폭발물 (permissible explosives) {미국광산국}(US Bureau of Mines)에 의해 가스 또는 분진 분위기에서의 사 용이 허가된 폭발물. 가스와 공기 혼합기를 발화시키지 않는 폭발물로, 충격 에 대한 민감성도 매우 낮다.

인공호흡 (artificial respiration) 스스로 호흡할 수 없는 사람의 폐내 공기를 인위적으로 교환해 주는 조치.

인공호흡 (resuscitation) 숨을 쉬지 않는 환자가 다시 숨을 쉴 수 있도록 호흡을 불어넣는 것.(參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outh-to-mouth resuscitation)

인공호흡기 (bag-valve-mask) 안면마스크, 밸브, 팽창 주머니로 구성된 인공 호흡기.

인디안 펌프 (상표명)(Indian Pump) 등에 메고 작업하는 19(5gal) 용량의 펌프 소화기. 초지나 덤불 등의 소규모 화재 진화작업에 주로 사용한다.

인랙 스프링클러헤드 (in-rack sprinkler) 랙 저장창고에서 천장형 스프링클러헤드와 더불어 랙 내에 부착하는 스프링 클러헤드이다. 헤드 자체는 보통의 스프링클러헤드와 동일하지만, 상향향과 측벽형 스프링클러헤드의 살수에 의해 헤드가 냉각되지 않도록 헤드 상부에 차수판(water shield)을 부착한다. 원칙적으로, 천장형 스프링클러헤드의 배관 계통과는 별도의 계통으로 시설하여 독자적인 스프링클러 밸브를 설치한다. (參/ceiling sprinkler, flue sprinkler)

인력부족 (shorthanded) 필요한 만큼의 인력을 확보하지 못한 것.

인명안전 (life safety) 화염, 열, 연기 등으로부터 인명을 보존 및 보호하는 것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90  (0) 2023.07.02
소방용어189  (0) 2023.06.30
소방용어187  (0) 2023.06.30
소방용어186  (0) 2023.06.30
소방용어185  (0) 2023.06.30

이종(異種) 소화약제 동 시방사장치 (combined agent unit) 하나의 공통 호스에 장착된 2개의 노즐을 통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소화약제 를 공급할 수 있는 설비. 보통, AFFF와 중탄산수소칼륨(KHCO₃) 분말을 사 용하지만, 다른 소화약제도 사용할 수 있다.(同/twined agent unit)

이중 라인 (dual lay) 2개의 호스라인을 동시에 배치함.

이중 볼류트 펌프 (double volute pump) 토출점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2개의 볼류트가 장착된 원심펌프. 이중 수나사 커플링 (double male) 수나사가 2개인 커플링.(同/double adapter)

이중 암나사 커플링 (double female) 암나사가 2개인 커플링.(同/double adapter, double she)

이중 암나사 커플링 (double she) 參/double female.

이중 어댑터 (double adapter) 參/double female, double male.

이중 외피 (double jacketed) 호스 내부의 고무 라이닝 주위에 면이나 합성섬유로 만든 외피가 있거나 또 는 외피가 2겹으로 된 호스를 말한다.

이중 흡입 임펠러 (double suction impeller) 원심펌프의 일종. 임펠러 각 부분으로 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이중농형 (double cage) 회전자 표면의 근처에 설치한 농형도체와 다른 표면에서 다소 깊은 곳에 설 치한 제2의 농형도체. 기동시 고주파 회전자 전류는 저인덕턴스 고저항을 가 지고 있는 반면에 표면 농형도체를 흘러 큰 기동토오크를 발생하지만, 운전 시의 저주파 회전자 전류는 저저항 고인덕턴스의 심부 농형도체로 흘러서 저 손실로 운전한다.

이중다단 원심펌프 ( d u p l e x - m u l t i s t a g e centrifugal pump) 소방펌프의 일종. 크기가 다른 2개의 단일 흡입 임펠러가 각각 분리된 임펠 러 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다.

이중라인 (double lay) 화재 현장에서 둘 이상의 호스를 배치하는 작업. 호스는 호스 적재실로부터 끌어오거나 또는 화재 현장과 급수원 사이 어느 곳에서든 끌어올 수 있다.

이중무선통신 (duplex) 1)주파수가 2개인 무선통신. 1개의 주파수는 이동지휘차량에서 지휘본부로 송 신할 때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역으로 지휘본부에서 이동지휘차량으로 송 신할 때 사용한다. 2)양쪽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이중제어 (dual control) 하나의 통신채널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경로에 또는 다른 방법으로 2개의 중계시설을 이용하는 것.

이중체크밸브 (double Check Valve Assembly(DCVA)) 견고하게 밀폐된 탄성 시트 차단밸브와 탄성 시트 시험코크가 설치된 관부속 품 사이의 유닛. 스프링으로 압축되거나 내부에 추를 걸어놓은 2개의 체크밸 브로 구성된 장치.

이황화탄소(CS₂) (carbon bisulfide) 參/carbon disulfide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89  (0) 2023.06.30
소방용어188  (0) 2023.06.30
소방용어186  (0) 2023.06.30
소방용어185  (0) 2023.06.30
소방용어184  (0) 2023.06.30

이동주택 (mobile home) 너비 2.4m(8ft) 이상, 길이 9.7m(32ft) 이상인 하나 이상의 트레일러를 차량의 차대에 장착하여 주거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구조.

이동주택차 (motor home) 레크레이션이나 캠핑, 여행 등을 목적으로 개발된 차량. 간이 주거시설을 갖 추고 있다.

이동중계 (mobile relay)(美) 특별한 긴급사태시 사용하도록 UHF 전용으로 허용된 2개의 주파수를 사용 하는 통신. 중계소로 전송된 첫 번째 주파수는 중계소에서 자동적으로 두 번 째 주파수, 즉 모든 수신자들이 채널을 맞추고 있는 주파수로 변환되어 재전 송 된다.

이동통로 (pass-through) 화학물질, 생산재료, 장비 및 부속품이 벽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하도 록 양측에 문이 달린 벽 내부의 방호구역.

이동통신소 (mobile) 고정기지에 배치된 무전기와 비교하여, 이동차량에 배치된 소방서 무전기.

이로운 불 (friendly fire) 불을 피우려고 의도했던 장소를 벗어나지 않는, 통제된 불 또는 연소. 난롯불 등.

이론 공기량 (theoretical air) 參/stoichiometric air.

이산화탄소(CO₂) (carbon dioxide) 무색무취의 불연성, 비독성 가스. 공기보다 무거우며 소화약제로 사용된다.

이산화탄소 소화기 (carbon dioxide extinguisher) 인화성 액체 화재 및 전기기기 화재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압축가스 소화기. 소형 소화기의 크기는 2.3~4.5㎏(5~10 lb), 대형 소화기의 크기는 23~45㎏ (50~100lb).

이상위험도 분석기법 (failure Modes,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FMECA)) 중요한 고장모드의 결과를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FMEA의 변형된 기법.

이 소 부 탄 ( [ C H ₃ ] ₂ CHCH₃) (isobutane) 무색의 액화석유가스. 물과 반응하지 않으며, 발화온도 460℃(860℉), 폭발범 위 1.8~8.4Vol.%.

이송작업 (transfer operations) 위험물의 주입작업과 관련된 모든 활동. 탱크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탱 크의 과충전 가능성과 위험물의 흐름을 차단시키거나 우회 이송작업과 관련 된 통지사항을 포함(구두통지, 전자장치 이용, 기타 방법)한다.

이송펌프 (transfer pump) 유효펌프압력 3.5㎏/㎠ (50psi)에서 정격용량 945lpm(250gpm ) 이상 2,840lpm(750gpm ) 미만으로 소방차에 설치된 펌프전용 엔진 또는 PTO로 구동시키는 원심펌프.

이송펌프 (transfer pump) 유효펌프압력 3.5㎏/㎠ (50psi)에서 정격용량 945lpm(250gpm ) 이상 2,840lpm(750gpm ) 미만으로 소방차에 설치된 펌프전용 엔진 또는 PTO로 구동시키는 원심펌프. 이슬점, 노점 (dew point)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기 시작하는 온도.

이연성(易燃性) 건물 (quick burner) 보통, 수직개구부가 방호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있고, 그 내용물도 가연성 물 질이어서 화재에 취약한 구조물.(參/fire trap, taxpayer)

이온실, 전리함 (ionization chamber) 1)방사능 측정장치의 일종. 2)이온화식 연기 감지기에서 이온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온화식 (연기)감지기 (ionization detector) 극소량의 연소 생성물이라도 존재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기 또는 소화설 비를 작동시키는 감지기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88  (0) 2023.06.30
소방용어187  (0) 2023.06.30
소방용어185  (0) 2023.06.30
소방용어184  (0) 2023.06.30
소방용어183  (0) 2023.06.30

이격저장 (segregated storage) 혼재 불가능 물질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고 동일한 실 또는 옥내에 저 장하는 것.

이글루 (igloo) 돔 모양의 가건물. 강력 폭발물 저장소로 사용한다.

이너젠 (상품명)(Inergen) 청정소화약제(할론대체물질)의 일종. Inert(불활성 가스) + nitrogen(질소)의 합성어. 조성은 질소 52%, 아르곤 40%, 이산화탄소 8%이다. 조성 기체 모두 가 대기 중에 존재하는 것이므로 인체 및 생태환경에 무해한 소화약제이다.

이동명령 (proceed to) 소방대 또는 소방장비를 특정 지점이나 위치로 이동시키라는 명령.

이동송신기 (mobile transmitter) 정지해 있거나 또는 이동중인 차량에서 통신할 목적으로 제작된 무선송신기.

이동식 x-레이 (mobile x-ray) 조립식 이동용 바퀴를 영구적으로 부착한 x-레이 기기.

이동식 겸용펌프 (portable combination pump) 옥외 소화, 용수 공급, 탱크 충수를 위해 사용되고 펌프의 정격압력이 10.5㎏ /㎠(150psi)와 1.8㎏/㎠(25psi) 이상의 성능을 갖는 펌프. 옥내 소화용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동식 급수 소방차(탱 커, 급수차) (mobile water supply a p p a r a t u s ( t a n k e r , tender)) 화재현장에서 주로 급수용으로 설계된 차량으로 다른 소방차나 소방펌프차가 그 물을 사용한다.

이동식 급수펌프 (portable supply pump) 펌프의 정격압력이 3.5㎏/㎠(50psi) 이상인 펌프. 개방된 수원으로부터 소화설 비용 물탱크를 채우거나 근거리에서 화재지역까지 물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 로 사용한다.

이동식 모니터 (portable monitor) 소방차에서 분리하여 고정식 대량주수장치가 접근할 수 없는 곳으로 이동시 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대량주수장치.(參/deck gun, deluge, master stream)

이동식 발전기 (portable generator) 소방차에 싣고 다니는 소형 발전기. 전기기기 및 투광기 등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한다. 이동식 방수총 (cannon) 參/portable monitor.

이동식 방수총, 포모니터 (foam cannon) 포소화약제를 대량으로 방출할 수 있는 이동식 포방출기.(同/ foam monitor, turret monitor)

이동식 선적 탱크 (portable shipping tank) 특별한 취급장치 없이도 이동이 용이하며 이송차량에 영구 부착되지 않는 탱 크. 용량 230ℓ(60gal) 초과 2,500ℓ(660gal) 이하.

이동식 소화전 (portable hydrant) 대구경 소방호스를 통해 필요한 물을 공급받은 다음, 다시 화재현장의 소형 호스로 물을 공급하는 소화전.

이동식 소화펌프 (portable attack pump) 연소확대방지용, 일반진화용 및 옥외용으로 초기에 사용되고 펌프의 정격압 력이 10.5㎏/㎠ (150psi) 이상의 성능을 갖는 펌프.

이동식 펌프 (portable pump) 소방차에서 분리하여 펌프차가 접근할 수 없는 급수원으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소방펌프.

이동식 포탑 (portable foam tower) 기름탱크 화재시 현장에서 조립 및 설치하여 연소중인 탱크의 표면에 포소화 약제를 방사할 수 있는 장치.

이동전선 (moveable wire) 고정된 전원과 이동식 또는 가반식 전기기기를 연결하는 전선으로 조영재에 고정하지 않는 전선.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87  (0) 2023.06.30
소방용어186  (0) 2023.06.30
소방용어184  (0) 2023.06.30
소방용어183  (0) 2023.06.30
소방용어182  (0) 2023.06.30

음극선관 (陰極線菅)(cathode ray tube(CRT))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이나 관측용 브라운관을 지칭한다.

음향 정지 스위치 (silencing switch) 경보음을 멈추고자 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

응급의료진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환자나 부상자가 병원으로 후송되기 전 또는 후송되는 도중에 응급처치를 시 술할 수 있도록 훈련된 자.(參/paramedic)

응급처치, 응급치료 (first aid) 사고나 갑작스런 발병으로 인한 환자를 의사의 정식 치료 이전에 임시로 돌 보는 행위.

응급처치차량 (rescue unit) 사고현장에서 응급처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비를 구비한 차량.

응급치료가 필요한 사상자 (emergency medical service(EMS) casualty) 화재 이외의 원인에 의한 사상자. 익사자, 교통사고 사상자 등.

응력부식균열 (stress corrosion cracking) 인장응력과 부식성 매질이 공존할 때, 금속에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

응축액 (condensate)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가스(연도가스 포함)로부터 분리된 액체. 발전소에서는 복수(復水)라고도 한다.

응축증기 (condensing steam) 응축된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백색 구름. 진화작업시 쏟아 부은 물로 인해 생성된 증기가 열을 빼앗겨 100℃(212℉) 이하로 냉각된 것이다.

응축폭발 (condensed phase explosion) 물질이 액체 혹은 고체 형태로 존재할 때 발생하는 폭발.

의용소방대 (volunteer fire department) 소속 대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무보수로 근무하는 소방대.

의용소방대원 (call fire fighter) 1)근무시간당 또는 연간계약으로 보수를 지급받는 임시직 소방대원. 2)보조 소방대원.(同/volunteer, paid-volunteer, paid-on-call) 의용소방대원 (red shirt)(美) 한때, 소방대원들이 밝은 적색의 제복을 입던 것에서 유래한 말. 의용소방대원 (volunteer fire fighter) (美) 소방업무에 관심을 가지고 진화작업에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대원으로서 근로 자재해보상법에 의한 보상 또는 사망이나 부상에 대한 기타의 보상을 제외하 고는 보수를 받지 않는 소방대원.

이격거리, 공간 (clearance) 1)건물과 건물 사이의 거리, 스프링클러헤드와 그 아래 적재된 물품 사이의 거리 등을 말한다. 2)배관과 노즐을 포함한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와 노출되거나 비절연된 충전 부 사이의 거리.

이격된 (segregated) 저장된 물질이 다른 물질로부터 공간, 벽 또는 칸막이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 격된 상태

'소방설비기사[전기]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용어186  (0) 2023.06.30
소방용어185  (0) 2023.06.30
소방용어183  (0) 2023.06.30
소방용어182  (0) 2023.06.30
소방용어181  (0) 2023.06.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