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컷 : 용접금속이 홈에 차지 않고 가장자리에 남는 결함(빈틈), 전류, 열, 속도 모두 높다.

오버랩 : 용접부위가 겹쳐지는 부분(겸침). 전류, 열, 속도 모두 낮다.

블로홀 : 용접부 내부에 기포가 생긴 것(공기구멍)

피트 : 블로홀이 표면에 부상하여 생긴 구멍

크랙 : 용접부위에 균열이 생긴 것

슬래그 섞임 : 용접부 내부의 찌꺼기(용접봉의 재가 용착금속 내에 혼입된 것)

피쉬아이 : 생선눈알모야의 은색반점(일정시간 경과 후 자연소멸)

크레이터 : 아크용접 시 항아리 모양으로 끝부분이 패인 부분(분화구)

융착(용입)부족: 홈 각도의 협소 등으로 완전히 붙지 않은 것

 

'기계 > 용접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용어  (0) 2024.03.13
[용접기능사] 용접일반 기출문제  (0) 2024.03.05

용접용어

플럭스(Flux) : 용접봉의 외부에 부착된 분말상의 재료로 용접봉의 피복재 역할

스페터(Spatter) : 용접 중 튀어나오는 슬래그 및 금속입자

그로브(Groove): 접합하는 2개의 부재에 만든 홈으로 용착금속을 채워 넣는 부분

루트(Root) : 그로브 밑부분으로 맞댄 용접의 트임새 끝의 최소간격

앤드탭(End tab)

뒷댐재

스캘럽(Scallop)

밀스케일(Mill Scale)


 

'기계 > 용접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결함  (0) 2024.03.13
[용접기능사] 용접일반 기출문제  (0) 2024.03.05

건축구조

더보기

 

1. 구조총론

2. 기초구조

3. 조적식 구조

4. 철골구조

5. 철근콘크리트 구조

6. 지붕공사

7. 방수 및 방습공사

8. 미장 및 타일공사

9. 수장 공사

10. 창호 및 유리공사

11. 도장공사

12. 적산


2. 기초구조

더보기

 

 2.1 지반조사

 2.2 기초

 2.3 부동침하(부등침하)


2023년 26회

> 흙의 휴식각을 고려하여 별도의 흙막이를 설치하지 않는 터파기 공법?

더보기

정답: 기초파기공법 -> 흙막이 지지공법-> 오픈 컷(open cut) 공법
해설: 토사의 안식각(휴식각:angle of repose)이란 안정된 비탈면과 원지면이 이루는 흙의 사면각도를. 말하며,자연 경사각이라고도 한다.


2022년 25회


2020년 23회

( )에 들어갈 기초 명칭으로 옳은 것은?

- (ㄱ)기초 : 기둥이나 벽체의 밑면을 기초판으로 확대하여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반에 직접 전달하는 기초
- (ㄴ)기초 :  지하실 바닥 전체를 일체식으로 축조하여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는 기초
- (ㄷ)기초 :  벽 또는 일련의 기둥으로부터의 응력을 띠모양으로 하여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는 기초

더보기

정답 : 기초판->그림으로 이해할 것-> ㄱ : 직접, : 온통, : 연속

흙막이 공사에서 발행하는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정답 ㄴ: 파이핑: 부실한 흙막이의 미음새 또는 구멍을 통한 누수로 인해 토사가 유실되는 현상

해설 
ㄱ. 히빙-> 액상화, 유동화현상, 부풀어 오른다.
ㄷ. 보일링 -> 모래가 샘물처럼 끓는다.


2019년 22회

벽 또는 일련의 기둥으로부터의 응력을 띠 모양으로 하여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는 기초의 형식은?

    병용기초 독립기초     연속기초 복합기초     온통기초

더보기

해설:
기초 - 지내력기초, 말뚝기초
  지내력기초 -  독립기초, 연속기초,  온통(매트)기초
  말뚝기초 - 파일기초

건축물에 발생하는 부등침하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서로 다른 기초 형식의 복합시공
    풍화암 지반에 기초를 시공
    연약지반의 분포 깊이가 다른 지반에 기초를 시공
    지하수위 변동으로 인한 지하수위의 상승
    증축으로 인한 하중의 불균형


2018년 21회

1. 표준 관입 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점성토 지반에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N값은 로드를 지반에 76cm 관입시키는 타격 횟수이다.
    ③ N값이 10∼30인 모래지반은 조밀한 상태이다.
    ④ 표준관입시험에 사용하는 추의 무게는 65.3kgf이다.
    ❺ 모래지반에서는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의 채취가 곤란하다.

더보기

해설:
    ① 사질 지반에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사질(모래)지반 vs 점토지반
    ② N값은 로드를 지반에 30cm 관입시키는 타격 횟수이다.
    ③ N값이 10∼30인 모래지반은 보통 상태이다.
    ④ 표준관입시험에 사용하는 추의 무게는 63.5kgf이다.

2022년

> 재무정보의 질적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근본적 질적특성은 목적적합성과 표현충실성이다.
    ② 목적적합한 재무정보는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③ 재무제표에 정보를 누락할 경우 주요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면 그 정보는 중요한 것이다.
    ④ 재무정보가 과거 평가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확인가치를 갖는다.
    ❺ 완벽한 표현충실성을 위해서는 서술에 완전성과 중립성 및 적시성이 요구된다.

더보기

해설 
완벽한 표현충실성을 위해서는 서술은 완전하고, 중립적이며, 오류가 없어야 한다.-> 암기법: 오,중,완
적시성은 보강적 질적특성에 해당된다


2021년

보강적 질적특성비교가능성은 측정기준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 중 기업 간 비교가능성을 높이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측정기준을 모두 고른 것은?

정답 : 공정가치, 현행원가


2020년 23회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근본적 질적특성은 목적적합성과 표현충실성이다.
    완벽한 표현충실성을 위해서는 서술이 완전하고, 중립적이며, 오류가 없어야 할 것이다.
     정보의 유용성을 보강적 질적특성에는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중요성 및 이해가능성이 있다.
    일관성은 비교가능성과 관련은 되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목적적합한 재무정보는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더보기

해설:
중요성은 근본적 질적 특성 중 목적적합성의 하부 특성이다.
보강적 질적 특성 :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적시성, 이해가능성

유입가치를 반영하는 측정기준을 모두 고른 것은?

정답 ㄱ: 역사적원가 ㅁ:현행원가


2019년 22회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순서대로 (), ())
(가) 정보이용자가 항목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나) 정보가 나타내고자 하는 경제적 현상을 충실히 표현하는지를 정보이용자가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 데이터베이스 : 공통으로 사용될 데이터를 중복을 배제하여 통합하고, 쉽게 접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항상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운영 데이터
  • 데이터베이스 정의 4가지 : 통합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운영데이터, 공용데이터
  • 통합된 데이터 :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 저장된 데이터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
  • 운영 데이터 :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자료
  • 공용 데이터 :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
  • DBMS :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주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기존의 파일 시스템이 갖는 데이터의 종속성과 중복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소프트웨어
  • DBMS의 필수 기능 3가지 : 정의기능, 조작기능 ,제어기능
  • 논리적 독립성 :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독립함으로써,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키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은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
  • 물리적 독립성 : 응용프로그램과 보조기억장치 같은 물리적 장치를 독립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추가/변경하더라도 응용프로그램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
  •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
  • 스키마의 종류 : 외부스키마, 개념스키마, 내부스키마
  • 외부스키마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
  • 개념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 모든 응용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 내부스키마 :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 구조, 실제로 저장될 레코드의 형식, 저장 데이터 항목의 표현방법 등을 나타냄
  •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고려사항 6가지 : 무결성, 일관성, 회복성, 보안, 효율성, 데이터베이스 확장(무일회보효테)
  • 무결성 : 삽입,삭제,갱신등의 연산후에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정해진 제약 조건을 항상 만족해야함
  • 일관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 사이나, 특정 질의에 대한 응답이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일정해야 함
  • 회복 :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장애 발생 직전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야 함
  • 보안 : 불법적인 데이터의 노출 또는 변경이나 손실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함
  • 효율성 : 응답시간의 단축, 시스템의 생산성, 저장 공간의 최적화 등이 가능해야 함
  • 데이터베이스의 확장 : 데이터베이스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함
  •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 요구조건 분석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구현
  • 요구조건분석 :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용도를 파악하는 것
  • 개념적 설계 : 현실세계의 무한성과 계속성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 통신하기 위하여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
  • 논리적 설계 : 현실세계에서 발생하는 자료를 특정 DBMS가 지원하는 논리적 자료구조로 변환시키는 과정
  • 물리적 설계 :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 데이터베이스 구현 : 논리적 설계와 물리적 설계에서 도출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파일로 생성하는 과정
  • 데이터 모델 :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서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
  • 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3가지 : 개체,속성,관계 ( 속관개 )
  • 개체 :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려는 것, 개념이나 정보단위 같은 현실 세계의 대상체
  • 속성 :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 관계 : 개체와 개체사이의 논리적인 연결
  • 데이터 모델에 표시할 요소 3가지 : 연산, 구조, 제약조건(연구제)
  • 구조 : 논리적으로 표현된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로서 데이터 구조 및 정적 성질 표현
  • 연산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기본 도구
  • 제약조건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조건
  • 개념적 데이터 모델 : 현실 세계의 대한 인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변환하는 과정
  • 논리적 데이터 모델 : 개념적 구조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 세계의 환경에 맞도록 변환하는 과정
  • 디그리, 차수 : 속성의 수
  • 기본속성 : 업무 분석을 통해 정의한 속성, 속성 중 가장 많고 일반적임
  • 설계속성 : 원래 업무상 존재하지 않고 설계 과정에서 도출해내는 속성
  • 파생속성 : 다른 속성으로부터 계산이나 변형 등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속성
  • 종속 관계 : 두 개체 사이의 주 종 관계를 표현한 것
  • 중복 관계 : 두 개체 사이에 2번이상의 종속 관계가 발생한 관계
  • 재귀 관계 : 개체가 자기 자신과 관계를 갖는 것
  • 배타 관계 : 개채의 속성이나 구분자를 기준으로 개체의 특성을 분할하는 관계
  • 개체 : E-R 다이어그램의 기호중 사각형
  • 관계 : E-R 다이어그램의 기호중 마름모
  • 속성 : E-R 다이어그램의 기호중 타원
  • 다중값속성 : E-R다이어그램의 기호 중 이중타원
  • 기본키속성 : E-R다이어그램의 기호 중 밑줄타원
  • 복합 속성 : E-R다이어그램의 기호 중 복수타원
  • 관계형데이터베이스 : 2차원적인 표를 이용해서 데이터 상호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
  • 튜플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
  • 도메인 :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값의 집합
  • 릴레이션의 특징 3가지 :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은 모두 상이, 튜플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삽입 삭제 등의 작업으로 인해 릴레이션은 시간에 따라 변한다
  • 관계형 데이터 모델 : 2차원적인 표를 이용해서 데이터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DB구조
  • 후보키 :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
  • 후보키의 속성 2가지 : 유일성, 최소성
    • 유일성 : 하나의 키값으로 하나의 튜플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함
    • 최소성 : 키를 구성하는 속성 하나를 제거하면 유일하게 식별할 수 없도록 꼭 필요한 최소의 속성으로 구성되어야 함
  • 기본키 : 후보키 중에서 특별히 선정된 주키이다. 중복된 값을 가질 수 없고 한 릴레이션에서 특정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이다.
  • 대체키 : 후보키가 둘 이상일때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 슈퍼키 : 한 릴레이션 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해 유일성은 만족하지만, 최소성은 만족X
  • 외래키 :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
  • 무결성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값과 현실 세계의 실제값이 일치하는 정확성
    • 개체 무결성 :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 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
    • 참조 무결성 :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함. 즉 릴레이션은 참조할 수 없는 외래키 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
    • 도메인 무결성 : 주어진 속성 값이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어야 한다는 규정
    • 사용자 정의 무결성 : 속성 값들이 사용자가 정의한 제약조건에 만족되어야 한다는 규정
    • NULL 무결성 : 릴레이션의 특정 속성 값이 NULL이 될 수 없도록 하는 규정
    • 고유 무결성 : 릴레이션의 특정 속성에 대해 각 튜플이 갖는 속성값들이 서로 달라야 한다는 규정
    • 키 무결성 : 하나의 릴레이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가 존재해야 한다는 규정
    • 관계 무결성 : 한 릴레이션과 다른 릴레이션의 튜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적절성 여부를 지정한 규정
  • 관계대수 :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
  • 순수관계연산자의 종류 4가지 : Select, Project, Join, Divison
  • 일반집합연산자의 종류 4가지 : 합집합,교집합,차집합,교차곱
  • Select: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 중에서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의 부분집합을 구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의 종류와 기호
  • Project: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리스트에 제시된 속성 값만을 추출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 중복이 발생하면 중복이 제거되는 종류와 그 기호
  • Join: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두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의 종류와 그 기호
  • Division : R의 속성이 S의 속성값을 모두 가진 튜플에서 s가 가진 속성을 제외한 속성만을 구하는 연산
  • 합집합 :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합집합을 구하되, 결과로 생성된 릴레이션에서 중복되는 튜플을은 제거되는 연산
  • 교집합 :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교집합을 구하는 연산
  • 차집합 :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차집합을 구하는 연산
  • 교차곱 : 두 릴레이션에 있는 튜플들의 순서쌍을 구하는 연산
  • 이상 : 테이블에서 일부 속성들의 종속으로 인해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고, 이 중복으로 인해 테이블 조작 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
    • 삽입 이상 :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이 원하지 않은 값들로 인해 삽입할 수 없게 되는 현상
    • 삭제 이상 : 테이블에 한 튜플을 삭제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는 값들도 함께 삭제되는, 즉 연쇄삭제가 발생하는 현상
    • 갱신 이상 : 테이블에서 튜플에 있는 속성 값을 갱신할 때 일부 튜플의 정보만 갱신되어 정보에 불일치성이 생기는 현상
  • 함수적 종속 : 속성 x의 값 각각에 대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속성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를 의미하는 것 , Y는 X에 함수적 종속 또는 x가 y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속성2개가 속성1개를결정, 2개필수)
    • 완전 함수적 종속 : 어떤 테이블 R에서 속성 Y가 다른 속성 집합 X전체에 대해 함수적 종속이면서 속성 집합 X의 어떠한 진부분집합Z에도 함수적 종속이 아닐때 속성 Y는 속성 집합X에 완점하수 종속이라고 한다.
    • 부분 함수적 종속 : 어떤 테이블R에서 속성Y가 다른 속성 집합X전체에 대해 함수적 종속이면서 속성 집합X의 임의의 진부분 집합에 대해 함수적 종속일때, 속성Y는 속성 집합X에 부분함수적 종속이라고 한다.(속성 1개만 가지고도 속성1개결정)
  • 정규화 : 테이블의 속성들이 상호 종속적인 관계를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무손실 분해 하는 과정
    • 제 1 정규화 : 모든 도메인이 원자값
    • 제 2 정규화 : 부분적 함수 종속 제거(완적 함수적 종속만족)
    • 제 3 정규화 :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 BCNF :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아닌것 제거
    • 제 4 정규화 : 다치 종속 제거
    • 제 5 정규화 : 조인 종속성 이용
  • 반정규화 :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을 의도적으로 통합, 중복, 분리하여 정규화 원칙을 위배하는 행위
  • 반정규화의 방법 4가지 : 테이블 통합, 테이블 분리, 중복 테이블추가, 중복 속성 추가
  • 테이블 통합 : 2개의 테이블이 조인(JOIN)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경우 성능 향상을 위해 아예 하나의 테이블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
  • 수평 분할 : 레코드를 기준으로 테이블을 분할하는 것, 레코드 별로 사용빈도의 차이가 큰 경우 사용빈도에 따라 테이블을 분할
  • 수직 분할 : 하나의 테이블에 속성이 너무 많은 경우 속성을 기준으로 테이블을 분할하는 것
  • 중복 테이블의 추가 : 여러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추출해서 사용해야 할 경우, 다른 서버에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 해야하는 반정규화 방법
  • 중복 테이블 추가 방법 3가지 : 집계테이블의 추가, 진행 테이블의 추가, 특정 부분만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추가
    • 집계테이블추가: 집계 데이터를 위한 테이블을 생성하고, 각 원본 테이블에 트리거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
    • 진행테이블추가: 이력 관리 등의 목적으로 추가하는 테이블
    • 특정부분만을 포함하는 테이블 추가 : 데이터가 많은 테이블의 특정 부분만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부분만으로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
  • 중복 속성 추가 : 조인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접근 경로가 복잡한 속성인 경우, 액세스의 조건으로 자주 사용되는 속성인 경우 해야하는 반정규화 방법
  • 시스템 카탈로그 : 시스템 그 자체에 관련이 있는 다양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 메타 데이터 :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된 정보
  • 데이터 디렉터리 : 데이터 사전에 수록된 데이터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 유지하는 시스템(시스템만 접근)
  • 트랜잭션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
  • 트랜잭션의 특성 4 가지 : 원자성, 일관성, 독립성, 영속성
    • 원자성 : 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도록 완료(Commit)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도록 복구(rollback)되어야 하는 트랜잭션의 특성
    • 일관성 : 트랜잭션이 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하는 것
    • 독립성 :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병행 실행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트랜잭션 실행중에 다른 트랜잭션의 연산이 끼어들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
    • 영속성 : 성공적으로 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시스템이 고장나더라도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함
  • CRUD분석 : 프로세스와 테이블 간에 CRUD 매트릭스를 만들어서 트랜잭션을 분석하는 것(C>D>U>R)
  • 트랜잭션분석 : CRUD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테이블에 발생하는 트랜잭션 양을 분석하여 테이블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을 유추하고 이를 근거로 DB를 최적화 하는 것
  • 인덱스 : 데이터 레코드를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키값, 포인터> 쌍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구조
  • 인덱스의 종류 5가지 : 트리기반, 비트맵, 함수기반, 비트맵 조인, 도메인
    • 트리기반인덱스 : 인덱스를 저장하는 블록들이 트리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
    • 비트맵 인덱스 : 인덱스 컬럼의 데이터를 비트 값인 0또는1로 변환하여 인덱스 키로 사용하는 방법
    • 함수 기반 인덱스 : 컬럼의 값 대신 컬럼에 특정 함수나 수식을 적용하여 산출된 값을 사용하는 것
    • 비트맵 조인 인덱스 : 다수의 조인된 객체로 구성된 인덱스
    • 도메인 인덱스 : 개발자가 필요한 인덱스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것 
  • 클러스터드 인덱스 : 인덱스 키의 순서에 따라 데이터가 정렬되어 자장되는 방식. 실제 데이터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어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찾을 수 있음
  • 논클러스터드 인덱스 : 인덱스의 키값만 정렬되어 있고 실제데이터는 정렬되지 않은 방식. 삽입 삭제 발생 시 순서를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재정렬해야 함
  • 뷰 :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테이블로부터 유도된 가상 테이블
  • 클러스터 :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를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는 물리적 저장 방법
  • 파티션 : 대용량의 테이블이나 인덱스를 작은 논리적 단위인 파티션으로 나누는 것
  • 파티션의 종류 3가지 : 범위 분할, 해쉬분할, 조합 분할
    • 범위 분할 : 지정한 열의 값을 기준으로 분할 하는 것 (월별, 일별, 분기별)
    • 해시 분할 : 해시 함수를 적용한 결과 값에 따라 데이터를 분할하고, 특정 파티션에 데이터가 집중되는 범위 분할의 단점을 보완한 것
    • 조합 분할 : 범위 분할로 분할한 다음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다시 분할하는 방식
  • 분산 데이터베이스 : 논리적으로는 하나의 시스템에 속하지만 물리적으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여러개의 사이트에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 분산 데이터 베이스의 목표 4가지 : 위치 투명성, 중복 투명성, 병행 투명성, 장애 투명성
    • 위치 투명성 : 액세스 하려는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위치를 알 필요없이 단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명칭만으로 액세스할 수 있음을 의미
    • 중복 투명성 : 동일데이터가 여러 곳에 중복되어 있더라도 사용자는 마치 하나의 데이터만 존재하는 것처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 병행 투명성 :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다수의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실현되더라도 그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
    • 장애 투명성 : 트랜잭션, DBMS, 네트워크, 컴퓨터 장애에도 불구하고 트랜잭션을 정확하게 처리하는 것
  •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 시스템 오류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중단이나 물리적 손상 발생 시 이를 복구하기 위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하여 관리하는 것
  •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기법 2가지 : Eager, lazy
    • Eager : 트랜잭션 수행 중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면 이중화된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즉시 전달하여 변경 내용이 즉시 적용되도록 하는 기법
    • lazy : 트랜잭션의 수행이 종료되면 변경 사실을 새로운 트랜잭션에 작성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되는 기법
  • 활동-대기 방법 : 한 db가 활성 상태돌 서비스하고 있으면 다른 db는 대기하고 있다가 활성 db에 장애가 발생하면 대기 상태에 있던 db가 서비스를 대신 수행하는 것
  • 활동-활동 방법 : 두 개의 db가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둘 중 한쪽db에 문제가 발생하면 나머지 다른 db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클러스터링 : 두 대 이상의 서버를 하나의 서버처럼 운영하는 기술
  • 클러스터링의 종류 2가지 : 고가용성, 병렬처리클러스터링
    • 고가용성 클러스터링 : 하나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서버가 받아 처리하여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는 방식
    • 병렬처리 클러스터링 : 전체 처리율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작업을 여러개의 서버에서 분산하여 처리하는 방식
  • RTO :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시점으로부터 복구되어 가동될때까지의 소요 시간
  • RPO :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시점으로부터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기준점
  • 암호화 : 데이터를 보낼 때 송신자가 지정한 수신자 이외에는 그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평문을 암호화하는 것
  • 접근통제 : 데이터가 저장된 객체와 이를 사용하려는 주체 사이의 정보의 흐름을 제한하는 것
  • 접근통제 3 요소 : 접근통제 정책, 접근통제 매커니즘, 접근 통제 보안모델
    • 접근통제 정책 : 육하원칙에 따라 허용 여부 결정(신분기반, 규칙기반, 역할기반)
      • IBP : 최소 권한 정책으로, 단일 주체에게 하나의 객체에 대한 허가를 부여함
      • GBP : 복수 주체에 하나의 객체에 대한 허가를 부여함
      • MLP : 사용자나 객체별로 지정된 기밀 분류에 따른 정책
      • CBP : 집단별로 지정된 기밀 허가에 따른 정책
    • 접근통제 매커니즘 : 정의된 접근통제를 구현하는 기술적인 방법
    • 접근통제 보안모델 : 보안 정책을 구현하기 위한 정형화된 모델
      • 기밀성 모델 : 군사목적으로 개발된 최초의 수학적 모델
      • 무결성 모델 : 기밀성모델에서 정보변경을 방지하기 위한
      • 접근통제 모델 : 접근통제 매커니즘을 보안 모델로 발전시킨것(접근통제행렬)
  • 임의 접근 통제 :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데이터 소유자가 접근통제 권한을 지정하고 제어함
  • 강제 접근 통제 : 주체와 객체의 등급을 비교하여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시스템이 접근통제 권한을 지정
  • 역할 기반 접근 통제 :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중앙권리자가 접근통제 권한을 지정
  • 접근 통제 조건 : 접근통제 매커니즘의 취약점을 보안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조건
    • 값종속통제, 다중사용자통제, 컨텍스트 기반 통제
  • 로그 :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내용이나 이용상황등 상태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두 기록한 파일
  • 스토리지 :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기술
    • DAS: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 저장장치를 직접 연결하므로 속도가 빠르고 설치 및 운영이 쉬운 것
    • NAS: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장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음
    • SAN: DAS의 빠른처리와 NAS의 파일 공유 장점을 혼합한 방식으로,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성하는 방식
  • 물리 데이터 모델 품질 기준 6가지 : 정확성,완정성,준거성,최신성,일관성,활용성(정완준최일활)
    • 정확성 : 데이터 모델이 요구사항이나 업무, 규칙, 표기법에 따라 정확하게 표현된 것
    • 완정성 : 데이터 모델이 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를 누락없이 정의하고 요구사항이나 업무 영역을 누락 없이 반영한 것
    • 준거성 : 데이터 모델이 데이터 표준, 표준화 규칙, 법적 요건등을 정확하게 준수한 것
    • 최신성 : 데이터 모델이 최근의 이슈나 현행 시스템을 반영하고 있는것
    • 일관성 : 데이터 모델이 표현상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
    • 활용성 : 작성된 모델과 설명을 사용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업무 변화에 따른 데이터 구조의 변경이 최소화 될 수 있는 것
  • 자료구조 : 자료를 기억장치의 공간 내에 저장하는 방법과 자료 간의 관계, 처리방법 등을 연구 분석하는 것
  • 배열 : 크기와 형이 동일한 자료를 순서대로 나열된 자료의 집합
  • 연속리스트 : 연속되는 기억장소에 저장되는 자료구조, 삽입 삭제 시 자료의 이동 필요
  • 연결리스트 : 자료들을 임의의 기억공간에 기억시키되, 노드의 포인터 부분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 자료구조, 접근속도가 느리고 기억공간의 효율이 좋지 않다.
  • 스택 : 한쪽끝으로만 자료의 삽입삭제이루어짐, 후입선출
  • 큐 : 리스트의 한쪽 끝에선 삽입, 다른쪽에서는 삭제가 이루어지는 
  • 그래프 : 정점과 간선의 두 집합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
  • 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 수 공식 : N(N-1)
  • 무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 수 공식 : N(N-1)/2
  • 트리 : 정점과 선분을 이용하여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그래프의 특수한 형태
  • 깊이 : Tree에서 노드가 가질 수 있는 최대의 레벨
  • 트리의 디그리 : 노드들의 디그리 중에서 가장 많은 수
  • 이진 트리 : 차수가 2 이하인 노드들로 구성된 트리
  • 트리 운행법 3가지 : preorder(가왼오), inorder(왼가오), postorder(왼오가)
  • 삽입정렬 : 이미 순서화된 파일에 새로운 하나의 레코드를 순서에 맞게 삽입시켜 정렬하는 방식
  • 선택정렬 : n개의 레코드 중에서 최소값을 찾아 첫 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고, 나머지 n-1개 중에서 다시 최소값을 찾아 두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는 방식
  • 버블정렬 : 인접한 두개의 레코드 비교 
  • 쉘 정렬 : 매개변수의 값으로 서브파일을 구성하고, 각 서브파일을 삽입정렬 방식으로 순서배열하는 정렬방식
  • 기수 정렬 : 큐를 이용하여 자릿수 별로 정렬하는 방식
  • 시간복잡도가O(N^2)인 정렬 방식 : 삽입, 선택, 버블, 쉘
  • 시간복잡도O(Nlogn)인 정렬 방식 : 퀵,힙,합병

 


 

  • 통합구현 : 송 수신 모듈과 중계 모듈간의 연계를 구현하는 것
  • 직접연계방식 : 중간 매개체 없이 송 수신 시스템이 직접연계하는 방식
  • 간접연계방식 : 송 수신 시스템 사이에 중간 매개체를 두어 연계하는 방식
  • 연계 서버 : 데이터를 전송 형식에 맞게 변환하고 송수신을 수행하는 등 송수신과 관련된 모든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 xml :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다목적 마크업언어, 웹 브라우저 간 HTML문법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와 SGML의 복잡함을 해결
  • SOAP :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 HTTP/HTTPS, STMP 등을 이용하여 XML을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
  • WSDL : 웹 서비스와 관련된 서식이나 프로토콜 등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개시하기 위한 언어, XML로 작성되며 , UDDI의 기초

 


 

  • 웹서버 : 클라이언트로부터 직접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저용량의 정적 파일을 제공하는 서버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AS) : 동적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또는 웹 서버와 파일 서버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 데이터베이스 서버 :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관리하는 DBMS를 운영하는 서버
  • 파일 서버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에는 비효율적이거나,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유지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서버
  • 개발 언어의 선정 기준 5가지: 적정성, 효율성, 이식성, 친밀성, 범용성
    • 적정성 : 개발하려는 소프트웨어의 목적에 적합해야 함을 의미
    • 효율성 : 코드의 작성 및 구현이 효율적이어야 함을 의미
    • 이식성 : 다양한 시스템 및 환경에 적용이 가능해야 함을 의미
    • 친밀성 : 개발 언어에 대한 개발자들의 이해도와 활용도가 높아야 함을 의미
    • 범용성 : 다른 개발 사례가 존재하고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야 함을 의미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시스템의 구조 또는 구조체이다.
  • 모듈화 : 소프트웨어의 성능향상, 시스템의 수정 및 재사용, 유지 관리 등이 용이하도록 시스템의 기능들을 모듈 단위로 나누는 것
  • 추상화 :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설계한 후 차례로 세분화하여 구체화 시켜나가는 것
  • 추상화의 유형 3가지 : 과정추상화, 데이터추상화, 제어추상화
    • 과정추상화 : 자세한 수행과정을 정의하지 않고, 전반적인 흐름만 파악할 수 있게 설계하는 방법
    • 데이터추상화 : 데이터의 세부적인 속성이나 용도를 정의하지 않고, 데이터 구조를 대표할 수 있는 표현으로 대체하는 방법
    • 제어 추상화 : 이벤트 발생의 정확한 절차나 방법을 정의하지 않고, 대표할 수 있는 표현으로 대체하는 방법
  • 단계적 분해 : 상위의 중요 개념으로부터 하위의 개념으로 구체화시키는 분할 기법
  • 정보 은닉 : 모듈 내부에 포함된 절차와 자료들의 정보가 감추어져 다른 모듈이 접근하거나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법
  • 품질 평가 요소의 종료 : 시스템 측면, 비즈니스 측면, 아키텍처 측면(시비아)
  • 시스템 측면에서의 평가 요소 : 성능,보안,가용성,기능성,사용성,변경용이성, 확장성(가기성보사변확)
  • 비즈니스 측면에서의 평가 요소 : 시장적시성, 비용과 혜택, 예상 시스템 수명, 목표시장,공개일정(시비예목공)
  • 아키텍쳐 측면에서의 평가 요소 : 개념적 무결성, 정확성, 구축 가능성, 변경성, 시험성(개정구변시)
  • 협약에 의한 설계 : 컴포넌트를 설계할 때 클래스에 대한 여러가정을 공유 할 수 있도록 명세한 것
  • 아키텍처 패턴 : 아키텍처를 설계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방식 또는 예제
  • 레이어 패턴: 시스템을 계층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고전적인 방법의 패턴
  • 클라이언트-서버패턴 : 하나의 서버 컴포넌트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패턴
  • 파이프-필터 패턴 : 데이터 스트림 각 절차의 각 단계를 필터로 캡슐화하여 파이프를 통해 전송하는 패턴
  • MVC패턴 : 서브시스템을 모델,뷰,컨트롤러로 구조화하는 패턴
  • 마스터-슬레이브 패턴 : 슬레이브 컴포넌트에서 처리된 결과물을 다시 돌려받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패턴
  • 객체지향 : 각 요소들을 객체로 만든 후 객체들을 조립해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법
  • 객체지향의 구성 요소 3가지 : 객체, 클래스, 메시지
  • 객체지향의 특징 4가지 : 캡슐화, 상속, 다형성, 연관성
  • 객체 :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함수를 묶어 놓은 소프트웨어 모듈
  • 클래스 : 공통된 속성과 연산을 갖는 객체의 집합
  • 메시지 :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수단으로, 객체의 동작이나 연산을 일으키는 외부의 요구사항
  • 캡슐화 : 외부에서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세부내용을 은닉하는 것
  • 상속 : 상위 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연산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
  • 다형성 : 하나의 메시지에 대해 각각의 객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방법으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
  • 연관성 : 두 개 이상의 객체들이 상호 참조하는 관계
    • 연관성의 종류 5가지 : 연관화, 분류화, 집단화, 일반화, 특수화
  • 객체지향분석 :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관련된 객체,속성,연산,관계 등을 정의하여 모델링하는 작업
  • Coad와 Yourdon방법 : e-r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객체의 행위를 모델링하는 방법
  • 럼바우의 분석기법 : 모든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그래픽 표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기법, 객체모델링기법이라고 한다
    • 럼바우 분석 활동 순서 : 객체 모델링(객체다이어그램) -> 동적 모델링(상태다이어그램) -> 기능 모델링(자료흐름도, DFD)
    • 객체 모델링 : 정보 모델링이라고 하며,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객체를 찾아내어 속성과 연산 식별 및 객체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여 객체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는 것
    • 동적 모델링 : 상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객체들 간의 제어흐름, 상호작용, 동작 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를 표현하는 모델링
    • 기능 모델링 : 자료흐름도를 이용하여 다수의 프로세스들 간의 자료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을 표현한 모델링
  • 객체지향 설계 원칙 : 변경이나 확장에 유연한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지켜져야 할 원칙
    • 단일 책임 원칙(SRP): 객체는 단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는 원칙
    • 개방-폐쇄 원칙(OCP) : 기존의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원칙
    • 리스코프치환원칙(LSP) : 자식 클래스는 최소한 부모 클래스의 기능은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
    • 인터페이스분리원칙(ISP) :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와 의존 관계를 맺거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
    • 의존 역전 원칙(DIP) : 의존 관계성립시 추상성이 높은 클래스와 의존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원칙
  • 모듈 : 모듈화를 통해 분리된 시스템의 각 기능
  • 결합도 : 모듈 간에 상호 의존하는 정도 또는 두 모듈 사이의 연관 관계 
  •  결합도의 종류 6가지 : (내공외제스자) 내용결합도,공통결합도,제어결합도,외부결합도,스탬프결합도,자료결합도
    • 내용 결합도 :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 및 그 내부 자료를 직접 참조하거나 수정할 때의 결합도
    • 공통 결합도 : 공유되는 공통 데이터 영역을 여러 모듈이 사용할 때의 결합도, 파라미터가 아닌 모듈 밖에 선언된 전역변수를 사용하여 전역 변수를 갱신하느 결합도
    • 외부 결합도 : 어떤 모듈에서 선언한 데이터를 외부의 다른 모듈에서 참조할 때의결합도
    • 제어 결합도 : 어떤 모듈이 다른 모듈 내부의 논리적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나 제어 요소를 전달하는 결합도
    • 스탬프 결합도: 모듈간의 인터페이스로 배열이나 레코드 등의 자료구조가 전달될 때의 결합도
    • 자료결합도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가 자료요소로만 구성될 때의 결합도 
  • 응집도 : 모듈의 내부요소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 정도(우논시절교순기)
    • 기능적 응집도 : 모듈내부의 모든 기능 요소들이 단일 문제와 연관되어 수행될 경우의 응집도
    • 순차적 응집도 : 모듈 내 하나의 활동으로부터 나온 출력 데이터를 그 다음 활동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의 응집도
    • 교환적 응집도 :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이 모였을 경우의 응집도
    • 절차적 응집도 : 모듈이 다수의 관련 기능을 가질 때 모듈안의 구성요소들이 그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경우의 응집도
    • 시간적 응집도 : 특정 시간에 처리되는 몇개의 기능을 모아 하나의 모듈로 작성할 경우의 응집도
    • 논리적 응집도 :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 형태로 분류되는 처리 요소들로 하나의 모듈이 형성되는 경우의 응집도
    • 우연적 응집도 : 모듈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관련 없는 요소로만 구성된 경우의 응집도
  • 팬인 : 어떤 모듈을 제어하는 모듈의 수
  • 팬아웃 : 어떤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모듈의 수
  • N-S차트 :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두고 도형을 이용해 표현하는 방법
  • 단위 모듈 : 한가지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모듈로 구현한 것
  • IPC: 모듈간 통신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집합
  • IPC의 대표 메소드 5가지 : Shared Memory, Socket, Semaphores, Pipes & Named Pipes, Message Queueing
    • Share Memory : 공유 가능한 메모리를 구성하여 다수의 프로세스가 통신하는 방식
    • 소켓 : 네트워크 소켓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프로세스간에 통신하는 방식
    • Semaphores :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 제어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
    • Pipes&named Pipes : Pipe라고 불리는 선입선출 형태로 구성된 메모리를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하여 통신하는 방식
    • Message Queueing : 메시지가 발생하면 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통신하는 방식
  • 테스트케이스 :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준수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항목에 대한 명세서
  • 공통 모듈 : 여러프로그램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
  • 공통 모듈 명세기법의 종류 5가지 : 정확성,명확성,완정성,일관성,추적성
    • 정확성 : 시스템 구현 시 해당기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정확히 작성함
    • 명확성 : 해당 기능을 이해할 때 중의적으로 해석되지 않도록 명확하게 작성함
    • 완전성 : 시스템 구현을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기술함
    • 일관성 : 공통 기능들 간 상호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성함
    • 추적성 :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의 출처, 관련 시스템 등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
  • 재사용 : 이미 개발된 기능들을 새로운 시스템이나 기능 개발에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최적화하는 작업
  • 재사용 규모에 따른 분류 3가지 : 함수와 객체, 컴포넌트, 애플리케이션
    • 함수와 객체 : 클래스나 메소드 단위의 소스코드를 재사용
    • 컴포넌트 : 컴포넌트 자체에 대한 수정 없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으로 재사용
    • 애플리케이션 : 공통된 기능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재사용
  • 코드의 주요기능5가지 : 식별, 분류, 배열, 표준화, 간소화
    • 식별기능 : 데이터 간의 성격에 따라 구분이 가능함
    • 분류기능 : 특정 기준이나 동일한 유형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그룹화 할 수 있음
    • 배열기능 : 의미를 부여하거나 나열할 수 있음
    • 표준화기능 : 다양한 데이터를 기준에 맞추어 표현할 수 있음
    • 간소화기능 : 복잡한 데이터를 간소화 할 수 있음
  • 순차코드 : 자료의 발생 순서, 크기 순서 등 일정 기준에 따라서 최초의 자료부터 차례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 블록코드 : 코드화 대상 항목 중에서 공통성이 있는 것끼리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 블록내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 10진코드 : 코드화 대상 항목을 0~9까지 10진  분할하고, 각각에 대하여 10진 분할하는 방법을 필요한 만큼 반복하는 방법
  • 그룹 분류 코드 : 코드화 대상 항목을 일정 기준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 안에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 연상 코드 : 코드화 대상 항목의 명칭이나 약호와 관계있는 숫자나, 문자, 기호를 이용하여 코드를 부여하는 방법
  • 표의 숫자 코드 : 성질, 즉 길이 넓이, 부피, 지름, 높이 등의 물리적 수치를 그대로 코드에 적용시키는 방법
  • 합성 코드 : 필요한 기능을 하나의 코드로 수행하기 어려운 2개이상의 코드를 조합하여 만드는 방법
  • 디자인 패턴 : 모듈 간의 관계 및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 방식 또는 예제
  • GOF 디자인 패턴의 종류 3가지 : 생성, 구조, 행위패턴
  • 생성 패턴 : 클래스나 객체의 생성과 참조 과정을 정의하는 패턴
    • 추상 팩토리 : 구체적인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관 의존하는 객체들의 그룹으로 생성하여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패턴
    • 빌더 : 작게 분리된 인스턴스를 건축 하듯이 조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패턴
    • 팩토리 메소드: 객체생성을 서브 클래스에서 처리하도록 분리하여 캡슐화한 패턴, 상위 클래스에서 인터페이스만 정의하고 실제 생성은 서브 클래스가 담당
    • 프로토 타입 : 원본객체를 복제하는 방법으로 객체를 생성하는 패턴
    • 싱글톤 : 하나의 객체를 생성하면 생성된 객체를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지만,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참조 할 수 없음. 인스턴스가 하나 뿐임을 보장하는 패턴
  • 구조패턴 : 구조가 복잡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쉽도록 클래스나 객체들을 조합하여 더 큰구조로 만드는 패턴
    • 어댑터 : 호환성이 없는 클래스들의 인터페이스를 다른 클래스가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패턴
    • 브리지 : 구현부에서 추상층을 분리하여, 서로가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패턴
    • 컴포지트 : 여러객체를 가진 복합 객체와 단일 객체를 구분없이 다루고자 할때사용하는 패턴
    • 데코레이터 : 객체 간의 결합을 통해 능동적으로 기능들을 확장할 수 있는 패턴
    • 퍼싸드 : 복잡한 서브클래스들을 피해 더상위에 인터페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서브 클래스들의 기능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
    • 플라이웨이트 : 인스턴스가 필요할 때마다 매번 생성하는 것이 아니고 가능한 공유해서 사용함으로써 메모리를 절약하는 패턴
  • 행위 패턴 : 클래스나 객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이나 책임 분배 방법을 정의하는 패턴
    • 책임 연쇄 :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객체가 둘이상 존재하여 한 객체가 처리하지 못하면 다음 객체로 넘어가는 형태의 패턴
    • 커맨드 : 요청을 객체의 형태로 캡슐화하여 재이용하거나 취소할 수 있도록 요청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로그에 남기는 패턴
    • 인터프리터 : 언어에 문법 표현을 정의하는 패턴
    • 반복자 : 자료구조와 같이 접근이 잦은 객체에 대해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도록 하는 패턴
    • 중재자 : 수많은 객체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캡슐화하여 객체로 정의하는 패턴
    • 메멘토 : 특정 시점에서의 객체 내부 상태를 객체화함으로써 이후 요청에 따라 객체를 해당 시점의 상태로 돌릴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패턴
    • 옵저버 : 한객체의 상태가 변화하면 객체에 상속되어 있는 다른 객체들에게 변화된 상태를 전달하는 패턴, 일대다의 의존성을 정의
    • 상태 : 객체의 상태에 따라 동일한 동작을 다르게 처리해아 할 때 사용하는 패턴
    • 전략 : 동일한 계열의 알고리즘들을 개별적으로 캡슐화하여 상호 교환을 할 수 있게 정의하는 패턴
    • 템플릿 메소드 : 상위 클래스에서 골격을 정의하고, 하위 클래스에서 세부 처리를 구체화하는 구조의 패턴
    • 방문자 : 실제 로직을 가지고 있는 객체가 로직을 적용할 객체를 방문하면서 실행하는 패턴
  • 빌드 : 소스코드파일들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제품 소프트웨어로 변환하는 과정 또는 결과물
    • ANT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하였고 자바 프로젝트의 공식적인 빌드 도구
    • MARVEN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ANT의 대안으로 개발하였고 의존성을 설정하여 라이브러리를 관리함
    • GRADLE : ANT와 MARVEN을 보완하여 개발하였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공식 빌드 도구
  • 협업 도구 : 개발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서로 다른 작업 환경에서 원활히 프로젝트를 수행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 SPRING : JAVA를 기반으로 만든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
  • NODE.JS : JAVASCRIPT를 기반으로 만든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
  • Django : python을 기반으로 만든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
  • codeigniter : php를 기반으로 만든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
  • ruby on rails : ruby를 기반으로 만든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
  • 서버개발과정 : DTO/VO, SQL, DAO, Service, Controller를 각각 구현하는 과정
    • DTO(Data Transfer Object)/VO(Value Object) 구현 :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할 객체를 만드는 과정, 송수신할 데이터의 자료형에 맞는 변수 및 객체를 생성
    • SQL 구현 : 데이터의 삽입,변경,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할 SQL문을 생성하는 과정
    • DAO 구현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SQL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실제로 조작하는 코드를 구현하는 과정
    • SERVICE 구현 :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로직을 구현하는 과정
    • Controller 구현 : 사용자의 요청에 적절한 서비스를 호출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반환하는 코드를 구현하는 과정
  • API : 응용 프로그램 개발 시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 등에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규칙을 정의해 놓은 인터페이스
  • 배치프로그램 :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 없이 여러 작업들을 미리 정해진 일련의 순서에 따라 일괄적으로 처리하도록 만든 프로그램
  • 배치 프로그램의 필수요소 5가지 : 대용량데이터, 자동화, 견고성, 안정성, 성능
    • 대용량데이터 : 대량의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전달하거나, 계산하는 등의 처리가 가능해야 함을 의미
    • 자동화 : 심각한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
    • 견고성 : 잘못된 데이터나 데이터 중복 등의 상황으로 중단되는 일 없이 수행되어야 함을 의미
    • 안정성 :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의 발생 위치, 시간 등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 성능 :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을 방해하지 않아야하고, 지정된 시간 내에 처리가 완료되어야 한다는 것
  • 배치 스케줄러 : 일괄 처리 작업이 설정된 주기에 맞춰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지원해주는 도구
    • 스프링 배치 : Spring Source 사와 Accenture 사가2007년 공동 개발한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
    • Quartz :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개발되는 응용 프로그램들의 일괄 처리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 cron : 리눅스의 기본 스케줄러 도구, crontab 명령어를 통해 작업 예약 가능
      • [분] [시] [일] [월] [요일] [명렁어] , 분시일월요일에 *를 입력하면 매시기마다 수행
  • 패키지 소프트웨어 : 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여러 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애플리케이션에 잠재되어 있는 결함을 찾아내는 일련의 행위 또는 절차
  • Validation(확인) : 사용자의 입장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구현되었는지 확인하는 것
  • Verification(검증) : 개발자의 입장에서 개발한 소프웨어가 명세서에 맞게 만들어졌는지 점검하는 것
    • 완벽한 테스트 불가능 : 소프트웨어의 잠재적인 결함을 줄일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결함이 없다고 증명할 수는 없음
    • 파레토 법칙 : 애플레케이션의 20%에 해당하는 코드에서 전체 결함의 80%가 발견된다는 법칙
    • 살충제 패러독스 : 동일한 테스트 케이스로 동일한 테스트를 반복하면 더 이상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 현상
    • 테스팅은 정황의존 : 소프트웨어의 특징, 테스팅환경, 테스터의 역량 등 정황에 따라 테스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황에 따라 테스트를 다르게 수행해야 함
    • 오류-부재의 궤변 :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모두 제거해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해당 소프트웨어는 품질이 높다고 말할 수 없는 것
    • 테스트와 위험은 반비례 : 테스트를 많이 하면 할수록 미래에 발생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
    • 테스트의 점진적 확대 : 테스트는 작은 부분에서 시작하여 점점 확대하며 진행해야 하는 것
    • 테스트트의 별도 팀 수행 : 테스트는 개발자와 관계없는 별도의 팀에서 수행해야 하는 것
  • 정적 테스트 :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명세서나 소스코드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테스트, 소스 코드에 대한 코딩 표준, 코딩 스타일, 코드 복잡도 등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
  • 동적 테스트 :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오류를 찾는 테스트,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테스트를 수행
  • 명세기반테스트 :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명세를 빠짐없이 테스트 케이스로 만들어 구현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 구조기반테스트 : 소프트웨어 내부의 논리흐름에 따라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확인하는 테스트
  • 경험기반테스트 : 유사 소프트웨어나 기술 등에 대한 테스터의 경험을 기반으로 수행하는 테스트
  • 검증(Verification) : 개발자의 시각에서 제품의 생산과정을 테스트 하는 것
  • 확인(Validation) : 사용자의 시각에서 생상된 제품의 결과를 테스트 하는 것
  • 회복테스트 : 시스템에 여러가지 결함을 주어 실패하도록 한 후 올바르게 복구되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
  • 안전테스트 : 시스템에 설치된 시스템 보호 도구가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
  • 강도테스트 : 시스템에 과도한 정보량이나 빈도 등을 부과하여 과부하 시에도 소프트웨어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
  • 성능테스트 : 소프트웨어의 실시간 성능이나 전체적인 효율성을 진단하는 테스트
  • 구조테스트 : 소프트웨어 내부의 논리적인 경로, 소스 코드의 복잡도 등을 평가하는 테스트
  • 회귀테스트 : 소프트웨어의 변경 또는 수정된 코드에 새로운 결함이 없음을 확인하는 테스트
  • 화이트 박스 테스트 : 원시코드의 논리적인 모든 경로를 테스트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방법
    • 기초경로검사 : 테스트케이스 설계자가 절차적 설계의 논리적 복잡성을 측정할 수 있게 해주는 테스트 기법
    • 제어구조검사 : 조건검사, 루프검사, 데이터흐름 검사를 하는 기법
      • 조건검사 : 프로그램 모듈 내에 있는 논리적 조건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 루프검사 : 프로그램의 반복 구조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테스트 설계 기법
      • 데이터 흐름 검사 : 프로그램의 변수의 정의와 변수 사용의 위치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테스트 설계 기법 
  • 화이트 박스 테스트의 검증 기준(커버리지) 4 가지 : 문장검증, 분기검증, 조건검증, 분기/조건 검증
    • 문장 검증 기준 : 소스 코드의 모든 구문이 한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것
    • 분기 검증 기준 : 소스 코드의 모든 조건문에 대해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인 경우와 False인 경우가 한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케이스를 설계하는 기법
    • 조건 검증 기준 : 소스코드의 조건문에 포함된 개별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인경우와, False인 경우가 한번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함
    • 분기/조건 기준 : 분기 검증 기준과 조건 검증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설계
  • 블랙 박스 테스트 : 각 기능이 완전히 작동되는 것을 입증하는 테스트
  • 블랙박스 테스트의 5가지 종류 : 경계값 분석, 동치 분할 검사, 원인-결과 그래프 검사, 오류 예측검사, 비교 검사
    • 동치 분할 검사 : 프로그램의 입력조건에 타당한 입력자료와 타당하지 않은 입력자료의 개수를 균등하게 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정하고, 입력 자료에 맞는 결과가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기법
    • 경계값 분석 : 입력 조건의 중간값보다 경계값에서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입력 조건의 경계값을 테스트 케이스로 선정하여 검사하는 기법
    • 원인-결과 그래프 검사 :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와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다음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를 선정하여 검사하는 기법
    • 오류 예측 검사 : 과거의 경험이나 확인자의 감각으로 테스트하는 기법
    • 비교 검사 :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동일한 테스트 자료를 제공하여 동일한 결과가 출력되는지 테스트 하는 기법
  • 단위 테스트 : 소프트웨어의 설계의 최소 단위인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 하는 것
  • 통합 테스트 : 단위 테스트가 완료된 모듈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완성시키는 과정에서의 테스트
  • 시스템 테스트 :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완벽하게 수행되는가를 점검하는 테스트
  • 인수 테스트 :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테스트하는 것
    • 사용자 인수 테스트 :사용자가 시스템 사용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
    • 알파 테스트 :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개발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 베타 테스트 : 선정된 최종 사용자가 여러 명의 사용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 비점진적 통합 방식 : 단계적으로 통합하는 절차 없이 모든 모듈이 결합되어 있는 프로그램 전체를 테스트하는 방법
  • 점직적 통합 방식 : 모듈단위로 단계적으로 통합하면서 테스트하는 방법
    • 하향식 통합 테스트 : 프로그램의 상위 모듈에서 하위 모듈 방향으로 통합하면서 테스트하는 기법
      • 스텁 : 하향식 통합 테스트에서 주요 제어 모듈의 종속 모듈을 대체하는 것
    • 상향식 통합 테스트 : 하위 모듈에서 상위 모듈 방향으로 통합하면서 테스트하는 기법
      • 클러스터 : 샹항샤기 통합 테스트에서 하위 모듈들을 겹합한 것
      • 드라이버 : 상위 모듈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확인하기 위한 더미 모듈
  • 혼합식 통합 테스트 : 하위 수준에서는 상향식 통합, 상위 수준에서는 하향식 통합 사용하여 최적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방식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프로세스의 순서 : 테스트 계획 -> 테스트 분석 및 디자인 -> 테스트 케이스 및 시나리오 작성 -> 테스트 수행 -> 테스트 결과 평가 및 리포팅 -> 결함 추적 및 관리
  • 결함관리프로세스의 순서 : 에러 발견 -> 에러 등록 -> 에러 분석 -> 결함 확정 -> 결함 할당 -> 결함 조치 -> 결함 조치 검토 및 승인
  • 테스트 케이스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준수 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설계된 테스트 항목에 대한 명세서
  • 테스트 시나리오 : 테스트 케이스를 적용하는 순서에 따라 여러개의 테스트케이스를 묶은 집합
  • 테스트 오라클 : 테스트 결과가 올바른지 판단하기 위해 사전에 정의된 참값을 대입하여 비교하는 기법 및 활동
  • 테스트 오라클의 특징 3가지 : 제한된 검증, 수학적 기법, 자동화 기능(제수자)
    • 제한된 검증 : 테스트 오라클을 모든 테스트 케이스에 적용할 수 없음
    • 수학적 기법 : 테스트 오라클을의 값을 수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음
    • 자동화 기능 : 테스트 대상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비교, 커버리지 측정 등을 자동화 할 수 있음
  • 테스트 오라클의 종류 4가지 : 참오라클, 샘플링 오라클, 추정오라클, 일관성 검사 오라클
    • 참 오라클 : 모든 테스트 케이스의 입력에 대해 기대하는 결과를 제공하는 오라클
    • 샘플링 오라클 : 특정한 몇몇 테스트 케이스의 입력 값들에 대해서만 기대하는 결과를 제공하는 오라클
    • 추정 오라클 : 특정 테스트 케이스의 입력 값에 대해 기대하는 결과를 제공하고, 나머지 입력 값들에 대해서는 추정으로 처리하는 오라클
    • 일관성 검사 오라클 : 애플리케이션에 변경이 있을 때, 테스트 케이스의 수행 전과 수행 후의 결과 값이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오라클
  • 정적 분석 도구 :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분석하는 도구
  • 테스트 실행 도구 :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실행하는 도구
  • 성능 테스트 도구 : 가상의 사용자를 만들어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성능의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는 도구
  • 테스트 통제 도구 : 테스트 계획 및 관리, 테스트 수행, 결함 관리 등을 수행하는 도구
  • 테스트 하네스 도구 : 테스트가 실행될 환경을 시뮬레이션 하여 컴포넌트 및 모듈이 정상적으로 테스트되도록 하는 도구
  • 결함 : 소프트웨어가 개발자가 설계한 것과 다르게 동작하거나 다른 결과가 발생하는 것
  • 결함 관리 측정 지표 3가지 : 결함 분포, 결함 추세, 결함 에이징
    • 결함 분포: 모듈 또는 컴포넌트의 특정 속성에 해당하는 결함 수 측정
    • 결함 추세 : 테스트 진행 시간에 따른 결함 수의 추이 분석
    • 결함 에이징 : 특정 결함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 측정
  • 애플리케이션 성능 : 최소한의 자원을 사용하여 최대한 많은 기능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정도
  • 애플리케이션 성능 측정 지표 4가지 : 처리량, 응답시간, 경과시간, 자원 사용률(처음경자)
    • 처리량 : 일정시간내에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하는 일의 양
    • 응답시간 : 애플리케이션에 요청을 전달한 시간부터 응답이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
    • 경과시간 : 애플리케이션에 작업을 의뢰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
    • 자원 사용률 : 애플리케이션이 의뢰한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의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네트워크 사용량 등 자원 사용률
  • 시간 복잡도 :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스가 수행하는 연산 횟수를 수치화 한 것
    • 빅오 표기법 :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이 최악일 때를 표기하는 방법
    • 세타 표기법 :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이 평균일 때를 표기하는 방법
    • 오메가 표기법 : 알고리즘의 실행시간이 최상일 때를 표기하는 방법
  • O(1) : 입력값(N)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문제 해결에 하나의 단계만을 거치는 것
  • O(logn) :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단계가 입력값(n) 또는 조건에 의해 감소하는 것
  • O(n) :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단계가 입력값(n)과 1:1관계를 가지는 것
  • O(nlogn) :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단계가 n(logn)번 만큼 수행되는 것
  • O(n^2) :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단계가 입력값(n)의 제곱만큼 수행되는 것
  • O(2^n) :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단계가 2의 입력값(n)제곱만큼 수행되는 것
  • 순환 복잡도 : 한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복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척도
    • 순환 복잡도의 공식 : V(G) = E-N+2
  • 스파게티 코드 : 코드의 로직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코드
  • 외계인 코드 : 아주 오래되거나 참고문서 또는 개발자가 없어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운 코드
  • 클린코드작성원칙5가지 : (가단의중추) , 가독성, 단순성, 의존성 배제, 중복성 최소화, 추상화
    • 가독성 : 누구든지 코드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
    • 단순성 : 코드를 간단하게 작성하는 것
    • 의존성 배제 : 코드가 다른 모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코드 변경시 다른 부분에 영향이 없도록 작성하는 것
    • 중복성 최소화 : 코드의 중복을 최소화 하고 중복된 코드는 삭제하고 공통된 코드를 사용하는 것
    • 추상화 : 상위클래스/메소드/함수에서는 간략하게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을 나타내고, 상세 내용은 하위클래스/메소드/함수에서 구현하는 것
  • 정적 분석 도구 : 작성한 소스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코딩 표준이나 코딩 스타일, 결함 등을 확인하는 코드 분석 도구
  • 동적 분석 도구 : 작성한 소스 코드를 실행하여 코드에 존재하는 메모리 누수, 스레드 결함 등을 분석하는 도구

'소프트웨어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설계] 기출 문제  (0) 2024.03.15

손 글씨가 사람의 성격을 만들수 있다고 주장한다.

https://youtu.be/q-055bQgBNk

구본진 필적 학자 주장이다.

구본직 필적 학자가 부자로 최고의 필체는 정주영 회장의 것이다.

아래는 이병철, 정주영 회장의 필체이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310384

 

손글씨를 통해 우울증을 치료했다는 사람이 있다.

'지혜 >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 괴로울 때 글쓰기로 행복해지는 법  (0) 2019.02.07
묘사 일기, 필사  (0) 2018.07.24

2020년 23회

다음은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9)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숫자를 쓰시오.

제6조(배관 등) ① 호스접결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 )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1, :40


2019년 22회

다음은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502)상 연결송수관설비의 기준이다. ( )에 들어갈 숫자를 옳게 나열한 것은?

정답: ㄱ:31, :11

건축법령상 아파트의 대피공간을 발코니에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대피공간의 설치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피공간은 바깥의 공기와 접할 것
   ② 대피공간의 바닥면적은 인접 세대와 공동으로 설치하는 경우 3제곱미터 이상으로 할 것
    대피공간의 바닥면적은 각 세대별로 설치하는 경우 1.5제곱미터 이상으로 할 것
    대피공간은 실내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구획될 것
    대피공간의 설치기준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할 것

해설: 2제곱미터


2018년 21회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303)상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복도통로유도등은 복도에 설치하며,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마다 설치하여야 한다.
    피난구유도등은 피난통로를 안내하기 위한 유도등으로 복도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계단통로유도등을 말한다.
    계단통로유도등은 각층의 경사로 참 또는 계단참마다(1개층에 경사로 참 또는 계단참이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2개의 계단참마다) 설치하며,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피난구유도등은 바닥면적이 1,000㎡ 미만인 층으로서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외부의 식별이 용이한 경우에 한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피난구유도표지는 출입구 상단에 설치하고, 통로유도표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더보기

해설
② 통로유도등
③ 1m
바닥면적이 1,000㎡ 미만인 층으로서-> 삭제
⑤ 1m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103)상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관한 용어로 옳은 것은?
    압력수조: 구조물 또는 지형지물 등에 설치하여 자연낙차 압력으로 급수하는 수조
    충압펌프: 배관 내 압력손실에 따른 주펌프의 빈번한 기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압역할을 하는 펌프
    일제개방밸브: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 설치하는 밸브로서 화재발생시 자동 또는 수동식 기동장치에 따라 밸브가 열려지는 것
    진공계: 대기압 이상의 압력과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
    체절운전: 펌프의 성능시험을 목적으로 펌프토출측의 개폐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펌프를 운전하는 것

더보기

해설
① 고가수조

③ 개방형
④ 연성계
⑤ 폐쇄한


2017년 20회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상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에 관한 설치기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옳게 나열한 것은?

정답 : 감지부, :탐지부, : 30 cm 이하

2020년 23회

난방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방열기의 상당방열면적은 표준상태에서 전 방열량을 표준 방열량으로 나눈 값이다.
    증기용 트랩으로 열동트랩, 버킷트랩, 플로트트랩 등이 있다.
    천장고가 높은 공간에는 복사난방이 적합하다.
     보일러의 정격출력은 난방부하 + 급탕부하 + 배관(손실)부하이다.
    증기난방은 증기의 잠열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해설: 예열부하 추가

도시가스사업법령상 가스사용시설의 시설기술검사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를 쓰시오.

정답: : 60, :30, :15


2019년 22회

LPGLNG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LNG의 주성분은 탄소수 34의 탄화수소이다.
    LPG의 주성분은 메탄이다.
    기화된 LPG는 대기압 상태에서 공기보다 비중이 낮다.
    기화된 LNG의 표준상태 용적당 발열량은 기화된 LPG보다 높다.
    액체 상태의 LNG 비점은 액체 상태의 LPG보다 낮다.

더보기

해설

LNG (Liqui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 LPG (Liquid Petroleum Gas) 액화석유가스
비중이 낮다. 바닥에 고이지 않는다. 비중이 높다. 바닥에 고인다
싸다 비싸다
  이동이 쉽다-> 가스통으로 배달 된다.

 

다음 조건에 따라 계산된 전기급탕가열기의 용량(kW)?

더보기

정답 8.75
해설 (4.2x$\frac{150}{3600}$x(50-10) ÷ 0.8 = 8.75


2018년 21회

공동주택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온수보일러를 가동할 경우 사용되는 가스 소비량(m3/h)?

더보기

정답 : 7

해설 (비열x질량x온도차) ÷ (발열량x효율) = (4.2x500x(80-20)) ÷ (20000x0.9) = 7

온수난방장치에 적용되는 팽창탱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팽창된 물의 배출을 막아 장치의 열취득을 방지한다.
    운전중 장치 내를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시킨다.
    장치 내의 수온상승으로 발생되는 물의 체적팽창과 압력을 흡수한다.
    장치 내 물의 누수 등으로 발생되는 공기의 침입을 방지한다.
    개방형 팽창탱크의 경우 장치 내의 공기 배출구와 온수보일러의 도피관으로 이용된다.

더보기

해설: 열손실

히트펌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겨울철 온도가 낮은 실외로부터 온도가 높은 실내로 열을 끌어들인다는 의미에서 열펌프라고도 한다.
    운전에 소비된 에너지보다 대량의 열에너지가 얻어져 일반적으로 성적계수(COP)1이하의 값을 유지한다.
    한 대의 기기로 냉방용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공기열원 히트펌프는 겨울철 난방부하가 큰 날에는 외기온도도 낮으므로 성적계수(COP)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히트펌프의 열원으로는 일반적으로 공기, , 지중(땅속)을 많이 이용한다.


2017년 20회

급탕량이 3㎥/h이고, 급탕온도 60, 급수온도 10일 때의 급탕부하는? (, 물의 비열은 4.2 kJ/kgK, 1㎥1000 kg으로 한다.)

정답 175kw
해설: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관리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강기 기출 문제  (0) 2024.03.26
소방 기출 문제  (0) 2024.03.10
[주택관리사보] 전기 기출 문제  (0) 2024.03.10
주택건설기준 기출 문제  (0) 2024.03.10
공동주택관리법 벌칙  (0) 2024.03.10

2021년 24회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상 피뢰설비의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를 옳게 나열한 것은?

 

정답 : : 25, : 50


2020년 23회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공동주택의 세대당 전용면적이 80㎡일 때, 각 세대에 설치해야 할 전기시설의 최소 용량(kW)?

    3.0 3.5      4.0 4.5     5.0

더보기

해설
80 초과 90 이하 : 4.5kW 이상
70 초과 80 이하 : 4kW 이상
60 초과 70 이하 : 3.5kW 이상
60제곱미터 이하 : 3kW 이상

실의 적이 100m2, 천장고가 2.8 m인 관리사무소의 평균조400 lx로 유지하기 위해 LED램프로 조명을 교체하고자 할 때, 필요한 최소 개? (, LED램프의 광4,000 lm/, 광보상률 1.3, 률은 0.5로 함)

    20 22개      26 28개     30

더보기

해설
도 · 면 · 감 = 속 · 명 · 수
400 x 100 x 1.3 = 4000 x 0.5 x 수
(개)수 = ( 400 x 100 x 1.3 ) / ( 4000 x 0.5 ) = 26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전기배선 공사방법은?

정답: 금속관 공사

건축전기설비 설계기준상의 수변전설비 용량계산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정답: 부등률


2019년 22회

전기사업법령상의 용어의 정의이다. 법령에서 명시하고 있는 ( )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정답 : 수전설비 


2018년 21회

조명설비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정답 조도, 보수율, 균제도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상 피뢰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피뢰설비의 재료는 최소 단면적이 피복이 없는 동선을 기준으로 수뢰부, 인하도선 및 접지극은 50제곱밀리미터 이상이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출 것
    접지(接地)는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시공방법이나 화학 첨가물 등을 사용하지 아니할 것
    피뢰설비는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레벨 등급에 적합한 피뢰설비일 것. 다만,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에 설치하는 피뢰설비는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시스템레벨 II 이상이어야 할 것
    급수급탕난방가스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설치하는 금속배관 및 금속재 설비는 전위(電位)가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전기적으로 접속할 것
전기설비의 접지계통과 건축물의 피뢰설비 및 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통합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낙뢰 등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한국산업표준에 적합한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할 것

더보기

해설 : 서지보호장치

 

'주택관리사보 > 공동주택관리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 기출 문제  (0) 2024.03.10
[주택관리사보] 난방설비 기출 문제  (0) 2024.03.10
주택건설기준 기출 문제  (0) 2024.03.10
공동주택관리법 벌칙  (0) 2024.03.10
배관 기출 문제  (0) 2024.02.21

2018년 21회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에 적용되는 기술을 모두 고른 것은?

정답 , ,

 

제11장 벌칙


 제97조(벌칙) 제90조제1항을 위반하여 공모하여 부정하게 재물 또는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공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다만, 그 위반행위로 얻은 이익의 100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이 3천만원을 초과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그 이익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제9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다만, 제3호에 해당하는 자로서 그 위반행위로 얻은 이익의 100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그 이익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52조제1항에 따른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주택관리업을 운영한 자 또는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한 자

2. 삭제 <2016. 1. 19.>

3. 제90조제2항을 위반하여 부정하게 재물 또는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공한 자


 제99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7. 3. 21., 2021. 8. 10., 2022. 6. 10.>

1. 제26조제1항을 위반하여 회계감사를 받지 아니하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받은 자

1의2. 제26조제5항을 위반하여 회계감사를 방해하는 등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1의3. 제27조제1항을 위반하여 장부 및 증빙서류를 작성 또는 보관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작성한 자

1의4. 제35조제1항 및 제4항을 위반한 자(같은 조 제1항 각 호의 행위 중 신고대상 행위를 신고하지 아니하고 행한 자는 제외한다)

2. 제50조제2항 및 제78조를 위반하여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한 자

3. 제53조에 따른 영업정지기간에 영업을 한 자나 주택관리업의 등록이 말소된 후 영업을 한 자

4. 삭제 <2016. 1. 19.>

5. 제67조에 따라 주택관리사등의 자격을 취득하지 아니하고 관리사무소장의 업무를 수행한 자 또는 해당 자격이 없는 자에게 이를 수행하게 한 자

6. 제90조제4항부터 제6항까지를 위반하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가. 다른 자에게 자기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이 법에서 정한 사업이나 업무를 수행하게 하거나 자기의 등록증 또는 자격증을 빌려준 자

나. 다른 자의 성명 또는 상호를 사용하여 주택관리업 또는 주택관리사등의 업무를 수행하거나 다른 자의 등록증 또는 자격증을 빌린 자

다. 가목 또는 나목의 행위를 알선한 자

7. 제92조제1항 또는 제93조제1항ㆍ제3항ㆍ제4항에 따른 조사 또는 검사나 감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

8. 제94조에 따른 공사 중지 등의 명령을 위반한 자




 제100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6조제1항에 따른 기술인력 또는 장비를 갖추지 아니하고 관리행위를 한 자

2. 제64조제1항을 위반하여 주택관리사등을 배치하지 아니한 자


 제101조(양벌규정) 법인의 대표자나 법인 또는 개인의 대리인, 사용인, 그 밖의 종업원이 그 법인 또는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제97조부터 제99조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하면 그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개인에게도 해당 조문의 벌금형을 과(科)한다. 다만, 법인 또는 개인이 그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102조(과태료) ① 제38조제2항을 위반하여 하자보수보증금을 이 법에 따른 용도 외의 목적으로 사용한 자에게는 2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6. 1. 19.>

1. 제13조를 위반하여 공동주택의 관리업무를 인계하지 아니한 자

2. 삭제 <2017. 3. 21.>

3. 삭제 <2017. 3. 21.>

4. 제29조제2항을 위반하여 수립되거나 조정된 장기수선계획에 따라 주요시설을 교체하거나 보수하지 아니한 자

5. 제43조제3항에 따라 판정받은 하자를 보수하지 아니한 자

6. 제52조제5항을 위반하여 유사명칭을 사용한 자

7. 제93조제1항에 따른 보고 또는 자료 제출 등의 명령을 위반한 자

8. 제65조제5항을 위반하여 관리사무소장을 해임하거나 해임하도록 주택관리업자에게 요구한 자

9. 제90조제3항을 위반하여 관리비ㆍ사용료와 장기수선충당금을 이 법에 따른 용도 외의 목적으로 사용한 자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5. 12. 29., 2016. 1. 19., 2017. 4. 18., 2018. 3. 13., 2019. 4. 23., 2020. 6. 9., 2020. 12. 8., 2021. 8. 10., 2022. 6. 10.>

1. 제6조제1항에 따른 자치관리기구를 구성하지 아니한 자

2. 제7조제1항 또는 제25조를 위반하여 주택관리업자 또는 사업자를 선정한 자

3. 제10조의2제1항 본문 및 제4항에 따른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의 전환 및 제외, 제11조제3항에 따른 관리방법의 결정 및 변경, 제19조제1항에 따른 관리규약의 제정 및 개정, 입주자대표회의의 구성 및 변경 등의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14조제8항을 위반하여 회의록을 작성하여 보관하게 하지 아니한 자

4의2. 제14조제9항 후단을 위반하여 회의록의 열람 청구 또는 복사 요구에 응하지 아니한 자

5. 제23조제4항 또는 제5항을 위반하여 관리비 등의 내역을 공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공개한 자

6. 제26조제3항을 위반하여 회계감사의 결과를 보고 또는 공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 또는 공개한 자

6의2. 제26조제6항을 위반하여 회계감사 결과를 제출 또는 공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제출 또는 공개한 자

7. 삭제 <2017. 3. 21.>

8. 제27조제3항을 위반하여 장부나 증빙서류 등의 정보에 대한 열람, 복사의 요구에 응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응한 자

9. 제28조를 위반하여 계약서를 공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공개한 자

10. 제29조를 위반하여 장기수선계획을 수립하지 아니하거나 검토하지 아니한 자 또는 장기수선계획에 대한 검토사항을 기록하고 보관하지 아니한 자

11. 제30조에 따른 장기수선충당금을 적립하지 아니한 자

12. 제31조에 따라 설계도서 등을 보관하지 아니하거나 시설의 교체 및 보수 등의 내용을 기록ㆍ보관ㆍ유지하지 아니한 자

13. 제32조에 따른 안전관리계획을 수립 또는 시행하지 아니하거나 교육을 받지 아니한 자

14. 제33조제1항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하지 아니하거나 같은 조 제2항에 따라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통보 또는 보고하지 아니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아니한 자

15. 제35조제1항 각 호의 행위를 신고하지 아니하고 행한 자

15의2. 제37조제5항에 따른 하자보수에 대한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

16. 제38조제2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자

16의2. 제38조의2제1항을 위반하여 하자보수청구 서류 등을 보관하지 아니한 자

16의3. 제38조의2제2항을 위반하여 하자보수청구 서류 등을 제공하지 아니한 자

16의4. 제38조의2제3항을 위반하여 공동주택의 하자보수청구 서류 등을 인계하지 아니한 자

16의5. 제43조제6항을 위반하여 하자분쟁조정위원회의 출석요구를 따르지 아니한 안전진단기관 또는 관계 전문가

16의6. 제44조의2제3항에 따라 하자분쟁조정위원회로부터 계속하여 2회의 출석 요구를 받고 정당한 사유 없이 출석하지 아니한 자 또는 출석하여 거짓으로 진술하거나 감정한 자

16의7. 제44조의2제3항에 따라 제출을 요구받은 문서 또는 물건을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제출한 자

17. 제46조제2항에 따른 조정등에 대한 답변서를 하자분쟁조정위원회에 제출하지 아니한 자 또는 제75조제1항에 따른 분쟁조정 신청에 대한 답변서를 중앙분쟁조정위원회에 제출하지 아니한 자

18. 제46조제3항에 따른 조정등에 응하지 아니한 자(입주자 및 임차인은 제외한다) 또는 제75조제2항에 따른 분쟁조정에 응하지 아니한 자

18의2. 제51조제1항에 따른 조사ㆍ검사 및 열람을 거부하거나 방해한 자

19. 제52조제1항에 따른 주택관리업의 등록사항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자

20. 삭제 <2016. 1. 19.>

21. 삭제 <2016. 1. 19.>

22. 제63조제2항을 위반하여 공동주택을 관리한 자

23. 제64조제5항에 따른 배치 내용 및 직인의 신고 또는 변경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

24. 제66조제3항에 따른 보증보험 등에 가입한 사실을 입증하는 서류를 제출하지 아니한 자

25. 제70조에 따른 교육을 받지 아니한 자

26. 제92조제1항에 따른 보고 또는 검사의 명령을 위반한 자

27. 제93조제8항 또는 제94조제3항을 위반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부터 통보받은 명령, 조사 또는 검사, 감사 결과 등의 내용을 공개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공개한 자 또는 열람, 복사 요구에 따르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따른 자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부과한다.

 

출처: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3%B5%EB%8F%99%EC%A3%BC%ED%83%9D%EA%B4%80%EB%A6%AC%EB%B2%95

건축구조

더보기

 

1. 구조총론

2. 기초구조

3. 조적식 구조

4. 철골구조

5. 철근콘크리트 구조

6. 지붕공사

7. 방수 및 방습공사

8. 미장 및 타일공사

9. 수장 공사

10. 창호 및 유리공사

11. 도장공사

12. 적산

4. 철골구조

더보기

4.1.각종접합
 4.1.1 고장력볼트
 4.1.2 용접접합
 4.1.3 접합 병용

4.2.각부상세
 4.2.1 바닥판(Slab)
 4.2.2 보(Girder/Beam)
 4.2.3 주각
 4.2.4 내화피복


2023년

> 철골공사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커버플레이트(cover plate): 휨모멘트 저항
     스티프너(stiffener): 웨브(web) 좌굴방지
     스터드 볼트(stud bolt): 휨 연결 철물
     플랜지(flange): 휨모멘트 저항
     크레이터(crater): 용접결함

더보기

해설:
① 커버플레이트 = 덧판
③ 휨 연결 철물 → 전단 연결 철물
판보(Plate girder) -> 커버플레이트(cover plate), 플랜지(flange), 웨브(web), 스티프너(stiffener)

H 빔

> 철골조 내화피복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재발생 시 지정된 시간 동안 철골 부재의 내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화피복을 실시한다.
     성형판 붙임공법은 작업능률이 우수하나, 재료 파손의 우려가 있다.
     뿜칠공법은 복잡한 형상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균일한 피복두께의 확보가 용이하다.
     타설공법거푸집을 설치하여 철골부재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는 공법이다.
     미장공법은 시공면적 5 ㎡  1개소 단위로 핀 등을 이용하여 두께를 확인한다.

해설 : 용이하다 -> 어렵다


2022년 25회

> 철골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고장력볼트를 먼저 시공한 후 용접을 한 경우, 응력은 용접이 모두 부담한다.
ㄴ. H형강 보의 플랜지(flange)는 휨모멘트에 저항하고, 웨브(web)는 전단력에 저항한다.
ㄷ. 볼트 접합은 구조 안전성, 시공성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구조내력상 주요부분 접합에 널리 적용된다.
ㄹ. 철골보와 콘크리트슬래브 연결부에는 쉬어커넥터(shear connector)가 사용된다.

더보기

정답: , 
해설: ㄱ. 모두-> 각각
         ㄷ. 주요부분 접합 -> 소규모 구조물

> 철골구조 용접접합에서 두 접합재의 면을 가공하지 않고 직각으로 맞추어 겹쳐지는 모서리 부분을 용접하는 방식은?

정답: 필릿(fillet)용접


2021년 24회

> 철골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단면에 비하여 부재의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아 좌굴되기 쉽다.
    ② 접합부의 시공과 품질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설계가 필요하다.
    ❸ 강재의 취성파괴고온에서 인장할 때 또는 갑작스런 하중의 집중으로 생기기 쉽다.
    ④ 담금질은 강을 가열한 후 급랭하여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 열처리 작업이다.
    ⑤ 고장력볼트 접합은 철골부재간의 마찰력에 의해 응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더보기

해설: 취성은 변형 없이 깨지는 것으로 저온에서 생기기 쉽다.

> 철골구조의 내화피복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12/50[최고층수/최고높이(m)]를 초과하는 주거시설의 보·기둥은 2시간 이상의 내화구조 성능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② 뿜칠공법은 작업성능이 우수하고 시공가격이 저렴하지만 피복두께 및 밀도의 관리가 어렵다.
    ③ 합성공법은 이종재료의 적층이나 이질재료의 접합으로 일체화하여 내화성능을 발휘하는 공법이다.
    ④ 도장공법의 내화도료는 화재시 강재의 표면 도막이 발포·팽창하여 단열층을 형성한다.
    ⑤ 건식공법은 내화 및 단열성이 좋은 경량 성형판을 연결철물 또는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하는 공법이다.

더보기

해설: 3시간


2020년 23회

1. 철골구조의 접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볼트접합은 주요 구조부재의 접합에 주로 사용된다.
ㄴ. 용접금속과 모재가 융합되지 않고 겹쳐지는 용접결합을 언더컷이라고 한다.
ㄷ. 볼트접합에서 게이자라인 상의 볼트 중심간 간격을 피치라고 한다.
ㄹ. 용접을 먼저 시공하고 고력볼트를 시공하면 용접이 전체하중을 부담한다.

더보기

정답 : ,
해설:
ㄱ. 고장력볼트접합은 주요 구조재의 접합에 주로 사용된다.
ㄴ. 용접금속과 모재가 융합되지 않고 겹쳐지는 용접결함을 오버랩이라고 한다.


2019년 22회

1. 철골구조의 장점 및 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강재는 재질이 균등하며, 강도가 커서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건물의 중량이 가볍다.
    ② 장경간 구조물이나 고층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다.
    ❸ 시공정밀도가 요구되어 공사기간이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길다.
    ④ 고열에 약해 내화설계에 의한 내화피복을 해야 한다.
    ⑤ 압축력에 대해 좌굴하기 쉽다.

2. 철골구조 접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볼트접합은 가설건축물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주요 구조부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❷ 언더 컷은 약한 전류로 인해 생기는 용접 결함의 하나이다.
    ③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를 플럭스라 한다.
    ④ 고장력볼트 접합은 응력집중이 적으므로 반복응력에 강하다.
    ⑤ 고장력볼트 마찰접합부의 마찰면은 녹막이칠을 하지 않는다.

더보기

해설: 강한 전류


2018년 21회

1. 철골구조의 고장력볼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크-전단형(T/S) 고장력볼트는 너트 측에만 1개의 와셔를 사용한다.
    ❷ 볼트는 1차 조임 후 1일 정도의 안정화를 거친 다음 본조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③ 볼트는 원칙적으로 강우 및 결로 등 습한 상태에서 본조임해서는 안 된다.
    ④ 볼트 끼우기 중 나사부분과 볼트머리는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⑤ 볼트 조임 및 검사용 토크렌치와 축력계의 정밀도는 ±3% 오차범위 이내가 되도록 한다.

더보기

해설: 볼트는 1차 조임시 규정치의 80%로 조이고 2차 조임시 규정치로 조인다.


철골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H형강보의 플랜지는 전단력, 웨브는 휨모멘트에 저항한다.
    H형강보에서 스티프너(stiffener)는 전단 보강, 덧판(cover plate)은 휨 보강에 사용된다.
    볼트의 지압파괴는 전단접합에서 발생하는 파괴의 일종이다.
    절점 간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부재인 가새수평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압축재 접합부에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볼트 구멍의 단면결손은 무시할 수 있다.

더보기

해설:
① H형강 보의 플랜지(flange)는 휨모멘트에 저항하고, 웨브(web)는 전단력에 저항한다.

철골공사에서 용접금속이 모재에 완전히 붙지 않고 겹쳐 있는 용접 결함?
    크랙(crack) 공기구멍(blow hole)     오버랩(overlap) 크레이터(crater)     언더컷(under cut)

2020년 7월

> 다음 중 학점[B3:B10]을 이용하여 [E3:E7] 영역에 학점별 학생수만큼 '' 기호를 표시하고자 할 때, [E3] 셀에 입력해야 할 수식으로 옳은 것은?

더보기

정답: =REPT("", COUNTIF($B$3:$B$10, D3))

해설 
1) COUNTIF(찾으려는 위치, 찾으려는 항목) -> 기준을 충족하는 셀의 개수를 센다.
2) REPT(텍스트, 반복하여 보여주려는 갯수) -> 텍스트를 셀에 채운다.
3) $$B\$3:\$B\$10 -> B3:B10 은 좌표를 의미한다. -> $$는 절대(고정됨)를 의미한다.

> 다음 중 아래의 워크시트에서 수식의 결과로 '부사장'을 출력하지 않는 것은?

    ❶ =CHOOSE(CELL("row",B3), C2, C3, C4, C5, C6)
    ② =CHOOSE(TYPE(B4), C2, C3, C4, C5, C6)
    ③ =OFFSET(A1:A6,2,2,1,1)
    ④ =INDEX(A2:D6,MATCH(A3, A2:A6, 0), 3)

해설:
① 셀에 영업 사원이 표시 된다.
     1.1 CELL("row",B3) => B3의 행은 세번째이다. 즉 3이다.
     1.2 CHOOSE(3, C2, C3, C4, C5, C6) => C2~C6 범위에서 3번째는 영업사원이다.
② TYPE(B4) => 텍스트는 2를 표시한다.
③ OFFSET(A1:A6,2,2,1,1) = OFFSET(A1,2,2) => 결과가 같다.
④ 

 

2016년 7월

> 제품의 표면 거칠기를 나타낼 때 표면 조직의 파라미터를 평가된 프로파일의 산술 평균 높이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그 기호로 옳은 것은 ?

    Rt Rq     Rz Ra

> 다음은 어떤 물체를 제 3각법으로 투상한 것이다. 이 물체의 등각 투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

> 가는 실선으로만 사용하지 않는 선은?

    지시선 절단선     해칭선 치수선

> 재료의 기호와 명칭이 맞는 것은?
    ① STC : 기계 구조용 탄소 강재
    ② STKM :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③ SPHD : 탄소 공구 강재
    ❹ SS :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 도면이 구비하여야 할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① 무역 및 기술의 국제적인 통용성
    ❷ 제도자의 독창적인 제도법에 대한 창의성
    ③ 면의 표면, 재료, 가공 방법 등의 정보성
    ④ 대상물의 도형, 크기, 모양, 자세, 위치 등의 정보성

> 투상도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조립도 등 주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대상물을 사용하는 상태로 표시한다.
    ② 물체의 중요한 면은 가급적 투상면에 평행하거나 수직이 되도록 표시한다.
    ❸ 물품의 형상이나 기능을 가장 명료하게 나타내는 면을 주 투상도가 아닌 보조 투상도로 선정한다.
    ④ 가공을 위한 도면은 가공량이 많은 공정을 기준으로 가공할 때 놓여진 상태와 같은 방향으로 표시한다.

>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투상법은?

정답: 정 투상법

 

2016년 7월

> 건축도면에 사용되는 글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숫자는 로마 숫자를 원칙으로 한다.
    ② 문장은 왼쪽에서부터 가로쓰기를 한다.
    ③ 글자체는 수직 또는 15° 경사의 고딕체로 한다.
    ④ 글자의 크기는 각 도면의 상황에 맞추어 알아보기 쉽게 한다.

> 단면도에 표기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층높이     창대높이      부지경계선     지반에서 1층 바닥까지의 높이

> 직경 13의 이형철근을 100간격으로 배치 할 때 도면표시 방법은?

정답: D13 @100

> 각 실내의 입면으로 벽의 형상, 치수, 마감상세 등을 나타낸 도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정답: 전개도

> 먼셀표색계에서 5R 4/14로 표시된 색의 명도는?

정답: 4

> 투시도에 사용되는 용어의 기호 표시가 잘못된 것은?

    화면- P.P 기선- G.L      시점- V.P 수평면- H.P

> 다음 그림의 치수기입 방법 중 틀린 것은?

정답: C

> 다음 중 도면에서 가장 굵은 선으로 표현해야 할 것은?

    치수선 경계선     기준선  단면선

1.용접 결함과 대책

  1.1 선상 조직
        원인 :
         용착 금속의 냉각 속도가 빠를 때 
        수소 용해량 많을 때 
        모재 재질 불량  
        모재에 탄소 , 탈산생성물이 많을때

          방지대책 :
          급냉을 피한다.
          모재의 재질에 맞는 적정봉 선택
          예열, 후열, 저수소계 용접봉 사용

1.2 기공 
       원인 → 방지대책
        용접 속도 빠르다. → 용접 속도 낮춘다.
        과대 전류 사용  적당한 전류로 조절
        용접부의 급속한 응고  위빙 or 예열을 한다.
        유황 함유  건조 후 저수소계 용접봉 사용

1.3 피트 
       원인 → 방지대책
      습기가 많거나 기름, 페인트가 있으면
 이음부 청소
      후판 or 급랭되는 용접  예열을 한다.
      모재 가운데 황 함유량이 많을 때 저수소계 용접봉 시용
      모재 가운데 합금원소 많을 때  염기도가 높은 봉 사용 , 아크 길이 짧게 

 1.4 은점 
       원인 :
          ① 용접봉의 건조가 나쁠때
          ② 수소가 대량 용해했을때 
        방지법 :
         ① 용접봉을 잘 건조시킨다.
         ②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한다.
         ③ 예열, 후열 처리를 한다.  
         ④ 용접 속도를 느리게 하면 급랭을 피한다.

 


2016년 용접기능사

> 다음 중 용접 시 수소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결함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기공 균열    은점  설퍼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용접결함 2가지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는 부분
2) 용융금속이 응고할 때 방출되어야할 가스가 남아서 생긴 빈자리
 
① 크랙, 슬래그섞임
② 크레이터, 피트
③ 블로홀, 오버랩
④ 블로홀, 언더컷
정답

'기계 > 용접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결함  (0) 2024.03.13
용접용어  (0) 2024.03.13

> 다음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❶ 임차인의 필요비상환청구권 - 형성권
    ② 지명채권의 양도 - 준물권행위
    ③ 부동산 매매에 의한 소유권 취득 - 특정승계
    ④ 부동산 점유취득시효완성으로 인한 소유권 취득 - 원시취득
    ⑤ 무권대리에서 추인 여부에 대한 확답의 최고 - 의사의 통지

'공인중개사 > 민법및민사특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중개사][민법] 법률행위  (0) 2024.04.22

> 다음은 회계의 순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아래의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거래의 발생
(분개)
분개장
( )
총계정원장 수정 전 시산표




결산 정리 분개
재무제표 이월시산표 장부 마감 수정 후 시산표
정산표
 

정답: 전기

> 다음 중 당좌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현금및현금성자산 매출채권 단기투자자산 당좌차월

정답: ④

다음 중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를 구성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재산세 취득세 설치비 정상적인 사용을 위한 시운전비

정답: 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