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트레스 외력의 작용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할 목적으로 미리 계획적으로 콘크리트에 준 응력

프리캐스트 구조물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최종 위치에서가 아닌 다른 장소 또는 공장에서 제작되는 구조 부재로 구성되어 조립된 구 조물에서는 구조적인 일체성을 확보하도록 각 부재들을 연결

하중영향 작용하중, 부과된 변형, 체적변화 등으로 인하여 발생 하는 변형, 응력 또는 단면력

하중조합 구조물 또는 부재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각 종 하중의 조합

강축 부재의 단면상에서 휨에 대하여 강한 축

고정하중 합성 현장타설 바닥판의 중량을 합성 작용의 상태에서 받도 록 하는 방법

교량거더 간격 주거더 중심 사이의 거리

그루브용접 접합 부재면에 홈을 만들어 그 홈을 용착금속 으로 채우는 용접

니브레이스 수평재와 수직재가 만드는 우각부를 보강하기 위해 설 치하는 사재

다이아프램 박스형 단면 등의 폐단면 부재의 형상을 유지 하기 위하여 부재축에 직각으로 내부에 배치하는 부재

맞대기 이음 둘 이상의 모재의 단과 단을 거의 동일한 평면 내에서 맞붙여서 접합하는 이음

모재 ① 절단, 용접 등에 의해 가공되는 구조의 본체가 되는 재료 ② 하드필 생산에 바탕이 되는 주요재료인 하상골재, 굴착토, 암버럭재 등의 원재료

목두께 필릿 용접의 유효단면 두께

바닥판의 유효폭 합성단면으로서 계산할 수 있는 바닥판의 폭

볼트의 선간 거리 볼트 인접선간의 거리 또는 L형 등 형강의 배면으로부 터 첫 번째 볼트 중심선까지의 거리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27  (0) 2023.10.11
건축용어126  (1) 2023.10.10
건축용어124  (1) 2023.10.10
건축용어123  (0) 2023.10.09
건축용어122  (0) 2023.10.09

스트럿-타이 모델 콘크리트 구조 부재 또는 응력교란영역의 설계를 위하여 스트럿, 타이, 절점으로 구성한 트러스 모델

응력교란영역 부재 단면에서 변형전의 평면은 변형 후에도 평면으로 유지된다는 베르누이 적합 조건을 적용할 수 없는 영역으 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점 부근, 기하적 불연속이 존재하 는 구간 부근으로 응력분포가 복잡하여 응력이 교란된 영역 (disturbed region)으로 부르며, 줄여서 D-영역이라고 함

응력균일영역 부재에서 D-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서, 단면 에 베르누이 적합 조건을 적용할 수 있는 구간으로 줄여서 B-영역이라고 함

재료 공칭값 보통 재료 기준값으로 사용하는 값으로써, 한국산업규 격 또는 제품제작회사에서 기준으로 설정한 값

재료 기준값 재료의 특정 성질(강도)에 대해 실험으로 구한 많은 자 료의 통계적 분포 곡선으로부터 결정한 재료 특성값

재료 설계값 재료 기준값에 재료계수를 곱하여 구한 값, 또는 특수 한 조건에서 직접 정한 값

재료계수 1.0보다 작은 값으로 재료저항계수라고도 하며, 재료 설계값을 구하기 위하여 재료 기준값에 곱하는 부분안전 계수

지속하중조합 설계수명 동안 항상 작용하는 하중들의 합

직접하중 하중의 일종으로서,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힘 또는 힘의 집단을 말하며 힘하중

콘크리트 유효 압축강도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된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1축 -응력 상태가 아닌 다축-응력을 받는 상태일 때의 콘크리 트 압축강도

트러스모델 3축-응력이 작용하는 철근콘크리트 면요소에서 균열 이 발생한 이후의 하중 저항 메커니즘을 단순화한 이론으 로써, 사인장 균열로 구획된 콘크리트 경사 압축재와 수평 및 수직 철근으로 트러스를 형성하여 하중에 저항한다고 하는 모델

표피철근 주철근이 단면의 일부에 집중 배치된 경우일 때 부재의 측면에 발생 가능한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 으로 주철근 위치에서부터 중립축까지의 표면 근처에 배 치하는 철근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26  (1) 2023.10.10
건축용어125  (1) 2023.10.10
건축용어123  (0) 2023.10.09
건축용어122  (0) 2023.10.09
건축용어121  (0) 2023.10.09

프리스트레스 힘의 전달 정착단면으로부터 일반단면으로 프리스트레스 힘이 전달되면서 단면 내에서의 응력분포곡선은 비연속 분포로 부터 점차적으로 선형 연속 분포로 바뀌게 되는데 이 과정 에서 단면 내에 수직응력(f)과 전단응력(τ)이 발생하는 4 차원적인 현상

프리스트레싱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

프리텐션 방식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거푸집내의 소정의 위치에 PS 강재를 긴장시켜 놓고, 그 주위에 콘크리트를 치며, 콘크 리트가 굳은 다음에 긴장력을 풀어주어 PS강재와 콘크리 트의 부착력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식

피복두께 ① 철근 콘크리트 또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단 면에서 최외측의 철근, 긴장재, 강재표면과 콘크리트부 재 표면까지의 최단거리 ② 용접하려는 모재표면과 피복 아크용접봉의 선단과 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열에 의해 모재의 일부를 용 융함과 동시에 용접봉에서 녹은 용융금속에 의해 결합 하는 용접 방법

하단 코너부 받침 안쪽에서 시작하여 거더의 끝부분을 분리시키려 는 힘에 저항하도록 설계해야 하는 곳

횡방향철근 기둥부재의 띠철근이나 보 부재의 스터럽 등 부재 축에 직각방향으로 배근하는 철근

계수하중 사용하중에 설계법에서 요구하는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긴장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데 사용되는 강 선, 강연선, 강봉

깊은 보 순경간이 부재 깊이의 4배 이하이거나 하중이 받 침부로부터 부재 깊이의 2배 거리 이내에 작용하는 보

덕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긴장재를 배치하기 위해 미리 콘크리트 속에 설치하는 관

등가 박벽관 비틀림 설계할 때 단면의 속이 빈 것으로 가정한 가상 의 관

비부착 외부 강선 콘크리트 구체 외부에 설치하여 긴장한 강선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25  (1) 2023.10.10
건축용어124  (1) 2023.10.10
건축용어122  (0) 2023.10.09
건축용어121  (0) 2023.10.09
건축용어120  (1) 2023.10.08

정철근 정모멘트에 의하여 생긴 인장응력에 대하여 배근하는 철근

주철근 주된 단면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휨모멘트와 축 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철근

축방향철근 부재축 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

코팅재 ① 철근 또는 긴장재를 부식에 대해 보호하거나 덕트와 긴장재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재료

콘크리트 피복두께 단면 단면외곽선과 PS강재에서 PS강재의 최소 피복두께(c) 만큼 떨어진 휨 축에 평행한 두 직선으로 이루어진 단면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콘크리트의 건조 또는 수화반응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수축 변형

콘크리트의 크리프 콘크리트에 일정한 응력이 장기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상태에서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

콘크리트의 탄성수축 축방향 압축력에 의해 부재가 수축되는 현상

파상마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쉬스 또는 덕트의 시공 상 오차에 의해 긴장재와 쉬스 또는 덕트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파열력 정착장치 또는 교량받침 설치위치 등 하중집중점에서 발생하는 파열력(건)으로서, 콘크리트 부재의 치수와 집중 하중의 크기, 방향, 위치에 따라 좌우되는 힘

폐합부 한 경간을 완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현장치기 콘크리 트의 세그멘트

포스트텐션 방식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긴장재에 인장력을 주고 부 재의 양단에서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

프리스트레스 외력의 작용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할 목적으로 미리 계획적으로 콘크리트에 준 응력

프리스트레스 강재의 릴랙세이션률 PS강재에 인장력을 주어 일정한 변형이 유지되는 상 태에서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된 인장력을 최초로 준 PS강재 인장력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값

프리스트레스 힘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의 단면에 작용하고 있는 힘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24  (1) 2023.10.10
건축용어123  (0) 2023.10.09
건축용어121  (0) 2023.10.09
건축용어120  (1) 2023.10.08
건축용어119  (1) 2023.10.08

유효깊이 콘크리트 압축연단부터 모든 인장철근군의 도 심까지 거리

유효폭 ① 불균등 응력분포를 가진 판이나 슬래브가 균등 응 력분포를 가진다고 가정하며 구조적 거동이 같은 효과 를 갖도록 감소시킨 판이나 슬래브의 폭 ② T형보의 플랜지 등에서 유효하게 작용한다고 보는 플랜지 등의 폭 ③ 사각형 지진격리받침에서 내부 고무의 짧은 변 길 이를 의미

일반구역 집중된 프리캐스트레스 힘이 부재 단면상에 선형에 가 까운 응력분포로 확산되는 구역, 또는 거더의 단부로부터 거더 높이(h)만큼 떨어진 일반단면 사이의 정착부 앞 구역 을 의미하고, 부재의 단부가 아닌 보의 중간위치에 정착부 가 있는 경우에는 정착장치 전방으로 거더 높이만큼 떨어 진 구역

일반단면 프리스트레스 힘이 콘크리트부재에 충분히 전달되어 단면내의 응력분포가 선형연속분포가 되는 단면

전달길이 프리텐션 부재에서 부착에 의해 콘크리트에 프리스트 레스 힘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길이

접속구 또는 커플러 PS강재와 PS강재 또는 정착장치와 정착장치를 접속하 여 프리스트레스 힘이 전달되도록 하는 장치

정모멘트 바닥판 및 부재 하측에 인장응력을 생기게 하는 휨모 멘트

정착 단면 정착부가 있는 거더의 끝단부의 단면

정착구역 부재에서 집중된 프리스트레스 힘이 정착장치로부터 콘크리트로 도입되고(국소구역), 부재 내로 넓게 분포되는 (일반구역) 부분

정착길이 위험단면에서 철근 또는 긴장재의 설계기준항복강 도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최소 묻힘 길이

정착돌출부 한 개 이상의 PS강재 정착부에서 면적 확보를 위하여 복부, 플랜지, 복부와 플랜지의 접합부에 돌출시킨 부분

정착장치 긴장재를 콘크리트에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부 재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

정착장치의 슬립량 PS강재를 정착장치에 정착시킬 때에 PS강재가 정착장 치 내에 딸려 들어가는 양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23  (0) 2023.10.09
건축용어122  (0) 2023.10.09
건축용어120  (1) 2023.10.08
건축용어119  (1) 2023.10.08
건축용어118  (0) 2023.10.08

사용하중 ① 하중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하중 ② 사용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하중 ③ 작용하중이라고도 하며, 고정하중 및 표준열차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것 ④ 작용하중이라고도 하며, 고정하중 및 활하중과 같 이 이 기준에서 규정하는 각종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하중

사인장철근 철근 콘크리트 보에 하중 작용으로 인해 사인장 균열 이 발생하며 균열은 휨균열과 달리 주로 전단응력에 지배 되어 갑작스런 파괴를 유발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보강)철근을 배근해야 하며, 이때 보에 배치하는 복 부철근 또는 사인장철근

설계강도 단면 또는 부재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 수 또는 저항계수를 곱한 강도

설계단면력 ① 하중작용에 의해 부재단면에 생기는 휨모멘트, 전 단력, 축방향력 및 비틀림모멘트 ② 강도설계법에서는 계수하중작용에 의해 생기는 부 재의 단면력이므로 소요강도라고도 함

설계하중 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적용가능한 모든 하중과 힘; 허용응력설계법에서는 사용하중, 강도설 계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에서는 계수하중을 지칭

소요강도 하중조합에 따른 계수하중을 저항하는데 필요 한 부재나 단면의 강도

쉬스 포스트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서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쓰이는 관

압출용 받침 압출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으로 가 설할 때 설치하는 마찰이 작은 임시가설용 받침

압출코 교량을 압출하는 동안 상부구조의 휨모멘트를 감소시 키기 위하여 압출되는 상부구조의 선단에 부착한 가설용 강재부재(temporary steel assembly

옵셋 굽힘철근 기둥연결부에서 단면치수가 변하는 경우에 배치되 는 구부린 주철근

유효 프리스 트레스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콘크리트 내 응력 중 자중과 외 력에 의한 영향을 제외하고 계산된 모든 응력 손실량을 뺀 나머지 응력, 또는 자중과 외력의 영향을 제외하고 모든 손실이 발생한 후에 프리스트레스트 긴장재 내에 남아있 는 응력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22  (0) 2023.10.09
건축용어121  (0) 2023.10.09
건축용어119  (1) 2023.10.08
건축용어118  (0) 2023.10.08
건축용어117  (0) 2023.10.07

단블록 정착부의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재의 단부를 확대 하는 것

덕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긴장재를 배치하기 위해 미리 콘크리트 속에 설치하는 관

마찰 프리스트레싱 동안 접촉하게 되는 긴장재와 덕트 사이 의 표면 저항

묻힘길이 철근이 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험단면부 터 연장된 철근의 연장길이

바닥판 ① 표층의 유무에 상관없이 차량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 ② 도상이나 침목, 레일 등을 통해 열차하중을 지지하 고 다른 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는 판 부재

방향 변환력 긴장재의 곡률 또는 방향변경에 의해 곡선부 또는 방 향변경부에 작용하게 되는 힘

방향변환블록 거더단면 내외측에 PS강재의 방향변환을 위해 복부, 플랜지, 복부와 플랜지의 접합부에 두는 블록

배력철근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 철근과 직각 또는 직각과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부모멘트 바닥판 및 부재 상측에 인장응력을 생기게 하는 휨모 멘트

부철근 부모멘트에 의하여 생긴 인장응력에 대하여 배치하는 철근

브래킷 또는 내민받침 (코벨) 집중하중이나 보의 반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기둥면 또 는 벽체면에서부터 나와 있는 짧은 캔틸레버 부재

블록공법 프리캐스트 부재를 부재 방향으로 몇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서 제작하고, 블록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프리스 트레스를 주어 구조부재로 만든 공법

사용 프리스 트레스 힘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부재 단면에 작용하는 힘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것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21  (0) 2023.10.09
건축용어120  (1) 2023.10.08
건축용어118  (0) 2023.10.08
건축용어117  (0) 2023.10.07
건축용어116  (1) 2023.10.07

강재의 항복점 ① 한국산업표준(KS)에 규정되어 있는 강재의 항복점 또는 내력의 규격 최솟값 ② PS강선 및 PS강연선에서는 0.2 % 영구옵셋 (offset)에 대한 하중의 최솟값

검토등급 Ⅰ 사용하중에 대하여는 인장응력이 허용되지 않으며, 시 공 중에만 인장응력을 허용하는 콘크리트 단면의 등급

검토등급 Ⅱ 평상시의 사용하중에 대하여는 인장응력이 허용되지 않으며, 시공 중과 흔하지 않은 사용하중 조합에만 인장응 력을 허용하는 콘크리트 단면의 등급

검토등급 Ⅲ 총 단면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흔하지 않은 사용하중 조합에만 인장응력을 허용하며, 콘크리트 피복두께 단면 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평상시의 사용하중에 대하여 인장 응력을 허용하나 반영구적 하중조합에 대하여는 인장응력 을 허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단면의 등급

격벽 ① 단면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거더에 배치하는 횡방향 보강재, 다이아프램, 또는 단일 박스 또는 다중 박스거더의 받침점부나 경간 내에 비틀림 등에 저항하 기 위하여 설치하는 칸막이 벽 ② 풀형식 어도에서 풀을 나누는 칸막이로 물이 넘는 월류벽과 넘지 않는 비월류벽을 포함

계수하중 사용하중에 설계법에서 요구하는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공칭강도 하중에 대한 구조체나 구조부재 또는 단면 의 저항능력을 말하며 강도감소계수 또는 저항계수를 적 용하지 않은 강도

국소구역 정착장치 주위 및 바로 앞 콘크리트 부분으로 높은 국 부지압응력을 받는 부분

긴장력 긴장재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장치에 의해 발휘되는 임 시적인 힘

긴장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데 사용되는 강 선, 강연선, 강봉

단부 스트럿 거더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받침부로 전달시키는 통로 로서 특별한 전단보강 철근이 필요한 곳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20  (1) 2023.10.08
건축용어119  (1) 2023.10.08
건축용어117  (0) 2023.10.07
건축용어116  (1) 2023.10.07
건축용어115  (1) 2023.10.07

편경사 수평곡선부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원심력을 부분 상쇄 시키기 위한 노면의 경사

평가 기존 교량의 내하력 결정

피로와 파단 한계상태 반복적인 차량하중에 의한 피로파괴 및 파단에 관한 한계상태

하상상승 퇴적물로 인한 하상 종단의 일반적/점진적인 상승

하상저하 장기 침식으로 인한 하상종단의 일반적/점진적인 강하

하중계수 ① 하중의 공칭값과 실제 하중 간의 불가피한 차이, 하중을 작용외력으로 변환시키는 해석상의 불확 실성, 예기치 않은 초과하중, 환경작용 등의 변동을 고 려하기 위하여 사용하중에 곱해주는 안전계수 ② 하중효과에 곱하는 통계에 기반한 계수이며, 일차 적으로 하중의 가변성, 해석 정확도의 결여 및 서로 다 른 하중의 동시작용확률을 고려하며, 계수 보정과정 을 통하여 저항의 통계와도 연관

하중수정계수 교량의 연성, 여용성 및 중요도를 고려한 계수

하중영향 작용하중, 부과된 변형, 체적변화 등으로 인하여 발생 하는 변형, 응력 또는 단면력

하천 지형형 태학 하천과 범람원의 형성, 표면 형상 및 침식과 침식 잔해 물의 집적에 의한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

한계상태 구조물 또는 구조요소가 사용성, 안전성, 내구 성의 설계규정을 만족하는 최소한 의 상태로서, 이 상태를 벗어나면 관련 성능을 만족하지 못하는 한계

A형 이음부 ① 현장타설콘크리트 이음부 ② 프리캐스트부재 사이의 습윤콘크리트나 에폭시 이 음부

B형 이음부 프리캐스트 부재사이에 특별한 재료를 두지 않은 이음부

가외철근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온도변화, 기타의 원인에 의하 여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에 대비하여 가외로 더 넣는 보조적인 철근

갈고리 철근의 끝부분을 180°, 135°, 90° 등의 각도로 구부 려 만든 것으로, 철근의 정착을 위해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강재의 인장 강도 ① 한국산업표준(KS)에 규정되어 있는 인장강도의 규 격 최솟값 ② PS강선 및 PS강연선에서는 인장하중의 최솟값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19  (1) 2023.10.08
건축용어118  (0) 2023.10.08
건축용어116  (1) 2023.10.07
건축용어115  (1) 2023.10.07
건축용어114  (1) 2023.10.06

유역 어느 한 지점을 동일한 유출점으로 갖는 지표면의 범위

응축 해석 과정에서 제거해야 할 변수와 남겨 놓아야 할 변 수와의 연관 관계를 이용하여 풀어야 할 수식의 숫자를 감 소시키는 과정

일반 또는 축 소단면세굴 흐름에 대한 장애물 또는 교각 주위에 국한되지 않는 수로 또는 범람원의 세굴·수로의 경우 일반/축소단면세굴 은 수로의 전폭 또는 대부분에 영향을 주며 일반적으로 흐 름의 수축에 의해 발생

일체시공 일체로 제작 또는 타설한 강재 혹은 콘크리트 박스형 단면, 속이 차있거나 빈 현장 일체 타설 콘크리트 바닥틀, 횡방향의 포스트텐션을 사용하여 일체로 연결한 프리캐스 트 바닥판의 시공

자유도 절점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데 필요한 이동 변위나 회 전 변위를 정의하는 기준

재료계수 1.0보다 작은 값으로 재료저항계수라고도 하며, 재료 설 계값을 구하기 위하여 재료 기준값에 곱하는 부분안전계수

저항계수 재료, 부재치수, 시공의 변동성과 저항모델의 불확 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

정상상태 특별허가차량의 통행, 25m/sec 를 초과하는 바람, 그 리고 세굴 등의 극단 상황을 제외한 조건

제수구 홍수터흐름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범람원 제방에 설치 한 개구부

조석 공전하는 지구에 미치는 해와 달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해수의 주기적 상승과 강하

중요도 도로 기능상 교량의 중요한 정도

지렛대 법칙 한 점을 중심으로 모멘트를 취하여 다른 점에서의 반 력을 계산하는 방법

직교 이방성 두 개 이상의 직각 방향으로의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 을 갖고 있는 재료의 성질

차로활하중 설계트럭하중과 설계등분포하중의 조합

초과홍수 유량이 100년 빈도 홍수보다 많고 500년 빈도 홍수보 다 적은 홍수 또는 조석 흐름

탄성 하중 제거 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구조 재료의 성질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18  (0) 2023.10.08
건축용어117  (0) 2023.10.07
건축용어115  (1) 2023.10.07
건축용어114  (1) 2023.10.06
건축용어113  (1) 2023.10.06

사용한계상태 ① 구조물의 외형, 유지 및 관리, 내구성, 사용자의 안 락감 또는 기계류의 정상적인 기능 등을 유지하기 위 한 구조물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한계상태 ② 균열, 처짐, 피로 등의 사용성에 관한 한계상태로 서, 일반적으로 구조물 또는 부재의 특정한 사용 성능 에 해당하는 상태

설계수명 통행 하중의 통계적 산출 근거 기간으로 이 설계기준 의 경우 100년

설계유량 ① 적용설계조건을 초과하지 않고 교량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유량 ② 배수시설의 규모를 결정하는 기준 유량

수로 하천, 강, 연못, 호수 또는 바다

수로개구부 흐름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특정수위에서 측정한 교 량 개구부의 폭 또는 면적

수로개구부 설계홍수 수로나 범람원을 가로질러 설치하는 교량 또는 도로의 설계에 적용되는 초과확률개념을 포함하는 최대유량, 체 적, 수위 또는 파고

수리학 주로 수로에서의 유체의 거동과 흐름에 관한 과학

수문학 강우량, 유출 및 지표수를 포함하는 지구상 물의 발생, 분포 및 순환에 관한 과학

순간격 ① 인접한 볼트구멍 가장자리 간의 거리 ② 일체로 시공된 상부 구조 단면의 전체 폭에서 바닥 판 내민 부분의 길이를 뺀 값

안정수로 심각한 하상저하, 상승 또는 제방침식이 발생하지 않 고 상류유역에서 내려오는 유량 및 유사를 수로로 통과시 킬 수 있는 하상경사와 단면을 갖는 하천의 상황

여용성 부재나 구성요소의 파괴가 교량의 붕괴를 초래하지 않 는 성능

여유공간 장애물이 없는 수직 또는 수평 공간

연성 구조 재료 또는 부재가 비탄성변형을 일으켜 파괴 되지 않고 변형을 계속하는 성질

월류홍수 도로, 교량, 유역경계 또는 비상 배수시설 위로 넘치는 홍수흐름

유수지 홍수시 제내지에서 발생한 강우유출로 인한 제내지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설치된 저류공간 또는 이와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자연적인 저류공간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17  (0) 2023.10.07
건축용어116  (1) 2023.10.07
건축용어114  (1) 2023.10.06
건축용어113  (1) 2023.10.06
건축용어112  (1) 2023.10.06

등가 보 휨과 비틀림효과에 저항할 수 있는 이상화된 단일 직 선 혹은 곡선으로 대치시킨 보

등가 스트립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 방향에 대해 바닥판을 근사 해석하기 위해 원래의 바닥판과 등가의 강성을 갖도록 대 치시킨 가상의 선요소

만조 만월 또는 신월의 매 2주 만에 발생하는 대조

물끊기 홈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 떨어지도록 한 구성요소 하부 의 직선 홈

바닥틀 바닥판과 바닥판 지지부재

바닥판 ① 표층의 유무에 상관없이 차량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 ② 도상이나 침목, 레일 등을 통해 열차하중을 지지하 고 다른 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는 판 부재

바람에 대한 뼈대작용 횡방향 풍하중이 바닥에 전달되도록 하는 보의 복부판 및 보강재의 횡방향 휨 작용

발주자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제10 호의 발주자

배수구 바닥판에 설치된 배수시설

보도폭 분리대 사이 또는 연석과 분리대 사이의 장애물이 없 는 보행자 전용공간

보수·보강 교량의 내구성이나 내하력, 강성 등의 역학적 성능을 회복 또는 향상시키는 작 업

복합홍수 태풍에 의한 만조 또는 폭설 위의 강우 등과 같이 둘 이상의 원인에 의한 홍수흐름

붕괴 교량의 사용불능을 초래하는 기하구조의 심한 변형

비상주차대 사고차량의 조치를 위해 통행로 경계외측에 위치한 장 애물이 없고 비교적 평탄한 지역

비탄성 응력과 변형도의 비가 일정하지 않고 하중이 제거된 후에도 변형의 일부가 남아 있는 구조적 재료 거동

뼈대작용 박스형 단면의 바닥판과 복부판간 또는 대형교량의 바 닥판과 주 부재 간에 발생되는 횡방향 연속성 거동

사각 지점의 중심선과 교축에 수직한 선 사이의 각

사용수명 구조물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는 기한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16  (1) 2023.10.07
건축용어115  (1) 2023.10.07
건축용어113  (1) 2023.10.06
건축용어112  (1) 2023.10.06
건축용어110  (0) 2023.10.05

가동교 차량 또는 선박에 대한 다리밑공간이 가변적인 교량

고정교 차량 또는 선박에 대한 다리밑공간이 고정되어 있는 교량

공칭저항 설계기준에 명시된 규격, 허용응력, 변형 또는 규정된 재료강도에 의해 산출되는 구성요소 또는 연결부의 하중 영향에 대한 저항

교량세굴 검 측홍수 세굴설계홍수를 초과하는 유량을 야기하는 폭우, 폭풍 해일 또는 조석에 의하 여 발생하는 홍수

교량세굴 설 계홍수 교량기초에 최대의 세굴을 야기할 수 있는 재현기간 100년 이하의 홍수흐름

구조해석모델 해석을 위한 구조물의 이상화

국부세굴 교각, 교대, 수제, 제방등 흐름에 대한 장애물 주위 에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세굴

국부해석 전체 해석에서 얻어지는 부재 단면력을 사용하여 국부 요소의 하중영향을 정밀하게 구하기 위한 해석

극단상황한계 상태 교량의 설계수명을 초과하는 재현주기를 갖는 지진, 유빙하중, 차량과 선박의 충돌 등과 같은 사건과 관련한 한계상태

극한한계상태 설계수명동안 강도, 안정성 등 붕괴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적인 파괴에 대한 한계상태

기술자 교량설계 등 구조물의 설계 또는 시공의 책임자

다재하경로 구조물 하중을 지지하는 주된 구성요소 또는 연결부의 하나가 기능을 상실한 경우에도 규정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

다재하경로 구조물 하중을 지지하는 주된 구성요소 또는 연결부의 하나가 기능을 상실한 경우에도 규정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

단구역 구조적인 불연속성이나 집중하중의 분포형태로 인해 일반적인 보 이론이 적용되지 못하는 구조물의 부분

도류제 흐름의 변경, 퇴적물 또는 세굴의 유도를 위해 제방의 인접부 또는 하상에 설치한 구조물 또는 하천의 흐름과 퇴 적상황을 변경하기 위한 다른 방도

동적 자유도 질량 또는 질량효과와 관련된 자유도

뒤틀림 ① 비틀림 작용 시 박벽보의 면내변형으로 단면의 형 상이 일그러지는 변위모드 ② 비틀림에 대한 전체저항 중 단면의 뒤틀림에 저항 하는 부분

뒴 보의 투영된 단면형상이 유지되면서 비틀림 작용 시 축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모드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15  (1) 2023.10.07
건축용어114  (1) 2023.10.06
건축용어112  (1) 2023.10.06
건축용어110  (0) 2023.10.05
건축용어109  (0) 2023.10.05

탄성중합체 압력을 가했을 때 변형이 발생하지만 압력을 제거하면 초기의 형상과 크기로 복원되는 고분자 물질

탄성지진응답 계수 모드스펙트럼해석법에서 등가정적지진하중을 구하기 위한 무차원량

특수하중 교량의 주요 구조부를 설계하는 경우에 교량의 종류, 구조형식, 가설지점의 상황 등의 조건에 따라 특별히 고려 해야 하는 하중의 총칭

평균반복전단 응력 불규칙한 지진하중을 일정한 반복하중으로 치환할 때, 등가의 전단응력

평균재현주기 어떤 크기나 특성을 가진 지진이 발생하는 평균 시간 간격

하로 플레이트 거더교 통로가 주거더의 하면위치에 배치되는 교량

하중계수 ① 하중의 공칭값과 실제 하중 간의 불가피한 차이, 하중을 작용외력으로 변환시키는 해석상의 불확 실성, 예기치 않은 초과하중, 환경작용 등의 변동을 고 려하기 위하여 사용하중에 곱해주는 안전계수 ② 하중효과에 곱하는 통계에 기반한 계수이며, 일차 적으로 하중의 가변성, 해석 정확도의 결여 및 서로 다 른 하중의 동시작용확률을 고려하며, 계수 보정과정 을 통하여 저항의 통계와도 연관

합성거더교 주거더와 현장치기 바닥판이 전단연결재에 의해 결합 되어 주거더와 바닥판이 일체로 된 합성단면으로 하중에 저항하는 교량

항복강성 축방향력과 콘크리트의 균열을 고려하여 축방향철근 이 항복하는 시점의 강성으로서 항복모멘트와 항복곡률의 비율로 결정되는 교각의 강성

항복유효 단면2차 모멘트 축방향력과 콘크리트의 균열을 고려하여 축방향철근 이 항복하는 시점의 단면2차모멘트 강성으로서 간편식으 로 산정되는 단면2차모멘트

허용응력 탄성설계에서 재료의 설계기준강도를 안전 율로 나눈 것

100년 빈도홍수 연 발생확률이 1% 또는 이를 초과하는 폭우 또는 조 석에 의한 홍수

500년 빈도홍수 연 발생확률이 0.2 % 또는 이를 초과하는 폭우 또는 조석에 의한 홍수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14  (1) 2023.10.06
건축용어113  (1) 2023.10.06
건축용어110  (0) 2023.10.05
건축용어109  (0) 2023.10.05
건축용어108  (1) 2023.10.04

소성힌지구역 기둥과 말뚝가구의 단부구역 중 설계휨강도보다 큰 탄 성지진모멘트가 작용하는 구역

소요강도 하중조합에 따른 계수하중을 저항하는데 필요 한 부재나 단면의 강도

순경간 지지성분들의 면과 면 사이의 거리

슬랙 곡선선로에서 차량의 원활한 운행을 위하여 외측 레일을 기준으로 내측레일을 넓혀준 것

실제 열차하중 동적해석에 사용되는 실제 열차의 차축하중을 모 델로 만든 하중

액상화 포화된 사질토 등에서 지진동, 발파하중 등과 같은 동하중에 의하여, 지반 내에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 고, 지반의 전단강도가 상실되어 액체처럼 거동하는 현상

연성 구조 재료 또는 부재가 비탄성변형을 일으켜 파괴 되지 않고 변형을 계속하는 성질

열차풍 열차의 통과 시 발생하는 풍압에 의한 기류의 변화현상

옵셋변위 크리프, 건조수축 그리고 온도변위의 50%에 해당하는 지진격리받침의 수평변위

위험도계수 평균재현주기가 500년인 지진의 유효수평지반 가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평균재현주기가 다른 지진의 유 효수평지반가속도를 상대적 비율로 나타낸 계수

유효강성 지진격리시스템 또는 면진시스템의 최대수평변위 를 일으키는 순간의 수평력을 최대수평변위로 나눈 값

응답수정계수 탄성해석으로 구한 각 요소의 내력으로부터 설계지진 력을 산정하기 위한 수정계수

응답스펙트럼 지반운동에 대한 단자유도 시스템의 최대응답 을 고유주기 또는 고유진동수의 함수로 표현한 스펙트럼

정규교량 경간을 따라 질량, 강성이나 기하학적 특성에 특별한 변화가 없는 교량

주하중 교량의 주요 구조부를 설계하는 경우에 항상 또는 자주 작용하여 내하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하중의 총칭

주행안전성 검토 고속열차의 동적 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열차의 안전확 보를 위한 최소 요구조건에 대한 검토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13  (1) 2023.10.06
건축용어112  (1) 2023.10.06
건축용어109  (0) 2023.10.05
건축용어108  (1) 2023.10.04
건축용어107  (1) 2023.10.04

말뚝의 p-y곡선 말뚝의 근입깊이 내에서 발생하는 말뚝의 수평변위 대 단위길이당 지반반력의 상관곡선

모멘트-곡률 해석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료비선형 단면해석의 하나 로서, 횡방향철근에 의한 횡구속효과와 축력의 영향 등을 고려하고 철근과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이용하 여 모멘트와 곡률의 관계를 구하는 해석

부가 궤도 종 방향응력 교량의 존재에 의해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온도, 시동, 제동하중, 교량 바닥판의 휨 등에 의한 부가적인 응력

부하중 교량의 주요 구조부를 설계하는 경우에 항상 또는 자 주 작용하지는 않지만 내하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통 상 다른 하중과 동시에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하중의 조합 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하중의 총칭

붕괴유발부재 해당부재가 파괴될 경우 구조물의 붕괴 또는 기능 상실을 유발시키는 부재

사용하중 ① 하중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하중 ② 사용한계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하중 ③ 작용하중이라고도 하며, 고정하중 및 표준열차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것 ④ 작용하중이라고도 하며, 고정하중 및 활하중과 같 이 이 기준에서 규정하는 각종 하중으로서 하중계수를 곱하지 않은 하중

상로 플레이 트거더교 통로가 주거더의 상면위치에 배치되는 교량

설계강도 단면 또는 부재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 수 또는 저항계수를 곱한 강도

설계기준압축 강도 콘크리트부재의 설계에 있어 기준이 되는 압축강도

설계변위 ① 내진설계에서 설계지진에 대하여 예상되는 구조물 의 전체 횡변위 ② 지진격리시스템의 설계에서 요구되는 수평방향의 지진변위 ③ 면진시스템의 강성 중심에서 구한 설계지진시 횡변위

설계사용기간 구조물 또는 부재가 그 사용에 있어서 목적하는 기능 을 완수하도록 설계상에 고려하는 기간

설계하중 부재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적용가능한 모든 하중과 힘; 허용응력설계법에서는 사용하중, 강도설 계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에서는 계수하중을 지칭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12  (1) 2023.10.06
건축용어110  (0) 2023.10.05
건축용어108  (1) 2023.10.04
건축용어107  (1) 2023.10.04
건축용어106  (0) 2023.10.04

교량의 전복 (뒤집힘) 차량의 탈선 또는 바람의 상향력으로 교량이 뒤집히는 현상

구조물 가동 끝단 궤도가 실린 구조물에서 교대와 만나거나 인접한 구조 물과 만나는 상부구조의 단부 끝단

구조물 안전성 설계 일반적인 구조물 안전조건과 변형조건을 포함하는 의 미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이나 주변 조건에 대하여 구 조부재가 안전한 내력을 보유토록 설계를 하는 것

구조물 온도 신축길이 구조물의 온도 고정점 간의 길이. 여기서 온도 고정점 이란 온도변화에도 구조물의 종방향 변위가 생기지 않는 점을 말하며, 양쪽 교대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경우에 는 교대의 받침 중심점으로부터 온도 고정점까지의 거리

궤도-구조물 간 종방향 상호작용 장대레일과 교량 구조물과의 결합과 그 상호작용 에 의한 장대레일의 파단, 좌굴과 관련된 궤도 종방향력 문제와 변형문제를 야기시키는 작용

기초 수평변위 기초의 지반상태에 따라 교량 축 방향이나 교량 축 직 각방향으로 확대기초 저부의 수평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

기초 회전각 변위 기초의 지반상태에 따라 교량 축 방향이나 교량 축 직 각방향으로 확대기초 저부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

내진등급 시설물의 중요도에 따라 내진설계수준을 분류한 범주로서 내진특등급, 내진I등급, 내진II등급으로 구분

다중모드스펙 트럼해석법 여러 개의 진동모드를 사용하는 스펙트럼해석법

단경간교 경간이 하나인 교량

단부각변위 실제 열차하중에 의한 동적 안정성 검토에서 교량 바 닥판의 단부와 단부사이의 상대각변위 또는 교량 바닥판 단부와 교대 사이의 상대각변위

단부구역 캔틸레버로 거동하는 기둥의 하단과 골조로 거동하는 기둥의 하단과 상단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하나의 진동모드만을 사용하는 스펙트럼 해석법

동륜하중 동력차의 구동차륜 하중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10  (0) 2023.10.05
건축용어109  (0) 2023.10.05
건축용어107  (1) 2023.10.04
건축용어106  (0) 2023.10.04
건축용어105  (1) 2023.09.30

점검통로 고소용 접근장비를 이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부재 의 점검 및 유지관리를 위해서 설치하는 통로식 접근시설

출입사다리 교량 상부(노면) 또는 하부(지상)에서 점검통로로 도달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승강 사다리

강도감소계수 재료의 설계기준강도와 실제강도의 차이, 부재 를 제작 또는 시공할 때 설계도와 완성된 부재의 차이, 그 리고 내력의 추정과 해석에 관련된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안전계수

2차부재 주요부재 이외의 2차적인 기능을 갖는 부재

PS강봉 탄소강, 저합금강, 스프링강 등을 사용, 스트레칭, 냉 간드로잉, 열처리 등 어느 특정한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 으로서 끝맺임된 강봉

가도교 도로 위에 가설된 교량

가속도계수 내진설계에 있어 설계지진력을 산정하기 위한 계수

경간 ① 교량에서 교대와 교각, 또는 교각과 교각사이 공간 ② 지점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지점의 중심까지의 거리

계수하중 사용하중에 설계법에서 요구하는 하중계수를 곱한 하중

고유주기 자유진동하는 구조물의 진동이 반복되는 시간 간격

고유진동수 감쇠효과가 무시된 구조물의 자유진동에서 시간 당 발 생 진동수

공칭강도 하중에 대한 구조체나 구조부재 또는 단면 의 저항능력을 말하며 강도감소계수 또는 저항계수를 적 용하지 않은 강도

과선교 철도선로 위에 가설된 교량

교량 종방향 상대변위 장대레일 축력 제한을 위한 검토에서 판단기준의 한 항목으로서, 단위교량이 연속되었을 때 단위교량의 바닥 판과 바닥판 사이, 혹은 교대로 연결되는 부위의 교대 전 면과 교량의 바닥판의 사이에 발생하는 각각에 대한 상대 변위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09  (0) 2023.10.05
건축용어108  (1) 2023.10.04
건축용어106  (0) 2023.10.04
건축용어105  (1) 2023.09.30
건축용어104  (0) 2023.09.30

디스크받침 폴리에테르 우레탄 디스크와 불소수지 미끄럼판으로 이루어진 교량 받침

로커받침 가동받침의 일종으로 진자와 같이 움직임이 가능한 교 량 받침

롤러받침 구름 축 받침의 일종으로 원통롤러, 테이퍼롤러, 구면 롤러, 니들롤러 등이 있음

소울플레이트 거더의 하면 경사를 수평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교량 받침의 상면과 거더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는 강판

스페리컬받침 한쪽 접촉면은 평면, 다른 쪽을 구면으로 한 베어링플 레이트를 사용하여 평면접촉부는 신축기능, 곡면접촉부는 회전기능을 갖게 한 교량 받침

지진격리받침 지진 시 구조물의 고유주기를 증가시키거나 지진응답 을 감쇠시키고, 복원력 확보가 가능하여 지진의 영향을 최 소화한 받침

탄성받침 강판과 고무층으로 이루어진 탄성체의 변형에 의해 변 위나 회전이 가능한 교량 받침

포트받침 포트 내의 탄성패드에 의해 수직하중과 회전운동을 수 용할 수 있는 받침

봉함재 습기 및 불순물이 신축이음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 도록 설치되는 고무 또는 기타 탄성재

설치 시 유간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시의 온도 및 건조수축 등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조정된 유간

신축량 설계 시 계산되는 값으로 교량 상부구조가 온도변화, 하 중, 크리프, 건조수축 등에 의해 수축·신장하는 길이 변화량

신축이음장치 온도변화, 하중, 크리프, 건조수축 등에 의한 상부구조 의 신축량을 수용하고 이음부의 평탄성을 유지시킬 목적 으로 교량의 연결부에 설치하는 장치

유간 설계온도를 기준으로 상부구조의 수축 ㆍ 팽창이 가능 하도록 신축량과 여유량을 포함한 신축이음장치의 간격

이동식 접근 장비 사다리, 점검대차, 굴절식 점검차, 고소작업대 등 고소 부재에 접근할 수 있는 장비

점검계단 교량의 상부(노면) 또는 하부(지상)에서 교대로 접근하 기 위해서 설치하는 계단식 접근시설

점검용 조명 설비 교량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 내외부에 설치하는 조 명 및 조명용 전기시설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08  (1) 2023.10.04
건축용어107  (1) 2023.10.04
건축용어105  (1) 2023.09.30
건축용어104  (0) 2023.09.30
건축용어103  (0) 2023.09.30

층분할방식 용접층이 두꺼울 경우 단일층의 용접으로 시행하지 못 하고 여러 층으로 나누어 용접을 시행하는 방법

케스케이드법 (강)(교)다층 용접을 할 경우 각 비드의 일부를 인접 비드 위에 겹쳐 용착하는 방법

코킹 ① 불연속을 밀폐(seal) 시키거나 또는 감추기 위해 기 계적인 방법으로 용접부나 모재의 표면에 소성변형을 가하는 작업 ② 점착성이 있는 자재로 작은 틈에 충전재를 넣는 것

크레이터 용접 시 용융지가 그대로 응고되어 움푹하게 패인 부분

탄소강 철과 탄소의 합금으로서 탄소함유량이 보통 0.02 ~약 2% 범위의 강

토크-전단형 고장력 볼트 제작 시 만들어진 핀꼬리(pintail)의 노치부분이 체결 시 볼트 조임력에 의한 전단파단으로 절단될 때 볼트에 도 입되는 축력을 공장에서 규격화시킨 제품

플럭스코어드 아크용접 코어드 와이어나 플럭스코어드 와이어 용접봉을 사용하는 용접

피닝 충격타를 가하여 금속을 기계적으로 가공하는 작업

피복두께 ① 철근 콘크리트 또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단 면에서 최외측의 철근, 긴장재, 강재표면과 콘크리트부 재 표면까지의 최단거리 ② 용접하려는 모재표면과 피복 아크용접봉의 선단과 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열에 의해 모재의 일부를 용 융함과 동시에 용접봉에서 녹은 용융금속에 의해 결합 하는 용접 방법

피복아크용접 용접하려는 모재표면과 피복 아크용접봉의 선 단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열에 의해 모재의 일부를 용 융함과 동시에 용접봉에서 녹은 용융금속에 의해 결합하 는 용접 방법

합금강 강의 성질을 개선 향상시키거나 소정의 성질을 구비 시키기 위하여 합금원소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시킨 강철

가동받침 일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활동이 가능한 받침

고정받침 양방향 모두 활동이 제한된 받침

교량받침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하면서 필요시 회전, 활동 등 에 적절히 대응하고 하중을 하부구조로 원활하게 전달하 기 위한 장치

'건축기사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용어107  (1) 2023.10.04
건축용어106  (0) 2023.10.04
건축용어104  (0) 2023.09.30
건축용어103  (0) 2023.09.30
건축용어102  (0) 2023.09.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