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수소를 통하는 관으로 동관을 사용할 수 있다. ② 수소를 통하는 관은 이음매가 있는 강판이어야 한다. ③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④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순도가 85%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정답: ②
출처: 2022-1
> 수소 냉각식 발전기 및 이에 부속하는 수소냉각장치에 대한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②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순도가 70%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는 경보를 하는 장치를 설치할 것 ③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④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정답 : ②
출처 : 필기 2021-1
> 태양광 발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태양과 발전의 장점을 4가지만 쓰시오. (2) 태양과 발전의 단점을 2가지만 쓰시오.
정답 : ① 에너지 원이 청정하다. ② 태양이 쪼이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설치 할 수 있다 ③ 보수가 용이하다 ④ 자원이 반영구적이다. 확산광(산란광)도 이용할 수 있다.
① 태양광의 에너지 밀도가 낮다 ② 비가 오거나 흐린날에는 발전능력이 저하된다.
출처: 2019-1, 2011-2
> 태양전지 모듈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충전부분은 노출하여 시설할 것 ② 출력배선은 극성별로 확인 가능토록 표시할 것 ③ 전선은 공칭단면적 1.5㎣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할 것 ④ 전선을 옥내에 시설할 경우에는 애자사용 공사에 준하여 시설할 것
정답 : ②
출처: 필기 2018-1
> 태양전지 발전소에 시설하는 태양전지 모듈 전선 및 개폐 기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전선은 공칭단면적 2.5mm²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할 것 ② 태양전지 모듈에 접속하는 부하측 전로에는 개폐기를 시설할 것 ③ 태양전지 모듈을 병렬로 접속하는 전로에 과전류 차단기 를 시설할 것 ④ 옥측에 시설하는 경우 금속관 공사, 합성수지관 공사, 애자 사용 공사로 배선할 것
#전압 분배 법칙 : 1) 두개의 저항을 직렬 연결하였을 때 각 저항에 값에 따라서 전압은 분배(분압)가 된다. 2) 전압은 저항이 큰 부분에 더 많은 전압이 분압된다. V= V_1+V_2 V_1 = \frac{R_1}{R_1+R_2}\times V V_2 = \frac{R_2}{R_1+R_2}\times V
#전류 분배 법칙 : 1) 두개의 저항을 병렬 연결하였을 때 각 저항에 값에 따라서 전류는 분배(분류)가 된다. 2) 전류는 저항이 작은 부분에 더 많은 전류가 분류된다.
I= I_1+I_2 I_1 = \frac{R_2}{R_1+R_2}\times I I_2 = \frac{R_1}{R_1+R_2}\times I
#분류기 문제
최대눈금 1A, 내부저항 10Ω의 전류계로 최대 101A까지 측정하려면 몇 Ω의 분류기가 필요한가?
전류분배 법칙을 이용한다. \frac{10}{10+R}\times101=100 R=0.1Ω
출처 전기기능사 2016-04
측정 범위 1[mA],내부저항 20[kΩ]의 전류계에 분류기를 붙여서 5[mA]까지 측정하려고 한다. 몇[Ω]의 분류기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7. 한시(time delay) 보호계전기 (암기는 차트로 할 것) ① 순한시 계전기 : 최소 동작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즉시 동작 ② 정한시 계전기 : 동작 전류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전한 시간에 동작하는 특성 ③ 반한시 계전기 : 동작 전류가 커질수록 동작 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 ④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 동작 전류가 적은 동안에는 동작 전류가 커질수록 동작 시간이 짧게 되고 어떤 전류 이상이면 동작 전류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전한 시간에 동작하는 특성
8. 선택지락계전기(SGR) : 비접지 계통의 지락 사고 검출에 사용되는 것으로, 병행 2회선 또는 다회선 송전 선로에서 한쪽의 1회선에 지락 또는 접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이것을 검출하여 고장 회선만을 선택하여 차단할 수 있는 계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