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기용 변압기(PT)     용도: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변류기(CT : Current Transformer)

더보기

   1) 목적 :  고압회로의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기 위하여 회로에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한다.

   2) 용도:   배전반의 전류계, 전력계, 계전기,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3) 변류비 선정

       (1) 변압기 회로 : 1.25~1.5

       (2) 전동기 회로

       (3)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4) 변류비 및 부담

    5) 변류기 결선

       (1) 가동 접속 

       (2) 차동접속

    6) 2차측 개방 불가 

   7) CT비 : 5, 10,    15,   20,          30, 40,50, 75
                       100, 150, 200, 250 

계기용 변성기(MOF) :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PT와 CT를 한 탱크안에 넣은 것

MOF 심벌

영상 변류기(ZCT)
       지락 사고시 지락전류(영상전류)를 검출하는 것. 지락계전기(GR)와 조합하여 차단기를 차단시킨다.

ZCT 심벌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GPT)
      비접지 계통에서 지락 사고시의 영상 전압을 검출한다.

 


  전기기사 출제년도
  필기 실기
계기용 변류기 CT
차동결선 전류계 1개 2014-1
전류계 3개 2015-3
2020-3 
2020-1
오결선 2019-2 2009-2
전류계 3개 2012-3, 2017-1
전류계 1개 가동결선 2017-3 2007-1
전류계 1개 차동결선 2007-2 
2차측단락 2013-1
2차측단락 이유 2011-1
CT결선 2015-2, 2005-2
BCT 2012-2 
CT결선 2018-1
OCR 탭 2017-2 2015-2
변류비, CT비
2018-1, 2016-3, 2015-1,2014-3, 2011-3  2002-2 
결선도 전류계 2013-2
결선도 전력량계
2002-2, 2001-3, 2001-2, 2001-1 
계기용 변성기 PT   2018-1
2016-3 PT비
결선도 전압계 2013-2
결선도 3상3선식 2002-2, 2001-2
결선도 3상4선식 2006-3, 2001-3  
결선도 단상2선식 2001-1
변압비 2022-1
2015-3, 2010-2, 2002-1
퓨즈  부착
2014-2, 2006-3, 2001-1 
MOF   정격 과전류 2020-1
기능 2017-3
정격 2016-3
GPT 2015-2 영상전압 2019-2
3상 2016-1
단상 2012-3, 2010-3, 2003-1       
 2020-2, 2008-1, 2004-2
ZCT   2019-32019-2 
영상전류검출법2014-2

 

 

더보기

> 계기용 변압기(PT) 1차 측 및 2차 측에 퓨즈를 부착하는지 여부를 밝히고, 퓨즈를 부착하는 겨이우에 그 이유를 간단히 서술하시오.

여부: 1차 측 및 2차 측에 부착한다.
이유: 1) 계기용 변압기 1차 측에는 과전압에 대한 보호를 위해
          2) 계기용 변압기 2차 측에는 부하의 단락 및 과부하 or 계기용 변압기 단락 시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001-1

문제를 풀기전 알고 있어야 하는 암기사항

1. 단거리(50km 미만) 송배전선의 전압강하 : 선로정수 R, L 고려. 집중정수회로

단상 2선식, 220 e = 2$I$(Rcosθ+Xsinθ) [V]

리액턴스 무시일 경우 X=0 
e=$\frac{2\times17.8LI}{1000A}$
=$\frac{35.6LI}{1000A}$
단상 3선식, 3상4선식,    220/110 e = $I$(Rcosθ+Xsinθ) [V]

리액턴스 무시일 경우 X=0 
e=$\frac{17.8LI}{1000A}$
3상 3선식, 380/220 e = $\sqrt3I$(Rcosθ+Xsinθ)
=$\sqrt3(\frac{P}{\sqrt3Vcosθ})$(Rcosθ+Xsinθ)
= $\frac{P}{V_r}(R+Xtanθ)$ [V]

리액턴스 무시일 경우 X=0 
e=$\frac{\sqrt3\times17.8LI}{1000A}$
=$\frac{30.8LI}{1000A}$

 

 2. 전압강하율    

더보기

      전압강하율 = $\frac{V_s - V_r}{V_r} \times 100$ =$\frac{P}{V_r^2}(R+Xtanθ)$
                           Vs: 송전단 전압, Vr:수전단 전압

3. 전압변동률

더보기

      전압변동률 = $\frac{V_{ro} - V_r}{V_r} \times 100$
      $V_{ro}$ 무부하 전압, $V_r$ 정격(전) 부하 전압

4. 전력손실 

더보기

      단상2선식 : $2I^2R$ 
      3상 3선식 : $3I^2R = 3(\frac{P}{\sqrt3Vcosθ})^2R$ = $\frac{P}{V^2cos^2θ}$       

 5. 전력손실률

더보기

          = $\frac{전력손실}{전력}\times100$ 

6. 선로의 충전전류 및 충전용량

더보기

     (1) 충전전류
              Ic = 2πfc$\times\frac{V}{\sqrt3}\times10^{-3}$ [A] 

     (2) 충전용량
              Qc = $\sqrt3$VIc = $\sqrt3$Vx2πfc$\times\frac{V}{\sqrt3}\times10^{-3}$

7. 배전 전압 승압의 필요성 및 효과

8. 절연협조


    전기기사
    실기
전압강하 단상2선식 2017-1 
2015-3 단상 균등 부하
단상3선식,3상4선식 2018-1
3상3선식 부하전력 2022-2 2021-2 2019-1 2008-3 
2017-3 
3상 유도전동기 2017-2 
약산식 2016-2 2007-2
송전단 전압 2014-3 2011-3
종단 전압     2014-1
콘덴서 추가 2011-1 2008-1 2005-1 2002-1 
전압강하율   2017-3
2015-1
2012-2
2009-3
전압변동율   2012-2
전력손실   2018-3
변압기 손실, 3상3선 2017-3 2002-2
단상2선식 2015-2 
3상3선식 2019-1 2014-3 
3상 2013-1 
손실율 2011-3 
2011-1 2008-1
2008-2
1997-1
충전전류, 충전용량   2022-1
2021-2
2019-2
2015-2
전압 조정     전압조정기 2017-2 2005-1 
변압기 탭 2015-3 
2011-2

 

더보기

> 어떤 단상변압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이 240[V]이고, 정격 부하시의 2차 단자 전압이 230 [V]이다. 전압 변동률은 약 몇 [%]인가?

풀이, 정답 $\frac{240-230}{230}\times100$ =4.35[%]

출처 : 2017-1


더보기

배전선로의 전압 조정기

  1. 주상변압기 탭절환
  2. 단권변압기
  3. 유도전압조정기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7-1 단상2선식 전압강하, 승압


더보기


수전단 전압 60[kV], 전류 200[A], 선로의 저항 및 리액턴스가 각각 7.61[Ω], 11.85[Ω]일 때.

송전단 전압[kV]과 전압강하율[%]을 구하여라. 단, 수전단 역률은 0.8(지상)이다.

풀이 : 3상 전압강하 Vs = Vr + $\sqrt3I$(Rcosθ+Xsinθ)
           전압강하율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5-1 전압강하, 전압강하율


더보기

송전단 전압 66kV, 수전단 전압 61[kV]인 송전선로에서 수전단의 부하를 끊은 경우의 수전단 전압이 63[kV]라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전압 강하율을 구하시오.

(2) 전압 변동률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1) 전압 강하율 = $\frac{66-61}{61} \times 100$ = 8.2[%]   

(2) 전압 변동률 = $\frac{63-61}{61} \times 100$ = 3.28[%]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2, (2011-1)


더보기

3상 3선식 송전선로가 있다. 수전단 전압이 60[kV], 역률 80[%], 전력손실률이 10[%]이고 저항은 0.3[Ω/km], 리액턴스는 0.4[Ω/km], 전선의 길이는20[km]일 때, 이 송전선로의 송전단 전압은 몇 [kV]인가?

 

계산 :

       전력손실 $P_l$ = 0.1P = 0.1 x $\sqrt{3}V_rIcosθ$ = 3I²R

       I = $ \frac{0.1 \times \sqrt{3}V_rcosθ}{3R} $= 461.88[A]

       송전단 전압 Vs = 60+$\sqrt{3}$x461.88(0.3x20x0.8+0.4x20x0.6)x$10^{-3}$ = 67.68[kV]

답 : 67.88[kV]

계산 :

       전력손실 $P_l$ = 0.1P = 0.1 x $\sqrt{3}V_rIcosθ$ = 3I²R

       I = $ \frac{0.1 \times \sqrt{3}V_rcosθ}{3R} $= 461.88[A]

       송전단 전압 Vs = 60+$\sqrt{3}$x461.88(0.3x20x0.8+0.4x20x0.6)x$10^{-3}$ = 67.68[kV]

답 : 67.88[kV]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1-3  3상3선식 전압강하


더보기

그림과 같은 3상 배전선이 있다. 변전소(A)점의 전압은 3300[V], 중간(B점) 지점의 부하는 50[A], 역률 0.8(지상), 말단(C점)의 부하는 50[A], 역률 0.8이다. AB 사이의 길이는 2[km], BC 사이의 길이는 4[km]이고 선로의 km당 임피던스는 저항 0.9[Ω], 리액턴스 0.4[Ω]이다.

그림생략

(1) 이 경우의 B점, C점의 전압은?

(2) C점에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진상 전류 40[A]를 흘릴 때 B점, C점의 전압은?

(3)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기 전과 후의 선로의 전력 손실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1) B점의 전압

    VB = 3300 - √3x100((0.9x2)x0.8+0.4x2x0.6) = 2967.45 [V]

    C점의 전압

    VC = 2967.45-√3x50((0.9x4)x0.8+0.4x4x0.6) = 2634.9 [V]

(2) B점의 전압

    VB = 3300 - √3x{100x(0.9x2)x0.8+0.4x2x(100x0.6-40)} = 3022.87 [V]

    C점의 전압

    VC = 3022.87-√3x{50x(0.9x4)x0.8+0.4x4x(50x0.6-40)} = 2801.17 [V]

(3) 설치 전  전력 손실 = 3x100²x1.8+3x50²x3.6 = 81[kW]

    설치 후  전력손실

    IAB = 100(0.8-j0.6)+j40 = 80-j20 = 82.46[A]

    IBC = 50(0.8-j0.6)+j40 = 40.23[A]

    3x82.46²x0.8+3x41.23²x3.6 = 55.08[kW]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1-1, (2008-1, 2005-1, 2002-1)


 

더보기

3상 3선식 배전선로의 각 선간의 전압강하의 근사값을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약산식을 다음의 조건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조건]

  1. 배전선로의 길이 : L[m], 배전선의 굵기 : A[mm²], 배전선의 전류 : I[A]

  2. 표준연동선의 고유저항(20[℃]) : $\frac{1}{55} [Ωㆍmm²/m], 동선의 도전율 : 97[%]

  3. 선로의 리액턴스를 무시하고 역률은 1로 간주해도 무방한 경우임

 

계산: 

   R = $\frac{1}{58} \times \frac{100}{97} \times \frac{L}{A}$

   전압강하 = $\sqrt{3}IR$ = $\frac{1}{32.48} \times \frac{IL}{A}$ = $\frac{30.8IL}{1000A}$

답 :

    전압강하 e=  $\frac{1}{32.48} \times \frac{IL}{A}$ 또는 e=$\frac{30.8IL}{1000A}$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7-2  전압강하, 


 

2021년부터 KEC로 바뀜

부하의 상정 및 분기 회로

1. 표준 부하

더보기

     1) 건축물의 종류에 따른 표준 부하
     2) 건축물 중 별도 계산할 부분의 표준 부하(주택, 아파트 제외)
     3) 표준 부하에 따라 산출한 수치에 가산하여야 할[VA] 수

2. 부하의 상정

더보기

     부하 설비 용량  = PA+QB+C
     P: 건축물의 바닥 면적
     Q: 별도 계산할 부분의 바닥면적
     A: P 부분의 표준 부하
     B: Q 부분의 표준 부하
     C:가산해야할 부하[VA]

3. 분기 회로수

더보기

분기 회로수 =$\frac{표준 부하 밀도[\frac{VA}{m^2}] \times 바닥면적[m^2]}{전압[V] \times 분기 회로의 전류[A]}$

【주1】계산결과에 소수가 발생하면 절상한다.

【주2】

∙ 최대상정부하 = 바닥면적×표준부하+룸에어콘+가산부하

∙ 분기회로수 산정시 소수가 발생되면 무조건 절상하여 산출한다.

∙ 220 [V]에서 2 [kW] (110 [V]때는 1 [kW])를 초과하는 냉방기기, 취사용 기기 등 대형 전기 기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독분기회로를 사용하여야 한다.

#전동기용 간선 및 분기 회로 전선의 굵기

#전등 및 전력장치 등을 병용하는 간선의 굵기


분기회로 수 간선 허용전류 기타
2021-2 2014-1 형광등[VA] 백열등[W]
2019-2 분전반 설치 규정
2018-3 용어 정의
2016-2 2010-2 형광등[W] 
2015-1 형광등[W]
2007-2 형광등[W], 수
2006-2 형광등, 수
2004-3 형광등, 역률
2013-3 건물
2011-1 건물
2010-3 건물
2005-2 전등, 전열, 면적, 에어컨
2009-2 수, 규정 KEC 2021 변경
2008-2 분기회로의 종류 KEC 2021 변경
2020-3
2018-2
2012-1

스위치, 퓨즈, 전선의 굵기
2014-1
2018-1 간설 설계시 고려사항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20-3 간선의 최소 허용전류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9-2 분전반 설치 규정


분기회로 : 간선에서 분기하여 분기과전류차단기를 거쳐서 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배선을 말한다.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8-3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8-2 간선 허용전류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8-1 간선의 설계 시 고려사항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6-3 간선 보호용 과전류 차단기(2021년 KEC폐지)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6-2 (2007-2) 분기회로 기준 15A에서 16A 20A, 32A 로 바뀜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5-1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4-1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3-3


더보기

분기회로에는 저압 옥내 간선과의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 ① )이하의 장소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간선과의 분기점에서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까지의 전선에 그 전원측 저압 옥내 간선을 보호하는 과전류 차단기 정격전류의 (  )이상[단, 전선의 길이가 (  )이하일 경우에는 (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  )를 초과하는 장소에 시설할 수 있다.

 

[답안작성]

① 3[m] ② 55[%] ③ 8[m] ④ 35[%] ⑤ 3[m]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2, (2009-2)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1 간선의 허용전류


더보기

저압간선에서 다른 저압간선을 분기하는 경우 그 접속개소에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는데, 분기선의 길이가 8[m]이하인 경우 과전류 차단기를 생략하려면 분기선의 허용전류는 간선 과전류차단기 정격전류의 몇 [%] 이상인지 쓰시오.

 

[답안작성]

35[%]

 

그림에서 제시된 건물의 표준 부하표를 보고 건물단면도의 분기회로수를 산출하시오.

이하생략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1-1


더보기

점포가 붙어 있는 주택이 그림과 같을 때 주어진 참고 자료를 이용하여 예상되는 설비 부하 용량을 상정하고, 분기 회로수는 원칙적을 몇 회로로 하여야 하는지를 산정하시오. 단, 사용 전압은 220[V]라고 한다.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0-3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0-2, 2009-2 (2007-2)


 

더보기

배전설계에 있어서 분기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에 따른 분기회로의 종류 7가지를 쓰시오.

 

[답안작성]

① 15[A] 분기회로

② 20[A] 배선용 차단기 분기회로

③ 20[A] 분기회로

④ 30[A] 분기회로

⑤ 40[A] 분기회로

⑥ 50[A] 분기회로

⑦ 50[A]를 초과하는  분기회로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8-2 분기회로의 종류 2021년 KEC 변경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7-2


더보기

단상 2선식 220[V], 40[W] 2등용 형광등 기구 60대를 설치하려고 한다.

15[A]의 분기 회로로 할 경우, 몇 회로로 하여야 하는가?

단, 형광등 역률은 80[%]이고, 안정기의 손실은 고려하지 않으며, 1회로의 부하전류는 분기회로 용량의 80[%]로 본다.

 

계산 :

        상정부하율 = $\frac{40}{0.8} \times 2 \times 60$ = 6000[VA]

        분기회로수 = $ \frac{6000}{220 \times 15 \times 0.8}$ = 2.27회로

 

답 : 15[A] 분기 3회로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6-2 (2004-3)

 


더보기

연면적 300[m² ]의 주택이 있다. 이 때 전등, 전열용 부하는 30[VA/m² ]이며, 5000[VA] 용량의 에어컨이 2대 가 설되어 있으며, 사용하는 전압은 220[V] 단상이고 예비 부하로 1500[VA]가 필요하다면 분전반의 분기 회로수는 몇 회로인가? 단, 에어컨은 30[A] 전용 회선으로 하고 기타는 15[A] 분기 회로로 한다.

계산 :

         1) 전등, 전열용 부하

             상정 부하 =바닥 면적 ×부하 밀도 + 가산 부하 = 300x30+1500=10500[VA]

              15[A] 분기 회로 수 = $\frac{10500}{220x15}$ = 3.18회로  ≒ 4회로선정

          2) 에어콘

              에어컨 전용 30[A] 분기 2회로 선정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5-2


더보기

단상 2선식 100[V]의 옥내배선에서 소비전력 40[W], 역률 80[%]의 형광등을 80[등] 설치할 때 이 시설을 15[A] 의 분기회로로 하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분기회로최소 몇 회선이 필요한가? 단, 한 회로의 부하전류는 분기회 로 용량의 70[%]로 하고 수용률은 100[%]로 한다.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4-3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3-1 분기 개폐기 생략

전기기사 필기, 실기 출제 빈도 높음

 

3상 단락고장

(1) 옴법

    ① 단락전류  $I_s = \frac{E}{Z} = \frac{E}{\sqrt{R^2+X^2}}$

    ② 단락용량 3상 3선식 P=3EI 또는 단상 2선식 P=EI

(2) %법

    ① %임피던스 = %Z = $\frac{I_n[A]ㆍZ[Ω]}{E[V]} \times 100[\%] = \frac{P[kVA]ㆍZ[Ω]}{10V^2}[\%]$

    ② 단락전류 $I_s= \frac{100}{\%Z} \times I_n$ 

    ③ 단락용량 $P_s= \frac{100}{\%Z} \times P_n$


선간전압이 154[kV]이고, 1상당의 임피던스가 j8[Ω]인 기기가 있을 때, 기준용량을 100[MVA]로 하면 %임피던스는 약 몇 [%]인가 ?

 

더보기

정답: 3.37

풀이 : %X = $ \frac{P[kVA]ㆍZ[Ω]}{10V^2} = \frac{(100 \times 10³) \times 8}{10 \times 154²}$  ≒ 3.37[%]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9-1 


 

기준 선간전압 23[kVA], 기준 3상 용량 5000[kVA], 1선의 유도 리액턴스가 15[Ω]일 때 %리액턴스는 ?

 

더보기

정답 ; 대략 14.18[%]

풀이 : %X = $ \frac{5000 \times 15}{10 \times 23²}$  ≒ 14.18[%]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8-3 


% 임피던스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❶ 정격전류가 증가하면 %임피던스는 감소한다.

② 직렬리액터가 감소하면 %임피던스도 감소한다 

③ 전기기계의 임피던스가 크면 차단기의 용량은 작아진 다. 

④ 송전계통에서는 임피던스의 크기를 옴값대신에 값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8-1


그림과 같은 상 송전 계통에서 송전단 전압은 3300[V]이다. 점 P에서 3상 단락 사고가 발생했다면 발전기에 흐르는 단락전류는 약 몇 A인가  ?

 

그림생략

 

더보기

정답 : 대략 380.27

풀이 :

       옴법 적용

 

       임피던스 Z = 0.32+j(2+1.25+1.75) = 0.32+j5

 

       단락전류 Is=$\frac{E}{Z} = \frac{\frac{3300}{\sqrt{3}}}{\sqrt{0.32^2+5^2}} $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7-3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5-3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5-1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전기기기 2014-3


단락점까지의 전선 한 가닥의 임피던스가 Z=6+j8[Ω](전원포함), 단락 전의 단락점 전아비 22.9[kV]인 단상 2선식 전선로의 단락용량은 몇 [kVA]인가? (단, 부하전류는 무시한다.)

풀이,정답  : 단락전류 = $\frac{22.9\times10^3}{2\times\sqrt{6^2+8^2}}= 1145[A]$
        단락용량 = 22.9 x 1145 = 26220[kVA]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전기기기 2012-1

#자가용 전기 설비의 중요 검사(시험) 사항

절연저항시험
접지저항시험
절연내력시험
계전기 동작 시험
외관검사
계측 장치 설치 상태검사
절연유 내압 시험 및 산가 시험
보호 장치 시험검사
제어회로 동작 및 기기조작시험

 

#자가용 발전 설비의 출력 결정 

 (1) 단순 부하의 경우

 (2) 기동용량이 큰 부하가 있을 경우

 (3) 단순 부하와 기동 용량이 큰 부하가 있을 경우

   2014-3

2) 발전기와 부하 사이에 설치하는 기기

    2003-2

3) 동기 발전기 병렬 운전 조건

조건 조건이 다르면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무효순환 전류가 흐른다.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동기화 전류가 흐른다.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난조 발생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고조파 무효 순환 전류가 흘러 과열이 발생
상회전이 같을 것  

 

1[ps] = 735.5[w] 736[w]

1[Hp] 746[w]


무정전 전원 장치 (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1) 개요

  UPS는 축전지, 정류 장치(Converter)와 역변환 장치(Inverter)로 구성되어 있고 선로의 정전 이나 입력 전원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전력을 부하측에 공급하는 설비. 

 2) UPS의 구성도




축전지(2차전지) 설비
1차전지는 한 번 사용하고 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한 배터리를 1차전지라고 한다. 건전지, 알칼리전지가 대표적인 1차전지라고 할 수 있다.

2차전지는 방전 후에도 다시 충전해 반복 사용이 가능한 배터리를 말한다. 

 1) 축전지 설비의 구성요소

 2) 축전지의 종류

   (1) 연축전지

   (2) 알칼리 축전지

   (3) 니켈 카드뮴

   (4) 리튬 이온 전지

충전 방식

(1) 초기 충전

(2) 사용 중의 충전

    - 보통 충전

    - 급속 충전

    - 부동 충전

    - 세류 충전

    - 균등 충전

축전지 용량 산출

#축전지 고장의 원인과 현상

현상 추정 원인
전체 셀 전압의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사용 개시 시시의 충전 보충 부족
전지 전압의 비중 저하, 전압계의 역전 역접속
어떤 셀만의 접압, 비중이 극히 낮다 국부단락
전체 셀의 비중이 높다 액면 저하
-충전 중 비중이 낮고 전압은 높다
-방전 중 전압은 낮고 용량이 감퇴한다.
-방전상태에서 장기간 방치
-충전 부족의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
-극판 노출
-불순물 혼입
전해액의 변색, 충전하지 않고 방치 중에도 다량으로 가스가 발생한다. 불순물 혼입
전해약의 감소가 빠르다 -충전 전압이 높다
-실온이 높다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 상승, 또는 소손 -충전장치의 고장
-과충전
-액면 저하로 인한
-교류 전류의 유입이 크다

 

전열기 용량

효율  = 
1[wh]=860[cal]

p =  
m : 질량 , c : 비열, T : 온도차
t : 시간, η : 전기 효율


  전기기사 산업기사
발전기 수력발전 2021-3 (2015-3)
디젤발전기 운전시간 2018-3, 2016-1
디젤발전기 전부하운전 용량 2013-3 
디젤발전기 출력 2012-3 2010-1
디젤발전기 효율 2015-2 
연료소비량 2022-3 2010-2 
기동용량이 큰 부하가 있을 경우 용량 
2016-3, 2016-2, 2013-1,2012-2 
최대기동전류 2016-2 
2014-3 
             (1) 전부하 정상 운전시에 입력에 의한 것
             (2) 전동기 기동에 필요한 용량
             (3) 순시 최대 부하에 의한 용량
2010-3, 2005-2 (1) 단순부하   (2) 큰 전동기 시동시 
동기발전기 병렬운전 2015-3, 2009-3 
2019-1 발전기 계전기
단락비 2020-3, 2017-1, 2015-1,2005-3,2004-3
검사사항 2006-2 2002-3
발전기실 위치 2008-3  
2003-3  단순 부하의 경우
             발전기실 높이
             발전기 병렬운전조건
             발전기와 부하사이 설치 기기
2003-2 발전기와 부하사이 설치 기기
 
축전지 축전지 2차 전류
알칼리전지 2020-2, 2017-2, 2012-2  
연축전지 2020-2, 2013-2
축전지 용량 
2020-1, 2017-1, 2011-3 ,2011-1
2016-1
충전 방식 
2017-2 , 2015-2, 2013-1, 2009-2 
허용최저전압 2019-2
2011-1, 2006-1
연축전지의 고장 현상
2005-1
2004-1 충전기 2차 전류, 부동 충전 방식
2002-3 알칼리 측전지 장단점
1994-6
용량환산시간 2019-1
UPS 2018-2, 2009-3,2005-3

2017-3
2008-3
2006-3

 
태양광 발전 2019-1
2011-2
 

더보기

인텔리전트 빌딩(Intelligent building)은 빌딩 자동화시스템, 사무자동화시스템, 정보통신시스템, 건축환경을 총 망 라한 건설과 유지관리의 경제성을 추구하는 빌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빌딩의 전산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 상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UPS에 대해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UPS를 우리말로 표현 하시오.



(2) UPS에서 AC→DC부와 DC→AC부로 변환하는 부분의 명칭을 각각 무엇이라 부르는지 쓰시오. ⋅



(3) UPS가 동작되면 전력공급을 위한 축전지가 필요한데, 그 때의 축전지 용량을 구하는 공식을 쓰시오. (단, 기호 를 사용할 경우, 사용 기호에 대한 의미를 설명하도록 한다.) 



[답안작성]

(1)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2) ⋅AC→DC : 컨버터 ⋅DC→AC : 인버터

(3) C = $\frac{1}{L}KI[Ah]$

여기서, C : 축전지의 용량 [Ah], L : 보수율(경년용량 저하율) K : 용량환산 시간 계수, I : 방전 전류 [A]

출처 : 2018-2, (2009-3, 2005-3, 2004-2, 2001-1)


더보기


4[L]의 물을 15[℃]에서 90[℃]로 온도를 높이는데 1[kW]의 전열기로 30분간 가열하였다. 이 전열기의 효율을 계산하시오.

 

계산

η= $\frac{열}{전기} = \frac{4 \times 1 \times (90-15)}{860 \times 1 \times \frac{30}{60}} \times 100 $= 69.767

답 : 69.77[%]  

4[L]의 물을 15[℃]에서 90[℃]로 온도를 높이는데 1[kW]의 전열기로 30분간 가열하였다. 이 전열기의 효율을 계산하시오.

 

계산

η= $\frac{열}{전기} = \frac{4 \times 1 \times (90-15)}{860 \times 1 \times \frac{30}{60}} \times 100 $= 69.767

답 : 69.77[%]  

출처 : 2016-3 전열기 효율


 

더보기

유효낙차 100[m], 최대 사용 수량 10[m³/sec]의 수력발전소에 발전기 1대를 설치하는 경우 

적당한 발전기의 용량[kVA]를 계산하여 구하여라. 

단, 수차와 발전기의 종합효율 및 부하역률은 각각 85[%]로 한다.

계산 : P = $9.8HQη \over cosθ$ = $ \frac{ 9.8 \times 100 \times 10 \times 0.85}{0.85}$ = 9800 [kVA]
답 : 9800 [kVA]


출처: 2015-3


더보기

출력 100[kW]의 디젤 발전기를 8시간 운전하여 발열량 10000[kcal/kg]의 연료를 215[kg] 소비할 때

발전기 종합 효율은 몇 [%]인지 계산하여 구하여라.

계산 : $ \frac{전기}{연료} = \frac{860 \times 100 \times 8}{215 \times 10000} \times 100 $ = 32[%]
답: 32[%]


출처: 2015-2


더보기

디젤발전기를 5시간 전부하로 운전할 때 중유의 소비량이 287[kg]이었다.

발전기의 정격 출력을 구하시오.

단, 중유의 열량은 10⁴[kcal/kg], 기관효율 35.3[%], 발전기효율 85.7[%], 전부하시 발전기 역률 85[%]이다.

 

계산 : 

       $\frac{287 \times 10^4 \times 0.353 \times 0.857}{860 \times 5 \times 0.85}$ = 237.55[kVA]

답 : 237.55 [kVA]

 

출처 : 2012-3 (2010-1)


더보기


알칼리 축전지의 정격용량은 100[Ah], 상시부하 6[kW], 표준전압 100[V]인 부동충전 방식의 충전기 2차 전류는 몇 [A]인지 구하시오.

단, 알칼리 축전지의 방전율은 5시간율로 한다.



계산 : $\frac{100}{5}+ \frac{6000}{100}$ = 80[A]

답 : 80[A]



출처 : 2012-2 충전기 2차전류


더보기


용량이 1000[kVA]인 발전기를 역률 80[%]로 운전할 때 시간당 연료소비량 [l/h]을 구하시오. 단, 발전기의 효율은 0.93, 엔진의 연료 소비율은 190[g/ps⦁h], 연료의 비중은 0.92이다.

계산 :

         1) 발전기 입력 (엔진출력) = $\frac{1000\times0.8}{0.93}$ = 860.22[kW]

         2) 시간당 연료량 = $\frac{860.22\times10^3}{735.5}$x190x${10^-3}$=222.22[kg/h]

         3) 시간당 연료소비량 = $222.22\times\frac{1}{0.92}$ = 241.54[l/h]

출처 : 2010-2 발전기 연료소비량


더보기

디젤 발전기를 5시간 전부하 운전할 때 연료 소비량이 287[kg]이었다. 이 발전기의 정격출력은 몇 [kVA]인가? 단, 중유의 열량은 10000[kcal/kg], 기관 효율 36.3[%], 발전기 효율 82.7[%], 전부하시 발전기 역률 80[%]이다.

⦁계산 : 효율 =$\frac{전기}{열}$ = $\frac{860PT}{열량\times연료\times역률}$

답 : 250.46[kVA]

출처 : 2010-1 발전기 용량

전동기 회전 속도 v = πDN : D 지름, N 회전수

펌프용 전동기의 소요동력 분당 양수량인 경우 효율  = $\frac{용량\times높이}{전기}$
P = $\frac{HQK}{6.12η} $ 
P = $\frac{9.8\frac{Q}{60}HK}{η}$
단위 : [kW]
초당 양수량인 경우 P = $ \frac{9.8HQK}{η}$
권상용 전동기 용량 분당 효율  = $\frac{무게\times높이}{전기}$
P = $\frac{WVK}{6.12η}$
W: 권상하중[단위: ton] V:권상속도[m/min]
전열기 용량    효율  = $\frac{열}{전기}$ 

p = $\frac{mcT}{860ηt}$ 
m : 질량 , c : 비열, T : 온도차
t : 시간, η : 전기 효율
발전기 용량 (출력)   효율 = $\frac{전기}{열}$
P = 9.8HQη
1[wh] = 860[cal]
물의 특성
1[L]≒1[kg], 1[㎥]≒1[ton]
비열 C=1[kcal/kg℃]
1ps≒736[w]
1HP≒746[w]

양수 펌프용 전동기 유형 : 시간당 2010-3 
유형 : 분당 2017-2
유형: 분당, V결선 2012-1, 
2011-2, 2010-1 2008-2
유형 : 초당 2021-2, 2016-2, 2011-1, 2008-1 
권상기용 전동기 유형: 엘레베이터 2020-3, 2009-3
유형 : 분당 2020-1, 2015-2, 2013-2 
유형 권상기용 (응용문제) 2009-2 
유형 :에스컬레이터용2009-1 
전열기 2021-1, 2016-3
발전기 용량 디젤발전기 2018-3, 2016-1,
수력발전기 2015-3
2013-3
유형: 연료소비량 2010-2
방폭형 전동기 2014-2
MCC반 2007-3 (2002-2, 2001-1) 

2020-3, 2009-3 유사

2020-1 권상기용 전동기


더보기

양수량 15[m³/min], 양정 20[m]의 양수 펌프용 전동기의 소요전력[kW]를 구하시오.

단, K=1.1, 펌프 효율은 80[%]로 한다.

 

계산 : P = $\frac{9.8 \times \frac{15}{60} \times 20 \times 1.1}{0.8} $= 67.375[kW]  답: 67.375[kW]

계산 : P = $\frac{20 \times 15 \times 1.1}{6.12 \times 0.8} $ = 67.4[kW] 답: 67.4[kW]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7-2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7-1 전동기의 진동과 소음


더보기

 > 4[L]의 물을 15[℃]에서 90[℃]로 온도를 높이는데 1[kw]의 전열기로 30분간 가열하였다. 이 전열기의 효율을 계산하시오.

풀이 : η = $\frac{mcT}{860Pt}$ = $\frac{4\times(90-15)}{860\times1\times\frac{30}{60}}$ =69.767

정답: 69.767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6-3


 

 

더보기

어느 공장에서 기중기의 권상하중 50[t], 12[m] 높이를 4분에 권상하려고 한다. 이것에 필요한 권상 전동기의 출력을 계산하여 구하여라. 단, 권상기구의 효율은 75[%]이다.

 

계산 : P = $ \frac{50 \times \frac{12}{4} \times {1}}{6.12 \times 0.75}$ = 32.68[kW]       

답 : 32.68[kW]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5-2 권상 전동기


더보기


지표면상 10[m] 높이에 수조가 있다. 이 수조에 초당 1[m³]의 물을 양수하는데 사용되는 펌프용 전동기에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단상 변압기 3대를 V결선하였다. 펌프 효율70[%]이고, 펌프축 동력에 20[%]여유를 두는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펌프용 3상 농형 유도 전동기의 역률을 100[%]로 가정한다.)

(1) 펌프용 전동기의 소요 동력은 몇 [kW]인가?

(2) 변압기 1대의 용량은 몇 [kVA]인가?

 

[답안작성]

(1) 계산 : $ \frac{9.8 \times 10 \times 1 \times 1.2}{0.7}$= 168[kW]  답 : 168[kW]

(2) 계산 : $\frac{168}{\sqrt{3}}$ = 96.99[kW] = 96.99[kVA]               답 : 96.99[kVA]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12-1, (2011-1, 2008-1)


더보기

지표면상 18[m] 높이의 수조가 있다. 이 수조에 25[m³/min] 을 양수하는데 필요한 펌프용 전동기의 소요 동력은 몇 [kW]인가? (단, 펌프의효율은 82[%]로 하고 , 여유계수는 1.1로 한다.)

더보기

 

계산 :

        $ \frac{ 18 \times 25 \times 1.1}{6.12 \times 0.82 }$ = 98.64 [kW]

답 :  98.64 [kW]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1-2


더보기


매분 10[
m³]의 물을 높이 15[m]인 탱크에 양수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V결선한 변압기로 공급한다면, 여기에 필요한 단상 변압기 1대의 용량은 몇 [kVa]인가? 단, 펌프와 전동기의 합성 효율 65[%]이고, 전동기의 전부하 역률 90[%]이며, 펌프의 축동력은 15[%]의 여유를 본다고 한다.

 

계산 :  

         $ \frac{ 15 \times 10 \times 1.15}{6.12 \times 0.65 \times\ 0.9}$ = 48.18 [kVA]

         $\frac{48.18}{\sqrt{3}} $= 27.82[kVA]

답: 27.82[kVA]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8-2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8-1 펌프용 전동기, V결선 용량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7-3 (2002-2, 2001-1) MCC반

 

#변압기 전력 공급 방식 

① 3대 : △결선 - 1대 고장시 V결선으로 3상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Y결선 - 1대 고장시 역 V결선으로 공급가능하다. 3상전력 공급은 불가능하다.

② 2대 : V결선 - 3상 전력 공급 가능하다.

              역V결선 - 3상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다.

③ 4대 : △ 결선으로 3상 전력을 공급하다가 부하가 증가할 경우에는 변압기 2대씩을 묶어 V결선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 2 뱅크(Bank) × V결선

#변압기 용량[kVA]  ≥ 합성 최대 수용 전력

                        = $\frac {개별 부하의 최대 수용 전력의 합계}{부등률}$

                        = $\frac {설비용량[kW] \times 수용률}{부등률 \times 역률(효율)}$

                        =  $\frac {설비용량[kVA] \times 수용률}{부등률}$

      암기법 : 변압기 용량 = 설수/등역효

#피상전력[KVA] = 유효전력[KW]/역률

 

#부하의 상정 (상정부하)

 

#변압기 V결선 용량(출력) = $\sqrt3P_1$

#변압기 △결선 용량(출력) = 3$P_1$

  

단상 변압기 표준용량     1                   2         3          5              7.5
10      15       20       30        50            75
100    150     200     300      500          750
1000            
3상 변압기 표준용량                        3    5     7.5
10   15     20   30  50   75
100  150  200      500  750
1000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설비용량) 부하 여러개 2019-3 2019-1  2013-1
부하 1개 2018-3 2015-3 2013-3 
네트워크 변압기 용량 2022-1 2012-1
변압기 3대 Δ결선 2020-3, 2018-1, 2006-1 2001-3 
변압기 2대 V결선 2018-1, (2006-2, 2001-2)
Table sheet
유형 (2021-1 2012-1)
유형 (2020-1 2012-3)
유형 (2012-2 2008-2)
Δ결선2021-1,2020-3


2021-1 (2012-1)

2020-1, (2012-3) 테이블 시트 문제


더보기

그림과 같이 50[kW], 30[kW], 15[kW], 20[kW]인 부하설비수용률이 각각 50[%], 65[%], 75[%], 60[%]라 할 경우, 

변압기 TR은 몇 [kVA]가 필요한지를 구하고, 변압기 표준 용량 표[kVA]를 이용하여 선정하시오.

( 단, 부등률은 1.2, 종합부하역률은 80[%]라 한다.)

 

계산: $\frac{50 \times 0.5+ 30 \times 0.65+ 15 \times 0.75 + 20 \times 0.6}{1.2 \times 0.8} $= 73.7[kVA]

답: 표준용량에서 75[kVA] 선정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9-3


더보기

선간전압 3,000[V]인 3상 교류회로에서 3,000/210[V]의 승압기 2대를 사용하여 승압하려고 한다.

승압기 1대의 용량[kVA]을 구하시오. (단, 3상 부하는 40[kW]이고, 부하역률은 75[%]이다.)

 

계산 :

   1) 승압전압 Vh = $ (1+ \frac{210}{3000} )\times 3000 $= 3210[V]

   2) V결선 공식 적용

       자기용량 = $\frac{40}{0.75} \times \frac{2}{\sqrt{3}} \times \frac{3210-3000}{3210}$ = 4.03[kVA] 

   3) 1대의 용량 = 4.03/2 = 2.02[kVA]

답 : 2.02[kVA]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9-3


더보기

역률 0.6의 유도전동기 부하 30[kW]와 전열기 부하 24[kW]가 있다.

이 부하에 공급할 주상변압기의 표준용량[kVA]을 선정하시오.

단, 주상변상기의 표준용량[kVA]은 30, 50, 75, 100, 150, 200, 250에서 선정하시오

 

계산

  1) 유효전력 P= 30+24 = 54[kW]

  2) 무효전력 Pr= 30 x (0.8/0.6) = 40[kW]

  3) 변압기 용량 Pa = $\sqrt{54^2+40^2}$ = 67.2[kVA]

답 : 75[kVA]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9-3


2019-1

2018-3

2018-1

2017-2, (2010-3)

2016-3

2016-2

2016-1 

2015-3

2015-1

2014-3 변압기 용량, 병렬합성용량

2014-2 합성최대전력

2014-1

2013-3

2013-1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3 테이블 시트 문제, 단권변압기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2, (2008-2) 테이블 시트 문제


더보기

최대수용전력이 7000[kW]이고 역률이 92[%]이며 130[%] 과부하 운전을 한다.

스포트 네트워크 방식 3회선인 경우 변압기 용량은 몇 [kVA]인가?

 

계산 :

네트워크 변압기 용량 = $\frac{최대수요전력}{피더수-1} \times \frac{100}{130}$

                             = $\frac{7000}{0.92 \times 2 \times1.3} $= 2926.4 

답 : 3000[kVA]

 

출처 : 전기기사 2012-1


더보기

지표면상 10[m] 높이에 수조가 있다. 이 수조에 초당 1[m³]의 물을 양수하는데 사용되는 펌프용 전동기에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단상 변압기 3대를 V결선하였다. 펌프 효율이 70[%]이고, 펌프축 동력에 20[%]의 여유를 두는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펌프용 3상 농형 유도 전동기의 역률을 100[%]로 가정한다.)

(1) 펌프용 전동기의 소요 동력은 몇 [kW]인가?

(2) 변압기 1대의 용량은 몇 [kVA]인가?



[답안작성]

(1) 계산 : $ \frac{9.8 \times 10 \times 1 \times 1.2}{0.7}$= 168[kW]  답 : 168[kW]

(2) 계산 : $\frac{168}{\sqrt{3}}$ = 96.99[kW] = 96.99[kVA]               답 : 96.99[kVA]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12-1, (2011-1, 2008-1)


더보기

어느 수용가의 총 설비 부하 용량은 전등 600[kW], 동력 100[kW]라고 한다.

각 수용가의 수용률은 50[%]이고, 각 수용가 간의 부등률은 전등 1.2, 동력 1.5, 전등과 동력 상호간은 1.4라고 하면

여기에 공급되는 변전시설용량은 몇 [kVA]인가?

단, 부하 전력 손실은 5[%]로 하며, 역률은 1로 계산한다.

 

계산 : $\frac{\frac{600 \times 0.5}{1.2}+\frac{100 \times 0.5}{1.5}}{1.4} \times(1+0.05)$ = 437.5[kVA]

답:  437.5[kVA]

출처 : 전기기사 2011-3


더보기

그림과 같이 부하가 A, B, C에 시설될 경우, 이것에 공급할 변압기 Tr의 용량을 계산하여 표준 용량을 선정하시오.

(단, 부등률은 1.1, 부하 역률은 80[%]로 한다.)

변압기 표준 용량[kVA]
50 100 150 200 250 300 350

 

                              |

             -----------------------------

             |                |                |    

            ↓A            ↓B            ↓ C

부하설비 50[kW]       75[kW]        65[kW]

수용률    80[%]        85[%]          75[%] 

 

계산 : $\frac{ 50 \times 0.8 + 75 \times 0.85 + 65 \times 0.75}{1.1 \times 0.8 }$ = 173.3[kVA]

답 : 표준용량 200[kVA] 선정

출처 : 전기기사 2011-1, (2004-2)


출처 : 전기기사 2010-3

출처 : 전기기사 2010-1

출처 : 전기기사 2009-2

출처 : 전기기사 2009-1

출처 : 전기기사 2008-3 계약전력

출처 : 전기기사 2008-2, (2005-3)

출처 : 전기기사 2008-1

출처 : 전기기사 2007-3, (2002-2)

출처 : 전기기사 2007-2

출처 : 전기기사 2006-3

출처 : 전기기사 2006-2, (2001-2)

출처 : 전기기사 2006-1 △, V결선 용량

출처 : 전기기사 2005-3 (2004-2) 

출처 : 전기기사 2005-2

출처 : 전기기사 2005-1

출처 : 전기기사 2004-2 상정부하

출처 : 전기기사 2003-2

출처 : 전기기사 2002-2

출처 : 전기기사 2001-3 변압기용량과 전등 수

출처 : 전기기사 2001-2 V결선 전용상, 공용상

 

수용률(demand factor) = $ \frac{최대수용(수요)전력[kW]}{설비용량[kW]} \times 100$ 


부등률(diversity factor) = $\frac{설비용량\times수용률}{합성(종합) 최대수용전력}$ = $ \frac{개별 부하의 최대 수요 전력의 합}{합성 최대수용전력}$  = 전력 소비 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정도

   1) 부등률이 클수록 공급설비 이용률이 크다. 경제성은 높아진다.

   2) 최대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사용시간대가 서로 다르다.

부등률 한자뜻: 아니불, 동시에 등, 



부하율(load factor)  = $ \frac{평균수용전력[kW]}{합성 최대수용전력[kW]} \times 100$ = $\frac{사용전력량/시간}{합성 최대수용전력[kW]} \times 100$ = $\frac{평균수요}{\frac{설비용량\times수용률}{부등률}}$ = $\frac{평균수요\times부등률}{설비용량\times수용률}$

부하율이 적다는 의미

(1) 공급 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2) 첨두부하 설비가 증가된다.

(3) 부하설비의 가동률이 저하된다.


수용률 2018-3, 2018-2
2017-1
부등률 2020-2
2011-2
유형  2004-3, 2003-3
유형  2005-1, 2002-3, 2002-1
부하율 2011-1, 2003-1
2020-2
2017-1
2016-1 난이도 상
2016-2 난이도 상
2014-3
2010-
2007-3
2006-1
합성 최대 전력 2020-2
2017-2 (2005-3) 부등률 있음 
2016-2 부등률 없음
2016-1
2003-2
손실계수 2020-2

출처 : 2020-2, (2016-2) 합성최대전력, 부하율, 부등률, 평균전력량, 손실계수


더보기

어느 건물의 부하는 하루에 240[kW]로 5시간, 100[kW]로 8시간, 75[kW]로 나머지 시간을 사용한다.

이의 수전설비를 450[kVA]로 하였을 때 부하의 평균역률이 0.8이라면 이 건물의 수용률일 부하율을 구하시오

(1) 수용률

    계산 : $\frac{240}{450 \times 0.8} \times 100 $= 66.67[%]

(2) 일 부하율

    계산: $\frac{240\times 5 + 100 \times 8 + 75 \times 11}{240 \times 24} \times 100 $= 49.05 [%]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8-3, 2018-2, (2010-2, 2006-2)


더보기

> 다음표에 나타낸 어느 수용가들 사이의 부등률을 1.1로 한다면 이들의 합성 최대전력은 몇 [kw]인가?

수용가 설비용량[kw] 수용률[%]
a 300 80
b 200 60
c 100 80

정답: 400[kw]

해설: 합성최대전력 = $\frac{개별최대수용전력의 합}{부등률}$=$\frac{설비용량\times수용률}{부등률}$
                                = $\frac{300\times0.8+200\times0.6+100\times0.8}{1.1}$ = 400[kw]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7-2 (2005-3) 합성 최대 전력


더보기

입력 설비용량 20[kW] 2대, 30[kW] 2대의 3상 380[V] 유도전동기 군이 있다.

그 부하곡선이 아래 그림과 같을 경우 최대 수용전력[kW], 수용률[%], 일부하율[%]을 각각 구하시오.

차트 생략

(1) 최대 수용 전력

(2) 수용률

(3) 일부하율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7-1

 


더보기

어느 변전소에서 그림과 탕느 일부하 곡선을 가진3개의 부하 A, B, C의 수용가에 있을 때, 다음 각 물음에 대하여 답하시오. 단, 부하 A, B, C의 평균 전력은 각각 4500[kW], 2400[kW] 및 900[kW]라 하고 역률은 각각 100[%]. 80[%], 60[%]라 한다.

 

(1) 합성 최대 전력[kW[을 구하시오.

      동 시간대의 A, B, C 수용가 전력들의 합이 최대가 되는 전력
      (9+7+4)x10³= 20x10³[kW]

(2) 종합 부하율[%]을 구하시오.

(3) 부등률을 구하시오.

(4) 최대 부하시의 종합 역률[%]을 구하시오.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6-2


더보기

> 어느 변전소에서 그림과 같은 일부하 곡선을 가진 3개의 부하 A, B, C의 수용가에 있을 때, 다음 각 물음에 대하여 답하시오. (단, 부하 A, B, C의 역률은 각각 100 [%], 80 [%], 60 [%] 라 한다.)

(1) 종합 최대수용전력
      

(2) 최대부하

(3) 평균 수용전력

(4) 종합 부하율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6-1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5-3 수용률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4-3 부하율, 역률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3-2 (2003-3) 부등률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3-1 (2002-1)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1-2 부등률, 수용률


더보기

부하율에 대하여 설명하고 부하율이 적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2가지를 쓰시오

 

(1) 부하율 : 어떤 기간 중의 평균 수용 전력과 합성 최대 수용 전력과의 비를 나타낸다.

(2) 부하율이 적다는 의미

    ① 공급 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② 평균 수용 전력과 최대 수요 전력과의 차가 커지게 되므로 부하 설비의 가동률이 자하된다.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1-1 (2003-1)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0-2 수용률, 일부하율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9-2, 2009-1 부등률, 고압간선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7-3 일부하율, 종합부하율, 변압기용량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5-3 합성 최대전력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5-1 (2002-3)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4-3 부등률, 수용률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3-3 부등률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3-1 부하율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2-3 일부하율, 부등률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2-1 수용률, 일부하율, 부등률

 1) 광속 : F [lm]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의 양, 눈으로 보이는 빛으로 느끼는 양

    구광원 : F= 4πI
    원주광원 (형광등) : F=π²I
    평판광원: F=πI

2) 광도: I[cd]

     광원에서 어떤 방향에 대한 단위 입체각당 발산되는 광속

3) 광속발산도: R[rlx]

     광원의 단위 면적으로 부터 발산하는 광속. R=$\frac{광속}{면적}$, 광원 혹은 물체의 밝기를 나타낸다.

4) 조도 : E[lx]

     어떤 면의 단위 면적당입사 광속. E=$\frac{광속}{면적}$,  피조면의 밝기를 나타낸다. 

5) 휘도 : B[sb]

     광원의 임의의 방향에서 본 단위 투영 면적당의 광도. 광원의 빛나는 정도

6) 조명률, 광속이용률

    조명률이란 사용 광원의 전 광속과 작업면에 입사하는 광속의 비를 말한다.

    $U = \frac{F}{F_o} \times 100$ [%]

       F : 작업면에 입사하는 광속[lm]

       $F_o$ : 광원의 총 광속[lm]

 7) 감광보상률

    조명설계를 할 때 점등 중에 광속의 감소를 미리 예상하고 소요 광속의 여유를 두는 정도. 항상 1보다 큰 값이다.  감광보상률의 역수를 유지율 혹은 보수율이라고 한다.

5) 방사속

6) 조명효율 = $\frac{광속}{소비전력}$

7) 발광효율 = $\frac{광속}{방사속}$

8) 광원의 효율

램프 효율[lm/W]
나트륨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형광 램프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백열 전구  

9) HID 종류
   고압 수은등
   고압 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 등
   초고압 수은등
   고압 크세논 방전등


법선 조도 $E_n=\frac{I}{r^2}$

수평면 조도 rcosθ=h 일 때 $E_h = E_ncosθ = \frac{I}{r^2}cosθ = \frac{I}{h^2}cos^3θ$ 

수직면 조도


조명 설계

1) 옥내 조명 설계

    (1) 조명 기구의 배치 결정

        ①광원의 높이

        ②등기구의 간격
           등기구 ~ 등기구 : S≤1.5H≤$\frac{3}{2}H$ (직접, 전반조명의 경우)
           등기구 ~ 벽면 : S≤0.5H≤$\frac{1}{2}H$ (벽면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등기구 ~ 벽면 : S≤$\frac{1}{3}H$ (벽면 사용)
           

    (2) 실지수(Room Index)의 결정

          Room Index= $\frac{XY}{H(X+Y)}$

    (3) 광속의 결정

       암기법 FUN = ESD 또는 면감 = 속명수

       F: 광, U: 조률, N: 등, E:조, S:적, D=$\frac{1}{M}$ : 광보상률= $\frac{1}{보수율(유지율)}$

2) 도로 조명 설계
  ①성능상 고려 사항
     - 운전자의 보는 노면의 휘도가 충분히 높고, 조도 균제도가 일정할 것
     - 보행자의 보는 노면의 휘도가 충분히 높고, 조도 균제도가 일정할 것
     - 조명기구의 눈부심이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할 것
     - 조명시설이 도로나 그 주변의 경관을 해치지 말 것
     - 광원색이 환경에 적합한 것이며, 그 연색성이 양호할 것

     #색온도가 낮으면 조명의 연색성이 낮다

3) 조명 설비에서 에너지 절약 방안
    고효율 등기구 채용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슬림라인 형광등 및 전구식 형광등 채용
     창측 조명기구 개별점등
     재실감지기 및 카드키 채용

#백열등, 형광등

#건축화 조명 방식
(1) 천정면을 이용한 조명방식 : 매입형광등, 라인라이트, 다운라이트, 핀홀라이트, 코퍼라이트, 광천장조명, 루버천장조명
(2) 벽면을 이용한 조명 방식 : 코너조명, 코니스조명, 밸런스조명, 광창조명


   산업기사 전기기사
조도   수평면 조도 2021-3 2019-1  2017-1 1998
2020-3 가로등
2014-1 도로
배광곡선 2013-3 2007-3 
광속   2020-2 
가로등 2014-3 
천장등 반구형 2012-3 
광도   구광원 2019-1 (1998)  
점광원 2017-3 
1990-6
광속발산도   2021-1  
구형 2019-3 
소비전력   2016-1
2012-1 2011-2 
도로조명 광속   대칭배열
2019-2 2014-1 
지그재그 가로등
2014-3 2009-3 
2000- 편측
1994-2 편측
실내 등 수량   2021-3, 2017-2, 2016-2, 2015-1, 2013-2, 2013-1, 2012-3, 2012-2, 2012-1
실내 실지수   유형 2021-3,
유형 2017-2, 2016-1, 2015-1, 2012-2
기타   2020-4.5 광원의 발광 원리
2020-1 코오니스 조명
2018-2 조명기구 분류
2017-1 조명효율, 발광효율
2016-1 조명률
2014-2 2012-3 심벌
2011-3 눈부심
전력 절약 2010-3 2008-1  
조명 설계 고려 사항 2009-3 2005-1 2003-3 
적외선전구 2007-3 1993-1 
HID 2006-1 
등기구의 간격   유형 2022-3, 2021-3, 2019-2, 2013-2, 2005-3, 1996-2
유형 2005-2,

 

더보기

그림과 같이 폭 30[m]인 도로의 양쪽에 지그재그식으로 300[W]의 고압 수은등을 배치하여 도로의 평균 조도를 5[lx]로 하려고 한다. 각 등의 간격 l[m]을 계산하여 구하여라. 단, 조명률은 0.32, 감광보상률은 1.3, 수은등의 광속은 5500[lm]이다.

 

계산 :

       면적 = $\frac{5500 \times  0.32 \times 1 } {5 \times 1.3}$ = 270.77 = $\frac{30 \times l}{2}$

        $l$ = 18.05[m]

정답 : 18.05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5-3


더보기

폭 20[m], 길이 30[m], 천장 높이 4.85[m]인 실내의 작업면 평균 조도를 300[lx]로 하려고 한다.

다음 각 질문에 답하여라. 단, 조명률은 50[%], 유지율은 70[%],32[W] 형광등의 전광속은 2890[lm]이며 작업면 높이는 0.85[m]이다.

(1) 실지수를 구하여라

(2) 32[W] 2등용 등기구 수량을 구하여라.

 

(1) 계산 : $\frac{XY}{H(X+Y)}$ = $\frac{20 \times 30}{(4.85-0.85) \times (20+30)} $ =3

(2) 계산 : 등수 = $\frac{300 \times  (20 \times 30) \times \frac{1}{0.7}}{(2890 \times 2) \times 0.5}$

    정답 : 89[등]


(1) 어느 광원의 광색이 어느 온도의 흑체의 광색과 같을 때 그 흑체의 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2) 빛의 분광 특성이 색의 보임에 미치는 효과를 말하며, 동일한 색을 가진 것이라도 조명하는 빛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특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정답 : (1) 색온도 (2) 연색성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5-1


주택관리사보 2023

> 바닥100 ㎡, 천장고 2.7 m인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의 평균조480 럭스(lx)로 설계하고자 한다. 이 때 조률을 0.5에서 0.6으로 개선할 경우 줄일 수 있는 조명기구의 개수는? (, 조명기구의 개당 광4,000 루멘(lm), 보수율은 0.8로 한다.)

정답: 5개
해설 : 도면감 = 속명수, 수= 도면감/(속명)
           1) 광보상율 = 1/보수율 = 1/0.8
           2) 도면감 = 480x100x1/0.8 = 60000
           3) 조명률 0.5에서 개수 = 4000x0.5/60000 = 30
            4) 조명률 0.6에서 개수 = 4000x0.6/60000 = 25
           5) 30 - 25 =5

 

#전부하(부하율=1) 시 효율 = $\frac{출력}{출력+손실}\times 100$[%] = $\frac{1\times 변압기 용량[kVA]\times cosθ}{1\times변압기 용량[kVA]\times cosθ+철손+1^2\times동손}\times100$[%]

#m부하(0<부하율<1) 시 효율 = $\frac{(부하율)^2\times 변압기 용량[kVA] \times cosθ}{(부하율)^2 \times 변압기 용량[kVA]\times cosθ+철손+(부하율)^2\times동손}\times100$[%]

#최대 효율 조건

      1) 전부하(부하율=1) 시 :철손=1x동손

      2) m부하(0<부하율<1) 시 : 철손 = $(부하율)^2\times동손$

#전손실 : 철손과 동손의 합


전기기사  
필기 실기    
2018-3
2018-2
2018-1

2021-1, 2014-1
2017-3, 2002-2
2022-2, 2013-3
2016-2
2015-1
2008-3
2008-1
   

> 변압기 1대의 용량이 100[kVA], 철손 120[W], 동손 200[W]일 때 변압기 2대를 이용하여 V결선한 경우 전부하시 효율은 얼마인지 계산하시오, 단 역률은 $\frac{\sqrt 3}{2}$

풀이, 정답 : 

전기기사 실기 2021-1 (2014-1)

일반적인 변압기의 손실 중에서 온도상승에 관계가 가장적은 요소는? 

① 철손  동손  와류손     ❹ 유전체손

 

출처: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8년 3회


부하전류가 2배로 증가하면 변압기의 2차측 동손은 어떻게 되는가? 

 

정답 : 4배로 증가한다.
풀이 :
         손실 공식 $I^2R$ 

출처: 전기기사 필기 전기기기 2018년 2회


150kVA의 변압기의 철손이 1kW, 전부하동손이 2.5kW이다. 역률 80%에 있어서의 최대효율은 약 몇 %인가?

 

더보기

정답 : 97.4

풀이 :

       최대 효율 조건 $m^2P_c=P_i$

       $m^2 \times 2.5 = 1$

      부하율 = $m=\sqrt{\frac{1}{2.5}}$ = 0.632
       변압기 최대효율 = $\frac{mVIcosθ}{mVIcosθ+P_i+m^2P_c} \times 100$
                   = $\frac{0.632 \times 150 \times 0.8}{0.632 \times 150 \times 0.8+ 1 +1} \times 100$

                   = 97.4

출처: 전기기사 필기 전기기기 2018년 1회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7-3, (2002-2)


더보기

변압기 손실과 효율에 대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변압기의 손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무부하손: 

     -부하손: 

(2) 변압기 효율을 구하는 공식을 쓰시오

(3) 최고 효율 조건을 쓰시오.

 

[답안]

(1) -무부하손: 부하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손실로 주로 철손이며 히스테리시스손과 와류손이 있다.

     -부하손: 부하를 인가하였을 때 생기는 손실로 대부분은 동손이다.

(2) $\frac{ 출력}{출력+ 철손 + 동손}$

(3) 철손 = 동손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6-2회


더보기

철손이 1.2[kW], 전부하 시의 동손이 2.4[kW]인 변압기가

하루 중 7시간 무부하 운전, 11시간 1/2운전, 그리고 나머지 전부하 운전할 때

하루의 총 손실은 얼마인지 계산하여라.

 

계산: 

     1) 철손량 $P_i = 1.2 \times 24 = 28.8[kWh]$

     2) 동손량 $P_c = (0\times7)+(\frac{1}{2})^2 \times 11  + 1^2 \times 2.4 \times (24-18) $=21[kWh]

     3) 총손실 = 28.8+21 = 49.8[kWh]

답: 49.8[kWh]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5-1회


더보기

변압기 1대의 용량이 100[kVA], 철손 120[W], 동손 200[W]일 때

변압기 2대를 이용하여 V결선한 경우

전부하시 효율은 얼마인지 계산하시오.

 

계산:

    η = $\frac{P}{P+(P_i+P_c)} \times 100$ 

 

       = $\frac{\sqrt{3} \times 100 \times \frac{\sqrt{3}}{2} \times 10^3}{(\sqrt{3} \times 100 \times \frac{\sqrt{3}}{2} \times 10^3) + (2 \times 120+2 \times 200)} \times 100$

 

       =99.58[%]

답 : 99.58[%]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4-1회


더보기

전압 3300[V], 전류 43.5[A], 저항 0.66[Ω], 무부하손 1000[W]인 변압기에서 다음 조건 일 때의 효율을 계산하시오.

(1) 전 부하 시 역률 100[%]와 80[%]인 경우

      1) 전 부하 시 역률 100[%] 

            효율 = $\frac{1\times3300\times43.5\times1}{1\times3300\times43.5\times1+1000+1^2\times43.5^2\times0.66}\times100$=98.46[%]

      2) 전 부하 시 역률 80[%]

                        효율 = $\frac{1\times3300\times43.5\times0.8}{1\times3300\times43.5\times0.8+1000+1^2\times43.5^2\times0.66}\times100$=98.08[%]

(2) 반 부하 시 역률 100[%]와 80[%]인 경우

       1) 반 부하 시 역률 100[%] 

            효율 = $\frac{0.5\times3300\times43.5\times1}{0.5\times3300\times43.5\times1+1000+1^2\times43.5^2\times0.66}\times100$=98.2[%]

      2) 반 부하 시 역률 80[%]

                        효율 = $\frac{0.5\times3300\times43.5\times0.8}{0.5\times3300\times43.5\times0.8+1000+1^2\times43.5^2\times0.66}\times100$=97.77[%]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3-3회


50,000[kVA]의 변압기가 있다. 이 변압기의 손실은 80[%] 부하율 일 때 53.4[kW]이고, 60[%] 부하율일 때 36.6[kW]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이 변압기의 40[%] 부하율 일 때의 손실을 구하시오.

⦁계산 : ⦁답 :

(2) 최고효율은 몇 [%]부하율 일 때인가 ?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8-3


20[kVA] 단상변압기가 있다. 역률이 1일 때 전부하 효율은 97[%]이고, 75[%] 부하에서 최고효율이 되었다. 전 부하시에 철손은 몇 [W]인가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8-1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6-1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3-3 (2002-3),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3-2 무부하 시험, 철손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2-3 절연 내력 시험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2-2 손실,효율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1-3 단락 시험, 무부하 시험

 

 

#단락비가 크다 -> 기계의 치수가 크다 ->  가격이 비싸다 -> 손실이 크다 -> 안정도가 높다 -> 전압변동률이 적다


>동기발전기의 돌발 단락 시 발생되는 현상으로 틀린것은?

1) 큰 과도전류가 흘러 권선 소손

2) 단락전류는 전기자 저항으로 제한

3) 코일 상호간 큰 전자력에 의한 코일 파손

4) 큰 단락전류 후 점차 감소하여 지속 단락전류 유지

정답 :  2) 단락전류는 누설 리액턴스로 제한

 

>동기발전기의 3상 단락곡선에서 단락전류가 계자전류에 비례하여 거의 직선이 되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정답 : 전기자 반작용으로

전기기사 필기 전기기기 2019-3


동기발전기의 단락비가 적을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정답 : 동기 임피던스가 크고 전기자 반작용이 크다.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시험 2019-1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가 1.2이면 이 발전기의 동기임피던스는 [p u] ?

정답 : 0.83

풀이 : $\frac{1}{1.2}$ = 0.83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시험 2017-3회


정격출력 5000kVA, 3.3kV 정격전압 동기 임피던스가 매상 1.8Ω인 3상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는 약 얼마인가?

정답: 1.2

풀이:

       단락전류

                 $I_s = \frac{E}{Z_s} = \frac{3300}{\sqrt{3} \times 1.8} = 1058.48[A]$

       정격전류

                 $I_n = \frac{P}{\sqrt{3}V} = \frac{5000 \times 10^3}{\sqrt{3} \times 3300} = 874.77[A]$

       단락비 = 단락전류/정격전류 = 1.2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시험 2017-2회


단락비가 동기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정답 : 선로 충전용량이 크다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시험 2017-1회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시험은?

정답 ; 무부하 포화 시험과 상 단락 시험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시험 2016-2회


교류 발전기에 대한 다음 각 질문에 답하여라.

(1) 정격전압 6,000[V], 정격출력 5,000[V]인 3상 교류 발전에서 계자전류가 300[A], 그 무부하 단자전압 6,000[V]이고, 이 계자전류에 있어서의 3상 단락전류가 700[A]라고 한다. 이 발전기의 단락비를 구하여라

 

(2) 단락비가 교류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기계의 치수가 ( ), 가격이 (②  ), 풍손, 마찰손, 철손이 ( ), 효율은 ( ), 전압변동률은 ( ), 안정도는 ( ), 

다음 ① ~ ⑥에 알맞은 ( )안의 내용을 크다(고), 적다(고), 높다(고), 낮다(고) 등으로 답란에 써 넣어라

 

(1) 계산 ; $I_n$ = $\frac{P}{\sqrt{3}V}$ = $\frac{5000 \times 10^3}{\sqrt{3} \times 6000}$=481.13[A]
                단락비 = $\frac{700}{481.13}$=1.45

(2)

크고 높고 크고 낮고 적고 높다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5-1회

차단기의 종류

1. 기능 용도 분류
   1.1 과(부하)전류 차단기 : 퓨즈, 재사용 불가능, 사고전류 차단
   1.2 배선용 차단기 : 재사용 가능, 사고전류차단, 부하전류 개폐, 심벌SYMBOL
   1.3 누전 차단기 : 심벌SYMBOL
2. 소호 원리 분류
     2.1 유입 차단기 (OCB, Oil Circuit Breaker)
     2.2 기중 차단기 (ACB, Air Circuit Breaker)
     2.3 진공 차단기 (VCB, Vacuum Circuit Breaker)
     2.4 가스 차단기 (GCB, Gas Circuit Breaker)


필기 실기
2018-2
2018-1
2019-1 VCB
2018-3 차단용량
2014-1 기준용량, 차단기 용량
2011-3 순서
2010-1 전력 공급 순서
2005-3 
2005-2차단기의 트립 방식
2003-1
2002-1
2000-1 과전류차단기제한
1992-2 정격단시간전류

 

차단기의 정격 차단시간은?

 

정답 : 트립코일 여자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부하전류의 차단능력이 없는 것은?

① DS ② NFB ③OCB ④VCB

 

정답 : ① 

풀이 : DS 단로기

출처: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8-2


$SF_6$  가스차단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SF_6$ 가스 자체는 불활성 기체이다 

② $SF_6$ 가스는 공기에 비하여 소호능력이 약 100배 정도이다.      ,

③ 절연거리를 적게 할 수 있어 차단기 전체를 소형, 경량 화 할 수 있다.     

❹ $SF_6$ 가스를 이용한 것으로서 독성이 있으므로 취급에 유 의하여야 한다.

 

풀이: $SF_6$는 무독성이다.

 

배전계통에서 사용하는 고압용 차단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❶ 기중차단기 ACB 공기차단기 ABB      ③ 진공차단기VCB  유입차단기 OCB

출처: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8-1


3상용 차단기의 용량은 그 차단기의 정격전압과 정격차단 전류와의 곱을 몇 배한 것인가?

 

정답 : $\sqrt{3}$

출처: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4-2


수전전압 6600[V], 전선로의 %임피던스가 60.5[%]일 때 수전점의 3상 단락전류가 7000[A]인 경우 기준용량과 차단기 용량을 선정하시오.

차단기의 정격용량[MVA]

10, 20, 30, 50, 75, 100, 150, 250, 300, 400, 500

더보기

정답 : 100[MVA]를 선정한다.

계산과정

기준용량 $P_n = \sqrt3 \times V_n \times I_n = \sqrt3 \times (\frac{60.5}{100} \times 7000) = 48.41$ 

             $7000= \frac{100}{60.5}I_n$

차단기 용량 $P_s = \sqrt3 \times V_n \times I_s = \sqrt3 \times 7200 \times 7000 =87.3$

 

전기기사 실기 2014-1


공급전압을 6600[V]로 수전하고자 한다. 수전점에서 계산한 3상 단락용량은 70[MVA]이다. 

이 수용 장소에 시설하는 수전용 차단기의 정격차단전류 $I_s$[kA]로 계산하지오

더보기

정답: 6.12[kA]
계산과정 : 

          단락용량 = $\sqrt3 \times 공칭전압 \times 단락전류$

         정격차단전류(단락전류) $I_s$ = $\frac{P_s}{\sqrt3 V_n}$ =$\frac{70 \times 10^6}{\sqrt3 \times 6600} \times 10^{-3}$ = 6.12[kA]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년


차단기 동작 책무

출처: 실기 2009-2

차단기의 정격 단시간 전류

출처: 실기 1992-2

1.수용률 ≒ 수요율

2.부등률

3.부하율


어느 수용가의 부하설비는 전등설비가 500[W], 전열설비가 600W, 전동기 설비가 400[W],기타설비가 100[W] 이다.
이 수용가의 최대수용전력1200[W]이면 수용률은 몇 %인가   ?

 

더보기

정답 : 75 [%]

풀이 : $\frac{1200}{500+600+400+100}$ = $\frac{1200}{1600}$ = 75%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19-3회


연간 전력량이 E[kWh]이고 연간 최대전력이 W[kW]인 부하율은 몇 [%]인가  ?

 

더보기

정답 : $\frac{E}{8760W} \times 100$

풀이 : $연부하율 = \frac{연간 전력량/(365 \times 24)}{연간최대전력} \times 100$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16-1회


각 수용가의 수용률 및 수용가 사이의 부등률이 변화할 때 수용가군 총합의 부하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더보기

정답 : 부등률에 비례하고 수용률에 반비례한다.

풀이 : $부하율 = \frac{평균 전력}{최대전력의 합계/부등률}$

                    $= \frac{평균 전력}{합성최대전력}$

                    $= \frac{평균 전력 \times 부등률}{설비용량의 합계 \times 수용률}$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15-3회


200세대 아파트의 전등, 전열설비 부하가 600[kW], 동력설비 부하가 350[kW]이다.
이 아파트의 변압기 용량을 500[kVA], 1뱅크로 선정하였다면 전부하에 대한 수용률을 계산하여 구하여라.
단, 전등, 전열설비 부하의 역률은 1.0, 동력설비 부하의 역률은 0.7이고, 효율은 무시한다.

더보기

[정답] : 49.27[%]

[풀이]

① 전등, 전열

    유효전력 P1= 600[kW]
    무효전력 Pr1= 0[kVar]

② 동력

     유효전력 P2= 600[kW]
     무효전력 Pr2= $350 \times \frac{\sqrt{1-0.7^2}}{0.7}$ =357.07[kVar]

③ 합성 역률 = $\frac{600+350}{\sqrt{(600+350)^2+(0+357.07)^2}} \times 100 $= 93.61[%]

④ 수용률 = $\frac{500 \times 0.9361}{950} \times 100 $= 49.27[%]

      지식 : 피상전력[VA] = 유효전력x역률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5-3


전력설비의 수용률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더보기

정답 : $수용률 = \frac{최대수용전력[kW]}{부하설비용량[kW]} \times 100$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14-2회


배전계통에서 부등률이란?

더보기

정답 : $\frac{각 수용가의 최대수용전력의 합}{합성 최대수용전력}$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14-1회

Still식 : 경제적인 송전전압의 결정
              공식 :  $5.5\sqrt{0.6l+\frac{P}{100}}$
                           l : 거리, P :전력용량   


30000kW의 전력을 51km 떨어진 지점에 송전하는데 필요한 전압은 약 몇 kV인가? (단, Still의 식에 의하여 산정한다.)

 

더보기

정답 : 100

풀이 :

         $5.5\sqrt{0.6l+\frac{P}{100}}$

        = $5.5\sqrt{0.6 \times 51 +\frac{30000}{100}}$ ≒ 100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20-1.2


초고압 송전전압이 345[kV], 선로거리가 200[km]인 경우 1회선 당 가능 송전전력[kW]을 still식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더보기

계산 : $345 = 5.5\sqrt {0.6 \times 200 + \frac{P}{100}}$

답 : P = 381471.07 [kW]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6-1

1) 1선당 무부하 충전전류

   $I_c = 2πfCE = 2πfC\frac{V}{\sqrt{3}}[A]$ 
      E: 대지전압, V: 선간전압

2) 3선 무부하 충전용량

  $Q_c = 3EI_c = 3wCE =3wC\frac{V}{\sqrt3} = \sqrt3{V}{I_c}\times10^{-3} = 2πfCV^2$ [kVA]
    E: 대지전압 V: 선간전압

#지락전류 vs 충전전류


       
  필기 실기  
충전전류 2022-1
2021-2
2019-2
2018-2
2018-1
2016-2
2015-2  

더보기

전압 22900[V], 주파수 60[Hz], 선로 길이 7[km] 1회선의 3상 지중 송전선로가 있다.

이의 3상 무부하 충전전류 및 충전용량을 구하여라. 단, 케이블의 1선당 작용 정전용량은 0.4[μF/km]라고 한다.

 

[계산]

 

충전전류 $I_c = \frac {E}{X_c} = \frac {E}{\frac{1}{ωC} }= ωCE = 2π \times\ f \times C \times \frac{V}{\sqrt{3}}$

                   = $2π \times 60 \times (0.4 \times 10^{-6}) \times 7 \times \frac {22900}{\sqrt{3}}$ = 13.96[A]

[답] 13.96[A]

 

[계산]

 

충전용량 $Q_c = 3EI_c = 3 \times \frac{22900}{\sqrt{3}} \times 13.96 \times 10^{-3} $ = 553.71[kVA]

 

[답] 553.71[kVA]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21-2, 2019-2


33kV 이하의 단거리 송배전선로에 적용되는 비접지 방식에 서 지락전류는 다음 중 어느 것을 말하는가?

정답 : 충전전류

출처: 전기기사 필기 2019-2


한류 리액터를 사용하는 목적은?

정답 : 충전전류 제한

전기기사 필기 2018-1


더보기

정전용량 0.01[μF/km], 길이 173.2 [km], 선간전압 60[kV], 주파수60[Hz] 인 3상 송전선로의 충전전류는 약 몇 [A[인가 ?

 

정답 : 22.6[A]

풀이 :

충전전류 $I_c = \frac {E}{X_c} = \frac {E}{\frac{1}{ωC} }= ωCE = 2π \times\ f \times C \times l \times \frac{V}{\sqrt{3}}$

                   = $2π \times 60 \times (0.01 \times 10^{-6}) \times 173.2 \times \frac {60000}{\sqrt{3}}$ = 22.6[A]

출처: 전기기사 필기 2018-2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7-3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7-2


더보기

송전전압 154[kV], 2회선 선로가 있다. 선로 길이가 240[km]이고 선로의 작용 정전용량이 0.02[μF/km]라고 한다.

이것을 자기 여자를 일으키지 않고 충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몇 [MVA] 이상의 발전기를 이용하여야 하는가?

(단, 주파수는 60[Hz]이다.

 

정답 : 86

풀이 :

        충전전류 $I_c = 2π\times60\times0.02\times10^{-6}\times240\times\frac{154000}{\sqrt{3}}$=160.89[A]

        2회선 선로의 충전용량 

                 Q = $2\times2π\times60\times0.02\times10^{-6}\times240\times154000^2$

        자기여자를 일으키지 않고 충전하기 위해서는 발전기 용량이 선로의 충전용량보다 커야한다.

출처: 전기기사 필기 전력공학 2016-2


전기기사 실기 2015-2 충전용량

필기 전력공학 2015-2


> 역률 개선용 콘덴서를 부하와 병렬로 연결하고자 한다. Δ 결 선 방식과 Y결선 방식을 비교하면 콘덴서의 정전용량 Y [μ F] 의 크기는 어떠한가?

더보기

    정답: Δ결선방식이 Y결선방식의 ⅓이다.

    풀이: Q = 3EI = 3E2πfCE = 3x2πfCE² (E:상전압)
             Q=3x2πf$C_Δ$V²     (V:선간전압 상전압=선간전압)
            Q=3x2πf$C_Y(\frac{V}{\sqrt3})^2$ (V:선간전압 상전압=$\frac{선간전압}{\sqrt3}$)

필기 전력공학 2015-1


전기기사 실기 2013-2 충전전류

필기 전력공학 2012-2

필기 전력공학 2010-3

실기 2010-2 콘덴서 용량

실기 2009-3 지락전류

전기기사 실기 2008-2 소호리액터 공진탭의 용량

전기기사 실기 2002-3

#비정현파 교류 = 직류분+기본파 + 고조파 (암기 : 직키고) 

#실효값 

      I = $\sqrt{I^2_0+(\frac{I_{m1}}{\sqrt2})^2+...}$

#왜형파(비정현파) = 기본파(정현파) + 고조파(Harmonics)

왜형률 : 비정현파에서 기본파에 대해 고조파 성분이 어느 정도 포함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값

         D = $\frac{전 고조파의 실효값}{기본파의 실효값}$ =$\frac{전고실}{기실}$ = $ \frac{\sqrt{I_2^2+I_3^2}}{I_1}$

왜형파 실효값 계산 공식

          I = $\sqrt{I_0^2+(\frac{I_{m1}}{\sqrt2})^2+(\frac{I_{m2}}{\sqrt2})^2+...}$

고조파 발생원인
      1)정지형 전력변환장치
      2)변압기, 전동기
      3)용접기, 아크로
      4)전력전자응용기기
고조파 영향
      1)통신선의 유도장해
      2)보호계전기의 오.부동작 
      3)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4)3상 4선식 회로의 중선선 과열
고조파 경감 대책
      1)전력변환기의 다펄스화
      2)리액터 설치
      3)능동필터에 의한 억제
      4)수동필터에 의한 억제
      5)역률 개선 커패시터에 의한 억제

플리커 현상 경감 대책
    1) 전원측
        -전용 계통에서 공급한다.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전용 변압기로 공급한다.
        -공급 전압을 승압한다.
    2)수용가측
       -전원계통에 리액터분을 보상
       -전압강하를 보상
       -부하의 무효 전력 변동분을 흡수하는 방법
       -플리커 부하 전류의 변동분을 억제하는 방법

필기 실효값 전류 2019-1
전압 2016-2
전력 2019-1, 2018-2
전력 2014-3 
왜형파 2015-1
왜형률 2019-3, 2014-2,
실기 왜형파 2021-2 실효값
2021-1 (2017-1)
2017-1 왜형률
2015-2
고조파 2021-3
2014-2
2008-1 (2007-1)
2007-3
2006-2 고조파 영향
플리커 2016-2
2014-2
2005-3 줄이는 방법
1991-6

 


더보기

선간전압 200[V] 역률과 효율이 각각 100%이고, 용량 200[kVA]를 6펄스 3상 UPS로 공급중일 때, 기본파 전류와 제5고조파 전류를 계산하시오. 단, 제5고조파 저감계수 K=0.5이다.

(1) 기본파 전류 $I_1=\frac{200\times10^3}{\sqrt{3}\times200}$=577.35A
(2) 제5고조파 전류 $0.5\times\frac{1}{5}\times577.35$=57.735

실기 2021-3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21-1 (2017-1)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7-2 (2008-1, 2007-3, 2007-1, 2002-1, 2001-2)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7-1 왜형률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6-2 플리커 대책


더보기

배전선의 기본파 전압 실효값이 V[V], 고조파 전압의 실효값이 V, $V_5$, Vn[V]이다. THD(Total Harmonics Distortion)의 정의와 계산식을 적어라.

(1) 정의 : 기본파에서 기본파에 대해 고조파 성분이 어느 정도 포함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값

(2) 계산식 :V = $\sqrt{V_0^2+(\frac{V_{m1}}{\sqrt2})^2+(\frac{V_{m2}}{\sqrt2})^2}\times100$[%]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5-2


더보기

> 선로나 간선에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생 기기가 있을 경우

그 대책을 적절히 세워야 한다. 이 고조파 억제대책을 5가지만 서술하시오.

① 전력변환 장치의 펄스 수를 크게한다.
②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③ 전력용 콘데서에는 직렬 리액터를 설치한다.
④ 고조파를 발생하는 기기들을 따로 모아 결선해서 별도의 상위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고 여타 기기들로부터 분리시킨다
⑤ 변압기 결선에서 델타결선을 채용하여 고조파 순화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한다.

> TV나 형광등과 같은 전기제품에서의 깜빡거림 현상을 플리커 현상이라 하는데 이 플리커 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전원측과 수용가 측에서의 대책을 각각 3가지씩 서술하시오

(1) 전원측
      ① 전용계통으로 공급한다.
      ② 공급 전압을 승압한다.
      ③ 단락 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2) 수용가 측
      ① 직렬 콘덴서 설치
      ② 부스터 설치
      ③ 직렬 리액터 설치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4-2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1-2 플리커 현상


더보기

고조파 전류는 SCR 등 전력제어소자 등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조파 전류가 회로에 흐를 때 발생하는 장해요인과 그 대책을 각각 3가지씩 쓰시오. 

 

(1) 장해요인 (2) 대책 

[답안작성] 

 

(1) 장해요인 

① 변압기, 전동기 등의 여자 전류 

② Converter, Inverter, Chopper 등의 전력 변환 장치 

③ 전기로, 아크로 등 

(2) 대책 

① 전력 변환 장치의 pulse 수를 크게 한다. 

②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③ 변압기 결선에서 △결선을 채용하여 고조파 순환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8-1, 2007-3, 2007-1, 2002-1, 2001-2


더보기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를 4가지만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① 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② 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③ 통신선의 유도장해

④ 보호계전기의 오⦁부동작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7-3


더보기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애를 4가지만 설명하시오.

 ① 통신선의 유도장해

 ② 보호계전기의 오 부동작

 ③ 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④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출처 : 실기 2006-2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5-3 깜박임 줄이는 방법

#1권선 변압기 : 단권 변압기

   (1) 장점

        ① %임피던스 강하가 작고 전압변동률이 작다
        ② 전압비가 클수록 동손이 감소되어 효율이 좋다.
        ③ 부하량이 자기용량보다 크므로 경제적이다.

   (2) 단점

        ① 누설리액턴스가 작아 단락전류가 크다
        ②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절연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저압측도 고압측과 같이 절연 필요
  

Y결선 자기용량=부하용량x$\frac{V_h-V_l}{V_h}$  
V결선 자기용량=부하용량x$\frac{2}{\sqrt 3}$x$\frac{V_h-V_l}{V_h}$  
Δ결선 자기용량=부하용량x$\frac{V^2_h-V^2_l}{\sqrt 3V_h}$  

#2권선 변압기 

#3권선 변압기: 강압용

#몰드변압기


  필기 실기
장단점 2017-1 2016-1
1999-4 
1996-1 
Y결선 2020-1.2 필기
2019-3 전기기기 필기
2016-3 전기기기 필기
2013-3 전기기기 필기
2012-1
2008-3
V결선 2016-2 2021-2 (2014-1)
2019-3
Δ결선   2012-3 
변연장Δ결선   2016-1 
기타 2015-1 필기 전기기기 감극성 단권변압기
3권선 변압기 2014-1

2008-2 3권선변압

더보기

용량 1kVA, 3000/200 V의 단상변압기를 단권변압기로 결선해서 3000/3200V의 승압기로 사용할 때

그 부하용량(kVA)은?

풀이 : $1\times\frac{3200}{3200-3000}$ = 16[kVA]

정답 : 16[kVA]

 

단권변압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분로권선과 직렬권선으로 구분된다.

②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일부가 공통으로 사용된다.

③ 3상에는 사용할 수 없고 단상으로만 사용한다.

④ 분로권선에서 누설자속이 없기 때문에 전압변동률이 작다.

 

정답 : ③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20-1.2 Y결선

 


 

더보기

1 전압 $V_1$, 2차 전압 $V_2$인 단권변압기를 Y결선했을 때,

등가용량과 부하용량의 비는? (단  $V_1>V_2$이다.)

 

정답 : $\frac{V_1-V_2}{V_1}$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19-3


더보기

유도전동기의 기동 시 공급하는 전압을 단권변압기에 의해서 일시 강하시켜서 기동전류를 제한하는 기동방법은? 

 

정답 : 기동 보상기에 의한 기동

출처 :  전기기사 필기 시험 2019-1


 

더보기

초고압 송전계통에 단권변압기가 사용되는데 그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효율이 높다         

② 단락전류가 적다

전압변동률이 적다     

④ 자로가 단축되어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정답 : ②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17-1


더보기

3000V 의 단상 배전선 전압을 3300V로 승압하는 단권 변압기의 자기 용량은 약 몇 kVA인가?

(단 여기서 부하 용량은 100kVA 이다.)

 

정답 : 9.1 [kVA]

풀이 : $\frac {3300-3000}{3300}100$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16-3 Y결선


더보기

단권변압기 2대를 V결선하여 선로전압 3000V를 3300V로 승압하여 300kVA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려고 한다

단권변압기 1대의 자기 용량은 몇 kVA인가 ?

 

정답 : 15.72

풀이 : 자기용량 = $ \frac{2}{\sqrt{3}}(\frac{3300-3000}{3300})$=31.49[kVA]

        ∴ 1대의 용량 31.49/2 = 15.75[kVA]

출처 : 전기기사 필기 2016-2


더보기

단권변압기는 1차, 2차 양 회로에 공통된 권선부분을 가진 변압기이다. 이러한 단권변압기의 장점, 단점, 사용 용도를 쓰시오.

 

정답

장점 :

         1) 동손이 감소되어 효율이 좋다.

         2) 동량 감소로 경제적이다.

 

단점 : 

         1) 단락전류가 크다.

         2) 1차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절연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저압측도 고압측도 절연이 필요

사용용도 :

         1) 동기전동기와 유도전동기의 기동보상기용 변압기

         2) 배전선로의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

         3) 슬라이닥스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16-1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4-1 V결선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3 △결선


더보기

단자 전압이 3000[V] 선로이고 전압비가 3300/220[V]인 승압기를 접속하여 60[kW] 역률 0.85의 부하 공급할 때 몇[kVA]의 승압기를 사용해야 하는가?

 

계산 :

       $3000(1+\frac{220}{3300})$ = 3200[v]

       $\frac{60}{0.85}\times\frac{3200-3000}{3200}$ = 4.411[kVA]

 

정답 : 5[kVA] 승압기 선정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2-1 (2008-3)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8-3

1. 역률

    (합성)역률 = $\frac{유효전력}{피상전력}$ = $\frac{VIcosθ}{VI or \sqrt3VI}$ = $\frac{유효전력}{\sqrt{유효전력^2+무효전력^2}}$ 
      피상전력은 단상(VI), 3상($\sqrt3VI$)이 있다.

     역률 개선 콘덴서 용량 = 유효전력($\frac{sinθ_1}{cosθ_1}-\frac{sinθ_2}{cosθ_2})$

2. 역률 개선의 효과

    1) 변압기와 변전선의 전력 손실 경감

    2) 전압 강하의 감소

    3) 설비 용량의 여유 증가

    4) 전기 요금의 감소

3. 콘덴서 회로의 부속 기기

    1) 방전코일

    2) 직렬 리액터

4.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 원인

    ① 콘덴서 설비의 모선 단락 및 지락

    ② 콘덴서 설비내의 배선 단락

    ③ 콘덴서 소체 파괴 및 층간 절연 파괴

5. 역률 과보상시 발생하는 현상

    ① 역률 저하 및 손실 증가

    ② 단자전압 상승

    ③ 계전기 오동작


역률, 용량, 전류 계산 역률 개선 효과 부속기기 콘덴서 설비 사고 역률 과보상 기타
유형1
2021-1, 2003-2
유형:콘덴서 용량
2016-3 
유형:콘덴서 용량
2013-1
유형: 합성역률 계산
2011-3,2004-3 
유형: 합성역률 계산
2010-3, 2009-1, 2008-2 , 2006-3 
유형 : 전류
2014-1, 2011-2, 2007-1
유형 : 유효전력 증가분
2013-1 2008-1 
유형 2014-2
유형: 표 콘덴서 용량 2014-3 
2019-1
2013-2
2011-3
2004-3
2002-3


2014-2 콘덴서 기능
2014-1 SVC
2012-3 직렬리액터
2011-1 
2009-1
1993- 
1991-2
2012-3 육안검사
2012-2 NCS, NVS
2014-3
2012-1
2004-1
2003-3
2012-3 전력용 콘덴서의 정기점점 항목

 


더보기

역률 80[%], 10,000 [kVA]의 부하를 가진 변전소에 2,000 [kVA]의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개선하면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는 몇[kVA]인지 계산하여 구하여라.

 

계산

역률 개선 전의 유효전력 P=10,000x0.8 = 8,000 [kW]

역률 개선 전의 무효전력 Q1=10,000x0.6 = 6,000 [kVar]

역률 개선 전의 무효전력 Q2=6,000-2,000 =4,000 [kVar]

Pa = $\sqrt {P^2+Q2^2}= \sqrt {8000^2+4000^2}$ = 8,944.27 [kVA]

정답 : 8,944.27 [kVA]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5-3


더보기

역률 과보상 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3가지만 적어라.

 

정답:

    역률 저하 및 손실 증가

    단자전압 상승

    계전기 오동작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15-3


더보기

정격 용량 100 [kVA]인 변압기에서 지상 역률 60 [%]의 부하에 100 [kVA]를 공급하고 있다.

역률 90 [%]로 개선하여 변압기의 전용량까지 부하에 공급하고자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소요되는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인가?

  ㆍ계산 :  ㆍ답:

(2) 역률 개선에 따른 유효 전력의 증가분은 몇 [kW]인가?

  ㆍ계산 :  ㆍ답:

 

정답 :

   (1) 계산 : $Q = P( \frac {\sqrt {1-cos^2θ_1}}{cosθ_1} - \frac {\sqrt {1-cos^2θ_2}}{cosθ_2})$

                   = $100 \times 0.6 \times (\frac {\sqrt {1-0.6^2}}{0.6} - \frac {\sqrt {1-0.9^2}}{0.9})$

       답 : 50.94 [kVA]

   (2) 계산 :  $정격용량(cosθ_2-cosθ_1)$ = 100(0.9-0.6)

       답 : 30 [kW]

 

출처 : 전기기사 실기 2008-1


더보기


역률을 개선하면 전기 요금의 저감과 배전선의 손실 경감, 전압 강하 감소, 설비 여력의 증가 등을 기할 수 있으나, 너무 과보상하면 역효과가 나타난다. 즉, 경부하시에 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의 결점을 3가지 쓰시오.

[답안작성] ① 모선 전압의 과상승 ② 송전 손실의 증가 ③ 고조파 왜곡의 증대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4-1, (2003-3)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더보기

답안 : 유도성 부하를 사용하게 되면 역률이 저하된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하에 병렬로 콘덴서(용량성)을 설치하여

진상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2-3, (2001-2)

 


더보기

수전단 전압이 3,000[V]인 3상 3선식 배전 선로의 수전단에 역률 0.8(지상)되는 520[kW]의 부하가 접속되어 있다.

이 부하에 동일 역률의 부하 80[kW]를 추가하여 600[kW]로 증가시키되

부하와 병렬로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수전단 전압 및 선로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할 때,

다음 각 질문에 답하시오. 단, 전선의 1선당 저항 및 리액턴스는 각각 1.78[Ω] 및 1.17[Ω]이다.

(1) 이 경우에 필요한 전력용 콘덴서 용량은 몇 [kVA]인가?

(2) 부하 증가 전의 송전단 전압은 몇 [V]인가?

(3) 부하 증가 후의 송전단 전압은 몇 [V]인가?

출처: 전기기사 실기 2001-1

나이퀴스트 판정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안정성을 판정하는 동시에 안정도를 제시해 준다      .  

② 계의 안정도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 준다.     

❸ 나이퀴스트 선도는 제어계의 오차 응답에 관한 정보를 준다. 

④ 루스 후르비츠 판정법과 같이 계의 안정여부를 직접 판정해 준다.

 

출처: 전기기사 필기시험 회로이론및 제어공학 2016-2

 

 2차 제어계 G(s)H(s)의 나이퀴스트 선도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이득 여유는 ∞ 이다.

교차량 |GH|=0 이다  

❸ 모두 불안정한 제어계이다. 

부의 실축과 교차하지 않는다      . 

 

출처: 전기기사 필기시험 회로이론및 제어공학 2016-2


나이퀴스트 선도에서의 임계점 (-1,j0)에 대응하는 보드선도에서의 이득과 위상은?

 

정답 : 0 [dB], -180도

출처: 전기기사 필기시험 회로이론및 제어공학 2016-1


$G(jω) = \frac{K}{jω+1}$의 나이퀴스트 선도는? 단 K>0이다.

정답:

출처: 전기기사 필기시험 회로이론및 제어공학 2015-1


나이퀴스트 선도로부터 결정된 이득여유는 4~12[dB], 위상 여유가 30~40도 일때 이 제어계는 ?

 

정답 : 안정

출처: 전기기사 필기시험 회로이론및 제어공학 2014-3


Nyquist 선도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 중 틀린 것은      .

① 계통의 안정도 개선법을 알 수 있다      .

② 상태 안정도를 알 수 있다     

❸ 정상 오차를 알 수 있다.      .

④ 절대 안정도를 알 수 있다

출처: 전기기사 필기시험 회로이론및 제어공학 2013-3

 

자속밀도 = 투자율x 자기장 세기 = B=µH 
B:자속 밀도(Wb/m2),
µ:투자율(H/m) = $μ_0μ_s$ =  $(4π \times 10^{-7})$x비투자율
H:자기장 세기(A/m) 


환상철심의 평균 자계의 세기가 3000AT/m이고, 비투자율이 600인 철심 중의 자화의 세기는 약 몇  [$Wb/m^2$] 인가 ? 

 

정답 : 2.26 [${Wb}/{m^2}$] 

풀이 :   J= $μ_0(μ_s-1)H = (4π \times 10^{-7}) \times (600-1) \times 3000 $
             J : 자석화 되는 세기
             $μ_0$: 절대 투자율, 진공의 투자율

출처 :  전기기사 필기시험 전자기학 2019-3회


길이  l[m], 지름 d[m]인 원통이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자화되어 자화의 세기가 J[Wb/$m^2$] 인 경우 원통 양단에서의 전자극의 세기 [Wb]는  ? 

 

정답 : $\frac{πd^2J}{4}$

풀이 : 전자극의 세기  = 자화의세기 ㆍ 면적 = $π(d/2)^2J$ = $\frac{πd^2J}{4}$

출처 :  전기기사 필기시험 전자기학 2018-3회, 2015-2


다음의 관계식 중 성립할 수 없는 것은? (단, μ는 투자율, $μ_0$는 진공의 투자율, x는 자화율, J는 자화의 세기이다.)

μ=$μ_0$+x ② J=xB ③ $μ_0$=1+$\frac{x}{μ_0}$ ④ B=μH

정답 ②
해설:  
μ는 투자율 : 매질 특성에 따라 자성의 특성을 설명하는 비율, B: 매질내의 자속 밀도

출처 전기사시 필기시험 전자기학 2016-3회

+ Recent posts